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10061246A -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 - Google Patents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246A
KR20110061246AKR1020090117839AKR20090117839AKR20110061246AKR 20110061246 AKR20110061246 AKR 20110061246AKR 1020090117839 AKR1020090117839 AKR 1020090117839AKR 20090117839 AKR20090117839 AKR 20090117839AKR 20110061246 AKR20110061246 AKR 2011006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top box
signal
mapping table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복무
Original Assignee
이복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무filedCritical이복무
Priority to KR1020090117839ApriorityCriticalpatent/KR20110061246A/en
Publication of KR20110061246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10061246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TV와 셋탑박스를 원격 제어하는 통합리모컨 및 이를 구비한 셋탑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합리모컨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와, 상기 TV 또는 상기 셋탑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신호송출부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TV의 전원과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통합전원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117839

통합리모컨, 셋탑박스, 통합전원버튼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a TV and a set-top box and a set-top box having the same.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V or the set-top box.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p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is applied, the signal is referred to the mapping tab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so that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rein the button turns the power of the TV and the power of the set-top box together on or off. And an integrated power button capable of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igure P1020090117839

Integrated remote control, set top box, integrated power button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통합리모컨 및 이를 구비한 셋탑박스{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set-top box compring the sam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set-top box compring the same}

본 발명은 TV 및 셋탑박스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컨 및 이러한 통합리모컨을 구비한 셋탑박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 할 수 있는 통합리모컨 및 이러한 통합리모컨을 구비한 셋탑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capable of controlling a TV and a set-top box, and a set-top box having such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pecifically,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that can power on or of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It relates to a set-top box having a remote control.

셋탑박스(set-top box, STB)는 TV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적절히 이를 변환하여 그 내용을 TV화면에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셋탑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가 아닌 신호,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의 화면에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A set-top box (STB)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TV, receives signals from the outside, converts them appropriately, and displays the contents on a TV screen. The set-top box receives a signal that is not a radio wave for general TV broadcasting, for example, an IPTV, a cable TV or a satellite TV signal, and serves to display the signal on the screen of the TV.

이러한 셋탑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컨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을 조작함으로써 셋탑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한다.Such a set-top box generally includes a remote control as a set, and the user remotely controls the set-top box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셋탑박스의 리모컨은 셋탑박스만을 제어하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TV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여야 하므로, TV와 셋탑박스를 함께 원격제어 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일례로,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의 리모컨을 조작해야 하며, TV의 볼륨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TV의 리모컨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remote control of the set-top box may be manufactured to control only the set-top box. In this case, since a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TV must be provided separately, it is inconvenient to remotely control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of the set-top box, and inconvenient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to change the volume of the TV.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TV와 셋탑박스를 하나의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컨이 널리 사용된다.Because of this inconvenience, integrated remot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TV and the set-top box with a single remote control is widely used.

도1은 종래의 통합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통합리모컨(1)은 입력부(10) 및 신호송출부(20)를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integratedremote controller 1 includes aninput unit 10 and asignal transmitting unit 20. As shown in FIG.

상기 입력부(10)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셋탑박스 전원버튼(11), TV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TV 전원버튼(12), TV 볼륨변경버튼(13), TV 채널변경버튼(14),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15) 및 셋탑박스 채널변경버튼(16)을 포함하여,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Theinput unit 10 is a set-topbox power button 11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 box,TV power button 12 for turning on or off the TV, TVvolume change button 13, TVchannel change button 14, a set top boxvolume change button 15 and a set top boxchannel change button 16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상기 신호송출부(20)는 버튼이 눌러지면, 각 버튼에 대응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여, TV 또는 셋탑박스가 원격제어 되도록 한다. 원격제어신호는 일반적으로 적외선의 형태로 전송된다.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signal transmitting unit 2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so that the TV or the set-top box is remotely controlled. Remote control signals are generally transmitted in the form of infrared light.

통합리모컨(1)은 각 제품들의 코드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통합리모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제품에 맞는 코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특정 버튼을 제공하거나, 각 제품에 대한 제어신호를 모두 송신하는 방법 등으로 TV 및 셋탑박스를 제어한다.Integrated remote control (1) stores the code of each product, and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to provide a specific button for the user to select the code that fits the product, or to send all the control signals for each product Control the TV and the set-top box.

한편, 셋탑박스가 수신하는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신호 등을 TV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의 전원과 TV의 전원을 모두 켜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통 합리모컨(1)의 경우, 셋탑박스 전원버튼(11)과 TV 전원버튼(12)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셋탑박스 전원버튼(11)과 TV 전원버튼(12)을 각각 눌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마찬가지로, 셋탑박스와 TV의 전원을 모두 끄고자 할 때에도 셋탑박스 전원버튼(11)과 TV 전원버튼(12)을 각각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어느 한 기기의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을 망각한 경우에는 그 기기의 전력소모가 계속 일어나게 되므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watch the IPTV, cable TV or satellite TV signal received by the set-top box on TV, both the power of the set-top box and the TV must be turned 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1), Since thebutton 11 and theTV power button 12 are provided separately, it is inconvenient to press the set-topbox power button 11 and theTV power button 12, respectively. Likewise, when the power of both the set-top box and the TV is to be turned off, it is inconvenient to press the set-topbox power button 11 and theTV power button 12,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user forgets to press the power button of any one devi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continues to occur, there is a problem that energy is wasted.

