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얻어지며 적어도 CO, H2, C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로부터 VAS(Vacuum Swing Adsorption)방법을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가스엔진 연료로 공급하기 위한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from synthetic gas, and more particularly, to obtaining carbon dioxide from a synthetic gas obtained through waste gasification and containing at least CO, H2 , and CO2 through a VAS (Vacuum Swing Adsorp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from syngas for efficient separation and supply to a gas engine fuel.
대체적으로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는 CO, H2, CO2를 주성분으로 하며, 발열량은 천연가스의 1/5∼1/8정도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연료전기 등의 연료로 공급하여 폐기물의 고효율 청정 발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Generally, the synthesis gas obtained through gasification is mainly composed of CO, H2 and CO2 , and the calorific value is about 1/5 to 1/8 of natural gas. Synthetic ga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can be supplied as a fuel such as a gas engine, a fuel electric machine, etc. to implement a high efficiency clean power generation system of waste.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의 성상 및 유량은 공급되는 폐기물의 성상과 가스화기의 운전 조건에 따라 결정되며, 성상 변화가 불가피한 폐기물 특성상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 역시 성상 변화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연료로 사용할 때, 가스엔진의 제어 방법에 의해 유입되는 합성가스의 성상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로 요구되고 있다.The properties and flow rate of the syngas obtained through waste gasification are determined by the properties of the waste to be supplied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gasifier. Due to the inevitable nature of the waste, the syngas obtained through gasification also inevitably changes in properties. Therefore, when syngas is used as a gas engine fuel, it is required as a very important technology to minimize the change in the properties of the synthesis gas introduced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gas engine.
도 1은 종래의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연료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는 1000℃ 이상의 고온이며, 폐기물 성상에 따라 분진, H2S, COS와 같은 황화합물, NH3 HCN과 같은 질소화합물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화기(10)로부터 배출된 합성가스는 가스엔진(20)의 발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회수설비(12)와 냉각설비(13), 집진설비(14), 탈염설비(15), 탈황설비(16)를 거치면서 적절히 냉각 및 오염물질에 대한 정제가 이루어지게 된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ynthesis gas obtained through waste gasification as a gas engine fuel. The synthesis gas obtained through gasification has a high temperature of 1000 ° C. or higher, and dust, H2 S, and COS according to waste properties. It contains contaminants such as sulfur compounds such as nitrogen compounds and nitrogen compounds such as NH3 HCN.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그러나, 하기의 [그림 1]에서는 사업장 폐기물을 대상으로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의 성분 및 발열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성분이 CO 20∼30%, H2 15∼37%, CO2 22∼50% 정도에서 1250∼1800 kcal/Nm3 사이에서 발열량(HHV)이 변동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연료로 공급할 때, 연료 성상 변동으로 인해 가스엔진의 안정적인 운전이 곤란하며, 특히, 발열량이 낮은 경우에는 엔진내에서 자발적인 연소가 불가능해져서 가스엔진이 정지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However, [Figure 1] below shows the composition and calorific value of syngas obtained through gasification of workplace wastes, and the components are 20 to 30% CO,15 to 37% H2 and 22 to 50% CO2 . It can be seen that the calorific value (HHV) varies between 1250 and 1800 kcal / Nm3 . Therefore, when supplying a synthesis ga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s a gas engine fuel,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gas engine stably due to fluctuations in fuel properties, especially when the calorific value is low, spontaneous combustion in the engine becomes impossible and the gas engine is stopped. It can be a factor.
[그림 1][Figure 1]
이에 따라 합성가스에서 CO2만을 제거했을 때의 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합성가스는 CO, H2로만 구성되며 CO의 발열량은 3010 kcal/Nm3, H2의 발열량은 3060 kcal/Nm3 정도로 CO와 H2의 발열량이 유사하므로, CO, H2가 혼합된 합성가스 발열량은 3000 kcal/Nm3 로 매우 일정하게 가스엔진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ult of removing only CO2 from syngas is shown in [Figure 2]. Synthesis gas is CO, consist of only H2 is the heating value of the CO is 3010 kcal / Nm3, because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H2 is similar to the heating value of the CO and H2 about 3060 kcal / Nm3, CO, the H2 is mixed syngas The calorific value is 3000 kcal / Nm3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gas engine very constant.
