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10089014A -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014A
KR20110089014AKR1020100008800AKR20100008800AKR20110089014AKR 20110089014 AKR20110089014 AKR 20110089014AKR 1020100008800 AKR1020100008800 AKR 1020100008800AKR 20100008800 AKR20100008800 AKR 20100008800AKR 20110089014 AKR20110089014 AKR 20110089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eading
history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록
양경혜
윤수연
조선행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800ApriorityCriticalpatent/KR20110089014A/ko
Priority to US12/887,080prioritypatent/US20110191710A1/en
Priority to EP11150874Aprioritypatent/EP2354960A3/en
Publication of KR20110089014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10089014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책 단말기는, 재생된 전자책의 재생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재생 내역을 기초로 독서 내역을 생성하며, 생성된 독서 내역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독서 내역을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E-boo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o reading detail}
본 발명은 전자책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책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전자책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자신의 독서 내역을 남기기 위해, 사용자는 독서 내역을 직접 작성하고 작성한 독서 내역을 별도로 기록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독서 내역을 기억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근자에 이르러 전자책이 점점 더 많아지고 활용 빈도 또한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독서 내역을 직접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은, 큰 부담과 불편함으로 작용하게 된다.
비록, 기존의 일부 어플리케이션들, 예를 들면, 음악 플레이어나 이미지 뷰어 등의 컨텐츠 재생기들이, 최근에 재생한 컨텐츠 목록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제공하여 주고 있기는 하지만, 목록에 나열되는 컨텐츠들의 개수가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목록에는 컨텐츠의 명칭만이 나타나기 때문에 컨텐츠 이용과 관련한 어떠한 세부적인 정보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독서 내역을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된 전자책의 재생 내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재생 내역을 기초로 독서 내역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는, 전자책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책을 재생하는 재생부; GUI를 생성하고, 생성된 GUI를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된 전자책에 부가하는 GUI 생성부; 상기 GUI 생성부에서 GUI가 부가된 전자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된 전자책의 재생 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재생 내역을 기초로 독서 내역을 생성하며, 생성된 독서 내역이 GUI로 생성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책 재생 내역은, 재생된 페이지에 대한 정보 및 재생일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책 재생 내역은, 전자책 마다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서 내역은, 캘린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독서 내역에는, 상기 전자책 재생 내역 및 상기 전자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독서 속도 및 독서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서 내역에는, 상기 전자책에 대한 감상 후기 및 상기 전자책에 대한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전자책 단말기는, 상기 독서 내역을 외부 네트워크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은, 전자책을 재생하는 단계; 재생된 전자책의 재생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재생 내역을 기초로 독서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독서 내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책 재생 내역은, 재생된 페이지에 대한 정보 및 재생일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책 재생 내역은, 전자책 마다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서 내역은, 캘린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독서 내역에는, 상기 전자책 재생 내역 및 상기 전자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독서 속도 및 독서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서 내역에는, 상기 전자책에 대한 감상 후기 및 상기 전자책에 대한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독서 내역을 외부 네트워크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된 전자책의 재생 내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재생 내역을 기초로 독서 내역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독서 내역을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독서 내역을 참고하여, 사용자가 읽은 전자책과 아직 읽지 않은 전자책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독서 내역은 자동으로 생성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작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외관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북마크 설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전자책의 내용 중 일부를 추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현재 표시된 전자책의 일부를 뜯어내어 따로 보관하는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책꽂이 형태의 전자책 리스트와 책상 형태의 재생 전자책 목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전자책 추천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전자책의 특정 페이지에 사진을 끼워 넣고 보관하는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전자책의 형태에 따른 EPD 표시 화면의 구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EPD 배열 형태의 변형과 관련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전자책의 일부에 하이라이트를 나타내는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은 번역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2는 공유 노트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3은 이미지 삽입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4는 메모 삽입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5는 전자책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오답 노트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6은 전자책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스케줄러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7은 독서 내역에 대한 정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전자책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학업 시간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9는 멀티태스킹 히스토리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0은 전자책의 특정 문구에 주석을 붙이는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이미지 뷰어 확장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2는 EPD의 상부에 포커스 이동을 명령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아이콘들을 예시한 도면,
도 23은 전자책 단말기가 파워-오프된 경우에 EPD를 통해 제공되는 대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4는 서랍장이 EPD에 나타난 전자책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비대칭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
도 26 및 도 27은, 다양한 연결 부재를 이용한 전자책 단말기의 이용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블럭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의 외관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외관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2개의 EPD(Electronic Paper Display)(150-1, 150-2)를 구비하고 있다.
