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재활용수의 슬러지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적정하게 보정함으로서 콘크리트 재활용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the concentration of concrete recycled water, and specifically, by measuring the sludge concentration of concrete recycled water and correcting it properly, concrete recycled water that can maintain the quality of concrete using concrete recycled water constantly It relates to a measuring device fo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지금까지 폐콘크리트를 재생설비에서 재생하여 모래, 자갈과 같은 골재는 재투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된 재활용수는 재활용수저장탱크에 저장되었다. 재활용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재활용수는 추후 콘크리트 생산공정에 투입되게 되었다.Until now, waste concrete was regenerated in a regeneration facility, and aggregates such as sand and gravel were reinserted and used, and recycled water generated in this process was stored in a recycling water storage tank. The recycled water stor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tank was later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production process.
문제는 재활용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재활용수는 폐콘크리트 재생과정에서 발생된 시멘트 및 골재 미분이 농축된 슬러지를 다량 포함하고 있는데, 그 슬러지의 농도가 일정한 것이 아니라 재생과정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있었다.The problem was that the recycled water stor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tank contained a large amount of concentrated sludge from the cement and aggregate fines generated during th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ludge was not constant but dependent on the regeneration process.
따라서 재활용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지 못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생산시에 재활용수를 재사용함으로서 슬러지의 농도에 따라 슬럼프치를 유지관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lump valu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ludge by reusing the recycled water in the production of concrete without know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ludge contained in the recycled water accurately.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활용수의 슬러지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적정하게 보정함으로서 콘크리트 재활용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sludge concentration of the concrete recycled water and properly corrected by measuring the concrete recycled wate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for concrete to maintain a constant quality of concrete using recycled wat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는 폐콘크리트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재활용수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재활용수를 이송하기 위한 재활용수공급및회수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재활용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재활용수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 및 상기 본체내부로 청수를 공급하면서 공급되는 청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the concentration of concrete recycle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ccommodating recycled water generated during waste concrete regeneration; Recycled water supply and recovery unit for transferring the recycled water to the main body;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measure a level of recycled water; A weight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recycled wate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by using the fresh water supplied while supplying the fresh water in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는 상기 수위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재활용수의 농도 및 보충할 청수의 양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recycling wate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recycled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and the fresh water to be replenished using the values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and the weight measurement unit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재활용수공급및회수부는 재활용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재활용수를 본체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재활용수저장탱크와 유입관을 연결하는 재활용수공급관; 상기 재활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재활용수를 다시 재활용수저장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재활용수공급관과 재활용수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재활용수회수관; 및 상기 재활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재활용수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재활용수를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ecycled water supply and recovery unit recycling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recycled water storage tank and the inlet pipe to transfer the recycled water stor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tank to the main body; A recycling recovery pipe connected to the recycling water supply pipe and connecting the recycling water supply pipe and the recycling water storage tank to transfer the recycled water back to the recycling water storage tank; And an inflow pipe connected to the recycling water supply pipe to introduce the recycled water flowing out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tank into the body.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입관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의 상단부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주유입관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보조유입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the upper end of the inlet pipe is composed of a relatively large main inlet pipe and a relatively small secondary inlet pip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무게측정부는 로드셀이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weighing unit is a load cell.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위측정부는 수위측정수단 및 상기 수위측정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보호관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includes a water level measuring means and a cylindrical protective tube for protecting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세척부는 청수를 이송하는 청수이송펌프, 상기 청수이송펌프 토출부에 설치된 청수개폐밸브와 유량계, 상기 청수이송펌프에 의해 이송된 청수를 분사시켜서 본체 내부를 세척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unit is to clea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by spraying the fresh water conveyed by the fresh water transfer pump, fresh water opening and closing valve and flow meter installed in the fresh water transfer pump discharge portion, the fresh water transfer pump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injection nozzl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재활용수회수관에는 역지밸브가 부착된 통기공이 부착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ecycling water recovery pipe is attached to the ventilation hole with a check valve.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을 이용하여 계량 및 보정된 재활용수를 콘크리트 과정에 사용하게 되면, 적량의 물과 시멘트가 배합될 수 있으므로 슬럼프치를 원하는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산된 콘크리트의 품질이 일정하고 우수하게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recycled water measured and calibrated using the concrete recycling wate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concrete process,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nd cement can be mixed, so that the slump value can be managed to a desired level.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produced concrete can be managed consistently and excellent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부의 운전중 이동상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th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the concentration of concrete recycle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uni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는 본체(100), 재활용수공급및회수부(200), 무게측정부(300), 수위측정부(400), 세척부(50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the concentration of concrete recycle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crete recycling wate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0)는 폐콘크리트 재생과정에서 발생한 재활용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하부에는 재활용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방출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구(110)에는 재활용수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방출밸브(12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0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본체(100)는 원통형상 또는 사각형상을 가진다.