[그림 2] 합성가스에서 CO2를 분리한 후 얻어진 합성가스 성상 및 발열량 변화[Figure 2] Changes in syngas properties and calorific value obtained after CO2 separation from syngas
위의 결과와 같이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의 분리가 요구되며, 이산화탄소의 분리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3가지 방법이 크게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the synthesis gas is required, and three methods are generally used as a method of separating carbon dioxide.
첫째로,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 상온, 가압상태에서 흡착하고, 상온 상압상태에서 탈착하는 방법.First, PSA (Pressure swing adsorption): A method of adsorption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desorption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둘째로 : TSA(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상온 상압에서 흡착하고, 흡착제의 온도를 증가시켜 고온에서 탈착하는 방법.Second: TSA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A method of adsorption at room temperature and normal pressure, and desorption at high temperature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adsorbent.
셋째로 : VSA(Vacuum swing adsorption) : 상온 상압에서 흡착하고, 진공에서 탈착하는 방법.Third: VSA (Vacuum swing adsorption): adsorption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desorption in vacuum.
그러나 위의 3가지 방법 중에서 PSA 방법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가스화기를 고압에서 운전(폐기물 공급도 고압에서 진행)하여야 하나, 폐기물을 고압으로 공급하기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TSA 방법은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탈착하기 위해서 고온의 증기로 가열하여 일정시간을 유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PSA method requires the gasifier to be operated at high pressure (waste supply also proceeds at high pressure) in order to separate carbon dioxide, but it may be technically difficult to supply waste at high pressure. In order to desorb the carbon dioxide, there has been a disadvantage of maintaining a certain time by heating with high temperature stea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는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를 VAS방식을 이용하여 복수개로 나열 설치되는 흡착탑에 주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착시킨 후, 흡착된 흡착탑을 차례로 탈착시킴으로써, CO, H2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로 만들어 가스엔진을 안정적으로 가동시켜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고, 가스엔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내에서 이산환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the purpose of adsorbing carbon dioxide to the adsorption tower periodical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yngas obtained through the waste gasification by using the VAS method, the adsorption tower By desorption in order to make the synthesis gas mainly composed of CO and H2 , to operate the gas engine stably, and to produce high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combustion gas emitted from the gas engine. To provide a carbon dioxide separation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화기로부터 생성된 합성가스를 정제장치에서 정제한 후, 정제된 합성가스를 가스엔진에 연료로 공급하기 이전에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정제장치와 가스엔진의 사이에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설치되는 흡착탑과, 흡착탑 각각에 합성가스가 공급되도록 정제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가스공급관과, 각 가스공급관상에 설치되어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합성가스를 공급하여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와, 흡착탑 각각과 가스엔진 사이에 설치되어 흡착탑을 통과하면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합성가스를 가스엔진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가스배출관과, 각 가스배출관상에 설치되며 흡착탑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흡착탑으로부터 합성가스를 가스엔진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선택 개폐되는 배출밸브와, 흡착탑 각각에 설치되며 이산화탄소의 흡착이 완료된 흡착탑에서 이 산화탄소의 탈착이 진공으로 이루어지도록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탈착관과, 각 탈착관 상에 설치되어 흡착탑에서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진공개폐밸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를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urifying the synthesis gas generated from the gasifier in the purification apparatus, separating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before supplying the purified synthesis gas to the gas engine as a fuel In the apparatus for, the adsorption tower is installed at least one to adsorb carbon dioxide between the purification device and the gas engine, the gas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device so that the synthesis gas is supplied to each of the adsorption tower, and installed on each gas supply pipe And a supply valv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supply the synthesis gas to any one of the adsorption towers, and is installed between each of the adsorption towers and the gas engine to supply the synthesis gas from which carbon dioxide is removed to the gas engine while passing through the adsorption tower. The gas discharge pipe and the suction pipe installed on each gas discharge pipe are selected A discharge valv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ynthesis gas is supplied from the tower to the gas engine, a desorption tube installed in each of the adsorption towers, and a desorption pip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so that desorption of carbon dioxide is carried out in a vacuum in the adsorption tower where adsorption of carbon dioxide is completed; It is provided on each desorption tube is provided a carbon dioxide separation device in the synthesis gas comprising a vacuum opening and closing valve is installed to selectively remove the carbon dioxide in the adsorption tower.
