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10125758A -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758A
KR20110125758AKR1020100045295AKR20100045295AKR20110125758AKR 20110125758 AKR20110125758 AKR 20110125758AKR 1020100045295 AKR1020100045295 AKR 1020100045295AKR 20100045295 AKR20100045295 AKR 20100045295AKR 20110125758 AKR20110125758 AKR 2011012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contact
storage device
data storage
memory c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이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이네트웍스filedCritical주식회사 에스엠이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00045295ApriorityCriticalpatent/KR20110125758A/en
Publication of KR2011012575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10125758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장치는, 소정의 메모리 카드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RF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NFC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A data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card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mory card protocol; An NFC interface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F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data input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DATA STORING DEVIC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DATA STORING DEVIC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형태의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 특정 전자 기기의 슬롯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특정 전자 기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부여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torage device in the form of a memory card, wherein the data storage device provi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while being inserted into a slot of the specific electronic devic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일종으로, NFC 포럼에 의해 제안된 NFC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NFC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키면 인증 데이터는 물론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is a kind of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transmit data at low power in a short distance by using RFID technology using a frequency of 13.56 MHz band, proposed by the NFC Forum. Using the NFC protocol. With NFC communication technology, when two or more terminals are brought close together without the user's artificial manipulation, various contents data as well as authentication data can be exchanged.

한편,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USIM카드를 반드시 장착해야 인증이 되어 통화 및 NFC 기술을 통한 결재가 가능하며, USIM카드에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NFC통신이 가능해야 다른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는 반드시 USIM카드와 NFC 통신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equipped with a USIM card to be authenticated, and payment through NFC and NFC technology is possible. Since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USIM card and the NFC communication apparatus must exis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hent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대부분의 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USIM카드가 부착 불가능한 경우도 많고, 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서도 USIM카드는 부착가능하지만 NFC통신장치는 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사용자가 USIM카드의 인증 데이터를 통해 결재를 하고, USIM카드 내의 각종 콘텐츠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USIM카드 부착 가능하며 NFC통신장치가 내장된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구입 비용이 많이 지출되게 된다.However, most old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able to attach such USIM cards, and even in the late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USIM card can be attached but the NFC communication device is not built in many times. In order to make payment through authentication data and to transmit / receive various contents data in the USIM card with other terminals, it is possible to attach a USIM card and purchase a new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NFC communication device.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20)에 NFC 통신장치(21), 스마트 카드(22) 및 안테나(23)를 내장시킨 도 6과 같은 구성의 일체형 배터리팩(20)을 사용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mbodiment in which theNFC communication apparatus 21, thesmart card 22, and theantenna 23 are embedded in thebattery pack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 uses an integratedbattery pack 2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그러나, 이러한 도 6과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기존의 배터리팩 대신에 일체형 패터리백(20)을 구입하여 장착해야 하므로, 배터리팩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보급되기 어려운 면이 있고, 특히, 휴대폰 제조업체에서는 각 기종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일체형 배터리팩을 제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팩에 위치한 NFC 통신장치(21)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어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결국 상기 일체형 배터리팩(20)은 수동적인 RF 태그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다. 이는 도시한 종래기술로는 NFC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However,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6, since the integratedbattery bag 20 needs to be purchased and installed instead of the existing battery pack, it is difficult to spread because of the high price of the battery pack. There is a problem of manufactur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of various shapes used in each model.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etho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NFC communication apparatus 21 located in the battery pack, the integratedbattery pack 20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a passive RF tag. This means that the illustrated conventional technology cannot fully utilize the NFC native functions.

본 발명은, 특정 전자 기기의 슬롯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특정 전자기기에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부여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storage device that provi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NFC to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while being inserted into a slot of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는, 소정의 메모리 카드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RF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NFC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A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card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mory card protocol; An NFC interface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F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data input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여기서, 상기 NFC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수동 모드(Card Emulation mode), 능동 모드(Reader/Writer mode) 및 피투피(PtoP) 모드(Peer to Peer mode)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로 NFC 규약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Herein, the NFC interface selects one of a passive mode (Card Emulation mode), an active mode (Reader / Writer mode), and a peer-to-peer mode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in the selected mode, it is possible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NFC protocol.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통한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 접근될 수 있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ta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module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 NFC interface.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를 NFC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NFC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ata storage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into an NFC control signal and transferring it to the NFC interface.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어파일 저장부; 및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NFC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NFC 제어 신호 생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a control file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le input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an NFC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nalyzing the file stored in the control file storage to generate the NFC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The control file storage unit may be a partial region of the storage unit.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NFC 작업 수행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NFC 응답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ocol conver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NFC response unit for storing a response to performing an NFC operation in the control file storage unit.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과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ata storage device may have a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and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connecting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안테나와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RF 안테나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NFC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RF 스트립 안테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ata storage device has a form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and further comprises an RF antenna contact portion connecting the external RF antenna and the NFC interface, or has a form of a conductor strip, the external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may further comprise an RF strip antenna connected to the NFC interface.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소정의 접촉식 IC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촉식 인터페이스; 및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과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접촉식 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ta storage device may include a contact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act IC protocol; And a contact pad having six conductor strip shapes and conne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to the contact interface.

여기서,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암호키를 입력받아,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저장부에 기록할 수 있다.
The contact interface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n encryption key of the data storage device and recor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n encryption key in the security module or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는, 직사각형 판 유사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의 일변 부근에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식 패드;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된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는 RF 안테나 접촉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접촉식 패드 및 RF 안테나 접촉부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회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storage device includes a case having a rectangular plate-like shape;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having a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near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se and being in contact with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A contact pad having a shape of six conductor strip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capable of conta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An RF antenna contact having a form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RF antenna; And an internal circuit block mounted in the case and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memory card slot contact, the contact pad, and the RF antenna contact.