The
재활용수공급및회수부(200)는 재활용수공급관(210), 재활용수회수관(215) 및 유입관(220)을 포함한다.The recycled water supply and
재활용수공급관(210)은 본체(100)에 폐콘크리트 재생과정에서 발생한 재활용수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재활용수저장탱크(미도시)와 후술하는 유입관(220)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일단은 재활용수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재활용수회수관(215)과 유입관(220)에 연결되어 있다.The recycled
재활용수회수관(215)은 재활용수가 회수되어 다시 재활용수저장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재활용수공급관(210)과 재활용수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배관이다.The recycled water collection pipe 215 is a pipe connecting the recycled
유입관(220)은 재활용수공급관(210)에 연결되어서 재활용수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되는 재활용수를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유입관(220)은 상단부는 재활용수공급관(210)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본체(100)의 하단부 근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관(22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분사공(2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재활용수의 갑작스런 유입 충격으로 인하여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재활용수가 본체(100)내에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재활용수는 유입관(220)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공(225)을 통하여 본체(100)내로 유입되면서 재활용수가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한편 유입관(220)의 상단부에는 유입관(220)으로 유입되는 재활용수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직경이 큰 주유입관(221)과 직경이 작은 보조유입관(2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유입관(221)과 보조유입관(222)에는 각각 계량밸브(223,224)가 설치된다. 본체(100)에 재활용수를 채울 경우에 초반에는 직경이 큰 주유입관(221)과 보조유입관(222)을 통하여 재활용수를 본체(100)내로 신속하게 유입시키다가, 후반에는 직경이 작은 보조유입관(222)만을 통하여 재활용수를 유입시켜서 본체(100)에 유입되는 재활용수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게 된다. 보조유입관(222)으로의 전환은 본체(100)에 유입시키고자 하는 재활용수의 90%가 유입된 시점이 바람직하다. 이는 재활용수의 유입시간과 유입되는 양의 정확성을 고려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유입관(220)이 연결된 후단의 재활용수회수관(215)의 최상부에는 통기공(230)이 부착되어 있다. 통기공(230)은 재활용수회수관(215)의 상부로 연결된 배관으로서, 통기공(230)에는 통기공(230)을 개폐시키며 반대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통제하는 역지밸브(231)가 부착되어 있다. 재활용수공급관(210)을 통하여 주유입관(221)과 보조유입관(222)을 거처 재활용수가 본체(100)로 이송중일 때에는 통기공(230)에 부착된 역지밸브(231)는 열려, 재활용수회수관(215)을 통한 재활용수의 회수가 중단된다. 통기공(230)은 사이폰 현상에 의하여 재활용수회수관(215)에 계속적으로 재활용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지밸브(231)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재활용수회수관(215)내의 진공을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재활용수공급관(210)에는 재활용수의 이송 및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재활용수이송펌프(미도시)와 재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cycled
무게측정부(300)는 본체(100)내에 수용된 재활용수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무게측정부(300)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로드셀을 이용한다. 도 1에서는 무게측정부(300)로서의 로드셀이 본체(100)에 부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로드셀은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weighing
수위측정부(400)는 본체(100)내에 수용된 재활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수위측정부(400)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부착되어 있으면 되므로,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수위측정수단(410)의 예시로서는 초음파를 이용한 수위측정장치 또는 플로팅 형태의 수위측정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위측정부(400)는 수위측정수단(410)과 이를 보호하는 보호관(4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위측정수단(410)은 상기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하고, 보호관(420)은 수위측정수단(410)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수위측정수단(4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관(420)의 일예로서는 실리콘으로 만든 투명한 관을 들 수 있다. 보호관(42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보호관(420)의 내부로도 재활용수가 유입되어 보호관(42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수위측정수단(410)이 본체(100)의 수위를 측정하게 된다. 보호관(420)은 수위측정시에는 하부로 내려진 상태이지만, 세척시에는 상부로 올라간 상태가 되며, 이를 위하여 보호관(420)은 상하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의 예시로서는 공기압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water