또한, 흡착탑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13x 제올라이트의 흡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tower may include an adsorbent of 13x zeolite capable of adsorbing carbon dioxide.
또한, 정제장치와 복수의 흡착탑 사이에는 합성가스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버퍼탱크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synthesis gas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purification apparatus and the plurality of adsorption towers.
또한, 흡착탑의 개수는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유 정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수학식 y = 2.037 + 0.092 x(단, y는 흡착탑 개수, x 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adsorption tower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and may be set by the equation y = 2.037 + 0.092 x (where y is the number of adsorption towers and x i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또한, 흡착탑에서 흡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흡착탑들은 탈착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흡착과 탈착이 주기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adsorption towers are desorbed while adsorption is performed in the adsorption tower, and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또한, 각 흡착탑과 상기 정제장치의 사이에는, 탈착이 완료되어 진공 상태의 흡착탑에 합성가스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면 압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착탑이 상압으로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압유지용 합성가스공급관과 상압유지용 합성가스공급관상에 설치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adsorption tower and the refining device, if desorption is completed and supplying syngas to the vacuum adsorption tower instantaneously, a pressure drop may occur, so that the adsorption tower is installed to maintai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synthesis gas supply pipe for maintaining the atmospheric pressure. It may include a control valve installed on the syngas supply pipe for maintaining the atmospheric pressure.
본 발명의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에 의하면,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를 VAS방식을 이용하여 흡착탑에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CO, H2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로 만들어 가스엔진을 안정적으로 가동시켜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고, 가스엔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내에서 이산환탄소 배출량을 줄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carbon dioxide separation device in the synthesis ga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ffectively separating the carbon dioxide from the adsorption tower by using the VAS method, the synthesis gas obtained through waste gasification, making the gas engine stable by making the synthesis gas mainly composed of CO and H2 It can be operated with high efficiency, and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ducing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in the combustion gas emitted from the gas engine.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arbon dioxide separation apparatus in the synthesis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는, 크게 가스화기로부터 생성된 합성가스를 정제하기 위한 정제장치(100)와, 정제장치(100)에서 정제된 합성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 설치되는 흡착탑(120)과, 흡착탑(120)에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엔진(110)으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carbon dioxide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largely used to separate carbon dioxide from the
여기서 정제장치(100)는 회수설비(102)와 냉각설비(103), 집진설비(104), 탈염설비(105), 탈황설비(106)로 구성되며, 이들을 차례로 거치면서 적절히 냉각 및 오염물질에 대한 정제가 이루어지게 된다.Here, the
그리고 정제장치(100)와 가스엔진(110)의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엔진(110)으로의 합성가스 공급 이전에 합성가스에 함유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는 흡착탑(120)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흡착탑(120)은 복수개가 나란히 배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흡착탑(120)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13x 제올라이트의 흡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통상적으로 g당 40~50mg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다.
한편, 흡착탑(120)의 배열 개수는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이 번갈아 가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설치가 필요하며, 도시된 바에 따르면 4개가 설치되었으나,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유 정도에 따라 가변되어 설치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흡착탑(120)의 개수는, y = 2.037 + 0.092 x(단, y는 흡착탑 개수, x 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학식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rrangement of the
수학식은 [그림 3]에 나타난 기울기 값에 의하여 2.037, 0.092의 수치가 산정되었다.In the equation, values of 2.037 and 0.092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lope values shown in [Figure 3].
