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00094200A - 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200A
KR20100094200AKR1020090013515AKR20090013515AKR20100094200AKR 20100094200 AKR20100094200 AKR 20100094200AKR 1020090013515 AKR1020090013515 AKR 1020090013515AKR 20090013515 AKR20090013515 AKR 20090013515AKR 20100094200 AKR20100094200 AKR 20100094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1129B1 (en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515ApriorityCriticalpatent/KR10145112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420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00094200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12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451129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측거점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소정의 AF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AF를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a predetermined AF area by continuously selec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nd performing AF based on the set AF area.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측거점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소정의 AF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AF를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a predetermined AF area by continuously selec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nd performing AF based on the set AF area.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을 영상 표시소자에 표시하여 보여주고,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의하여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한다.In general,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y apparatus that processes an image such as a digital camer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hone camera, a PC camera, or uses a motion recognition sensor.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a desired image through the image pickup device, displays the input image on the imag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image, saves the image as an image file according to the user's shooting selection, and prints the stored image file.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AF(auto focus)를 행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영역에서 AF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AF 영역의 선택을 위하여, 자동 다-초점 기능이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여러 개의 AF 영역 중 특정 AF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perform auto focus (AF) in such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necessary for AF is extracted from a predetermined area. In this case, an automatic multi-focus function is provided for selecting an AF area, or a method for selecting a specific AF area among a plurality of AF areas is provided.

상세히, 자동 다-초점 기능은, AF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화면을 이미 정해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 영역에 대해서 각각 AF 처리를 수행한 후 촬영을 진행하는 방법이다.In detail, the automatic multi-focus function is a method of dividing a screen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 the selection of the AF area, and performing imaging after performing AF processing on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한편, 사용자가 여러 개의 AF 영역 중 특정 AF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AF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화면을 이미 정해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가 방향 버튼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하여 AF 처리를 수행한 후 촬영을 진행하는 방법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the user to select a particular AF area of the plurality of AF areas, by dividing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 the selection of the AF area, the user by using a direction button or the like This is a method of photographing after selecting an area and performing AF process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AF 방법들에 있어서의 공통의 문제점은, AF 영역 내에 피사체가 없거나 또는 광축 방향으로 거리가 다른 복수 개의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이 복수 개의 피사체들을 구분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AF 영역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거나, 선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인터페이스가 복잡하여, 임의의 AF 영역 설정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AF 불량 문제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직접 판단할 수 없는 모바일 폰 용의 소형 디지털 카메라에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a common problem in such conventional AF methods is that if there are no subjects in the AF area or a plurality of subjects having different distanc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plurality of subjects cannot be distinguished and the user does not want the subject. Is when the focus is on.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even if the user cannot arbitrarily select a desired AF area, or even if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AF area, the interface is complicated and the arbitrary AF area setting is not easy. In addition, such a problem of AF failure occurs more frequently in a small digital camera for a mobile phone, which cannot directly determine a distance from a subje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AF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setting an AF area at a point desired by a user.

본 발명은, AF(auto focus) 영역 설정을 위한 복수 개의 측거점이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거점 중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측거점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이 AF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ints for setting an auto focus (AF) area, wherein an area defined by the points selected by a user input among the points is set as an AF area. It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so as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버튼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측거점 각각과 대응될 수 있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asuring points.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은, 복수 개의 측거점 선택의 시작 및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시작/종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include start / end buttons for generating start and end signals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range points.

여기서, 상기 버튼들을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측거점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상기 AF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AF area may be set by continuously inputting the buttons and continuously selecting the reference poin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측거점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폐곡선이 AF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losed curve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selected point points may be set as an AF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복수 개의 측거점들을 순차적으로 터치 함으로써, 상기 측거점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AF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pports a touch screen function, and by sequentially touching the plurality of range point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the range points may be continuously selected to set the AF area.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폐곡선을 터치 방식으로 도시함으로써 상기 AF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pports a touch screen function, and the AF area may be set by showing a predetermined closed curve on the display unit by a touch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프리뷰 영상의 확대 및 축소 신호를 발생하는 확대/축소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nlargement / reduction button for generating an enlargement and reduction signal of the preview image.

여기서, 상기 확대/축소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이 순차적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Here, the preview image may be sequentially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zoom button.