제어부(미도시)는 수위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수위와 무게측정부(300)에서 측정된 무게를 이용하여 재활용수내의 슬러지 농도 및 이를 근거로 보충되어야 할 청수의 양을 계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위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수위와 미리 입력된 본체(100)내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재활용수의 부피를 계산한 후에, 계산된 부피와 무게측정부(300)에서 측정된 무게를 이용하여 재활용수의 슬러지 농도를 계산하게 된다. 계산된 재활용수의 슬러지 농도와 미리 설정된 적정 재활용수의 슬러지 농도를 이용하여 재활용수에 청수를 어느 정도 양으로 주입할지를 계산하게 된다.The controller (not shown) calculates the sludge concentration in the recycle water and the amount of fresh water to be replenished based o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한편 제어부는 상기된 계산이외에도 청수의 주입량, 재활용수의 주입량, 계량된 재료를 방출, 세척등을 제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alculation, the control unit may also play a role of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fresh water, the injection amount of recycled water, the discharge of the metered material, and the washing.
세척부(500)는 본체(100) 내부를 세척하는 역할과 재활용수내에 청수를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척부(500)는 청수이송펌프(510), 청수개폐밸브(520)), 유량계(530), 분사노즐(550) 및 구동모터(540)를 포함한다. 청수이송펌프(510)는 상수도와 같은 외부의 청수공급시설 또는 청수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청수를 분사노즐(55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청수이송펌프(510)의 토출부에는 청수개폐밸브(520))와 유량계(530)가 설치되어서 분사노즐(550)을 통하여 본체(100)내로 이송되는 청수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게 된다.The fresh water opening and closing
분사노즐(550)은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분사노즐(550)을 통하여 청수가 본체(100)내로 분사되고, 이 과정에서 본체(100) 내부 벽에 묻은 슬러지들은 세척된다. 분사노즐(550)이 본체(100) 내부를 전체적으로 세척하기 위해서 분사노즐(550)은 본체(100)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이동수단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들어 분사노즐(550)이 부착된 연결대(560)에 모터를 부착시켜서 모터에 의하여 분사노즐(550)을 상하로 구동할 수도 있고, 도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에서와 같이 분사노즐(550)이 부착된 연결대가 보호관(4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보호관(42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분사노즐(550)은 평면상으로 분사될 수도 있지만, 본체(100)내의 완전한 세척을 위하여 3차원적으로 회전하면서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노즐(550)의 구동을 위하여 분사노즐(55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540)가 설치된다.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의 운전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crete recycling wate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meter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재활용수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재활용수는 펌프에 의하여 재활용수공급관(210)을 통하여 재활용수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된다. 재활용수공급관(210)으로 유입된 재활용수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본체(100)로 이송된다. 처음에는 주유입관(221)과 보조유입관(222)을 통하여 본체(100)로 이송되다가 이송의 거의 마칠 시점에는 주유입관(221)이 닫히고, 보조유입관(222) 만으로 본체(100)로 이송된다. 본체(100)에 재활용수가 유입되는 시점에 통기공(230)에 부착된 역지밸브(231)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재활용수회수관(215) 내의 진공이 파괴되고어 본체로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며 보조유입관(222)을 통한 재활용수의 정밀 계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First, the recycled water contain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tank flows out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recycled
무게 측정값으로 설정된 본체(100)로의 재활용수의 유입이 완료된 후에 재활용수의 수위가 안정되기를 기다렸다가, 수위측정부(400)와 무게측정부(300)를 이용하여 본체(100) 내의 재활용수의 수위와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부에서 재활용수의 농도 및 보충하여야 할 청수의 양을 계산하게 된다.