EPD(150-1, 150-2)에는 전자책의 연속하는 페이지가 각각 표시된다. 즉, EPD-1(150-1)에는 n 번째 페이지가 표시되고, EPD-2(150-2)에는 n+1 번째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전자책 제공은, 실제 책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EPD(150-1, 150-2)의 하부에는 터치 패널(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은 EPD(150-1, 150-2)의 표면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책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에는 북마크 설정에 이용되는 북마크용 끈(185)이 구비된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사용자에 의해 북마크용 끈(185)이 당겨지면,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EPD(150-1, 150-2)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북마크를 설정한다.
실제 책의 경우 북마크용 끈을 이용한 북마크 설정은 하나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북마크의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뿐만 아니라,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를 통해 설정되는 북마크들은 다수의 전자책들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즉, 전자책-A의 101-102페이지, 전자책-B의 151-152페이지 및 전자책-C의 201-202페이지에 북마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2(150-2)의 우측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북마크들이 나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북마크들에는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들이 나타나는 것을 구현하였으나, 이는 변형가능하다. 예를 들어, 북마크들에 북마크 설정된 페이지가 나타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자책 단말기의 EPD(150-1, 150-2)에 표시된 전자책의 내용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을 통해 전자책의 내용 중 일부를 문지르면(도 3a에서 EPD-2(150-2)의 빗금친 부분은 사용자가 문지른 부분을 의미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문질러진 전자책의 일부만이 추출되어 나타난다.
추출된 전자책의 일부는 후술할 서랍장에 보관될 수 있다. 즉, 전자책 단말기는 추출된 전자책의 일부를 저장한다. 이때, 전자책 단말기는 문질러진 전자책의 일부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전자책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전자책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책 외에 메모장, 일기장 등도 전자책 단말기를 통해 재생가능하다. 전자책과 달리 메모장, 일기장에는 비밀로 유지해야할 부분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는 현재 표시된 전자책의 일부를 뜯어내어 따로 보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통해 뜯어내고자 하는 전자책의 일부를 설정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뜯어낸 부분은 전자책에서 없어지고 서랍장에 보관된다. 도 4a에서 EPD-2(150-2)에 표시된 자물쇠 표시는 뜯겨진 부분이 서랍장에 비밀 보관되어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메모장, 일기장 이외의 전자책의 경우도, 일부를 뜯어 내어 서랍장에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책은 뜯어낸 부분의 반대 면에 인쇄된 부분도 함께 뜯겨지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의 경우는, 반대 면에 인쇄된 부분도 함께 뜯겨지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뜯겨져 서랍장에 보관되고 있는 전자책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복원가능하다. 도 4b에서 EPD-2(150-2)에 나타난 셀로판 테이프들은 서랍장에 비밀 보관되어 있었던 뜯겨진 부분이 복원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EPD-1(150-1)에는 책꽂이가 표시되어 있는데, 책꽂이에 꽂혀 있는 전자책들은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들의 리스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EPD-2(150-2)에는 전자책들이 책상 위에 올려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책상 위에 올려진 전자책들은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에서 현재 재생중인 전자책들을 의미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책꽂이에 꽂혀진 전자책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전자책은 책꽂이에서 사라지는 대신, 책상 위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책상 위에 올려진 전자책들 중 사용자에 의해 재생 종료된 전자책은 책상에서 사라지고 책꽂이에 꽂혀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책상 위에 올려진 전자책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전자책은, EPD(150-1, 150-2)에 풀 스크린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는 사용자가 읽을 전자책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추천하는 전자책은, 랜덤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취향과 전자책의 장르를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서점이나 온라인 업체 등에서 베스트셀러 등을 추천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EPD-1(150-1)에 표시된 책꽂이에 꽂혀진 전자책들 중 추천된 전자책에 대한 세부정보가 EPD-2(150-2)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만약, 사용자가 추천받은 전자책에 대한 재생을 명령하면, 전자책이 재생되어 EPD(150-1, 150-2)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단말기는 전자책의 특정 페이지에 사진을 끼워 넣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끼워 넣을 사진과 사진이 끼워 넣어질 전자책의 페이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이를 위해, 전자책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책의 특정 페이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링크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책의 특정 페이지가 추후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그 특정 페이지에 링크되어 있는 사진을 전자책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게 되며, 그 결과를 도 7a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진이 터치되면, 전자책 단말기는 이미지 뷰어를 실행시킨다. 