또한, TV 채널변경버튼(14)과 셋탑박스 채널변경버튼(16)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TV 채널변경버튼(14)과 셋탑박스 채널변경버튼(16)을 혼동하여, 의도대로 TV 또는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올바른 버튼을 찾아 다시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Vchannel change button 14 and the set-top boxchannel change button 16 are separately provided, the user confuses the TVchannel change button 14 and the set-top boxchannel change button 16, thereby causing the TV or set-top to be intentional. Sometimes you can't change the channel of a box. In this case, the user is inconvenient to find the correct button and press again.

또한, TV 볼륨변경버튼(13)과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15)도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이들을 혼동하여 의도대로 볼륨을 변경하지 못하고, 재차 올바른 버튼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TVvolume change button 13 and the set-top boxvolume change button 15 are also provided separately, so that users may not confuse them and change the volume as intended, and the user needs to press the correct button again.

또한, TV와 셋탑박스 중 조작을 원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칭 버튼을 구비한 통합리모컨도 있는데, 이러한 통합리모컨의 경우, 스위칭 버튼이 사용자의 부지중에 눌러지기도 한다. 사용자의 부지중에 스위칭 버튼이 눌러진 이후에, 사용자가 그 통합리모컨을 사용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기기가 제어되며, 정작 제어를 원하는 기기가 제어되지 않아 사용자가 혼란을 겪기도 한다.In addition, there is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ing button for selecting a device to be operated between the TV and the set-top box, in the case of such integrated remote control, the switching button may be pressed during the user's premises. If the user uses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fter the switching button is pressed during the user's intention, an unwanted device is controlled, and the user who wants to control is not controlled, and the user may be confus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TV와 셋탑박스의 전원을 동시에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통합리모컨 및 이와 같은 통합리모컨을 구비하는 셋탑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capable of simultaneously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and a set-top box having such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TV와 셋탑박스를 원격 제어하는 통합리모컨 및 이를 구비한 셋탑박스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와, 상기 TV 또는 상기 셋탑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신호송출부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TV의 전원과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통합전원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a TV and a set-top box and a set-top box having the same, wherein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includes 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TV or the set-top box.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ping table correspon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mapping table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is appli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so that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rein the button turns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power of the set-top box together. and an integrated power button capable of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통합리모컨에 의하면,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해서 버튼을 수차례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According to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ss the button several times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is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리모컨이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가 TV 채널변경버튼과 셋탑박스 채널변경버튼을 혼동하거나, TV 볼륨변경버튼과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을 혼동하여, TV 또는 셋탑박스를 오조작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In addition, when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ing unit, the user confuses the TV channel change button and the set-top box channel change button, or confuses the TV volume change button and the set-top box volume change button, The inconvenience of incorrect operation is elimin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 및 이를 구비한 셋탑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a set-top box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있어서, 셋탑박스라 함은 좁게는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의 화면에 표시해 주는 기기를 의미하나, 넓게는 캠코더 또는 VCR과 같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신호를 TV화면에 표시해주는 기기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et-top box is a device that narrowly receives an IPTV, cable TV or satellite TV signal and displays the same on a screen of a TV, but broadly refers to a signal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amcorder or a VCR. It can also include devices that display on the screen.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외형도이며, 도3은 도2의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4는 통합리모컨의 버튼에 의한 입력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of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n input signal by a button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도2 내지 도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은 입력부(100), 신호송출부(200), 저장부(400), 제어부(300), 스위칭부(500) 및 표시부(520)를 구비한다.2 to 4,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input unit 100, asignal transmitting unit 200, astorage unit 400, acontrol unit 300, aswitching unit 500, and a display unit. 520.

상기 입력부(100)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버튼 중 하나는 통합전원버튼(110)이며, 다른 일부의 버튼은 볼륨변경버튼(120)이며, 또 다른 일부의 버튼 채널변경버튼(130)이다. 상기 볼륨변경버튼(120)은 볼륨을 높이는 볼륨변경버튼(121)과 볼륨을 낮추는 볼륨변경버튼(1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채널변경버튼(130)은 채널번호를 높이는 채널변경버튼(131)과 채널번호를 낮추는 채널변경버 튼(132)로 이루어져 있다.Theinput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the other part of the button is thevolume change button 120, and another part of the buttonchannel change button 130. Thevolume change button 120 is composed of avolume change button 121 to increase the volume and avolume change button 122 to decrease the volume,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is achannel change button 131 and a channel to increase the channel number Thechannel change button 132 lowers the number.