After the inflow of the recycled water to the
다음으로 본체(100) 하부의 방출구(110)가 개방이 되면서 본체(100) 내의 재활용수는 외부로 방출된다. 재활용수의 방출이 90%정도 완료되면 본체(100) 내부의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재활용수가 본체(100)로 유입된 상태에서는 수위측정부(400)의 보호관(420)이 하부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 그 내부의 수위측정수단(410)을 보호하게 된다. 세척이 시작되면 청수이송펌프(510)가 작동하게 되고, 유량계(530)를 통하여 세척부(500)로 이송되는 청수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청수의 양은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보충되어야 할 청수의 양으로서, 세척과정에서 사용된 청수는 방출구(110)를 통하여 먼저 방출된 재활용수와 혼합이 되고, 이로서 재활용수의 슬러지 농도가 원하는 대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Next, as th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부의 운전중 이동상황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체에 재활용수가 유입된 상태에서는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로서 보호관과 분사노즐이 위치하나, 본체 내부의 세척시에는 분사노즐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어느 순간에는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로서 보호관과 분사노즐이 위치하게 된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unit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tube and the injection nozzle is located as a dotted line in FIG. The nozzle moves up and down, and at some point, the protection tube and the injection nozzle are positioned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2.
100:본체
200: 재활용수공급및회수부
300: 무게측정부
400: 수위측정부
500: 세척부100: main body
200: recycling water supply and recovery
300: weighing unit
400: level measurement unit
500: cleaning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14978AKR101231554B1 (en) | 2010-11-18 | 2010-11-18 | Device fo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of concrete recycle wate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14978AKR101231554B1 (en) | 2010-11-18 | 2010-11-18 | Device fo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of concrete recycle wat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53715Atrue KR20120053715A (en) | 2012-05-29 |
| KR101231554B1 KR101231554B1 (en) | 2013-02-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14978AExpired - Fee RelatedKR101231554B1 (en) | 2010-11-18 | 2010-11-18 | Device fo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of concrete recycle wat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1554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D775600S1 (en) | 2014-10-01 | 2017-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9450S1 (en) | 2014-10-01 | 2017-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1275S1 (en) | 2014-10-01 | 2017-03-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4972S1 (en) | 2014-10-01 | 2017-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5586S1 (en) | 2014-10-01 | 2017-05-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95855S1 (en) | 2014-10-01 | 2017-08-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97713S1 (en) | 2014-10-01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803818S1 (en) | 2014-10-01 | 2017-11-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2021173689A (en)* | 2020-04-28 | 2021-11-01 |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 Sludge water analysis device and pre-treatment part thereof, and method for analyzing sludge water and pre-treatment method thereof |
| JP2021173687A (en)* | 2020-04-28 | 2021-11-01 |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 Sludge water analyzer |
| CN114965971A (en)* | 2022-05-23 | 2022-08-30 | 桐庐宏基源混凝土有限公司 | Mix mountain flour wet mix mortar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
| KR20240030826A (en)* | 2022-08-31 | 2024-03-07 | 뉴인스엔지니어링 ㈜ | Zero Point Setting Device And Zero Point Setting Method Of Slurry Density Measur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72109A (en)* | 1991-08-01 | 1993-03-23 | Katsumata Yosetsu Kogyosho:Kk | Measuring device for slurry concentration |
| JP3181822B2 (en)* | 1995-12-01 | 2001-07-03 | 東和工機株式会社 | Sludge water concentration adjustment device |