그 결과, 특정 페이지에 끼워 넣어진 사진들이 EPD(150-1, 150-2)을 통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이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전자책의 형태에 따라, EPD(150-1, 150-2)에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한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작성된 전자책의 경우 가로 보기에 적합하도록 전자책을 EPD(150-1, 150-2)에 배열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작성된 전자책의 경우 세로 보기에 적합하도록 전자책을 EPD(150-1, 150-2)에 배열한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화면 구성 변경은, 전자책의 형태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중앙에 마련된 연결부재를 기구적으로 조작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50-1, 150-2)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도 있음은 물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50-1, 150-2)가 서로 반대되는 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책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책의 일부에 하이라이트를 나타내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이라이트 되기 원하는 영역을 설정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단말기는 설정된 영역에 나타난 텍스트들을 볼딕체로 변형하여 이 영역을 하이라이트 한다.
또한,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번역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EPD-1(150-1)을 통해 원문을 제공하고, EPD-2(150-2)를 통해 번역문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EPD(150-1, 150-2)가 2개이며, 이 EPD(150-1, 150-2)의 하부에는 터치 패널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EPD(150-1, 150-2) 표면 상에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 입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150-1)을 통해 노트 기능을 제공하고, EPD-2(150-2)를 통해 공유 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유 노트 기능은, 1) 사용자가 기입한 내용을 주변의 다른 전자책 단말기로 전송하고, 2) 다른 전자책 단말기의 공유 노트를 통해 입력된 내용을 수신받아 공유 노트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공유 노트 기능에 의해, 다른 사용자와 의사, 질문, 답변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전자책 단말기는 EPD(150-1, 150-2)를 통해 제공되는 노트에 이미지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150-1)를 통해 제공되는 노트에 EPD-2(150-2)에 나타난 클립 보드에서 선택된 이미지 삽입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자책 단말기는 현재 표시된 노트에 선택된 이미지를 링크시킨다.
또한, 전자책 단말기는 메모 삽입 기능을 제공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50-1, 150-2)를 통해 제공되는 노트에 메모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자책 단말기는 현재 표시된 노트에 메모를 링크시킨다. 한편, 메모 삽입은 노트에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 전자책에도 메모 삽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삽입 형태 외에, 전자책이나 노트에 사용자가 수기한 메모가 직접 오버랩 되어 나타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전자책과 노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학습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1(150-1)에는 문제지가 제공되고, EPD-2(150-2)에는 노트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EPD-2(150-2)에 제공되는 노트는 오답 노트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150-1)에 제공된 문제지에 나타난 문제들 중 틀린 문제를 EPD-2(150-2)에 제공된 오답 노트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책 단말기는 일정 관리를 위한 스케줄러를 제공한다. 도 16에는 전자책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러를 예시하였다. 예시된 스케줄러는, EPD-1(150-1)을 통해 캘린더를 제공하고, EPD-2(150-2)를 통해 해야할 일 리스트를 제공하는 형태의 스케줄러이다.
한편, 전자책 단말기는 독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7에는 독서 내역 화면을 캘린더 형태로 생성하여 표시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독서 내역이란, 사용자가 과거에 어느 전자책을 언제 읽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도 17에 도시된 독서 내역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어느 날짜에 어느 전자책을 읽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독서 내역을 통해, 사용자의 독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독서 속도, 사용자가 읽은 전자책들의 장르별 분포도나 작가별 분포도 등을 통계치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독서 내역을 산출할 기간과 독서 내역에 나타날 내용은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 단말기는 학업 시간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에는 전자책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학업 시간표를 예시하였다.