입력부(100)의 각 버튼은 서로 구별되는 고유의 입력신호(150)를 발생시킨다. 즉, 통합전원버튼(110)의 입력신호(152), 볼륨변경버튼(120)의 입력신호(154) 및 채널변경버튼(130)의 입력신호(156)는 서로 구별된다.Each button of theinput unit 100 generates aunique input signal 150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input signal 152 of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theinput signal 154 of thevolume change button 120 and theinput signal 156 of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상기 신호송출부(200)는 통합리모컨(2)의 단부에 배치되며, TV(T) 및 셋탑박스(S)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신호(210)를 송출한다. 신호송출부(200)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형태의 원격제어신호(210)를 송출한다.Thesignal transmission unit 20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and transmits aremote control signal 210 for controlling the TV (T) and the set-top box (S). Thesignal transmitter 200 generally transmits theremote control signal 210 in the infrared form.

상기 저장부(400)는 입력부(100)의 입력신호(150)와 원격제어신호(210)를 서로 대응시켜놓은 매핑테이블(402)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핑테이블(402)은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storage unit 400 stores the mapping table 402 in which theinput signal 150 of theinput unit 100 and theremote control signal 210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pping table 402 includes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상기 제1매핑테이블(410)은 상기 통합전원버튼(110)에 의한 입력신호(152)를 TV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볼륨변경버튼(120)에 의한 입력신호(154)를 TV 볼륨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210)에 대응시키며, 채널변경버튼(130)에 의한 입력신호(156)를 TV의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다.The first mapping table 410 corresponds to theinput signal 152 by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TV power. Then, theinput signal 154 by thevolume change button 120 corresponds to theremote control signal 210 for changing the TV volume, and theinput signal 156 by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is connected to the channel of the TV. Corresponds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In summary, it is shown in Table 1 below.

제1매핑테이블First Mapping Table입력신호Input signal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signal통합전원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2)Input signal 152 by integrated power buttonTV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or off theTV볼륨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4)Input signal 154 by volume change buttonTV 볼륨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change TVvolume채널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6)Input signal 156 by channel change buttonTV 채널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change TV channel

상기 제2매핑테이블(420)은 상기 통합전원버튼(110)에 의한 입력신호(152)를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볼륨변경버튼(120)에 의한 입력신호(154)를 셋탑박스의 볼륨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 채널변경버튼(130)에 의한 입력신호(156)를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다.The second mapping table 420 corresponds to theinput signal 152 by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 box. Theinput signal 154 by thevolume change button 120 corresponds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and theinput signal 156 by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is connected to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Corresponds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2와 같다.In summary, it is shown in Table 2 below.

제2매핑테이블Second Mapping Table입력신호Input signal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signal통합전원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2)Input signal 152 by integrated power button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box볼륨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4)Input signal 154 by volume change button셋탑박스 볼륨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change set top boxvolume채널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6)Input signal 156 by channel change button셋탑박스 채널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change set top box channel

상기 제3매핑테이블(430)은 상기 통합전원버튼(110)에 의한 입력신호(152)를 TV 전원과 셋탑박스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다. TV 전원과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는, TV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와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를 겹치게 혹은 순차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볼륨변경버튼(120)에 의한 입력신호(154)를 셋탑박스의 볼륨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 채널변경버튼(130)에 의한 입력신호(156)를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다.The third mapping table 430 corresponds to aninput signal 152 of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TV power and the set-top box power together.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may be created by overlapping or sequentially combin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 box. Can be. Theinput signal 154 by thevolume change button 120 corresponds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and theinput signal 156 by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is connected to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Corresponds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3와 같다.This is summarized in Table 3 below.

제3매핑테이블Third Mapping Table입력신호Input signal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signal통합전원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2)Input signal 152 by integrated power buttonTV와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
격제어신호
The power to turn on and of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Controlsignal
볼륨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154)Input signal 154 by volume change buttonTV 볼륨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change TVvolume채널변경버튼에 의한 입려신호(156)Input signal 156 by the channel change button셋탑박스 채널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Remote control signal to change set top box channel

TV(T) 또는 셋탑박스(S)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210)는 TV(T) 또는 셋탑박스(S)의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통합리모컨(2)은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의 원격제어신호(210)를 미리 매핑테이블(402)에 입력해 두는 방법으로 그 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외에도, 매핑테이블(402)에 여러 제조사의 기기가 가지는 다양한 원격제어신호를 모두 입력해 둠으로써, 신호송출부(200)가 상기 다양한 원격제어신호를 함께 송출하게 하는 방법으로도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Remote control signal 210 for controlling the TV (T) or set-top box (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f the TV (T) or set-top box (S),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device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inpu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210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into the mapping table 402 in advance. In addition to this method, by inputting all the various remote control signals of devices of various manufacturers in the mapping table 402, the user also controls the method of causing thesignal transmission unit 200 to transmit the various remote control signals together You can remote control the device you want.

상기 저장부(400)는 통합리모컨(2)의 전원이 없는 경우에도, 매핑테이블(402)이 저장되어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torage unit 400 is preferably made of a nonvolatile memory so that the mapping table 402 is stored even whe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is not powered.

상기 제어부(300)는 버튼의 입력신호(150)를 인가받으며, 저장부(400)에 저장된 매핑테이블(402)을 참조하여, 신호송출부(200)가 입력신호(150)에 대응되는 원격제어신호(210)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매핑테이블(402)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참조한다.Thecontroller 300 receives aninput signal 150 of a button, and refers to the mapping table 402 stored in thestorage 400, so that thesignal transmitter 200 controls the remot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input signal 150. Control to send thesignal 210. Thecontroller 300 selectively refers to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included in the mapping table 402 stored in thestorage 400.