여기서, 데이터 저장 장치는, USIM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케이스가 끼어질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변환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ata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version case having an external shape of the USIM and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case may be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는, 직사각형 판 유사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의 일변 부근에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식 패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의 반대편 변에 위치하며, NFC 무선 통신을 위한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스트립 안테나;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접촉식 패드 및 RF 스트립 안테나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회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storage device includes a case having a rectangular plate-like shape;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having a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near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se and being in contact with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A contact pad having a shape of six conductor strip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capable of conta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An RF strip antenna positioned at an opposite side of the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of the case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for NFC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ternal circuit block mounted in the case and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memory card slot contact, the contact pad, and the RF strip antenna.

여기서, 데이터 저장 장치는, USIM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케이스가 끼어질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변환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ata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version case having an external shape of the USIM and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case may be inserted.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장치는, 특정 전자 기기의 메모리 카드 슬롯 등에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특정 전자기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The data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of easily provid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specific electronic device by inserting it into a memory card slot or the like of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프로토콜 변환부의 세부 구성 및 이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USIM 카드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 케이스에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라 모바일 폰에 NFC 기능을 부여하는 배터리팩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ata storage device that may be implemented as an SD card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otocol converter of FIG. 1 and a software hierarchy of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data storage device of FIG. 3 is coupled to a conversion case so as to be used as a USIM card.
5A and 5B are a plan view and a rear view of an external view of a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ttery pack for giving the NFC function to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ata storage device that may be implemented as an SD card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SD 카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서 SD 카드 인터페이스(210);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NFC 통신을 수행하는 NFC 인터페이스(220);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30); 및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를 통한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 접근할 수 있는 보안 모듈(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llustrateddata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nSD card interface 210 as a memory card interface for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in accordance with an SD card protocol;NFC interface 220 for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applied to the SD card interface; Astorage unit 230 storing data input through theSD card interface 210; And asecurity module 240 accessible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NFC interface 220.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는, SD(Secure Digital) 카드를 위한 표준 규격에 따른 통신 제어 신호인 SD 카드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전용 IC와 같은 단일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SD 카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저장부(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SD card interface 210 is configured to input /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an SD card protocol, which is a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tandard standard for a secure digital (SD) card, and is implemented as a single hardware such as a dedicated IC.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nd / or software modules. In the drawing, theSD card interface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recording or reading data in thestorage unit 230 according to the SD card protocol.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으로서 SD 카드 슬롯과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를 연결 시키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로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는, 일반적인 SD 카드 규격을 따르거나, 미니 SD 카드 규격을 따르거나, 마이크로 SD 카드 규격을 따를 수 있다.
Thedata storage device 100 has a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s the SD card slot to theSD card interface 210 as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12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SD cardslot contact unit 120 may follow a general SD card standard, a mini SD card standard, or a micro SD card standard.

상기 저장부(2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장시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비교적 대용량을 가지며 비휘발성 저장 메모리인 NAND, EEPR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대용량 이동식 저장 장치로서의 SD(Secure Digital) 카드의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저장 영역일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 뿐만 아니라,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에 의해서도 접근될 수 있다.Thestorage unit 230 is a component for storing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for a long time, and may be implemented as NAND, EEPROM, or the like having a relatively large capacity and a nonvolatile storage memory. Thestorage unit 230 is intended to provide an inherent function of a Secure Digital (SD) card as a mass portable storage device, and may be a storage area accessible by theSD card interface 210. In another implementation, thestorage unit 230 may be accessed by theNFC interface 220 as well as theSD card interface 210.

상기 보안 모듈(240)은, 보안을 위해 규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독립된 단일 칩(예: 스마트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Mega SIM 등에 사용되는 고성능 스마트 칩으로 구현된 보안 모듈의 경우, 그 내부에 상당한 크기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Thesecurity module 24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ingle chip (for example, a smart chip) that performs a prescribed encryption algorithm for security. In the case of a security module implemented with a high-performance smart chip used in a Mega SIM, etc., a large amount of nonvolatile memory may be provided therein.

상기 보안 모듈(240)은,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의 발급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ID 및/또는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을 위한 암호키가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단일 칩으로 구현된 상기 보안 모듈(240)은, 상기 단일 칩의 식별 번호를 상기 식별 ID로 사용할 수 있다.Thesecurity module 240 may store an identification ID for identifying the data storage device and / or an encryption key for the encryption algorithm when issuing thedata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ternatively, thesecurity module 240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may us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ingle chip as the identification ID.

상기 보안 모듈(240)은 NFC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로부터 보안 처리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security module 240 may perform the encryption algorithm in response to the NFC protocol. To this end, thesecurity module 240 may receive a command for security processing from theNFC interface 220.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는, NFC 통신을 위한 표준 규격에 따른 통신 제어 신호인 NFC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전용 IC와 같은 단일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NFC interface 220 is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NFC protocol, which is a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tandard standard for NFC communication, and implemented as a single hardware such as a dedicated IC, or hardware and / or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module.

현재, NFC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것이 소위 NFC 칩이라는 전용 IC이다. 회사에 따라 NFC 컨트롤러(Controller) 또는 NFC 라우터(Router)라고도 불리는 이 NFC 칩은 몇 군데 회사에서 개발해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NFC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NFC 칩을 구비할 수 있다.At the present time, the key to implementing NFC devices is a dedicated IC called an NFC chip. The NFC chip, sometimes called the NFC controller or NFC router, is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by several companies.NFC interface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the NFC chip.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가 NF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140)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RF 안테나(140)는 루프 안테나 형태나 RF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형태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 전자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RF 안테나와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RF 안테나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for theNFC interface 220 to perform NFC communication, theNFC interface 220 needs to be connected to anRF antenna 1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TheRF antenna 140 may be provided in thedata storage device 100 in the form of a loop antenna or an RF microstrip antenna, or may be provid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data storage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latter case, thedata storage device 100 may have a form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and may further include an RF antenna contact portion connecting the RF antenna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the NFC interface.