| JP4915676B2 (en)* | 2008-03-27 | 2012-04-11 |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 Automatic ash / rainfall met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D775600S1 (en) | 2014-10-01 | 2017-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6073S1 (en) | 2014-10-01 | 2017-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6075S1 (en) | 2014-10-01 | 2017-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7130S1 (en) | 2014-10-01 | 2017-01-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7698S1 (en) | 2014-10-01 | 2017-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8890S1 (en) | 2014-10-01 | 2017-02-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8869S1 (en) | 2014-10-01 | 2017-02-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9469S1 (en) | 2014-10-01 | 2017-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79450S1 (en) | 2014-10-01 | 2017-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1275S1 (en) | 2014-10-01 | 2017-03-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4972S1 (en) | 2014-10-01 | 2017-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4974S1 (en) | 2014-10-01 | 2017-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5586S1 (en) | 2014-10-01 | 2017-05-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88752S1 (en) | 2014-10-01 | 2017-06-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95855S1 (en) | 2014-10-01 | 2017-08-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797713S1 (en) | 2014-10-01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D803818S1 (en) | 2014-10-01 | 2017-11-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2021173689A (en)* | 2020-04-28 | 2021-11-01 |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 Sludge water analysis device and pre-treatment part thereof, and method for analyzing sludge water and pre-treatment method thereof |
| JP2021173687A (en)* | 2020-04-28 | 2021-11-01 |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 Sludge water analyzer |
| CN114965971A (en)* | 2022-05-23 | 2022-08-30 | 桐庐宏基源混凝土有限公司 | Mix mountain flour wet mix mortar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
| CN114965971B (en)* | 2022-05-23 | 2023-08-29 | 桐庐宏基源混凝土有限公司 | Mixing stone powder wet-mixed mortar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
| KR20240030826A (en)* | 2022-08-31 | 2024-03-07 | 뉴인스엔지니어링 ㈜ | Zero Point Setting Device And Zero Point Setting Method Of Slurry Density Measur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31554B1 (en) | 2013-02-0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31554B1 (en) | Device fo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correction of concrete recycle water | |
| CN114150873B (en) | A grouting method for sleeve grouting | |
| CN201020809Y (en) | Additive storage metering system for asphalt cement mortar stirring vehicle | |
| CN209775110U (en) | concrete mixing device with measurement function | |
| CN109029171B (en) | Static blasting expanding agent pouring equipment and pouring method | |
| KR101849854B1 (en) | Quantitative supplier for agricultural chemicals | |
| CN204263364U (en) | A kind of concrete gravel waste water recovery system | |
| CN109833818A (en) | Quantitative mixing equipment | |
| CN110616881A (en) | Cleaning system, grouting equipment and material supplementing and cleaning control method of grouting equipment | |
| KR200233886Y1 (en) | Fireproof material inflow device for a furnace in a state of hot | |
| CN102605762B (en) | Self-controlled earth solidification device | |
| CN204398152U (en) | A kind of retracting device and use pumping equipment, the mixing plant of this retracting device | |
| CN111514615A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isture in tar storage tank and separating and preventing tar residue deposition | |
| CN206591399U (en) | The EGR of cement paste | |
| CN107724394A (en) | Tubing string cofferdam underwater gliders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1391954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emulsifier asphalt | |
| CN103740057A (en) | Reactive resin adhesive and synchronous rubble scattering machine | |
| CN114370283A (en) | Atmospheric pressure replacement method of knife cylinder gate of mud-water balance shield machine | |
| CN114592551A (en) | Bored concrete pile all-in-one that indoor model test used | |
| CN107740348A (en) | A kind of curing means of bridge anti-collision wall | |
| CN220618497U (en) | Sand and stone transportation-free sewage treatment system | |
| CN207703447U (en) | A kind of measuring and calculating jet stream holds the device of tolerance under the arm | |
| KR100998197B1 (en) | Control device shortens salt water production time | |
| CN211466964U (en) | Admixture metering system of mixing plant | |
| KR102574358B1 (en) | Premix powder quantitative supply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122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123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604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02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02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