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안은 수동형 커피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필터를 수동형 커피 드립퍼 내에 바르게 안착시켜 효과적으로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수동형 커피 드립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coffee dri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ual coffee dripp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paper filter is properly seated in the manual coffee dripper so that coffee can be effectively extracted.
일반적으로 수동 드립(hand drip)이란, 드립퍼(dripper) 내에 안착된 종이 필터에 담긴 분말 커피 위로 주전자를 이용하여 물을 골고루 뿌려주면서 커피 성분을 추출시키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a hand drip refers to extracting coffee ingredients while evenly spraying water using a kettle on powder coffee contained in a paper filter seated in a dripper.
이때, 상기 드립퍼에 물을 붓는 주전자의 각도, 물의 양 조절 및 물을 붓는 방법 등에 따라 추출되는 커피의 맛이 달라질 수 있는 커피 추출 방법이다.At this time, it is a coffee extraction method in which the taste of the coffee to be extrac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kettle pouring water into the dripper, the amount of water adjusted, and the method of pouring water.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수동 드립용 커피 제조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파이프(대략 8 내지 12mm)의 주둥이를 갖는 주전자(10)와, 플라스틱 혹은 도자기로 된 드립퍼(20)와, 이 드립퍼(20)의 구멍으로 흘러내리는 커피를 수용하는 서버(server)(30)로 구성되어 있다.Manual drip coffee making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in the above manner, as shown in Figs. 1 to 3, respectively, a
우선, 상기 드립퍼(20)는 상단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종이 필터의 구조에 따라 원형 또는 삼각형 구조를 가지고 하단에 커피가 흘러내릴 수 있는 커피추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피추출공은 약 3mm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이러한 드립퍼(20)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성형 제품이 많으나, 최근에는 도자기로 된 제품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Such a
그리고 상기 서버(30)는, 커피의 추출량을 가늠하는 스케일(scale) 혹은 잔수 표시가 되어 있어 물의 유입을 차단 혹은 정지시키는 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서버(30)는 보통 투명한 유리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커피의 색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커피잔에 따르기도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종이 필터는 통상 펄프로 제조되며, 보통 1회용이어서 사용한 후 버린다. 이러한 종이 필터 내부에 분쇄된 분말 커피를 넣고, 여기에 물을 따라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커피의 액상만 추출하게 되고, 찌꺼기 분말은 일체 걸러지게 된다.In addition, paper filters are usually made of pulp, usually disposable, and then discarded. The pulverized powdered coffee is placed in the paper filter, and the coffee is extracted along the water. At this time, only the liquid phase of the coffee is extracted, the ground powder is filtered out at all.
이와 같은 수동 드립용 커피 제조기구를 이용한 커피 제조는, 분말 커피를 종이 필터에 담아 플라스틱 혹은 도자기로 된 드립퍼(20)에 안착하고, 주둥이가 가늘고 긴 주전자(10)를 손으로 잡고 물을 뿌려주면 커피가 서버(30)로 추출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또는 제대로 된 커피를 추출하는 최선의 방법은 종이 필터에 담긴 분말 커피 위에서 물을 뿌려주는 기술에 달려있다.Coffee production using such a manual drip coffee making device, the powder coffee is placed in a paper filter, placed in a plastic or porcelain dripper (20), the spout is thin and
그런데, 종이 필터의 소재상 종이 필터가 드립퍼(20) 내에 제대로 안착되기 어렵다. 즉, 종이(또는 펄프)로 된 필터가 드립퍼(20) 내에 제대로 안착되어야 하고, 이와 함께 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필터가 펼쳐진 상태의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분말 커피를 종이 필터에 제대로 담기가 곤란하며, 주전자(10)를 이용하여 분말 커피 위로 물을 제대로 뿌릴 수 없어 원활하게 그리고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기가 어렵다.By the way, it is difficult for the paper filter to be properly seated in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이 필터를 드립퍼 내에 적절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드립퍼 내에 필터 가이드를 형성하여 원활하게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한 수동형 커피 드립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anual coffee dripper to form a filter guide in the dripper so that the paper filter can be properly seated in the dripper so that coffee can be smoothly extracted.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동형 커피 드립퍼는, 분말 커피가 담기는 종이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수동형 커피 드립퍼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종이 필터의 재봉선과 외부 가장자리 변이 끼워져 상기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assive coffee d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nual coffee dripper having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a paper filter containing powdered coffee, wherein the seating portion, the seam of the paper filter and the outer edge vari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guide is formed to be fitted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안착부 내벽에 서로 대향되며 형성된 'ㄷ'자 홈으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guide is made of '' 'grooves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of the seating por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립퍼 내의 안착부에 종이 필터를 끼워 안착할 수 있는 필터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종이 필터를 드립퍼 내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per filter can be stably seated in the dripper by forming a filter guide through which the paper filter can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of the dripper.