NFC에서는 통신하고자 하는 두 개의 디바이스가 동작공간(Operating Volume) 내에 진입하게 되면, 서로 통신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통신절차를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켜 준다.In NFC, when two devi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nter an operating volume, the inten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assumed, and a communication procedure is started. This concept maximizes user convenience.

NFC 디바이스는 보통 세 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하나는 디바이스가 단말기의 역할을 하는 능동 모드(Reader/Writer mode), 다른 하나는 디바이스와 디바이스가 호상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P2P 모드(Peer to Peer mode), 그리고 디바이스가 마치 비접촉식카드처럼 동작하는 수동 모드(Card Emulation mode)다.NFC devices usually operate in three modes. One is a reader / writer mode in which the device acts as a terminal, the other is a peer-to-peer mode in which the device exchanges data with each other, and a passive device in which the device behaves like a contactless card. Mode (Card Emulation mode).

능동 모드를 사용해 NFC 디바이스는 카드, 태그, 그리고 스마트 포스터 등을 읽을 수 있고, P2P 모드를 이용해 다른 NFC 디바이스와 전자명함, 디지털컨텐츠 등의 대량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동 모드를 사용해 NFC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기를 카드 단말기에 접촉해 지불행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Active mode allows NFC devices to read cards, tags, and smart posters, and P2P mode to send and receive large amounts of data such as business cards and digital content with other NFC devices. Finally, it is possible to make a payment by touching a card terminal with a NFC-enabled mobile phone using the manual mode.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수동 모드, 능동 모드 및 피투피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NFC interface 220 may select one of a passive mode, an active mode, and a P2P mode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elected mode.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의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로 인가되는 SD 프로토콜에 따른 명령에 응답하여, NFC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NFC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접속된 외부 기기(예: 모바일폰, PC)를 이용하여,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의 NFC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기기의 NFC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부여한다.TheNFC interface 220 of thedata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response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SD protocol applied to theSD card interface 210, performs NFC wireless communication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NFC standard. can do. Accordingly, the us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NFC interface 220 by using an external device (eg, a mobile phone or a PC) connected to the data storage device through theSD card interface 210. That is, the user may operate the external device to control the NFC function of thedata storage device 100. This gives the user the same feeling as performing the NFC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이를 위해, 도시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와 NFC 인터페이스(220) 사이에서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중계하는 프로토콜 변환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의 기능을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 또는 SD 카드 인터페이스(210)가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llustrateddata storag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protocol converter 260 for converting and relaying a control signal between theSD card interface 210 and theNFC interface 220. Alternatively, theNFC interface 220 or theSD card interface 210 may be implemented to have the function of theprotocol converter 260.

한편,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접촉식 IC를 위한 규격(예: ISO 7816)에 따른 접촉식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는,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통해 상기 보안 모듈(240)에 접근할 수 있거나, 및/또는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통해 상기 저장부(2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가,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위한 보안 및/또는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하드웨어(예: I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외부 기기의 접촉식 IC 슬롯과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연결시키는 접촉식 패드(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식 패드(160)는,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data storage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may further include acontact interface 270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contact protocol according to a standard (eg, ISO 7816) for a contact IC. have. Thecontact interface 270 may access thesecurity module 240 through thecontact interface 270, and / or access thestorage 230 through thecontact interface 270.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Alternatively, thedata storag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other hardware (eg, an IC) that performs security and / or storage functions for thecontact interface 270. In addition, thedata storag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contact pad 160 connecting the contact IC slot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contact interface 270. For example, thecontact pad 160 may have the form of six conductor strips.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는 접촉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의 접촉식 IC 카드 단말기와 인증 과정을 수행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안 모듈(240) 등에 전자화폐를 저장하고,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이용하여, 외부의 접촉식 IC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접촉하여, 상기 전자화폐로 대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Thecontact interface 27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or input / output necessary data with an external contact IC card terminal using a contact protocol. For example, the electronic money may be stored in thesecurity module 240, and the like may be contacted with an external contact IC card payment terminal using thecontact interface 270 to perform a payment with the electronic money.

그런데, 현재 접촉식 IC 카드를 위한 단말기의 보급 상황은 좋지 못하여,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는, 접촉식 IC 카드로 사용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 그러나, 보다 보안성이 높은 접촉식 IC 카드의 특성상,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는 발급기는, 접촉식 IC 카드에 대한 접촉식 프로토콜을 이용해 발급을 수행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 자체의 발급 과정에 사용될 때 보다 유용하다. 발급시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 자체의 식별 정보(예: 식별 ID) 및/또는 암호키를 입력받아, 상기 보안 모듈(240) 및/또는 저장부(230)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270)를 이용한 구체적인 발급 과정은 후술하겠다.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dissemination of a terminal for a contact IC card is not good, so thedata storage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unlikely to be used as a contact IC card.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ore secure contact IC card, the issuer for issuing a smart card is often issued using a contact protocol for the contact IC card. Therefore, thecontact interface 270 is more useful when used in the issuing process of thedata storage device 100 itself. Upon issuance, thecontact interface 27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dentification ID) and / or encryption key of thedata storage device 100 itself, and receives thesecurity module 240 and / or the storage 230. ) Can be recorded. A detailed issuance process using thecontact interface 27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의 세부 구성 및 이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1000)의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겠다.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protocol converter 260 and a software hierarchy of theexternal device 1000 corresponding thereto.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tocol conversion operation of theprotocol conversion unit 2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SD 프로토콜은 비교적 대용량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SD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어드레스 영역)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저장 공간은 내부 메모리 및/또는 도 1의 저장부(230)에 대한 어드레스 영역일 수 있다.The SD protocol is for recording data in a relatively large memory, and theSD card interface 210 has a storage space (address area) for storing data input according to the SD protocol. The storage space may be an address area for the internal memory and / or thestorage 230 of FIG. 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에 할당된 저장 공간 중 특정한 영역을,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에 대한 NFC 명령을 기록하는데 사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는, 상기 특정한 영역으로서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파일 저장부(262); 및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저장된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pecific area of the storage space allocated to theSD card interface 210 is used to record the NFC command for theNFC interface 220. To this end, theprotocol conversion unit 260 may include a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for stor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SD card interface 210 as the specific area; And an NFCcontrol signal generator 264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NFC interface 220 by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control file storage 262.

