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20042029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029A
KR20120042029AKR1020100103494AKR20100103494AKR20120042029AKR 20120042029 AKR20120042029 AKR 20120042029AKR 1020100103494 AKR1020100103494 AKR 1020100103494AKR 20100103494 AKR20100103494 AKR 20100103494AKR 20120042029 AKR20120042029 AKR 2012004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miconductor layer
transparent conductive
capacito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성
윤주선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494ApriorityCriticalpatent/KR20120042029A/ko
Priority to US13/094,685prioritypatent/US8519395B2/en
Priority to JP2011103062Aprioritypatent/JP5863272B2/ja
Priority to CN201110135843.9Aprioritypatent/CN102456696B/zh
Priority to TW100119805Aprioritypatent/TWI570493B/zh
Publication of KR2012004202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20042029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상에 형성된 제1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으로 만들어진 단일막 구조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2 투명 도전막 상에 형성된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와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으로 만들어진 단일막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개구율을 향상시킨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과 같은 대부분의 평판형 표시 장치들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캐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간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 저항성 접촉층(ohmic contact layer)을 포함한다. 저항성 접촉층은 통상 반도체층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되었다. 저항성 접촉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
또한, 캐패시터는 통상 하나 이상의 금속성 전극을 포함하므로, 표시 장치의 개구율을 높이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개구율을 향상시킨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상에 형성된 제1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으로 만들어진 단일막 구조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2 투명 도전막 상에 형성된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와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으로 만들어진 단일막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전극, 제1 캐패시터 전극, 및 캐패시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1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 및 상기 캐패시터 라인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캐패시터 라인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1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제2 캐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각각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되고,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제2 투명 도전막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은 각각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상기 제2 금속막과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서 저항성 접촉층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배선을 덮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의 일부를 드러내는 화소 접촉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화소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접촉 구멍은 상기 캐패시터 라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갈륨(Ga), 인듐(In), 아연(Zn), 하프늄(Hf), 및 주석(Sn) 중에서 하나 이상의 원소와 산소(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데이터 배선 사이에 배치된 식각 방지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각 방지막은 상기 반도체층의 일부를 각각 드러내는 소스 접촉 구멍 및 드레인 접촉 구멍을 가지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각각 상기 소스 접촉 구멍 및 상기 드레인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 상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이 서로 이격된 영역과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식각 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제1 투명 도전막 및 제1 금속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패터닝(patterning)하여 게이트 전극, 제1 캐패시터 전극, 및 캐패시터 라인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투명 도전막 및 제2 금속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층과 각각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 캐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1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 및 상기 캐패시터 라인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 및 상기 캐패시터 라인은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캐패시터 라인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1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캐패시터 라인, 및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은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은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제2 투명 도전막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은 각각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상기 제2 금속막과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서 저항성 접촉층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배선을 덮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의 일부를 드러내는 화소 접촉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화소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캐패시터 전극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접촉 구멍은 상기 캐패시터 라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갈륨(Ga), 인듐(In), 아연(Zn), 하프늄(Hf), 및 주석(Sn) 중에서 하나 이상의 원소와 산소(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데이터 배선 사이에 식각 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각 방지막은 상기 반도체층의 일부를 각각 드러내는 소스 접촉 구멍 및 드레인 접촉 구멍을 가지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각각 상기 소스 접촉 구멍 및 상기 드레인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 상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이 서로 이격된 영역과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 식각 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효과적으로 개구율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간소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리고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실시예 이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1)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표시 장치(101)로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가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표시 장치(101)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판(111)는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판(111) 상에는 버퍼층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산화규소막 및 질화규소막 등과 같은 절연막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층 또는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은 기판(111)에서 발생하는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 및 침투를 방지하고,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게이트 배선(131, 132, 133, 138)은 기판(111) 위에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라인(131), 캐패시터 라인(132), 게이트 전극(133), 및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을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배선(131, 132, 133, 138)은 기판(111)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투명 도전막(1301)과 제1 금속막(13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게이트 라인(131), 캐패시터 라인(132), 및 게이트 전극(133)은 제1 투명 도전막(1301)과 제1 투명 도전막(1301) 위에 형성된 제1 금속막(1032)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된다.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은 제1 투명 도전막(1301)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은 제1 금속막(1302)을 갖지 않는다.