따라서 종이 필터가 드립퍼 내에 지속적으로 안정된(또는 원래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분말 커피를 종이 필터 내에 적절하게 담을 수 있고, 적절하게 주전자를 컨트롤 할 수 있어 원활하게 그리고 맛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paper filter to maintain a consistently stable (or original) posture in the dripper so that the powdered coffee can be properly contained in the paper filter and the kettle can be properly controlled to smoothly and deliciously brew coffee. .
도 1은 일반적인 수동 드립용 커피 제조기구인 주전자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수동 드립용 커피 제조기구인 드립퍼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수동 드립용 커피 제조기구인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 및 제1종이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드립퍼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도 4의 조립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 및 제2종이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드립퍼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저면도.
도 11은 도 8의 조립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 및 제2종이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조립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의 조립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ettle which is a general manual drip coffee making apparatu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ripper which is a general manual drip coffee making apparatus.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rver which is a general manual drip coffee making apparatu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ual coffee dripper and a first paper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dripper of FIG. 4.
6 is a bottom view of FIG. 5.
7 is an assembly view of FIG. 4.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ual coffee dripper and a second paper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dripper of FIG. 8.
10 is a bottom view of FIG. 9;
11 is an assembly view of FIG. 8.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ual coffee dripper and a second paper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assembly view of FIG. 12.
14 is an assembly view of a manual coffee dripp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 및 제1종이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드립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도 4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ual coffee dripper and the first pape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dripper of FIG. 4, and FIG. 6 is FIG. 5. The bottom view of is shown. 7 shows the assembly of FIG. 4.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커피(500)가 담기는 제1종이필터(300)가 안착되는 제1몸체부(11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each of these drawings, th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잔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제1몸체부(110)와, 이 제1몸체부(110)의 외측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20)와, 그리고 제1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술한 서버(도 3의 30 참조)와 연결되는 서버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110)의 내측에는 제1종이필터(30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111)가 형성되며, 이 제1안착부(111)의 내벽에는 제1종이필터(300)가 제1안착부(111)의 내벽에 밀착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제1수직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제1안착부(111)의 하단부 중앙에는 서버(3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커피가 서버(30)로 추출되도록 하는 제1커피추출공(11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상기 제1수직돌기(112)는 제1안착부(111)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나선형으로 형성된다.The firs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100)는, 상기 제1몸체부(110)가 전체적으로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커피추출공(113)이 1개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종이필터(300)도 제1안착부(111)의 형태와 유사하게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제1종이필터(300)의 경우에는 재봉선(301)이 일측 가장자리에 하나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안착부(111)의 일측에는 제1종이필터(300)의 재봉선(301)과 외부 가장자리 변(302)이 제1안착부(111)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가이드(1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150)는 제1안착부(111) 내벽에 180도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며 형성된 'ㄷ'자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ㄷ'자 홈은 가능하면, 제1종이필터(300)의 재봉선(301)과 외부 가장자리 변(302)의 전체 길이가 모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안착부(111)의 상단부에서 제1커피추출공(113)까지 연장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따라서 상기 필터 가이드(150)에 제1종이필터(300)의 재봉선(301)과 재봉선과 대향되는 쪽의 가장자리 변(30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끼워지게 된다.Therefore, the