도 18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EPD-1(150-1)에는 학업 시간표가 표시되어 있고, EPD-2(150-2)에는 학업 시간표에서 선택된 과목인 "영어" 교재들이 나열되어 있다. 만약, EPD-2(150-2)에 나열된 교재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교재의 내용이 EPD-1(150-1)에 나타난다.
멀티태스킹 히스토리는 현재 표시된 전자책의 페이지에 대해 이전에 수행되었던 작업 결과들의 나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EPD-1(150-1)에 현재 표시된 전자책의 페이지에 대한 멀티태스킹 히스토리가 EPD-2(150-2)에 표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멀티태스킹 히스토리에는 작업 결과들로 "cat", "trip" 및 "memory"에 대한 사전 검색 결과와, "여행091110"이라는 이름의 메모 작성 결과가 나타나 있다.
전자책 단말기는 전자책의 특정 문구에 주석을 붙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0에는, EPD-1(150-1)에 나타난 전자책에서 하이라이트 된 일부 문구에 대한 주석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주석 메모장이 EPD-2(150-2)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150-1)에 이미지가 표시되고 EPD-2(150-2)에 전자책이 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EPD-1(150-1)에 이미지와 함께 나타난 "▶" 아이콘을 선택하면, 이미지 뷰어가 EPD-2(150-2)에까지 확장되며, 그 결과는 도 21b에 도시되어 있다.
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D-1(150-1)와 EPD-2(150-2) 모두에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EPD-2(150-2)에 이미지와 함께 나타난 "◀" 아이콘을 선택하면, EPD-2(150-2)에서는 이미지 뷰어가 사라지고 전자책이 나타나게 된다. 즉, 도 21a로 회귀하게 된다.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에는 2개의 EPD(150-1, 150-2)가 마련되지만, 포커스는 하나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포커스를 하나로 구현하면 2개의 EPD(150-1, 150-2) 중 하나에만 포커스가 나타나야 하므로, 포커스가 나타날 EPD(150-1, 150-2)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도 22에는 EPD(150-1, 150-2)의 상부에 포커스 이동을 명령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아이콘들이 나타난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EPD-1(150-1)의 상부에 나타난 아이콘이 선택되면 포커스는 EPD-1(150-1)로 이동하고, EPD-2(150-2)의 상부에 나타난 아이콘이 선택되면 포커스는 EPD-2(150-2)로 이동하게 된다.
도 23에는, 전자책 단말기가 파워-오프된 경우에 EPD(150-1, 150-2)을 통해 제공되는 대기 화면을 예시하였다. 도 23에 도시된 대기화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내용은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24에는 전술한 서랍장이 EPD-1(150-1)에 나타난 전자책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도 2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랍장은 "Heart" 서랍, "It's me" 서랍, "Friends" 서랍, "!!!" 서랍, "Music" 서랍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EPD-2(150-2)의 하부에는 EPD-1(150-1)에 표시된 서랍장 중 선택된 서랍인 "It's me" 서랍에 보관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나열되어 있다. 또한, EPD-2(150-2)의 상부에는 하부에 나열된 컨텐츠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25에는 2개의 EPD(150-1, 150-2)가 비대칭인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에 마련되는 2개의 EPD(150-1, 150-2)는 동일한 형태일 필요는 없고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EPD(150-1, 150-2)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으로 구현하는 경우, EPD-2(150-2)가 EPD-1(150-1)의 하부에 마련된 자판에 포개질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EPD(150-1, 150-2) 사이에 마련된 연결 부재를 뒤쪽으로도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현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EPD(150-1, 150-2)를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각각 하나씩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듀얼 스크린 전자책 단말기의 EPD(150-1, 150-2)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지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부재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은 전자책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단말기는 저장부(110), 재생부(120), GUI 생성부(130), EPD 구동부(140), EPD(150-1, 150-2), 터치 패널(155-1, 155-2), 통신부(160), 제어부(170) 및 사용자 조작부(180)를 구비한다.