[그림 3] [Figure 3]
이러한 흡착탑(120) 각각에는 상부측으로 가스공급관(130)이 설치되고, 이 가스공급관(130)에는 정제장치(100) 중 마지막 단에 설치된 탈황설비(106)에 연결 설치된다.Each of these
여기서 탈황설비(106)와 가스공급관(130) 사이에는 합성가스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버퍼탱크(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그리고 각 흡착탑(120)에 연결된 이들 각 가스공급관(130)상에는 흡착탑(120)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합성가스를 공급하여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개폐 조절되는 공급밸브(132)가 설치될 수 있다.And on each of the
여기서 공급밸브(132)의 개폐 조절을 통하여 흡착탑(120)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합성가스를 공급하여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유인 즉, 예컨대 CO 40.6%, H2 36.4%, CO2 21.2% 의 구성 성분을 가지는 합성가스일 경우 합성가스가 흡착탑(120)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합성가스의 조성을 보면 대략 CO 50% 내외, H2 45∼50%, CO2는 3∼5% 정도인 결과를 얻지만, 대략 10분 정도 흡착하면 흡착제에 CO2가 전부 흡착하여 배출되는 합성가스 내의 CO2 농도가 증가됨이 [그림 4]를 통해 알 수 있다.Here, the reason why adsorption is performed by selectively supplying synthesis gas to only one of the
[그림 4] [Figure 4]
이 결과로부터 흡착탑(120)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이들 복수의 흡착탑(120)중 어느 하나의 흡착탑(120)에서 흡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흡착탑(120)들은 탈착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흡착과 탈착이 주기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가스공급관(130)에 공급밸브(132)의 설치가 필요하게 된다. From this result, the
또한, 각각의 흡착탑(120) 하부측으로는 가스배출관(150)이 설치되고, 이 가스배출관(150)은 가스엔진(110)에 연결 설치되어 흡착탑(120)을 통과하면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합성가스를 저장용기(160)에 저장하였다가 가스엔진(110)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이들 각 가스배출관(150)상에도 흡착탑(120)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흡착탑(120)으로부터 합성가스를 가스엔진(110)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선택 개폐되는 배출밸브(152)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각 흡착탑(120)에 연결된 가스배출관(150)과 이격되어 각 흡착탑(120)에는 탈착관(17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The
탈착관(170)은 타단이 진공펌프(180)에 연결되어 진공펌프(180)의 진공 압력에 의하여 흡착이 완료된 흡착탑(120)의 탈착이 진공 흡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역시 각 탈착관(170)상에는 흡착탑(120)에서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진공개폐밸브(172)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 each
한편, 각 흡착탑(120)과 정제장치(100)의 사이에는, 탈착이 완료되어 진공 상태의 흡착탑(120)에 합성가스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면 압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착탑(120)이 상압으로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압유지용 합성가스공급관(190)이 연결 설치되고, 이들 상압유지용 합성가스공급관(190)상에 서서히 개폐될 수 있는 컨트롤 밸브(192)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each
그리고 공급밸브(132), 배출밸브(152) 컨트롤밸브(192)의 작동 제어는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하여 개폐 조절이 제어될 수 있다.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carbon dioxide separation device in the synthesis gas having such a structure is made as follows.