여기서, 상기 확대/축소 버튼이 길게 입력되면, 상기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프리뷰 영상이 원상태 될 수 있다.Here, when the zoom button is long pressed, the preview image being enlarged and displayed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상기 프리뷰 영상이 확대된 상태에서 방향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AF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Here, when the direction button is input while the preview image is enlarged, the AF area may mov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AF(auto focus) 영역을 설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easily setting an auto focus (AF) area at a point desired by a user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일 예로서의 카메라 폰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 폰의 휴대폰 본체(200)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의 일 예로서 카메라 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카메라 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이미지 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 및 그 변형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camera phone as an example of the digital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cellular phonemain body 200 of the camera phon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amera phone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mera phone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multimedia player). This also applies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ations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폰은 디스플레이부(113) 및 터치 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1)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촬영할 영상의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또한 촬영한 영상이 플레이 백(play-back)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다수 개의 버튼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9의 숫자 버튼들 및 *버튼, #버튼과 같은 특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1)의 다수 개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숫자 및 문자 입력을 할 수도 있고, 각종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입력부(12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a camera phone includes adisplay 113 and auser input 121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or a contact switch. Thedisplay 113 may display a preview screen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may also play back the photographed image. Theuser input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for example, numeric buttons of 0 to 9 and special buttons such as a * button and a # button. Numerals and letters may be input by using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user input unit 121, or various menu icons may be selected to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A method of using theuser input unit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113), 사용자 입력부(121), 촬상부(123), 영상 처리부(125), 저장부(12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Thedisplay unit 113, theuser input unit 121, theimaging unit 123, theimage processing unit 125, thestorage unit 127, and FIG. Thedigital signal processor 129 is included.

사용자 입력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0~9의 숫자 버튼들 및 *버튼, #버튼과 같은 특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user input unit 121 may include 0 to 9 numeric button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or a contact switch, and special buttons such as a * button and a # button.

촬상부(12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에 의해 제어된다.Theimaging unit 123 includes a shutter, a lens unit, an apertur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which are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hutter is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exposed together with the aperture. The lens unit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processes an image. At this time, the iris adjusts the amount of light (light quantity) incident on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iris is controlled by the digitalsignal processing unit 129.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CCD accumulates the amount of light input through the lens unit and outputs an image captured by the lens unit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mage acquisi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erformed by a CCD that converts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order to obtain a color image using a CCD, a color filter is required, and most of them employ a filter (not shown) called a color filter array (CFA). CFA has a structure arranged regularly by passing only one color light per pixel, and has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The ADC converts an analog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CD into a digital signal.

영상 처리부(12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 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장부(12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2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Theimage processor 125 performs signal processing to display the digitally converted RAW data. Theimage processor 125 removes the black level due to the dark current generated by the CCD and the CFA filter that are sensitive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image processor 125 performs gamma correction for enco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nonlinearity of human vision. Theimage processor 125 performs CFA interpolation to interpolate the Bayer pattern implemented by the RGRG line and the GBGB line of the gamma corrected predetermined data into the RGB line. Theimage processing unit 125 converts the interpolated RGB signal into a YUV signal, sharpens the image by filtering the Y signal by a high band filter, and color values of the U and V signals using a standard color coordinate system. Perform color correction to correct the noise, and remove their noise. Theimage processor 125 compresses and signals the Y, U, and V signals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to generate a JPEG file, and the generated JPEG file is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113 and stored in thestorage unit 127. . All of the operations of theimage processor 125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digital signal processor 129.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복수 개의 측거점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소정의 AF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AF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digital signal processor 129 continuously selects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to set a predetermined AF area, and controls to perform AF centering on the set AF area.

상세히, 종래의 AF 방법들은, AF 영역 내에 광축 방향으로 거리가 다른 복수 개의 피사체가 존재하거나 피사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이 피사체에 정확한 초점이 맞지 않는 원인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먼저, AF 영역 내부에 복수 개의 피사체가 있을 경우, 자동화된 AF 알고리즘은 이를 하나의 피사체로 인식하여, 단순하게 렌즈 이동에 대한 AF 평가값의 변화로만 AF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AF 영역 내에 피사체가 없거나 흐린 피사체일 경우, AF 평가값이 미리 설정한 기준값(threshold) 조건을 만족하지 못해서 정상적인 AF 알고리즘이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AF 영역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거나, 선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인터페이스가 복잡하여, 임의의 AF 영역 설정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In detail, conventional AF methods have a problem in that when a plurality of subjects having different distanc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AF area or a subject does not exist, a case in which the user focuses on an undesired subject occurs.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incorrect focusing of a subject. Firs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bjects in the AF area, the automated AF algorithm recognizes this as one subject and simply performs AF only by changing the AF evaluation value for lens movement. Next, when the subject does not exist or is blurry in the AF area, since the AF evaluation value does not satisfy a preset threshold condition, the normal AF algorithm may not be performed. As a result, even if the user can not select the desired AF area arbitrarily, even if it can be selected, the interface is complicat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arbitrary AF area setting is not eas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21)의 각 버튼들이 복수 개의 측거점들 각각과 대응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들을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측거점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AF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AF를 수행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digital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button of theuser input unit 121 corresponds to each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nd the buttons are continuous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AF area is set by inputting the reference points continuously and input to perform AF centering on the set AF area.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인 도 3에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3 참조)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화면상에 11개의 측거점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1개의 측거점은 각각 사용자 입력부(도 1의 121 참조)의 각 버튼들에 대응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의 1번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의 복수 개의 측거점 중 1번 측거점이 선택되며, 사용자 입력부의 *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의 복수 개의 측거점 중 * 측거점이 선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의 0번 버튼은 복수 개의 측거점 선택의 시작 및 종료를 알리는 시작/종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FIG. 3, which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captured by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reference points ar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ee 113 of FIG. 1). have. Each of the eleven points corresponds to each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see 121 of FIG. 1). For example, when a button 1 of the user input unit is pressed, a point 1 point of the plurality of point points of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and when a button * of the user input unit is pressed, * point of reference point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point points of the display unit. The button 0 of the user input unit may perform a start / end function for notifying the start and end of a plurality of point selection.