저장부(110)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를 포함한다.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컨텐츠에는 전자책은 물론, 정지영상 및 동영상도 포함된다.
재생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만약, 컨텐츠가 압축된 포맷으로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다면, 재생부(120)는 압축된 컨텐츠를 압축해제한다.
GUI 생성부(130)는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재생부(1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부가한다. GUI 생성부(130)의 GUI 생성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른다.
EPD 구동부(140)는 GUI 생성부(130)로부터 인가되는 GUI가 부가된 컨텐츠를 EPD(150-1, 150-2)에 구분하여 표시한다.
터치 패널(155-1, 15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EPD(150-1, 150-2)의 하부에는 마련되어 있으며, EPD(150-1, 150-2)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한다. 터치 패널(155-1, 155-2)은 감지된 사용자 조작 내용을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통신부(160)는 외부 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사용자 조작부(18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물리적인 수단이다. 전자책 단말기의 케이스에 마련되는 조작 버튼들이 사용자 조작부(180)에 해당한다.
제어부(170)는 터치 패널(155-1, 155-2)과 사용자 조작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전자책 재생 내역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자책 재생 내역을 이용하여 독서 내역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 과정에 대해 도 2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전자책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S210-Y),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재생 명령한 전자책이 재생되어 EPD(150-1, 150-2)에 표시되도록 재생부(120)와 EPD 구동부(140)를 제어한다(S220). 이에 따라, 전자책이 재생되어 사용자는 전자책을 읽을 수 있게 된다.
S220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제어부(170)는 전자책 재생 내역을 생성하고(S230), 생성한 전자책 재생 내역을 저장부(110)에 저장한다(S240).
전자책 재생 내역에는, 1) 재생된 페이지에 대한 정보 및 2) 재생일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전자책 재생 내역은 전자책 마다 생성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독서 내역 화면이 호출되면(S250-Y), 제어부(17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 재생 내역을 이용하여 독서 내역 화면을 생성한다(S260).
그리고, 제어부(170)는 생성한 독서 내역 화면이 EPD(150-1, 150-2)에 GUI로 표시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S270).
도 17에는 S260단계에서 생성되어 S270단계에서 표시되는 독서 내역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어느 날짜에 어느 전자책을 읽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캘린더 상에 나타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1월 1일, 2일에는 전자책-A를 읽었고, 1월 4일, 5일, 8일 내지 10일에는 전자책-B를 읽었고, ... , 2월 26일에는 전자책-E를 읽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독서 내역 화면은 캘린더 형태인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캘린더 형태 이외의 다른 형태의 독서 내역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독서 내역 화면에서는 하루에 하나의 전자책만을 읽은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하루에 2개 이상의 전자책을 읽은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독서 내역 화면에는 독서 일자(즉, 전자책 재생 일자) 만이 나타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독서 시각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독서 내역 화면에는 전자책 구매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자책 구매 정보에는, 전자책 구매액, 구매처, 할인율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독서 내역 화면에는 사용자의 독서 내역을 기초로 생성한 부가 정보들을 더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읽은 전자책(즉, 재생된 전자책)의 장르와 저자 등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독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독서 내역 화면에는, 사용자의 독서 속도를 전자책, 챕터 또는 일자 별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재생된 페이지에 대한 정보와 재생일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독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독서 내역 화면에는 전자책에 대한 감상 후기나 메모 등이 함께 제공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외부 기기, 블로그 메일 등으로 독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 생성된 독서 내역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독서 내역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에게 제공되어, 마켓팅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전자책이 재생되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전자책은 컨텐츠의 일종에 해당한다. 전자책 이외의 다른 컨텐츠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 실시예에서 전자책 단말기는 2개의 EPD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1개의 EPD와 1개의 LCD(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전자책 단말기나, 2개의 LCD(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전자책 단말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단말기에 디스플레이가 1개만 마련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전자책 단말기의 기능들 중 1개의 디스플레이만으로 실행 가능한 기능들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책 단말기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저장부120 : 재생부
130 : GUI 생성부140 : EPD 구동부
150-1, 150-2 : EPD155-1, 155-2 : 터치 패널
160 : 통신부170 : 제어부
180 : 사용자 조작부

Claims (16)