도시한 구현에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는, 저장부(230)의 일부 영역이지만,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그 기능에 따른 분류를 적용하여,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의 세부 구성요소로서 구분하여 표현하였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is a partial region of thestorage unit 230, but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applies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s function, and thu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protocol conversion unit 260 is provided. The elements are expressed separately.

한편,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내부의 메모리(예: 레지스터)이거나,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210) 및/또는 NFC 인터페이스(220)의 내부 메모리(예: 레지스터)일 수 있다.In another implementatio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may be a memory (eg, a register) in hardware constituting theprotocol conversion unit 260, or theSD card interface 210 and / or an NFC interface ( 220 may be an internal memory (eg, a register).

한편, 또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의 기능을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가 수행하고, 상기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260)는, NFC 작업 수행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저장하기 위한 NFC 응답부(26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implementation, theNFC interface 22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NFCcontrol signal generator 264, and the NFCcontrol signal generator 264 may be omitted. Theprotocol conversion unit 260 may further include anNFC response unit 266 for storing a response to performing an NFC operation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에 접속된 외부 기기(1000)(예: 모바일폰, PC)는,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NFC 기능을 명령하면, 이에 해당하는 NFC 명령을 포함하는 파일(NFC 명령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S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NFC 명령 파일을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기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기기(1000)에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예: 드라이버 등)가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1000 (for example, mobile phone or PC) connected to thedata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when a user commands the NFC function of the data storage device, includes a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NFC command ( NFC command file) and writes the generated NFC command file to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using the SD protocol. To this end, theexternal device 1000 may be provided with software (for example, a driver) to perform the function.

상기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를 검색하여, 상기 NFC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는,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기록된 파일을 열어서, 상기 외부 기기(1000)로부터의 명령 사항을 확인하고, 이를 NFC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제어 신호를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로 출력할 수 있다.The NFCcontrol signal generator 264 may periodically search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to check whether a file including the NFC control signal exists. The NFC controlsignal generation unit 264 opens a file record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confirms a command from theexternal device 1000, and converts the file into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NFC protocol.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theNFC interface 220.

상기 내용을, 상기 외부 기기(1000)로서 모바일 폰의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가 장착된 경우의 동작으로 구체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바일 폰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0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SD 슬롯에 연결된 일반적인 SD 카드에 접근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 SD 드라이버(1040)가 설치되어 있다.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an operation when the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micro SD card slot of the mobile phone as theexternal device 1000. The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napplication 1020 for controlling a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SD driver 1040 is installed as software for accessing a general SD card connected to the micro SD slot. .

상기 모바일 폰의 사용자가 다른 모바일 폰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NFC의 PtoP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PtoP 이미지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폰의 NFC 이미지 전송을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을 실행시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PtoP 모드로 동작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파일(NFC 명령 파일)을 생성하고, S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NFC 명령 파일을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 내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저장한다.A user of the mobile phone wants to transmit an image stored in another mobile phone using the PtoP function of NFC. That is, theapplication 1020 may perform a PtoP image transmission function. When a user executes theapplication 1020 for NFC image transmission of the mobile phone, theapplication 1020 generates a file (NFC command file) containing a command to operate in a PtoP mode, and uses an SD protocol. The generated NFC command file is stor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in thedata storage device 100.

다음,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 내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는,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상기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기록된 NFC 명령 파일을 독출하여 열어본다. 상기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는 상기 NFC 명령 파일에 기재된 PtoP 모드로 동작하라는 명령에 대한 NFC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 내 NFC 인터페이스(220)로 출력한다.Next, when the NFC controlsignal generation unit 264 in thedata storage device 100 confirms that the file is record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the NFC controlsignal generation unit 264 reads and opens the recorded NFC command file. . The NFCcontrol signal generator 264 generates an NFC control signal for a command to operate in the PtoP mode described in the NFC command file and outputs the NFC control signal to theNFC interface 220 in thedata storage device 100.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는, 도 1에 도시한 알에프 안테나(140)를 이용하여 PtoP 모드로 외부의 다른 모바일 폰과 NFC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명령에 대한 NFC 작업의 보고 내용을 작성하여, 상기 NFC 응답부(266)로 전달한다. 상기 NFC 응답부(266)는, 상기 보고 내용을 포함하는 파일(NFC 응답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파일을 상기 제어파일 저장(262)부에 기록한다.TheNFC interface 22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orms an NFC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other external mobile phone in a PtoP mode by using theRF antenna 140 illustrated in FIG. 1, and performs an NFC operation on the command. Create a report of the content, and delivers to the NFC response unit (266). TheNFC response unit 266 generates a file (NFC response file) including the report contents and records the generated file in thecontrol file storage 262.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 내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NFC 명령 파일을 저장한 후,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NFC 응답 파일이 저장되는가를 주기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NFC 응답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면, 이를 독출하여 내부에 기재된 보고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Theapplication 1020 periodically stores whether the NFC response file is stor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after storing the NFC command file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in thedata storage device 100. Can be checked If theapplication 1020, the NFC response file is stor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it may be read to obtain the report content described therein.

상술한 과정에 따라, 상기 다른 모바일 폰과 NFC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것에 대한 보고 내용을 획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사용자의 상기 모바일 폰 조작에 따라, 상기 다른 모바일 폰으로 전송할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전송할 이미지에 대한 정보 및 전송 명령을, 상술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NFC 명령 파일의 형태로 지시하고(즉, NFC 명령 파일을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저장), 이에 대한 응답(NFC 응답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application 1020 having obtained a report on the establishment of an NFC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other mobile phone selects an image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instructs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command about the selected image to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NFC command file in a similar manner to tha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NFC command file is stored in the control file storage unit 262), and a response thereto ( NFC response file).