제1 투명 도전막(130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ITO (Zinc Indium Tin Oxide), GITO(Gallium Indium Tin Oxide), In2O3(Indium Oxide), ZnO(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FTO(Fluorine Tin Oxide), 및 AZO(Aluminum-Doped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금속막(1302)은 몰리브덴(Mo),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티타늄(Ti), 탄탈(Ta), 및 텅스텐(W) 등과 같이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금속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33)은 게이트 라인(131)과 연결되고,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은 캐패시터 라인(132)과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131)과 캐패시터 라인(13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133), 게이트 라인(131), 및 캐패시터 라인(132)은 제1 금속막(1302)을 포함하므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특히, 캐패시터 라인(132)은 제1 도전막(1302)으로 형성된 제1 캐패시터 전극(138)에 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 라인(132)은 제1 금속막(1302)을 포함하므로, 차광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캐패시터 라인(132)은 단차로 인해 전계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영역을 가려 표시 장치(101)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게이트 배선(131, 132, 133, 138)을 덮는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 ethyl ortho silicate, TEOS), 질화규소(SiNx), 및 산화규소(SiO2) 등과 같이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절연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반도체층(153)은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형성되며, 게이트 배선(131, 132, 133, 138)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53)은 게이트 전극(133)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반도체층(153)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층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53)은 갈륨(Ga), 인듐(In), 아연(Zn), 하프늄(Hf), 및 주석(Sn) 중에서 하나 이상의 원소와 산소(O)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반도체층(153)은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반도체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자 이동도와 신뢰성을 가지며, 다결정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반도체층과 비교하여 우수한 균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은 게이트 절연막(140) 및 반도체층(153) 상에 형성된다.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라인(171), 소스 전극(175), 드레인 전극(177), 및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을 포함한다.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은 게이트 절연막(140) 및 반도체층(153)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2 투명 도전막(1701)과 제2 금속막(17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171),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은 제2 투명 도전막(1701)과 제2 투명 도전막(1701) 위에 형성된 제2 금속막(1702)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된다.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은 제2 투명 도전막(1701)으로 형성된다. 즉,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은 제2 금속막(1702)을 갖지 않는다.
제2 투명 도전막(1701)은, 제1 투명 도전막(1301)과 마찬가지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ITO (Zinc Indium Tin Oxide), GITO(Gallium Indium Tin Oxide), In2O3(Indium Oxide), ZnO(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FTO(Fluorine Tin Oxide), 및 AZO(Aluminum-Doped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층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2 금속막(1702)은, 제1 금속막(1302)과 마찬가지로, 몰리브덴(Mo),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티타늄(Ti), 탄탈(Ta), 및 텅스텐(W) 등과 같이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금속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소스 전극(175)은 데이터 라인(171)과 연결되며,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은 서로 이격된다. 또한,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은 각각 반도체층(153)과 접촉된다. 즉,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적어도 일부는 반도체층(153) 위에 형성된다. 이때,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제2 투명 도전막(1701)은 각각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제2 금속막(1702)과 반도체층(153) 사이에서 저항성 접촉층(ohmic contact layer)의 역할을 한다. 즉,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제2 투명 도전막(1701)은 반도체층(153)과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제2 금속층(1702)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저항성 접촉층의 역할을 하는 제2 투명 도전막(1701)을 함께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저항성 접촉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은 드레인 전극(177)의 제2 투명 도전막(170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캐패시터 전극(138)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캐패시터 전극(138), 제2 캐패시터 전극(178), 및 이들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140)은 캐패시터(80)가 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140)은 유전체가 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 전극(177)으로부터 연장된 제2 캐패시터 전극(178)과 캐패시터 라인(132)과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이 모두 투명 도전막들(1301, 1701)으로 형성되므로, 표시 장치(101)의 개구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 라인(171)은 게이트 라인(131) 및 캐패시터 라인(13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80)은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을 덮으며,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의 일부를 드러내는 화소 접촉 구멍(188)을 갖는다. 화소 접촉 구멍(188)은 캐패시터 라인(132)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층간 절연막(180)은 유기 물질로 형성된다. 일례로, 층간 절연막(180)은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감광성(photosensitivity) 유기막일 수 있다.