KR1020100008800A2010-01-292010-01-29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CeasedKR20110089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08800AKR20110089014A (ko)2010-01-292010-01-29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US12/887,080US20110191710A1 (en)2010-01-292010-09-21E-boo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o reading detail
EP11150874AEP2354960A3 (en)2010-01-292011-01-13E-boo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o reading det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08800AKR20110089014A (ko)2010-01-292010-01-29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10089014Atrue KR20110089014A (ko)2011-08-04

Family

ID=4392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00008800ACeasedKR20110089014A (ko)2010-01-292010-01-29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Link
US (1)US20110191710A1 (ko)
EP (1)EP2354960A3 (ko)
KR (1)KR201100890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256422B1 (ko)*2012-04-252013-04-19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선긋기 출력 방법
KR101325733B1 (ko)*2011-09-022013-11-08정재천전자책 뷰어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117064B1 (ko)*2019-05-172020-05-29심낙천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KR20230163322A (ko)*2021-08-172023-11-30시노텍코리아 주식회사스마트 펜에 기초한 독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275052B2 (en)2005-01-192016-03-01Amazon Technologies, Inc.Providing annotations of a digital work
US8725565B1 (en)2006-09-292014-05-13Amazon Technologies, Inc.Expedited acquisition of a digital item following a sample presentation of the item
US9672533B1 (en)2006-09-292017-06-06Amazon Technologies, Inc.Acquisition of an item based on a catalog presentation of items
US7865817B2 (en)2006-12-292011-01-04Amazon Technologies, Inc.Invariant referencing in digital works
US7716224B2 (en)2007-03-292010-05-11Amazon Technologies, Inc.Search and indexing on a user device
US9665529B1 (en)2007-03-292017-05-30Amazon Technologies, Inc.Relative progress and event indicators
US8234282B2 (en)2007-05-212012-07-31Amazon Technologies, Inc.Managing status of search index generation
US9087032B1 (en)2009-01-262015-07-21Amazon Technologies, Inc.Aggregation of highlights
US8832584B1 (en)2009-03-312014-09-09Amazon Technologies, Inc.Questions on highlighted passages
US8692763B1 (en)2009-09-282014-04-08John T. KimLast screen rendering for electronic book reader
USD660862S1 (en)*2010-01-272012-05-29Apple Inc.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8502856B2 (en)2010-04-072013-08-06Apple Inc.In conference display adjustments
US9495322B1 (en)2010-09-212016-11-15Amazon Technologies, Inc.Cover display
US9552015B2 (en)2011-01-242017-01-24Apple Inc.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KR20130011433A (ko)*2011-07-212013-01-30삼성전자주식회사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요약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158741B1 (en)2011-10-282015-10-13Amazon Technologies, Inc.Indicators for navigating digital works
EP2798605B1 (en)*2011-12-272017-08-30Intel CorporationMethod,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analyzing digital readable media consumption data
US9075568B1 (en)*2012-03-212015-07-07Amazon Technologies, Inc.Dynamic device skins
US9959016B2 (en)2012-09-072018-05-01Lg Electronics Inc.Method and digital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KR102056175B1 (ko)*2013-01-282020-01-23삼성전자 주식회사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단말장치
EP3022635B1 (en)*2013-07-182020-09-02LG Electronics Inc.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US10545657B2 (en)2013-09-032020-01-28Apple Inc.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2287962B2 (en)2013-09-032025-04-29Apple Inc.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108342B1 (en)2014-05-302019-10-23Apple Inc.Transition from use of one device to another
CN106662966B (zh)2014-09-022020-08-18苹果公司多维对象重排
US20160062571A1 (en)2014-09-022016-03-03Apple Inc.Reduced size user interface
JP6319080B2 (ja)*2014-12-252018-05-09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情報入力装置