여기서, 상기 전송할 이미지의 저장 위치에 따라, 상기 전송할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보내는 형태는 하기 3가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storage location of the image to be transmitted, the form of sending information on the image to be transmitted may be one of the following three types.

첫째로, 상기 전송할 이미지가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전송할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영역 정보(예: 이미지 저장 위치의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여기서, NFC 인터페이스(220)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은,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가 접근할 수 있는 도 1의 보안 모듈(240)의 내부 저장 영역이거나, NFC 인터페이스(220)가 도 1의 저장부(230)를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구조의 구현의 경우, 상기 저장부(230)의 일부 저장 영역일 수 있다.First, when the image to be transmitted is stored in an area directly accessible by theNFC interface 220, th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to be transmitted may be area information (eg, an address of an image storage location) in which the image is stored. have. Here, the area directly accessible by theNFC interface 220 may be an internal storage area of thesecurity module 240 of FIG. 1 that theNFC interface 220 may access, or theNFC interfac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area of FIG. 1. In an implementation of a structure in which thestorage unit 230 is directly accessible, thestorage unit 230 may be a partial storage area of thestorage unit 230.

둘째로, 상기 전송할 이미지가 상기 NFC 인터페이스(220)가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전송할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전송할 이미지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를 통해 상기 전송할 이미지 자체가 분할되어(또는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상기 전송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전송할 이미지 데이터의 전부 또는 분할된 일부를 상기 NFC 명령 파일 내에 삽입시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저장할 수 있다.
Second, when the image to be transmitted is stored in an area where theNFC interface 220 cannot directly access, th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to be transmitted may be all or part of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image to be transmitted itself may be divided (or at onc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That is, after obtaining the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theapplication 1020 may insert all or a portion of the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into the NFC command file and store it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상술한 설명들에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상기 NFC 명령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과, 상기 NFC 응답 파일이 기록되는 영역은, 구현에 따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의 저장 영역 확보를 위해,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262)에 기록되었던 파일(NFC 명령 파일 및/또는 NFC 응답 파일)은, 상기 NFC 제어 신호 생성부(264)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이 확인한 후에는 삭제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s, the area in which the NFC command file is stor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and the area in which the NFC response file is recorde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ccording to implement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a storage area of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a file (NFC command file and / or NFC response file) recorded in the controlfile storage unit 262 is the NFC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64. ) May be deleted after theapplication 1020 confirms.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다.3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a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데이터 저장 장치(100-1)는, 직사각형 판에 대한 유사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101); 상기 케이스(101)의 일면의 일변 부근에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ss1 ~ ss8)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로서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 상기 케이스(101)의 일면에 형성된 6개의 도전체 스트립(cs1 ~ cs 6)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식 패드; 상기 케이스(101)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된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as1, as2)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는 RF 안테나 접촉부; 및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 접촉식 패드 및 RF 안테나 접촉부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회로 블록(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data storage device 100-1 includes acase 101 having a similar shape to a rectangular plate; The micro SD cardslot contact portion 120 has a shape of conductor strips ss1 to ss8 arranged in a line near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case 101 and is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that may contact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 A contact pad having a shape of six conductor strips (cs1 to cs 6) formed on one surface of thecase 101 and capable of conta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An RF antenna contact having a form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as1, as2) form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case 101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RF antenna; And aninternal circuit block 200 mounted inside thecase 101 and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micro SDcard slot contact 120, a contact pad, and an RF antenna contact. Can be.

여기서, 상기 내부 회로 블록(200)은, 도 1에 도시한 내부 회로 블록(200)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internal circuit block 200 may include components of theinternal circuit block 200 shown in FIG. 1.

상기 케이스(101)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SD 카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현재 널리 통용되는 마이크로 SD 카드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된 장변 중 하나에 지그재그형 굴곡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도시한 케이스(101)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Thecase 101 may have a shape of a general micro SD card. Currently widely used micro SD cards have a form in which zigzag bends are formed on one of the long sides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refore, thecase 101 shown also has the same form.

상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도 일반적인 규격의 마이크로 SD 카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마이크로 SD 카드로서의 호환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The micro SD cardslot contact portion 120 also has the same shape as a micro SD card of a general standard, which is advantageous to ensure compatibility as a micro SD card.

도시한,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는,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ss1 ~ ss8) 형태를 가지며, 외부 기기의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과 상기 내부 회로 블록(200) 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물리적 구조이다.The illustrated micro SD cardslot contact portion 120 has a form of conductor strips ss1 to ss8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s a micro SD card slot of an external device with a memory card interface in theinternal circuit block 200. It is a physical structure.

도시한 RF 안테나 접촉부는,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as1, as2)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안테나와 상기 내부 회로 블록(200) 내 NFC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물리적 구조이다.The illustrated RF antenna contact has a form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as1 and as2, and is a physical structure that connects an external RF antenna to an NFC interface in theinternal circuit block 200.

도시한 접촉식 패드는, 6개의 도전체 스트립(cs1 ~ cs6)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과 상기 내부 회로 블록(200) 내 접촉식 IC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물리적 구조이다.
The illustrated contact pad has the form of six conductor strips cs1 to cs6, and is a physical structure that connects an external contact IC slot with a contact IC interface in theinternal circuit block 200.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는, 2개의 예비용 단자를 포함하여, 모두 8개의 단자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는 상당히 오래전에 제안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비해, 접촉식에 대한 불편함이 일반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은 것이다. 상기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가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 유일한 분야가, 모바일 폰의 USIM이다.The contact pad ofISO 7816 standard consists of eight terminals, including two spare terminals. However, although the contact pad of theISO 7816 standard has been proposed a long time ago, it is not easy to find a case where it is actually used. Compared to contactless smart cards, the inconvenience of contact is neglected by the average consumer. The only field in which the contact pad of theISO 7816 standard is relatively widely used is the USIM of a mobile phone.