도 8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 및 제2종이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드립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는 도 8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ual coffee dripper and a second paper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the dripper of FIG. 8, and FIG. 10 is FIG. 9. The bottom view of is shown. 11 shows the assembly view of FIG. 8.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8 내지 도 11의 도면부호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도 4 내지 도 7의 도면부호와 동일하면,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제2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f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8 to 11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4 to 7 which a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members are shown, so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It will be omitted, only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
도 8 내지 도 11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200)는,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20)가 외부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서버연결부(230)가 구비된 제2몸체부(210)가 원뿔형이면서, 양 측면에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211)가 형성되어 있다.8 to 11, the
그리고 'ㄷ'자 홈으로 이루어진 필터 가이드(150)가 형성된 제2안착부(212) 중앙 하단부에는 제2커피추출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커피추출공(213)은 전술한 제1커피추출공(113)에 비해 작은 홀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면서 3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피추출공(213)이 형성된 제2안착부(212)의 하단부는 일정 직선 형태의 직선변(2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이와 같은 제2안착부(212)의 형태에 따라 제2종이필터(400)도 제2안착부(212)와 유사하게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도 직선 형태의 재봉선(401)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2종이필터(400)의 경우에는 가장자리 일측과 하단부에 재봉선(401,402)이 각각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제2안착부(212)의 내벽에도 다수개의 제2수직돌기(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수직돌기(216)는 거의 직선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도 12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 및 제2종이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ual coffee dripper and a second paper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assembly view of FIG. 12.
그리고 도 14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And Figure 14 is an assembly view of the manual coffee dripp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제3,4실시예를 도시한 도 12 내지 도 14의 도면부호에서 이미 설명한 본 고안의 제1,2실시예의 도면부호와 동일하면,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제3,4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Similarly, i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2 to 14 showing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members will be described,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only characteristic configura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700,800)는, 종이필터(400)의 전체면이 가능한 안착부(730,830)의 내주면에 보다 더 밀착될 수 있도록 필터 가이드(710,810)가 안착부(730,830)의 내주면에 'ㄷ'자 홈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12 to 14, the
즉, 본 고안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700,800)의 경우에는 상기 필터 가이드(710,810)가 제1,2실시예와는 달리 안착부(730,830)의 내주면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돌기 형태가 아닌 안착부(730,830)의 내주면 살에 'ㄷ'자 홈으로 형성한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ffee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의 작용 설명은, 이미 설명한 2개의 실시예의 구성이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ffee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거운 물로 데운 드립퍼(100), 서버(30) 및 커피잔을 준비한다. 이어서, 제1종이필터(300)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재봉선(301)을 따라 접는다.First, as shown in FIG. 4, a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종이필터(300)의 재봉선(301)과 가장자리 변(302)을 드립퍼(100)의 제1안착부(111)에 형성된 필터 가이드(150)에 끼우고 분쇄한 분말 커피(500)를 제1종이필터(300) 내에 평평하게 담는다.As shown in FIG. 7, the
한편, 상기 제2종이필터(400)의 경우에는 밑 부분과 옆 부분에 구비된 재봉선(401,402)을 서로 엇갈리게 접고, 재봉선(401,402)과 외부 가장자리 변(403)을 필터 가이드(150)에 끼운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또한 분말 커피(500)가 충분히 적셔질 만큼 분말 커피(500) 위로 물을 붓고 뜸을 들여 1차로 커피를 추출한다.In addition, water is poured over the
이어서, 약 20~30초 후, 주전자(도 1의 10 참조)를 이용하여 제1종이필터(300)에 담긴 분말 커피(500) 안쪽에서부터 바깥으로 원을 그리며 여러 번에 나누어 물을 뿌려 커피를 2차로 추출한다.Subsequently, after about 20 to 30 seconds, using a kettle (see 10 in FIG. 1), sprinkle water several times while drawing a circle from the inside of the
다른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커피 추출은 3분 이내로 추출하고, 추출한 커피를 데워진 커피잔에 담는다.On the other hand, the coffee extraction as described above is extracted within three minutes, and the extracted coffee is placed in a warmed coffee cup.