상기 스위칭부(500)는 제어부(300)가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참조하도록 한다. 즉, 스위칭부(500)는 제어부(300)가 참조하는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변경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에 있어서, 스위칭부(500)는 사용자의 의해서 조작되는 스위칭 버튼(5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switching unit 500 causes thecontrol unit 300 to select and refer to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That is, theswitching unit 500 changes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referred to by thecontroller 300 to the other. 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switching unit 500 includes aswitching button 510 operated by a user.

상기 스위칭 버튼(510)은 사용자가 이를 누를 때마다, 제어부(300)가 참조하는 제1 내지 제3 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다른 하나로 순차적으로 변경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위칭 버튼(510)을 누를 때마다, 제어부(300)가 참조하는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제1, 제2 ,제3매핑테이블(41,420,430)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switching button 510,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referenced by thecontroller 300 is sequentially changed to the other. For example,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switching button 510,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referred to by thecontroll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pping tables 41, 420, 430. You can make it change cyclically in order.

상기 표시부(520)는 제어부(300)가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참조함에 따라, 그에 대응되게 각기 다른 제1 내지 제3신호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520)는 스위칭 버튼(510)의 부근에 배치되며, 제1 내지 제3신호는 표시부(520)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표시램프(522,524,526)가 각각 점등됨으로 표시된다. 즉, 상기 제1표시램프(522)는 제어부(300)가 제1매핑테이블(410)을 참조할 경우 점등됨으로써 제1신호를 표시하며, 상기 제2표시램프(524)는 제어부(300)가 제2매핑테이블(420)을 참조할 경우 점등됨으로써 제2신호를 표시하며, 상기 제3표시램프(526)는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할 경우 점등됨으로써 제3신호를 표시한다. 제1 내지 제3표시램프(522,524,526)는 통합리모컨의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스위칭 버튼(510)이 눌러질 때만 일시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display unit 520 displays different first to thir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controller 300 as referring to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display unit 520 is disposed near theswitching button 510, and the first to third signals are turned on by the first tothird display lamps 522, 524, and 526 provided on thedisplay unit 520. Is displayed. That is, thefirst display lamp 522 is turned on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first mapping table 410 to display the first signal, and thesecond display lamp 524 is controlled by thecontroller 300. When the reference to the second mapping table 420 is turned on to display the second signal. Thethird display lamp 526 is turned on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to turn on the third signal. Is displaye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tothird display lamps 522, 524 and 526 from quickly discharging the battery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the first tothird display lamps 522, 524 and 526 may be turned on temporarily only when theswitching button 510 is pressed.

이와 같이, 표시부(520)는 제어부(300)가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어떤 것을 참조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사용자가 통합리모컨(2)을 통해서 TV(T) 또는 셋탑박스(S) 중 어떤 것을 제어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As such, thedisplay unit 520 enables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which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references thecontrol unit 300, so that the user may use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This allows you to see whether you are controlling a TV (T) or a set-top box (S).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의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a case in which thecontroller 300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will be described.

통합리모컨(2)의 통합전원버튼(110)을 눌러주면, 통합전원버튼(110)에 의한 입력신호(152)가 발생되고, 그 입력신호(152)가 제어부(300)에 인가된다. 제어부(300)는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여, 신호송출부(200)가 그 입력신호(152)에 대응되는 TV 전원 및 셋탑박스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시키는 원격제어신호(210)를 송출하도록, 신호송출부(200)를 제어한다. 따라서, TV 전원 및 셋탑박스 전원은 꺼져 있다가 함께 켜지게 된다.When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is pressed, aninput signal 152 by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is generated, and theinput signal 152 is applied to thecontroller 300.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so that thesignal transmitter 200 can turn on or off the TV power and the set-top box power corresponding to theinput signal 152 together. Thesignal transmitting unit 200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signal. Therefore, the TV power and the set-top box power is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together.

사용자가 셋탑박스(S)로 전송되는 IPTV 방송, 케이블 TV 방송 또는 위성방송 등을 TV로 시청하다가, TV의 볼륨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통합리모컨(2)의 볼륨변경버튼(120)를 눌러준다. 그러면, 볼륨변경버튼(120)에 의한 입력신호(154)가 제어부(300)에 인가된다. 제어부(300)는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여, 신호송출부(200)가 볼륨변경버튼(120)에 의한 입력신호(154)에 대응되는 TV 볼륨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TV 볼륨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가 TV(T)에 도달되면, TV의 볼륨만이 변경되고 셋탑박스의 볼륨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When the user watches an IPTV broadcast, cable TV broadcast or satellite broadcast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on a TV, and wants to change the volume of the TV, the user presses thevolume change button 120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 Then, theinput signal 154 by thevolume change button 120 is applied to thecontroller 300.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so that thesignal transmitter 20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V volume corresponding to theinput signal 154 by thevolume change button 120. To control.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V volume reaches the TV T, only the volume of the TV is changed and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remains unchanged.