먼저, 상기 USIM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겠다. 가입자식별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카드는 상기와 같이 정의한 스마트카드의 일 이용 형태인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어 단말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일종의 스마트 카드로서, 과금 및 보안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가입자식별모듈(SIM) 카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한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진영에서는 기능적으로는 동일한 스마트 카드를 제안하여, 상기한 SIM과 구별하기 위해서 UIM(user identify modu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USIM(user subscriber identifyFirst, the USIM will be briefly described.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card is a form of use of a smart card defined as above, and is a smart card for authentication of a terminal user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billing and security functions. Can provide. Here,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is started in Europe adopting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scheme, while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amp proposes a functionally identical smart card. The term UIM (user identify module)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SIM. In addition, USIM (user subscriber identify)

module)은 SIM과 UIM을 모두 수용하는 보다 확장된 개념의 용어로써, ITU의 IMT-2000 무선 접속규격이 동기식과 비동기식이 동시에 복수로 승인됨에 따라 이제는 서로 다른 무선접속표준을 이용하여 로밍을 구현하는 실제적인 방법이 되고 있는바, 사용자 인증을 위한 USIM에 대한 표준이 적극적으로 추진중에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SIM이 UIM을 통칭할 수 있는 용어인 USIM을 사용한다.module) is a more extended term that accepts both SIM and UIM. As ITU-2000's IMT-2000 radio access standard is approved i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anner, it is now possible to implement roaming using different radio access standards. As a practical method, the USIM standard for user authentication is actively being promoted. In this specification, SIM uses USIM, a term that can collectively refer to UIM.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1)는, 상기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를 위한 접촉식 카드 슬롯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의 사용 중인 6개의 접촉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6개의 도전체 스트립(cs1 ~ cs6) 형태의 접촉식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에서 사용하지 않고 예비용으로 사용하는 2개의 접촉부에 대해서도 2개의 도전체 스트립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제작 비용면에서 도면과 같이 생략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data storage device 100-1 of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six contacts in use of the contact pad of theISO 7816 standar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ct card slot for the contact pad of theISO 7816 standard. The contact pads in the form of six conductor strips cs1 to cs6 may be provided. Two conductor strips may also be formed on the two contact portions which are used as spares instead of the contact pads of theISO 7816 standard. However, it is advantageous to omit them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1)에 구비된 상기 접촉식 패드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사용되기 위한 용도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USIM 카드로 사용되기 위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SD 카드와 USIM 카드와는 외형상 크기부터 차이가 있으므로,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일종의 변환 케이스(adapter case)를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act pad provided in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purpose for use as a contact smart card, and may also have a purpose for use as a USIM card which is widely used at present. have. However, since the micro SD card and the USIM card differ in appearance, they can use a kind of adapter case without being used as it is.

도 4는 도 3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1)를 USIM 카드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 케이스(900)에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1)가 상기 변환 케이스(900)에 결합되면, USIM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환 케이스(900)는 USIM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의 케이스(101)가 끼어질 수 있는 홈을 구비한다.FIG. 4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of FIG. 3 is coupled to theconversion case 900 so that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may be used as a USIM card. As illustrated, when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conversion case 900, it has a form of a USIM. Here, theconversion case 900 has an external shape of the USIM, and has a groove in which thecase 101 of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may be inserted.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접촉식 패드를 구성하는 6개의 도전체 스트립들(cs1 ~ cs6)과, 일반적인 USIM(2000)에 부착된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2100)와 비교하면, 상기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패드(2100)의 예비용으로 보류된 2개의 접촉부들(cp7,cp8 )을 제외한 6개의 접촉부들(cp1 ~ cp6)의 위치가, 상기 6개의 도전체 스트립들(cs1 ~ cs6)의 위치에 대응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가 상기 변환 케이스(900)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 기기(예: 모바일 폰)의 USIM 슬롯에 끼워지면, 상기 6개의 도전체 스트립들(cs1 ~ cs6)로 이루어진 접촉식 패드를 이용하여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ompared to the six conductor strips cs1 to cs6 constituting the contact pad of the data storage device and the contact pad 2100 of theISO 7816 standard attached to the general USIM 2000, theISO 7816 standard The positions of the six contacts cp1 to cp6 except for the two reserved contacts cp7 and cp8 reserved for the contact pad 2100 of It can be seen that i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s a result, when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is inserted into the USIM slot of an external device (eg, a mobile phone) while being coupled to theconversion case 900, the six conductor strips cs1 to cs6. The contact pad made of) can be used to perform contact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ISO 7816 standard.

도 4에 도시한 형태의 상기 변환 케이스(900)에 결합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는, 모바일 폰의 USIM 슬롯에 끼워지기 보다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 자신의 발급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발급(issuing)'이란, 사전전 의미로서는 "증명서 따위를 발행하여 줌"이지만,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는 것은, 카드를 사용자에게 발행하고 카드의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카드의 특성상 스마트 카드의 정당한 사용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보안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전산 처리 과정에서 '발급'은, 상기 정당한 사용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보안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상기 '보안 절차'에는, 각 스마트 카드(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도 일종의 스마트 카드로 볼 수 있다)에 식별 정보(예: 식별 ID)를 부여하는 것 및/또는 각 각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인증에 필요한 보안키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device 100-1 coupled to theconversion case 900 of the type shown in FIG. 4 is not inserted into the USIM slot of the mobile phone, but rather is issued by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itself. Can be used in Here, "issuing" means "issuing a certificate" in the dictionary meaning, but "issuing" a smart card means issuing a card to a user and granting permission to use the card. Due to the nature of the smart card includes performing a security procedure for granting the right to use. More specifically, in the electronic / computer processing process, 'issuance' means performing a security procedure for granting the right use right. For example, the 'security procedure' may include each smart card (data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method may include assig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dentification ID) to a kind of smart card) and / or storing a security key required for authentication of each data storage device.