화소 전극(310)은 층간 절연막(180) 상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310)은 층간 절연막(180)의 화소 접촉 구멍(188)을 통해 제2 캐패시터 전극(178)과 접촉된다.
또한, 화소 전극(310) 상에는 액정층(미도시)이 배치되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화소 전극(310) 상에 유기 발광층(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화소 접촉 구멍(188)으로 인해 층간 절연막(180)에 단차가 생기고, 이 단차 영역에서 전계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화소 전극(310) 상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의 액정 분자 배열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화소 접촉 구멍(188)은 캐패시터 라인(132) 상에 형성되므로, 제1 금속막(1302)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라인(132)은 전계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단차 영역을 차광하여 표시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1)는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저항성 접촉층과 같은 역할을 하는 제2 투명 도전막(1701)을 포함하는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을 제2 캐패시터 전극(178)과 형성할 수 있다. 즉, 소스 전극(175), 드레인 전극(177), 및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이 간소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저항성 접촉층을 형성하기 위해 분술물을 도핑하는 공정 등과 같은 추가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적은 구조 및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대형화된 표시 장치(101)도 효과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캐패시터 전극(138) 및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이 모두 투명 도전막들(1301, 1701)로 형성되므로, 표시 장치(101)의 개구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11)을 마련한 후, 기판(111) 상에 제1 투명 도전막(1301) 및 제1 금속막(1302)을 차례로 적층한다. 그리고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이들을 패터닝(pattering)하여 게이트 라인(131)(도 1에 도시), 캐패시터 라인(132), 게이트 전극(133), 및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라인(131), 캐패시터 라인(132), 및 게이트 전극(133)은 제1 투명 도전막(1301) 및 제1 금속막(1302)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며,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은 제1 투명 도전막(1301)으로 형성된다.
한편, 게이트 배선(131, 132, 133, 138)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 식각 공정은 하프톤(halftone) 노광 공정 또는 이중 노광 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게이트 라인(131), 캐패시터 라인(132), 게이트 전극(133), 및 제1 캐패시터 전극(138)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배선(131, 132, 133, 138)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140)을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반도체층(153)을 형성한다. 반도체층(153)은 게이트 전극(133)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반도체층(153)은 갈륨(Ga), 인듐(In), 아연(Zn), 하프늄(Hf), 및 주석(Sn) 중에서 하나 이상의 원소와 산소(O)를 포함한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140)과 반도체층(153) 위에 제2 투명 도전막(1701) 및 제2 금속막(1702)을 차례로 적층한다. 그리고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이들을 패터닝(pattering)하여 데이터 라인(171), 소스 전극(175), 드레인 전극(177), 및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한다. 이때, 데이터 라인(171),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은 제2 투명 도전막(1701) 및 제2 금속막(1702)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되며,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은 제2 투명 도전막(1701)으로 형성된다.
한편,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 식각 공정은 하프톤(halftone) 노광 공정 또는 이중 노광 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데이터 라인(171), 소스 전극(175), 드레인 전극(177), 및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은 각각 반도체층(153)과 접촉되며, 드레인 전극(177)의 제2 투명 도전막(1701)으로부터 연장된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은 제1 캐패시터 전극(138)과 적어도 일부 중첩된다.
또한,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제2 투명 도전막(1701)은 각각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의 제2 금속막(1702)과 반도체층(153) 사이에서 저항성 접촉층의 역할을 한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을 덮는 층간 절연막(180)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180)은 유기 물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층간 절연막(180)은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의 일부를 드러내는 화소 접촉 구멍(188)을 갖는다. 화소 접촉 구멍(188)은 캐패시터 라인(132) 상에 배치된다.