이와 같이 상기 제1종이필터(300)가 필터 가이드(150)에 끼워진 상태로 분말 커피(500)가 담겨지기 때문에, 제1종이필터(300) 내에 분말 커피(500)를 적절하게 담을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주전자(10)를 적절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좋은(또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제1종이필터(300)가 지속적으로 원래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per control of the
그런데, 제1종이필터(300)가 필터 가이드(150)에 끼워져 제1안착부(111)에 안착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주전자(10)를 컨트롤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적절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또한 상기 제1,2드립퍼(100,200)에는 직선형 또는 나선형의 제1,2수직돌기(112,216)가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어 제1,2종이필터(300,400)가 제1,2안착부(111,212)의 내벽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제1,2종이필터(300,400)의 필터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며, 물의 흐름이 적절하게 아래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inear or spiral first and second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의 본 고안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커피 드립퍼(700,800)는, 상기 필터 가이드(710,810)를 안착부(730,830)의 내주면 살에 'ㄷ'자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필터 가이드(710,810)가 제1,2실시예와는 달리 안착부(730,830)의 내주면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종이필터(400)의 전체면이 가능한 안착부(730,830)의 내주면에 보다 더 밀착되게 된다.And the passive coffee dripper 700,800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s 12 to 14, by forming the filter guide (710,810)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730, 830) to the '' 'groove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lter guides 710 and 810 do not protrude abov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따라서, 상기 종이필터(400)가 필터 가이드(710,810)에 끼워질 때 종이필터(400)가 필터 가이드(710,810)에 걸리지 않게 되어 종이필터(400)를 필터 가이드(710,810)에 끼우기 쉽고, 종이필터(400)가 안착부(730,830)에서의 안착 자세가 안정적이어서 더욱 더 주전자(10)의 컨트롤이 안정적이 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본 고안과 같은 제1,2수직돌기(112,216)와 유사하게 형성된 드립퍼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20-0417071호, 2006.05.16)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고안에는 혹(또는 도트(dot)) 형태의 돌기(2)가 드립퍼 내벽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종이 필터를 드립퍼 내벽면에 밀착되지 않게 하는 효과는 있지만, 물의 흐름을 오히려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돌기(2)가 형성된 드립퍼는 맛있는 커피 추출이 용이하지 않다.Meanwhile, a dripper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100. 드립퍼
110. 제1몸체부
111. 제1안착부
113. 제1커피추출공
120. 손잡이
130. 서버연결부
150. 필터 가이드
300. 제1종이필터
500. 분말 커피100. Dripper
110. The first body part
111. First seat
113. First Coffee Extraction Ball
120. Handle
130. Server Connection
150. Filter Guide
300. First Paper Filter
500. Powdered Coffee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05658UJP3172243U (en) | 2010-09-29 | 2011-09-28 | Manual coffee dripp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060 | 2010-09-29 | ||
KR20100010060 | 2010-09-29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434Utrue KR20120002434U (en) | 2012-04-06 |
KR200466331Y1 KR200466331Y1 (en) | 2013-04-09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0717UKR200466331Y1 (en) | 2010-09-29 | 2011-01-25 | Hand coffee dripper |
Country | Link |
---|---|
JP (1) | JP3172243U (en) |
KR (1) | KR200466331Y1 (e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851B1 (en)* | 2015-03-20 | 2016-02-18 | 임한수 | disposable coffee dripper |
KR20160120847A (en)* | 2015-04-08 | 2016-10-19 | 주식회사지티빈스 | Dropping bottle drip coffee for coffee production |
KR20160125807A (en) | 2015-04-22 | 2016-11-01 | 김진균 | Drip coffee manufacturing equipment |
KR20220072361A (en)* | 2020-11-25 | 2022-06-02 | 조윤정 | Drip bag for extracting beverages |