널리 보급된 종래 기술에 따른 USIM 카드의 발급기는, SD 카드 방식이나, NFC 방식보다는, ISO 7816 규격의 접촉식 카드 방식을 이용하여, 발급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도시한 같이 변환 케이스(900)에 결합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의 접촉식 패드(cs1 ~ cs6)를 이용하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USIM 카드의 발급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100-1)를 발급할 수 있다.The issuer of the USIM c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has been widely spread, performs an issuing task by using a contact card method of theISO 7816 standard, rather than an SD card method or an NFC method. When using the contact pads (cs1 ~ cs6) of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coupled to theconversion case 900 as shown, using the issuer of the USIM c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may be issued.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저장 장치(100-1)는, NFC 인터페이스가 없는 전자 기기(예: 모바일 폰)의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에 끼워지면, 상기 전자 기기에 NFC 기능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종래 기술에 따른 USIM 카드의 발급기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발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shown in FIGS. 3 and 4 is inserted into a micro SD card slot of an electronic device (eg, a mobile phone) without an NFC interface,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may support the NFC function. While effecti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ssued at a low cost by using the issuer of the USIM c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저장 장치(100-1)는, 모바일 폰의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에 끼워져서, 상기 모바일 폰에 NFC 기능을 부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폰은, NFC 기능을 위한 하드웨어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나, 도 2에 도시한 NFC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1020)이 인스톨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가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에 끼워졌을 때,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as1, as2)으로 이루어진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100-1)의 안테나 접촉부와 접촉되는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RF 루프 안테나가 구비되여야 한다.For example,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shown in FIGS. 3 and 4 may be used to provide an NFC function to the mobile phone by being inserted into a micro SD card slot of the mobile phone. In this case, the mobile phone does not need to implement hardware for the NFC function, but theapplication 1020 for the NFC function shown in FIG. 2 must be installed, and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is a micro SD card. When inserted into the slot, an RF loop antenna having a physical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antenna contact of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which is composed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as1 and as2, must be provided.

상기 어플리케이션(1020)은 상기 모바일 폰의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인스톨이 용이하고, 상기 루프 안테나는 배터리 팩의 형태 등 로 구현 비용이 저렴하므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1)를 이용하면, 모바일 폰에 NFC 기능을 부여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application 1020 is easy to install as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mobile phone, and the loop antenna has a low implementation cost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the data storage device 100-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mobile device. The cost of giving NFC functionality to the phone can be reduced.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는 RF 통신을 위한 루프 안테나가 구비된 모바일 폰을 요구하는데, 이는 기존의 NFC 기능이 없는 모바일 폰에 NFC 기능을 부여하는데 제한으로 작용한다.However, the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require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loop antenna for RF communication, which acts as a limitation in granting an NFC function to a mobile phone without a conventional NFC function.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100-2)는, 마이크로 SD 슬롯이 존재하고, 추가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할 수 있는 모든 모바일 폰에, NFC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device 10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may provide an NFC function to all mobile phones in which a micro SD slot exists and in which additional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도시한 데이터 저장 장치(100-2)는, 직사각형 판에 대한 유사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102); 상기 케이스(102)의 일면의 일변 부근에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ss1 ~ ss8)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로서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 상기 케이스(102)의 일면에 형성된 6개의 도전체 스트립(cs1 ~ cs 6)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식 패드; 상기 케이스(102)의 상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의 반대편 변에 위치하며, NFC 무선 통신을 위한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일종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로서 RF 스트립 안테나(SA); 및 상기 케이스(102)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120), 접촉식 패드 및 RF 스트립 안테나(SA)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회로 블록(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data storage device 100-2 includes acase 102 having a similar shape to a rectangular plate; The micro SD cardslot contact portion 120 has a shape of conductor strips ss1 to ss8 arranged in a line near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case 102, and is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that may contact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 A contact pad having a shape of six conductor strips (cs1 to cs 6) formed on one surface of thecase 102 and capable of conta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An RF strip antenna (SA)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icro SD cardslot contact portion 120 of thecase 102 and serving as a kind of micro strip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for NFC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internal circuit block 200 mounted inside thecase 102 to store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micro SD cardslot contact unit 120, a contact pad, and an RF strip antenna SA. It may include.

도 5의 데이터 저장 장치(100-2)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 케이스(900)에 결합된 형태로, 외부 기기(예: 모바일 폰, USIM 카드 발급기)의 접촉식 IC 카드 슬롯(예: USIM 카드 슬롯)에 끼워져서 사용될 수 있다.The data storage device 100-2 of FIG. 5 is also coupled to theconversion case 900 as shown in FIG. 4, and is a contact type IC card slot (eg, mobile phone, USIM card issuer) of an external device. USIM card slot) can be used.

상기 RF 스트립 안테나(SA)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은, 상기 도 3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겠다.Components other than the RF strip antenna SA are similar to those of FIG. 3,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일반적인 마이크로 SD 카드는, 사용자가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의 반대편 변을 밀어 주는 방식으로, 외부 기기의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에 끼워진다. 그 결과, 상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의 반대편 변은, 외부 기기의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접촉부의 반대편 변에 상기 RF 스트립 안테나(SA)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RF 스트립 안테나(SA)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도모하였다.A general micro SD card is inserted into a micro SD card slot of an external device by a user pushing the opposite side of the micro SD card slot contact. As a result, the opposite side of the micro SD card slot contact portion is often exposed from the micro SD card slot of the external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RF strip antenna SA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icro SD card slot contact, thereby improv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F strip antenna SA.