다음, 층간 절연막(180) 상에 화소 전극(310)을 형성한다. 화소 전극(310)은 화소 접촉 구멍(188)을 통해 제2 캐패시터 전극(178)과 접촉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화소 전극(310) 상에 액정층을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1)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저항성 접촉층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 공정을 생략하여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대형화된 표시 장치(101)도 효과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캐패시터 전극(138) 및 제2 캐패시터 전극(178)이 모두 투명 도전막들(1301, 1701)로 형성되므로, 표시 장치(101)의 개구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2)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2)는 캐패시터 라인(132)이 제1 투명 도전막(1301)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실시예와 달리, 캐패시터 라인(132)은 제1 금속막(1302)을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2)는 더욱 향상된 개구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2)의 제조 방법은 캐패시터 라인(132)이 제1 투명 도전막(1301)으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표시 장치(103)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3)는 반도체층(153)과 데이터 배선(171, 175, 177, 178) 사이에 배치된 식각 방지막(160)을 더 포함한다.
식각 방지막(160)은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소스 전극(175) 및 드레인 전극(177) 아래에 위치한 반도체층(15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각 방지막(160)은 반도체층(153)의 일부를 각각 드러내는 소스 접촉 구멍(165) 및 드레인 접촉 구멍(167)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3)는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3)의 제조 방법은 식각 방지막(160)을 형성하는 공정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진 식각 공정이 한번 더 추가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표시 장치(104)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4)는 소스 전극(175)과 드레인 전극(177)이 서로 이격된 영역과 반도체층(153) 사이에 배치된 식각 방지막(26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각 방지막(260)은, 제3 실시예의 식각 방지막(160)과 달리, 반도체층(153) 위에 한정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4)도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4)의 제조 방법도 식각 방지막(260)을 형성하는 공정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도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진 식각 공정이 한번 더 추가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박막 트랜지스터80: 캐패시터
101: 표시 장치111: 기판
131: 게이트 라인132: 캐패시터 라인
133: 게이트 전극138: 제1 캐패시터 전극
140: 게이트 절연막153: 반도체층
160: 식각 방지막171: 데이터 라인
175: 소스 전극177: 드레인 전극
178: 제2 캐패시터 전극180: 층간 절연막
310: 화소 전극

Claims (30)

  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1 투명 도전막 및 제1 금속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패터닝(patterning)하여 게이트 전극, 제1 캐패시터 전극, 및 캐패시터 라인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투명 도전막 및 제2 금속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층과 각각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캐패시터 전극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 캐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00103494A2010-10-222010-10-22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CeasedKR20120042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103494AKR20120042029A (ko)2010-10-222010-10-22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3/094,685US8519395B2 (en)2010-10-222011-04-26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103062AJP5863272B2 (ja)2010-10-222011-05-02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10135843.9ACN102456696B (zh)2010-10-222011-05-20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100119805ATWI570493B (zh)2010-10-222011-06-07顯示裝置和製造其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103494AKR20120042029A (ko)2010-10-222010-10-22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20042029Atrue KR20120042029A (ko)2012-05-03

Family

ID=4597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00103494ACeasedKR20120042029A (ko)2010-10-222010-10-22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US8519395B2 (ko)
JP (1)JP5863272B2 (ko)
KR (1)KR20120042029A (ko)
CN (1)CN102456696B (ko)
TW (1)TWI570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276126B2 (en)*2012-01-312016-03-01Sharp Kabushiki Kaisha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076626B2 (ja)*2012-06-142017-02-08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155823B2 (ja)*2012-07-122017-07-05Jsr株式会社有機el素子、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膜
KR20240138123A (ko)*2012-07-202024-09-20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4199899A (ja)*2012-08-102014-10-23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半導体装置
CN102881701B (zh)2012-09-192015-01-07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一种tft平板x射线传感器及其制造方法
CN103904086B (zh)*2012-12-242017-10-27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一种薄膜晶体管阵列基板
CN103199094B (zh)*2013-03-252016-01-20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Tft-lcd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KR102123529B1 (ko)*2013-03-282020-06-17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US9818765B2 (en)2013-08-262017-11-14Apple Inc.Displays with silicon and semiconducting oxide thin-film transistors
US10008513B2 (en)*2013-09-052018-06-26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Semiconductor device
JP6315966B2 (ja)*2013-12-112018-04-25三菱電機株式会社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53379B (zh)2014-06-252016-10-11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顯示面板和應用其之顯示裝置
JP2016048706A (ja)*2014-08-272016-04-07三菱電機株式会社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43370B2 (en)*2014-09-242017-01-10Apple Inc.Silicon and semiconducting oxide thin-film transistor displays
CN104362155B (zh)*2014-11-242017-12-08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6758844B2 (ja)*2015-02-132020-09-23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表示装置