다시 합성가스의 흡착과 탈착이 일 실시예로 도시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정제장치(100)를 구성하는 회수설비(102)와 냉각설비(103), 집진설비(104), 탈염설비(105), 탈황설비(106)를 거치면서 적절히 냉각 및 오염물질에 대한 정제가 이루어지진 합성가스는 버퍼탱크(140)에 일시 저장되어 있다가 흡착탑(120)에서 이산환탄소가 분리된 후 가스엔진(110)측으로 연료로 공급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in which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yngas is illustrated as an embodiment, the
이때, 복수의 흡착탑(120) 중 어느 하나는 개폐되고 다른 3개는 진공으로 탈착이 진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흡착탑(120:A)이 흡착 중이면 흡착 탑(120:A)에 연결된 가스공급관(130)상의 공급밸브(132)는 개방되어 버퍼탱크(140)로부터 합성가스를 공급받아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게 되고, 이산환탄소가 흡착된 합성가스는 흡착탑(120:A)의 하부측에 설치된 가스배출관(150)의 배출밸브(152)의 개방으로 저장용기(160)측으로 배출되고, 저장용기(160)에서는 가스엔진(110)의 연료 요구시 공급하게 된다.At this tim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그리고 흡착탑(120:A)에서 흡착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다른 흡착탑(120:B, C, D)에서는 그 전에 흡착했던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각 가스공급관(130)상의 공급밸브(132)가 닫혀 있는 상태이고, 탈착관(170)의 진공개폐밸브(172)는 개방되어 진공펌프(180)를 통해 흡착탑(120:B, C, D)에 부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게 된다.And while the adsorption is performed in the adsorption tower (120: A), the other adsorption tower (120: B, C, D) is desorption of the carbon dioxide adsorbed before, at this time, the
따라서 이와 같이 1사이클의 순서가 흡착탑(120:A)에서 10분 흡착하는 동안 흡착탑(120:B, C, D)에서는 탈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다음에도 주기적이면서 연속적으로 흡착탑(120:B)에서 10분 흡착하는 동안 흡착탑(120:A, C, D)에서는 탈착이 이루어지며, 흡착탑(120:C)에서 10분 흡착하는 동안 흡착탑(120:A, B, C)에서는 탈착이 이루어지고, 흡착탑(120:D)에서 10분 흡착하는 동안 흡착탑(120:A, B, C)에서는 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desorption is performed in the adsorption tower (120: B, C, D) while the cycle of 1 cycle is adsorbed in the adsorption tower (120: A) for 10 minutes, and then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in the adsorption tower (120: B) Desorption is performed in the adsorption tower 120: A, C, D during 10 minutes adsorption, desorption is performed in the adsorption tower 120: A, B, C during 10 minutes adsorption in adsorption tower 120: C, adsorption tower Desorption is performed in the adsorption tower 120 (A: B, C) during 10 minutes of adsorption at (120: D).
그리고 위와 같은 사이클에서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흡착탑(120:A)에서 흡착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탈착이 진행되고 있는 흡착탑(120:B, C, D) 중 먼저 탈착이 완료되는 흡착탑(120:D)은 흡착탑(120:A) 다음으로 흡착 대기 상태가 된다.In the cycle as described above, the adsorption tower 120: D is first desorbed in the adsorption towers 120: B, C, and D, where the desorption is in progress while adsorption is performed in any one of the adsorption towers 120: A. ) Becomes the adsorption standby state after the adsorption tower 120 (A).
그리고 흡착탑(120:D)에서는 진공 상태에서 합성가스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면 압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착탑(120)이 상압으로 유지되도록 상압유지용 합성가스공급관(190)의 컨트롤 밸브(192)가 서서히 개방되어 상압을 맞추게 된다.In the adsorption tower 120 (D), when the syngas is instantaneously supplied in a vacuum state, a pressure drop may occur, so that the
상압이 이루어지면, 컨트롤 밸브(192)는 닫히고, 가스공급관(130)의 해당 공급밸브(132)가 개방되어 합성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atmospheric pressure is establishe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 성상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발열량을 갖는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연료로 공급하여 가스엔진의 발전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합성가스 내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므로써, 굴뚝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총량을 줄일 수 있고,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용접용 CO2로 판매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as engine by supplying a synthesis gas having a constant calorific value to the gas engine fuel regardless of the change in waste properties, and by discharging carbon dioxide from the synthesis gas, it i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produced can be reduced and the separated carbon dioxide can be sold as welding CO2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대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s described above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arbon dioxide separation unit in the synthesis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interpreted to have the maximum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idea disclosed herein Should b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and can be combined / substituted the disclosed embodiments to implement a pattern of a timeless shape, bu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연료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ystem using a synthesis gas obtained through conventional waste gasification as a gas engine fue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arbon dioxide separation apparatus in the synthesis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정제장치 102 : 회수설비100: refining apparatus 102: recovery equipment
103 : 냉각설비 104 : 집진설비103: cooling facility 104: dust collector
105 : 탈염설비 106 : 탈황설비105: desalination plant 106: desulfurization plant