예를 들어, 도 3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인물 전체에 AF 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복수 개의 측거점 선택의 시작/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0번 버튼을 눌러서 측거점 선택을 시작한다. 도 3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인물은, 2번 측거점 - 3번 측거점 - 8번 측거점 - # 측거점 - * 측거점 - 6번 측거점 - 2번 측거점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폐곡선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측거점들에 해당하는 2번 버튼 - 3번 버튼 - 8번 버튼 - # 버튼 - * 버튼 - 6번 버튼을 순차적으로 입력하 여, 폐곡선을 이루는 측거점들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복수 개의 측거점 선택의 시작/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0번 버튼을 다시 한 번 눌러서 측거점 선택을 종료하면, 임의의 AF 영역의 선택이 완료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AF area is to be set for the entire person on the preview screen of FIG. 3, first, the zero point button for performing the start / end function of the plurality of point selections is pressed to start the point selection. On the preview screen of FIG. 3, the person is located in a closed curve formed by connecting a second point of reference point-three point of reference point-eight point of reference point-# point of reference point-* point of reference point-point of point six point of reference point-point two point of reference point in turn. . Therefore, by inputting buttons 2-button 3-button 8-# button-* button-button 6 corresponding to the range points in sequence, and select the points forming the closed curve. Lastly, when the zero point button, which performs the start / end function of the plurality of point selections, is pressed again to end the point selection, the selection of an arbitrary AF area is completed.

이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을 입력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영상 처리부(125)를 제어하여 상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JPEG 영상파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113) 디스플레이하고 저장부에 저장한다.In this state, when the shutter-release button is input, the digitalsignal processing unit 129 controls theimage processing unit 125 to generate the captured image as a JPEG image file, display thedisplay unit 113,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do.

여기서, 도 1에는 사용자 입력부로 버튼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사용자 입력부로는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터치 스크린 기능이 지원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되는 복수 개의 측거점들을 순차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측거점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소정의 AF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원 또는 다각형 등의 소정의 폐곡선을 그리는 방식을 이용하여 소정의 AF 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Here, although a button is illustrated as a user input unit in FIG. 1,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may be used as the user input unit. When the touch screen function is supported in the digital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F points may be set by sequentially touching the plurality of point points shown in the display unit to sequentially select the point points. Further, it may be possible to set a predetermined AF area using a method of drawing a predetermined closed curve such as a circle or a polygon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on the touch screen scree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AF(auto focus) 영역을 설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AF 영역을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easily setting an auto focus (AF) area at a point desired by a user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et the AF area using a simple and intuitive interface method, the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AF 영역 을 더욱 정밀하게 선택하기 위하여 3차원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metho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select the AF are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인 도 4에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3 참조)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화면의 중심부에 AF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도 1의 121 참조)의 중심에 위치한 5번 버튼은 프리뷰 영상의 확대/축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FIG. 4, which show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captured us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F area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preview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ee 113 of FIG. 1). It is shown as being. In this case, button 5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ser input unit (see 121 of FIG. 1) may perform a zooming / reducing function of the preview image.

예를 들어, 도 4a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상적인 프리뷰 영상을 나타내며, 도 4a의 상태에서 5번 버튼을 1회씩 입력함에 따라 프리뷰 영상의 화각을 수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상이 광축 방향으로 점점 더 확대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FIG. 4A illustrates a normal preview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S. 4B to 4D, the angle of view of the preview image is modified and output as the button 5 is pressed once in the state of FIG. 4A. As can be seen, the effect is such that the image is gradually enlarg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때, 원본 영상 자체는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의 깨어짐이나 어긋남 없이 프리뷰 화면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AF 영역을 더욱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유는, AF 수행 전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영상이 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원본 영상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맞게 축소한 영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대하여도, 사용자는 피사체를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original image itself is not enlarged, the user may view the preview screen without breaking or misaligning the image. The reason why the AF area can be selected more precisely is that the preview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efore performing AF is not an original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but an image reduced to fit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Therefore, even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enlarged, the user can clearly identify the subject.