한편, 셋탑박스의 볼륨은 고정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셋탑박스의 볼륨이 지나치게 크거나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TV의 볼륨을 키우거나 낮추어도 원하는 정도의 볼륨으로 맞추기가 불편한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desirable to keep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fixed, because if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is set too high or too low, it may be inconvenient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to the desired level. to be.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에 있어서,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고 있는 경우, 일단 셋탑박스의 볼륨을 적절하게 설정해 두면, TV의 볼륨만이 변경되므로, TV의 볼륨이 너무 커지거나 적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once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is properly set, only the volume of the TV is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volume of the TV from becoming too loud or too low.

또한, 셋탑박스(S)로 전송되는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등을 TV로 시청하다가,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통합리모컨(2)의 채널변경버튼(130)를 눌러준다. 그러면, 채널변경버튼(130)에 의한 입력신호(156)가 제어부(300)에 인가된다. 제어부(300)는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여, 신호송출부(200)가 상기 입력신호(156)에 대응되는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셋탑박스(S)를 제어한다.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가 셋탑박스(S)에 도달되면, TV의 채널은 유지된 채, 셋탑박스의 채널만이 변경된다.In addition, while watching the IPTV broadcast or cable broadcast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S) on the TV, if you want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press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2). Then, theinput signal 156 by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is applied to thecontroller 300. Thecontrol unit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so that thesignal transmission unit 20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channel of the set top box corresponding to theinput signal 156. ).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reaches the set-top box (S), only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is changed while the channel of the TV is maintained.

한편, 셋탑박스(S)를 이용하여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등을 시청하는 경우, TV의 채널을 고정시켜 둔 채, 셋탑박스의 채널만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다른 방송을 보기 위해서는 TV의 채널이 아닌 셋탑박스의 채널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탑박스(S)를 이용하여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등을 시청할 경우, TV의 채널은 외부입력 채널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TV의 채널을 변경시키는 버튼을 누르더라도 TV의 채널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헛되이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을 사용하면, TV의 채널이 고정된 채 셋탑박스의 채널만이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버튼을 헛되이 누르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watching the IPTV broadcast or cable broadcast using the set-top box (S), it is preferable to change only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while fixing the channel of the TV. This is because the user must change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not the channel of the TV, to watch another broadcast. When watching an IPTV broadcast or a cable broadcast using the set-top box S, the channel of the TV is not changed even if the button for changing the channel of the TV is pressed because the channel of the TV is tuned to an external input channel. Therefore, a user frequently presses a button in vain. However, using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only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is changed while the channel of the TV is fixed, the user can effectively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pressed in vain.

사용자가 TV(T) 및 셋탑박스(S)를 별도로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스위칭 버튼(510)을 눌러 제어부(300)가 참조하는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변경시킨다. 스위칭 버튼(510)을 누르면 표시부(520)의 제1 내지 제3표시램프(522,524,526) 중 하나가 점등되는데, 사용자가 TV(T)를 별도로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표시램프(522)가 점등될 때까지 스위칭 버튼을 눌러준다. 마찬가지로 셋탑박스(S)를 별도로 제어하고 싶을 때는 제2표시램프(524)가 점등될 때까지 스위칭 버튼(510)을 눌러준다.When the user needs to control the TV T and the set-top box S separately,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referred to by thecontroller 300 is pressed by pressing theswitching button 510 to the other. Change it. When theswitching button 510 is pressed, one of the first tothird display lamps 522, 524, and 526 of thedisplay unit 520 is turned on. When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TV T separately, thefirst display lamp 522 is turned on. Press the switch button until Likewise, when the set top box S is to be controlled separately, theswitching button 510 is pressed until thesecond display lamp 524 is turned 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2)을 사용할 경우, TV의 전원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기 위해서, 수차례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편리하다.As such, whe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re is no need to operate buttons several times in order to turn on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which is very convenient.

또한, 본 실시예의 통합리모컨(2)은 TV의 전원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할 수 있고, TV(T) 및 셋탑박스(S)를 별도로 또는 함께 제어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특히,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도록 스위칭부(500)를 설정해 놓은 경우, TV의 채널을 고정시킨 채 셋탑박스의 채널만을 변경하거나, 셋탑박스의 볼륨을 고정시킨 채 TV의 볼륨만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TV(T)와 셋탑박스(S)를 함께 제어하기가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power of the TV and the power of the set-top box can be turned on or off together, and the TV (T) and the set-top box (S)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or together. In particular, when thecontrol unit 300 sets theswitching unit 500 to refer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the channel of the set top box is changed while the channel of the TV is fixed, or the volume of the set top box is fixed. Since only the volume of the TV can be changed, it is very convenient to control the TV (T) and the set-top box (S) together.