한편, 상기 RF 스트립 안테나(SA)는 NFC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예: 13.56MHz)에서 송수신 감도가 높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RF strip antenna SA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having hi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in a frequency band (for example, 13.56 MHz) for NFC communication.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데이터 저장 장치 120 : SD 카드 슬롯 접촉부
140 : RF 안테나 160 : 접촉식 패드
200 : 내부 회로 블록 210 : SD 카드 인터페이스
220 : NFC 인터페이스 230 : 저장부
240 : 보안 모듈 260 : 프로토콜 변환부
100: data storage device 120: SD card slot contact
140: RF antenna 160: contact pad
200: internal circuit block 210: SD card interface
220: NFC interface 230: storage unit
240: security module 260: protocol conversion unit

Claims (15)

Translated fromKorean
소정의 메모리 카드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RF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NFC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A memory card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mory card protocol;
An NFC interface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F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input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수동 모드, 능동 모드 및 피투피(PtoP)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로 NFC 규약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FC interface,
And selecting one of a passive mode, an active mode, and a PtoP mode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NFC protocol in the selected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통한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 접근될 수 있는 보안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ecurity module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 NFC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로 인가되는 신호를 NFC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NFC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card interface to the NFC control signal to transfer to the NFC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어파일 저장부; 및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NFC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NFC 제어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A control file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le input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And
NFC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NFC control signal by analyzing the file stored in the control file storage unit
Dat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부 영역인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file storage unit,
The data storage device is a partial area of the storage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NFC 작업 수행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어파일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NFC 응답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NFC response unit for storing a response to the NFC operation to the control file storage unit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과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emory card slot contacts that have the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with the memory card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안테나와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RF 안테나 접촉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RF antenna contacts having a pair of conductor strips and connecting an external RF antenna to the NFC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NFC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RF 스트립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RF strip antenna having a conductor strip shap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xternal RF signal, and connected to the NFC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접촉식 IC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촉식 인터페이스; 및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과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키는 접촉식 패드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contact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act IC protocol; And
Contact pads in the form of six conductor strips that connect an external contact IC slot to the contact interface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암호키를 입력받아,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act interface,
And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n encryption key of the data storage device and wri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encryption key to the security module or the storage unit.
직사각형 판 유사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의 일변 부근에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식 패드;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된 한쌍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RF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는 RF 안테나 접촉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접촉식 패드 및 RF 안테나 접촉부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회로 블록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Rectangular plate-like shaped case;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having a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near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se and being in contact with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A contact pad having a shape of six conductor strip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capable of conta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An RF antenna contact having a form of a pair of conductor strips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RF antenna; And
An internal circuit block mounted inside the case and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memory card slot contact, the contact pad, and the RF antenna contact;
Dat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직사각형 판 유사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의 일변 부근에 일렬로 정렬된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6개의 도전체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접촉식 IC 슬롯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식 패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의 반대편 변에 위치하며, NFC 무선 통신을 위한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스트립 안테나;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 접촉부, 접촉식 패드 및 RF 스트립 안테나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회로 블록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Rectangular plate-like shaped case;
A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having a form of conductor strips arranged in a line near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se and being in contact with an external memory card slot;
A contact pad having a shape of six conductor strip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capable of contacting an external contact IC slot;
An RF strip antenna positioned at an opposite side of the memory card slot contact portion of the case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for NFC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ternal circuit block mounted inside the case and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memory card slot contact, a contact pad, and an RF strip antenna
Dat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USIM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케이스가 끼어질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변환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Conversion case having a contour of the USIM and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case can be fitted
Data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KR1020100045295A2010-05-142010-05-14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CeasedKR201101257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45295AKR20110125758A (en)2010-05-142010-05-14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45295AKR20110125758A (en)2010-05-142010-05-14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10125758Atrue KR20110125758A (en)2011-11-22

Family

ID=4539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00045295ACeasedKR20110125758A (en)2010-05-142010-05-14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1012575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60139511A (en)2015-05-282016-12-07권순원Smart phone memory cover
KR102072676B1 (en)*2018-10-082020-02-03이현우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CN111682883A (en)*2020-06-052020-09-18桂林微网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Standalone Security Cards and Terminal Devices for Using Standalone Security Cards
US11452206B2 (en)2020-01-072022-09-20Samsung Electronics Co., Ltd.Card-type solid state dri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60139511A (en)2015-05-282016-12-07권순원Smart phone memory cover
KR102072676B1 (en)*2018-10-082020-02-03이현우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US11452206B2 (en)2020-01-072022-09-20Samsung Electronics Co., Ltd.Card-type solid state drive
CN111682883A (en)*2020-06-052020-09-18桂林微网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Standalone Security Cards and Terminal Devices for Using Standalone Security Car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0949726B2 (en)Mobile phone with NFC apparatus that does not rely on power derived from an interrogating RF field
KR100681929B1 (en) Externa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FC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18012B1 (en) Battery pack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FC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JP2008210301A (en)Storage medium,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US20150296330A1 (en)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US20100181377A1 (en)Card rea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JP2006134291A (en) SD memory card for function expansion
WO2010041245A1 (en)Contactless nfc enabled peripherals for multi-interface mobile memory card
KR101282474B1 (en)Payment system for supporting contactless payment with NFC card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20110125758A (en) Data storage device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10020513A (en)Sim card, portable terminal, and reader/writer device
CN102740272A (en)Method for realizing interaction of mobile phone application with SIM card through custom interface
KR20070027156A (en) USB memory with smart card and USB smart card reading chip
KR100926369B1 (en) How to use a smart card
HK1200963A1 (en)An intelligent terminal into which financial ic cards are embeddable
CN103617409A (en)Novel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0779465B1 (en) Terminal with control of integrated RF card and internet access
US20250139398A1 (en)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via nfc for mobile applications including mobile payments and ticketing
KR200392060Y1 (en)Portable General Purpose Dummy Terminal for RF Reader and Writer
KR20060027589A (en) CombiSmart card system that can change data on magnetic stripe and complex membership car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122167A (en) Portable Universal RF Read / Write Dummy Terminal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00514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00813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00514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1102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2022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11021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