US9818344B2 (en)2015-12-042017-11-14Apple Inc.Display with light-emitting diodes
TWI625847B (zh)*2016-09-092018-06-01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畫素結構及其製作方法
KR20180045964A (ko)*2016-10-262018-05-08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756118B2 (en)2016-11-302020-08-25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637791B1 (ko)*2018-02-132024-02-19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4769B1 (ko)*2018-08-202024-05-08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표시장치
KR102654918B1 (ko)*2018-10-082024-04-05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표시장치
KR102755667B1 (ko)*2019-01-252025-01-20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표시 장치용 도전선,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807739B (zh)*2022-03-302023-07-01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711003B2 (ja)*1989-12-251998-02-10三菱電機株式会社マトリツクス型表示装置
JP3541026B2 (ja)*1995-08-112004-07-07シャープ株式会社液晶表示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JP3269787B2 (ja)*1997-05-272002-04-02シャープ株式会社液晶表示装置
JP2001339072A (ja)*2000-03-152001-12-07Advanced Display Inc液晶表示装置
JP2002116712A (ja)*2000-10-042002-04-19Advanced Display Inc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220611B2 (en)*2003-10-142007-05-22Lg.Philips Lcd Co., Lt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WO2005101476A1 (ja)*2004-04-162005-10-27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EP1837842B1 (en)*2004-12-162014-01-22Sharp Kabushiki KaishaActive matrix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nd television system
KR101107269B1 (ko)*2004-12-312012-01-19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수평 전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이용한 액정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7682B1 (ko)*2004-12-312012-01-25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표시 소자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9040A (ko)*2004-12-312006-07-05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프린지 필드 스위칭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제조 방법
JP2006195098A (ja)*2005-01-122006-07-27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マトリクスアレイ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平面表示装置
WO2007097078A1 (ja)*2006-02-242007-08-30Sharp Kabushiki Kaisha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70109192A (ko)*2006-05-102007-11-15삼성전자주식회사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395282B1 (ko)*2006-12-042014-05-15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5561B1 (ko)2007-06-142014-08-07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0576045C (zh)*2007-08-312009-12-30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0521166C (zh)*2007-11-152009-07-29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显示元件及其制造方法
KR101497425B1 (ko)*2008-08-282015-03-03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514418B2 (ja)*2008-09-052014-06-04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液晶表示装置
JP4661935B2 (ja)*2008-10-152011-03-30ソニー株式会社液晶表示装置
KR101627728B1 (ko)*2008-12-302016-06-08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4686B1 (ko)*2009-01-122011-05-16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TWI570493B (zh)2017-02-11
JP2012093707A (ja)2012-05-17
CN102456696B (zh)2016-01-20
US20120097940A1 (en)2012-04-26
TW201218347A (en)2012-05-01
CN102456696A (zh)2012-05-16
JP5863272B2 (ja)2016-02-16
US8519395B2 (en)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20042029A (ko)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877534B2 (en)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33348B1 (ko)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240485B2 (en)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7464819B (zh)发光面板
US20130234124A1 (en)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186619A1 (ja)半導体装置、表示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41511A (ko)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59003A (ko)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46264A1 (ja)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3243A (ko)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280466A (zh)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WO2013172185A1 (ja)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51358B1 (ko)미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WO2013150981A1 (ja)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15052A1 (ja)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52275A1 (en)Ole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50357356A1 (en)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15050A1 (ja)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421886B (zh)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WO2015192595A1 (zh)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224457B1 (ko)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CN104380474B (zh)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TWI546965B (zh)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US20210184006A1 (en)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01022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20120726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51015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0102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22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70605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70227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