한편, 스위칭부(500)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다가 상기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도록 할 때의 조작하는 방법과, 상기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다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할 때의 조작방법이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 버튼(510)을 구비한 스위칭부(500)에 있어서, 제어부(300)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을 참조하다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도록 할 때는 스위칭 버튼(510)을 짧게 눌러도 되도록 하되,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다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할 때는 스위칭 버튼(510)을 길게 눌러야만 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switching unit 500 when thecontrol unit 300 refers to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410,420) and to refer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and the operation method,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and then refers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s 410 and 420, a different operation metho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switching unit 500 having theswitching button 510,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410 or 420 and then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Theswitching button 510 may be briefly pressed. When thecontrol unit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and then refers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s 410 and 420, theswitching button 510 is pressed. You may have to press and hold.

이와 같이, 제어부(300)가 상기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다가 상기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도록 할 때의 조작 방법과, 상기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다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할 때의 조작 방법을 서로 다르게 해 둠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제어부(300)가 참조하고 있는 것이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인지 아니면 제3매핑테이블(430)인지를 인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method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410 or 420 and then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and thecontroller 300 By referring to the three mapping tables 430 and by varying the operation method when referring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s 410 and 420, the user is currently referring to thecontrol unit 300. It is recognized whether it is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410, 420 or the third mapping table 430.

특히,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다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할 때는 스위칭 버튼(510)을 길게 눌러야만 되도록 해 둘 경우, 사용자의 부지중에 제어부(300)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즉,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도록 하는 것은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지만,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다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410,42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 않게 해둠으로써,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when thecontroller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and refers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410 or 420, thecontroller 300 must press theswitching button 510 for a long time. It is effectively suppressed that thecontrol unit 300 is set to refer to either the first or the second mapping table 410 or 420 during the site of. That is, although it is easy to manipulate thecontrol unit 300 to refer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thecontrol unit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and then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s 410 and 420.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refer to any one of them, there is an effect that thecontrol unit 300 is set to refer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서로 동일한 구성임을 의미한다.Next,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2 to 4 mean the same components.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3)은 도2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과 스위칭부(500)를 제외하고는 구성이 동일하다.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and theswitching unit 500 illustrated in FIG. 2.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3)에 있어서, 스위칭부(500)는 딥스위치(550)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딥스위치(550)는 레버(551)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551)는 제1 내지 제3위치(552,554,556)를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딥스위치(550)의 레버(551)가 제1위치(552)에 위치된 경우는 제어부(300)가 제1매핑테이블(410)을 참조하며, 딥스위치(550)의 레버(551)가 제2위치(554)에 위치된 경우는 제어부(300)가 제2매핑테이블(420)을 참조하며, 딥스위치(550)의 레버(551)가 제3위치(556)에 위치된 경우는 제어부(300)가 제3매핑테이블(430)을 참조한다.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switching unit 500 includes adip switch 550. Thedip switch 550 includes alever 551, and thelever 551 is dispos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tothird positions 552, 554, and 556. When thelever 551 of thedip switch 550 is positioned at thefirst position 552, thecontrol unit 300 refers to the first mapping table 410, and thelever 551 of thedip switch 550 is disposed in thefirst position 552. In the case of thesecond position 554, thecontrol unit 300 refers to the second mapping table 420. In the case of thelever 551 of thedip switch 550 in thethird position 556, the control unit ( 300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430.

딥스위치(550)를 사용할 경우, 별도로 표시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When using thedip switch 55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display unit separately.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3)도 도2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과 효과가 매우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very similar effect to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shown in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Next,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외형도이다.6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4)은 통합전원버튼(110)을 구비하고 있어서,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Integratedremote control 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integrated power button 110, it is possible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도6에 도시된 통합리모컨(4)은 도2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에 있어서, 스위칭부(500)가 없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4)의 저장부(400)에 저장된 매핑테이블(402)은 도2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의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410,420,430) 중 제3매핑테이블(430)만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볼륨변경버튼(120)은 셋탑박스의 볼륨을 고정시킨 채 상기 TV의 볼륨만을 변경하도록, TV의 볼륨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3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채널변경버튼(130)은 상기 TV의 채널을 고정시킨 채 상기 셋탑박스의 채널만을 조정하도록, 상기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는 원격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한다.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4 shown in FIG. 6 is configured such that there is no switchingunit 500 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shown in FIG. The mapping table 402 stored in thestorage unit 400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hird mapping table among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410, 420, and 430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shown in FIG. 2. Only 430 is provided. That is, thevolume change button 120 appli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TV to thecontroller 300 so as to change only the volume of the TV while fixing the volume of the set-top box.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appli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to the controller to adjust only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while fixing the channel of the TV.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4)의 경우는 TV와 셋탑박스의 전원이 함께 온 또는 오프되므로, 각각의 전원을 별도로 온 또는 오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볼륨변경버튼(120)은 TV의 볼륨만을 변경시키고, 채널변경버튼(130)는 셋탑박스의 채널만을 변경하므로 조작이 매우 간단하다. 특히, IPTV 방송 등과 같이 TV와 셋탑박스를 항상 함께 사용하여, TV 또는 셋탑박스를 별도로 제어할 필요가 적은 경우, 버튼의 혼동의 없으므로 더욱 편리하다.In the case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is turned on or off together,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at each power must be turned on or off separately, and thevolume change button 120 is connected to the TV. Only the volume is changed, and thechannel change button 130 changes only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so the operation is very simple. In particular, when the TV and the set-top box is always used together, such as IPTV broadcasting, and there is little need to separately control the TV or the set-top box, there is no confusion of buttons.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Next,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외형도이다.7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5)은 통합전원버튼(110)을 구비하고 있어서,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 할 수 있다.Integratedremote control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integrated power button 110, it is possible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5)의 경우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에는 TV 전원버튼(114), TV 볼륨변경버튼(140,142) 및 TV 채널변경버튼(150,152)이 포함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TV is separately provided. The buttons for controlling the TV include aTV power button 114, a TV volume change button (140, 142) and a TV channel change button (150, 152).