KR102434839B1 (en) | 2021-03-05 | 2022-08-22 | 주식회사 베덱 | Dripper Having Variable Structure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48069A (en)* | 2012-05-31 | 2013-12-12 | Agc Techno Glass Co Ltd | Dripper |
KR101894843B1 (en)* | 2016-10-19 | 2018-09-06 | 이영민 | Hand dripper for coffee |
KR101935440B1 (en)* | 2018-03-08 | 2019-04-05 | 김영태 | Coffee dripping apparatus |
KR102097318B1 (en) | 2018-08-17 | 2020-04-06 | 울산과학기술원 | Disposable coffee dripper |
KR102519377B1 (en) | 2021-05-12 | 2023-04-10 | (주)예담 | Coffee dripper that does not need to be washed |
KR102750833B1 (en) | 2022-07-26 | 2025-01-06 | 오지영 | Coffee hand drip guide structure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67583A (en) | 1986-01-14 | 1987-05-26 | King-Seeley Thermos Company | Automatic drip coffee maker |
JP4943375B2 (en) | 2008-05-21 | 2012-05-30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Beverage extractor |
KR200459202Y1 (en)* | 2009-02-16 | 2012-03-22 | 송유진 | Coffee maker for manual-drip |
US9750370B2 (en) | 2009-05-29 | 2017-09-05 | Keurig Green Mountain, Inc. | Cartridge with filter guard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851B1 (en)* | 2015-03-20 | 2016-02-18 | 임한수 | disposable coffee dripper |
KR20160120847A (en)* | 2015-04-08 | 2016-10-19 | 주식회사지티빈스 | Dropping bottle drip coffee for coffee production |
KR20160125807A (en) | 2015-04-22 | 2016-11-01 | 김진균 | Drip coffee manufacturing equipment |
KR20220072361A (en)* | 2020-11-25 | 2022-06-02 | 조윤정 | Drip bag for extracting beverages |
KR102434839B1 (en) | 2021-03-05 | 2022-08-22 | 주식회사 베덱 | Dripper Having Variable Structure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6331Y1 (en) | 2013-04-09 |
JP3172243U (en) | 2011-12-08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6331Y1 (en) | Hand coffee dripper | |
KR101246888B1 (en) | Apparatus to spill water for coffee dripper | |
US4832845A (en) | Permanent coffee filter | |
KR200459398Y1 (en) | Disposable Tool Having Dripper for Original Coffee Beans | |
EP1906798B1 (en) | Portafilter system | |
US9526368B2 (en) | Single cup coffee and tea brewing system | |
US20170360251A1 (en) | Pour over beverage system | |
EP3530152A1 (en) | Pour-over kettle | |
KR200464674Y1 (en) | coffee drip device | |
US20150157163A1 (en) | Brewing device | |
KR101894843B1 (en) | Hand dripper for coffee | |
KR101681066B1 (en) | Drip coffee maker having mutiple dripper | |
KR20130004487U (en) |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 |
US20170273499A1 (en) | Coffee percolator | |
US11013359B2 (en) |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 |
KR200482067Y1 (en) | Multi type hand coffee drip | |
CN216569550U (en) | Brewing device | |
RU2607052C2 (en) |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 | |
KR102151540B1 (en) | Water Dispenser for Coffee Dripper | |
KR102434839B1 (en) | Dripper Having Variable Structure | |
CN208550888U (en) | A kind of ceramic teacup with tealeaves filtering function | |
JP2018064731A (en) | Tea-leaf dripper | |
CN201445372U (en) | Filter device of teapot | |
WO2006079344A1 (en) | Drip-proof pouring insert | |
TWM527286U (en) | Filtering maker for coffee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A01011R08D Patent event date:201101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UE09021S01D Patent event date:2012082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20130227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20130403 Patent event code:UR07011E01D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1 End annual number:3 Payment date:201304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404 Year of fee payment: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60404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