KR20170053513A (ko)*2015-11-062017-05-16삼성전자주식회사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37986B2 (en)2016-06-102020-04-28Apple Inc.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DK201670595A1 (en)2016-06-112018-01-22Apple Inc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CN108255903B (zh)*2017-04-182021-03-23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保险题目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2242707B2 (en)2017-05-152025-03-04Apple Inc.Displaying and moving application views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CN107086027A (zh)*2017-06-232017-08-22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文字显示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907605B2 (en)2021-05-152024-02-20Apple Inc.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449188B1 (en)2021-05-152022-09-20Apple Inc.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2405631B2 (en)2022-06-052025-09-02Apple Inc.Displaying application view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663748A (en)*1995-12-141997-09-02Motorola, Inc.Electronic book having highlighting feature
WO1997022106A1 (en)*1995-12-141997-06-19Motorola Inc.Electronic book and method of creating a personal log of reading activity therefor
WO2001029694A2 (en)*1999-10-222001-04-26Nokia CorporationMethod of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newspaper text in an electronic book format
JP2001195412A (ja)*2000-01-122001-07-19Hitachi Ltd電子書籍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テンツ表示方法
US7103848B2 (en)*2001-09-132006-09-05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Handheld electronic book reader with annotation and usage tracking capabilities
AU2003228334A1 (en)*2002-03-192003-10-08E-Book Systems Pte LtdTracking electronic book reading pattern
US20080189608A1 (en)*2007-01-312008-08-07Nokia Corpor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reviewed portions of documents
US8046435B1 (en)*2007-03-292011-10-25Amazon Technologies, Inc.Content transfer management for reader device
JP5267062B2 (ja)*2007-11-162013-08-21ソニー株式会社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テンツ視聴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共有システム
US20100174656A1 (en)*2008-07-152010-07-08Justin Humphrey Nolan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Activities
US20110066965A1 (en)*2009-09-152011-03-17Sony CorporationElectronic book with enhanced featu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25733B1 (ko)*2011-09-022013-11-08정재천전자책 뷰어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256422B1 (ko)*2012-04-252013-04-19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선긋기 출력 방법
KR102117064B1 (ko)*2019-05-172020-05-29심낙천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KR20230163322A (ko)*2021-08-172023-11-30시노텍코리아 주식회사스마트 펜에 기초한 독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20110191710A1 (en)2011-08-04
EP2354960A2 (en)2011-08-10
EP2354960A3 (en)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10089014A (ko)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KR20110089012A (ko)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멀티태스킹 히스토리 제공방법
Tashman et al.LiquidText: a flexible, multitouch environment to support active reading
CN108881429B (zh)用于共享演示数据和注释的方法和设备
WolfeAnnotation technologies: A software and research review
KR101890376B1 (ko)전자책 확장 시스템 및 방법
Pearson et al.Designing for digital reading
KR20140048098A (ko)전자책에서 사용자 주석들을 다루는 시스템 및 방법
CN108629033A (zh)电子文本的操纵和显示
Pearson et al.The Digital Reading Desk: A lightweight approach to digital note-taking
US20100003660A1 (en)Common Format Learning Device
Lanir et al.MultiPresenter: A presentation system for (very) large display surfaces
TWI500004B (zh)錄音筆記電子書裝置及其控制方法
Koh et al.Historical insights for ebook design
Huber et al.iPad human interface guidelines for m-learning
Steimle et al.Coscribe: Using paper for collaborative annotations in lectures
KR20200000300A (ko)이북을 이용한 요약노트 작성 및 암기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80137369A (ko)이북 및 워드 문서의 요약노트 작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암기학습 시스템 및 방법
FinkelInvestigating the lived experience of writing and technology
KR20180137845A (ko)이북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요약노트 작성 및 암기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80029563A (ko)이북 및 워드 문서의 요약본 작성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Celentano et al.Design and Evaluation of a Mobile Art Guide on iPod Touch.
Lanir et al.An observational study of dual display usage in university classroom lectures
ChenThe use of multiple slate devices to support active reading activities
Koolen et al.Electronic environments for reading: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pertinent hardware and software (2011)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00129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50128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00129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5081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60229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50812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