또한, 셋탑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도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에는 셋탑박스 전원버튼(112),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160,162) 및 셋탑박스 채널변경버튼(170,172)이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set-top box is also provided separately. These include the set-topbox power button 112, the set-top boxvolume change buttons 160 and 162, and the set-top boxchannel change buttons 170 and 172.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5)의 경우는, TV(T) 및 셋탑박스(S)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2 및 도5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3)과는 달리 스위칭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Accordingly, 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uttons for controlling the TV T and the set-top box S are separately provided,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shown in FIGS. Unlike 3),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witching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5)을 사용하면,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리모컨(2,3,4)와 마찬가지로,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Using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ike the integratedremote control 2, 3, 4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is convenient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통합리모컨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통합리모컨은 별도로 제조, 판매 등이 이루어지는 것 외에도, 셋탑박스(S)와 함께 세트로 제조, 판매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sold, etc. in addition to the set top box S, in addition to the manufacturing and selling separately.

한편, 도2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의 경우, 사용자가 스위칭 버튼(510)을 조작함에 따라서, 통합전원버튼(110)을 이용하여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시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제1 및 제2매핑테이블(410,420) 모두 통합전원버튼(110)에 의한 입력신호(152)를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킴으로써, 통합전원버튼(110)을 누르면 항상 TV 및 셋탑박스의 전원이 함께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shown in FIG. 2, as the user operates theswitching button 510, theintegrated power button 110 may be used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May not. However, unlike the first and second mapping tables 410 and 420, theinput signal 152 of the integratedpower button 110 corresponds to the on / off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together. When thebutton 110 is pressed, the power of the TV and the set-top box may be always turned on or off together.

또한, 도2에 도시된 통합리모컨(2)의 경우, 제1 내지 제3신호를 표시하기 위해서, 표시부(520)가 제1 내지 제3표시램프(522,524,526)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부(520)는 제1 내지 제3신호를 표시하는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2 illustrated in FIG. 2, thedisplay unit 520 is provided with the first tothird display lamps 522, 524, and 526 in order to display the first to third signals. 520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the first to third signals.

또한, 도5에 도시된 통합리모컨(3)의 경우, 스위칭부(500)가 딥스위치(550)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딥스위치(550) 대신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integratedremote controller 3 shown in FIG. 5, theswitching unit 50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dip switch 550, but a rotary switch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dip switch 550.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종래의 통합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외형도이다.2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의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블럭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of FIG.

도4는 통합리모컨의 버튼에 의한 입력신호가 제어부 인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n input signal by a button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applied to a controller.

도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외형도이다.6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개략적 외형도이다.7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호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2 ... 통합리모컨 100 ... 입력부2 ... Integratedremote control 100 ... Input section

110 ... 통합전원버튼120 ... 볼륨변경버튼110 ...Integrated Power Button 120 ... Volume Change Button

130 ... 채널변경버튼200 ... 신호송출부130 ...Channel change button 200 ... Signal transmitter

300 ... 제어부400 ... 저장부300 ...control unit 400 ... storage unit

402 ... 매핑테이블410 ... 제1매핑테이블402 ... Mapping Table 410 ... First Mapping Table

420 ... 제2매핑테이블430 ... 제3매핑테이블420 ... second mapping table 430 ... third mapping table

500 ... 스위칭부520 ... 표시부500 ... switchingpart 520 ... display part

T ... TVS ... 셋탑박스T ... TV S ... Set Top Box

Claims (8)