110 : 가스엔진 120 : 흡착탑110: gas engine 120: adsorption tower
130 : 가스공급관 132 : 공급밸브130: gas supply pipe 132: supply valve
140 : 버퍼탱크 150 : 가스배출관140: buffer tank 150: gas discharge pipe
152 : 배출밸브 160 : 저장용기152: discharge valve 160: storage container
170 : 탈착관 172 : 진공개폐밸브170: removable pipe 172: vacuum opening and closing valve
180 : 진공펌프 190 : 상압유지용 합성가스공급관180: vacuum pump 190: synthetic gas supply pipe for maintaining atmospheric pressure
192 : 컨트롤 밸브192: control valv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7538AKR20100109108A (en) | 2009-03-31 | 2009-03-31 | Apparatus for separation co2 in composite ga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7538AKR20100109108A (en) | 2009-03-31 | 2009-03-31 | Apparatus for separation co2 in composite ga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09108Atrue KR20100109108A (en) | 2010-10-0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27538ACeasedKR20100109108A (en) | 2009-03-31 | 2009-03-31 | Apparatus for separation co2 in composite gas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109108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4491B1 (en)* | 2013-07-10 | 2014-07-04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System for separating gas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4491B1 (en)* | 2013-07-10 | 2014-07-04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System for separating gas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apoor et al. | Evaluation of biogas upgrading technologies and future perspectives: a review | |
| EP225391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last furnace gas | |
| CN105749699B (en) | Full-temperature-range pressure swing adsorption gas separation,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 |
| CA2745359C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wer and hydrogen | |
| KR10188690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ethan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from a biogas | |
| US20110185896A1 (en) | Gas purification processes | |
| JP5906074B2 (en) | Hydrogen production system | |
| US20110123878A1 (en) | Dual Purpose Gas Purification by Using Pressure Swing Adsorption Columns for Chromatographic Gas Separation | |
| US20120012000A1 (en) | Separation of a Sour Syngas Stream | |
| RU2009136005A (en) |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WITH COMPLETE CO2 CAPTURING AND UNREGATED METHANE RECYCLING | |
| JP6659717B2 (en) | Hydrogen recovery method | |
| WO2017087164A1 (en) | Integration of staged complementary psa system with a power plant for co2 capture/utilization and n2 production | |
| CN112107963A (en) | Treatment of methane streams comprising VOCs and carbon dioxide by a combination of adsorption units and membrane separation units | |
| JP5647388B2 (en) | Blast furnace gas separation method and blast furnace gas separation apparatus | |
| US12415157B2 (en) | Method for producing purified gas, method for producing valuable material, gas purification device, and device for producing valuable material | |
| JP6142433B2 (en) | Carbon dioxide production method, carbon dioxide production apparatus,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system | |
| JP2021049482A (en) | Method for production of refined gas, and gas purifier | |
| ES2751176A1 (en) | Installation and procedure to recover gaseous substances from gaseous streams | |
| US8226744B2 (en) | Repressurization of a VSA treating a gas mixture comprising a fuel | |
| US20170136401A1 (en) | Staged pressure swing adsorption for simultaneous power plant emission control and enhanced hydrocarbon recovery | |
| KR20100109108A (en) | Apparatus for separation co2 in composite gas | |
| US10350537B2 (en) | High purity nitrogen/hydrogen production from an exhaust stream | |
| JP2004067946A (en) | Purification system and purification method for anaerobic digestive fermentation gas as fuel for gas turbine | |
| JPH039392B2 (en) | ||
| CN202880847U (en) | Wine decant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903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1030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1120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10304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20120109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PJ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1120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20130829 Appeal identifier:2012101000282 Request date:20120109 | |
| AMND | Amendment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20208 Patent event code:PB09011R02I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20120109 Patent event code:PB09011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10607 Patent event code:PB09011R02I |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9 Effective date:20130829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PJ13011S01D Patent event date:20130829 Comment text: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20120109 Decision date:20130829 Appeal identifier:20121010002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