Translated fromKorean
TV와 셋탑박스를 원격 제어하는 통합리모컨으로서,Integrated remote control for remote control of TV and set-top box,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상기 TV 또는 상기 셋탑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V or the set-top box;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킨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mapp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상기 입력부의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신호송출부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so that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is applied, referring to the mapping table.상기 버튼은,The button,상기 TV의 전원과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통합전원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And an integrated power button capable of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power of the set-top box together.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버튼은 볼륨변경버튼과 채널변경버튼을 더 구비하며,The button further includes a volume change button and a channel change button,상기 매핑테이블은,The mapping table,상기 볼륨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TV의 볼륨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 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 상기 채널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TV의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는 제1매핑테이블;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TV, the input signal of the volume changing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channel of the TV; Mapping table;상기 볼륨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셋탑박스의 볼륨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 상기 채널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는 제2매핑테이블; 및An input signal of the volume change button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set top box, and an input signal of the channel change button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channel of the set top box; 2 mapping tables; And상기 볼륨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TV의 볼륨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 상기 채널변경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는 제3매핑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 third corresponding signal input by the volume change button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TV, and corresponding input signal by the channel change button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A mapping table;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참조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한 통합리모컨.And a switching unit for allowing the control unit to selectively refer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제1매핑테이블은,The first mapping table,상기 통합전원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TV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The input signal by the integrated power button corresponds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상기 제2매핑테이블은,The second mapping table,상기 통합전원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며,The input signal by the integrated power button corresponds to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 box,상기 제3매핑테이블은,The third mapping table,상기 통합전원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TV의 전원과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함께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And an input signal by the integrated power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TV and the power of the set-top box together.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상기 제어부가 참조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매핑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스위칭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And a switching button for sequentially changing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mapping tables referenced by the controller to the other.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통합리모컨은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상기 표시부는,The display unit,서로 구별되는 제1 내지 제3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며,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signal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매핑테이블을 참조할 경우 상기 제1신호를 표시하며,When the controller refers to the first mapping table, displays the first signal;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매핑테이블을 참조할 경우 상기 제2신호를 표시하며,When the controller refers to the second mapping table, displays the second signal;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3매핑테이블을 참조할 경우 상기 제3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An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third signal when the controller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제1 내지 제3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를 구비하며,And a lever disposed to move the first to third positions,상기 레버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매핑테이블을 참조하며,When the lever is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ler refers to the first mapping table.상기 레버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매핑테이블을 참조하며,When the leve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refers to the second mapping table.상기 레버가 제3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3매핑테이블을 참조하도록 하는 딥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And a dip switch in which the control unit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when the lever is positioned in the third position.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다가 상기 제3매핑테이블을 참조하도록 할 때의 조작하는 방법과, 상기 제어부가 제3매핑테이블을 참조하다가 제1 또는 제2매핑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할 때의 조작방법이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A method of operating when the controller refers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and then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and a first or second mapping table while the controller refers to the third mapping table. 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hen the operation method to refer to any one of the different.제1항에 기재된 상기 통합리모컨을 구비하는 셋탑박스.A set top box hav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KR1020090117839A2009-12-012009-12-01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CeasedKR201100612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117839AKR20110061246A (en)2009-12-012009-12-01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117839AKR20110061246A (en)2009-12-012009-12-01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10061246Atrue KR20110061246A (en)2011-06-09

Family

ID=4439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90117839ACeasedKR20110061246A (en)2009-12-012009-12-01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10061246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024726B2 (en)2011-10-112015-05-05Lg Electronics Inc.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a multimedia device
KR20170006870A (en)*2015-07-102017-01-18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Image device, control method tehreof, program, recording medium,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of
KR101881773B1 (en)2018-04-262018-07-25주식회사 오성전자Method for power balance used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the same
KR20200005218A (en)2018-07-062020-01-15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The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method of TV and set top box
KR102211588B1 (en)*2019-09-302021-02-03김경원Indoor and outdoor loss prevention system using multi-use terminal and personal smartphone
USRE48496E1 (en)2012-05-222021-03-30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system including electronic device and re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21117973A1 (en)2019-12-092021-06-17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System for configuring voice recognition rcu by using cloud server,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024726B2 (en)2011-10-112015-05-05Lg Electronics Inc.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a multimedia device
USRE48496E1 (en)2012-05-222021-03-30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system including electronic device and re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06870A (en)*2015-07-102017-01-18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Image device, control method tehreof, program, recording medium,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of
KR101881773B1 (en)2018-04-262018-07-25주식회사 오성전자Method for power balance used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the same
KR20200005218A (en)2018-07-062020-01-15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The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method of TV and set top box
KR102211588B1 (en)*2019-09-302021-02-03김경원Indoor and outdoor loss prevention system using multi-use terminal and personal smartphone
WO2021117973A1 (en)2019-12-092021-06-17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System for configuring voice recognition rcu by using cloud server, and method therefor
US12197815B2 (en)2019-12-092025-01-14Remote Solution Co., Ltd.System for setting voice recognition RCU by using cloud server, and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10061246A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et top box
US8031056B2 (en)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US7224410B1 (en)Remote control device for a television receiver with user programmable means
EP2164248A2 (en)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54085A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activation method thereof
KR19980086158A (en) Broadcasting program reservation recording device using remote transceiver
KR201100490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set top box
KR100748688B1 (en) Carrier Frequency Sett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90066854A1 (en)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JP4993145B2 (en) Remote control device
US20120026410A1 (en)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ed for the same
KR20070111224A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its control method
JP200634301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5908042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JP2007295155A (en) Video display device
JP4660388B2 (en) Broadcast receiver
KR20060101674A (en) Control method of DVTV and RCTV TV with a single remote control
KR200311654Y1 (en)Television remote control device
JP2008167007A (en)Remote control system
JP2006319838A (en)Remote controller
KR100915325B1 (en)A Handy Remote Controller
KR101446410B1 (en)Smart phone functioning as TV remote controller
KR100606840B1 (en) Removable Remote Controller
JP2007129309A (en)Wireless remote control kitchen television receiver
KR20040047518A (en)device of remote control television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91201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1032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10726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10322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