한편, 도 4b 내지 도 4d의 어느 단계에서라도, 5번 버튼을 길게 1회 입력하면, 도 4a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의 전체적인 구도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in any of the steps of FIGS. 4B to 4D, when the button 5 is long pressed once, it may be set to return to the state of FIG. 4A.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quickly check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imag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향 버튼(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입력부의 5번 버튼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1, 4, 6, 8번 버튼)을 이용하여 AF 영역을 AF1에서 AF2으로 이동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in a state where the image is enlarged, the direction buttons (for example, buttons 1, 4, 6, and 8 locat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button 5 of the user input unit of FIG. 1) are presse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move the AF area from AF1 to AF2 by us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AF(auto focus) 영역을 설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AF 영역을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easily setting an auto focus (AF) area at a point desired by a user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et the AF area using a simple and intuitive interface method, the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improv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의 카메라 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amera phone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captured by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captured by us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1: 셔터-릴리스 버튼100: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1: shutter-release button

121: 사용자 입력부123: 촬상부121: user input unit 123: imaging unit

125: 영상 처리부127: 저장부125: image processing unit 127: storage unit

129: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Claims (11)

Translated fromKorean
AF(auto focus) 영역 설정을 위한 복수 개의 측거점이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int of reference for setting the AF (auto focus) area,상기 복수 개의 측거점 중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측거점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이 AF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a digital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an area defined by the range points selected by a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range points to be set as an AF area.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버튼들을 포함하고,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상기 복수 개의 버튼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측거점 각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correspond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anging points.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복수 개의 버튼은, 복수 개의 측거점 선택의 시작 및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시작/종료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The plurality of button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rt / end button for generating a start and end signal of a plurality of point selection.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버튼들을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측거점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상기 AF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setting the predetermined AF area by continuously inputting the buttons to select the reference points continuously.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선택된 측거점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폐곡선이 상기 AF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a closed curve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selected reference points to the AF area.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복수 개의 측거점들을 순차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측거점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AF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pports a touch screen function, and sequentially touches the plurality of range point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to sequentially select the range points and set the AF area. Processing unit.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폐곡선을 터치 방식으로 도시함으로써 상기 AF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pports a touch screen function and sets the AF area by showing a predetermined closed curve on a display unit in a touch manner.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프리뷰 영상의 확대 및 축소 신호를 발생하는 확대/축소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nlargement / reduction button for generating enlargement and reduction signals of the preview image.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상기 확대/축소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이 순차적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the preview image is sequentially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zoom button.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상기 확대/축소 버튼이 길게 입력되면, 상기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프리뷰 영상이 원상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when the enlargement / reduction button is long, the preview image being enlarged and displaye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상기 프리뷰 영상이 확대된 상태에서 방향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AF 영역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if the direction button is input while the preview image is enlarged, the AF area is moved.
KR1020090013515A2009-02-182009-02-18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ActiveKR101451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013515AKR101451129B1 (en)2009-02-182009-02-18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013515AKR101451129B1 (en)2009-02-182009-02-18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94200Atrue KR20100094200A (en)2010-08-26
KR101451129B1 KR101451129B1 (en)2014-10-15

Family

ID=4275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90013515AActiveKR101451129B1 (en)2009-02-182009-02-18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451129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8044314A1 (en)2016-09-012018-03-08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ocus based on focus target information
US10558848B2 (en)2017-10-052020-02-11Duelight Llc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an image with correct skin tone exposure
US10652478B2 (en)2012-09-042020-05-12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multiple exposures with zero interframe time
US10904505B2 (en)2015-05-012021-01-26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10924688B2 (en)2014-11-062021-02-16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low-noise, high-speed captures of a photographic scene
US10931897B2 (en)2013-03-152021-02-23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image sensor
US11375085B2 (en)2016-07-012022-06-28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US11463630B2 (en)2014-11-072022-10-04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igh-dynamic range (HDR) pixel stream
US12401912B2 (en)2014-11-172025-08-26Duelight Llc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12401911B2 (en)2014-11-072025-08-26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igh-dynamic range (HDR) pixel stream
US12445736B2 (en)2024-10-302025-10-14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136568A (en)*1997-10-311999-05-21Fuji Photo Film Co LtdTouch panel operation-type camera
JP2004117490A (en)*2002-09-242004-04-15Fuji Photo Optical Co LtdAutofocus system
JP3829144B2 (en)*2004-11-252006-10-04シャープ株式会社 Mobile device with focusing area adjustment camera
KR100668718B1 (en)*2005-09-272007-01-16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ow to change the auto focusing position for fixed screen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10652478B2 (en)2012-09-042020-05-12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multiple exposures with zero interframe time
US12003864B2 (en)2012-09-042024-06-04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multiple exposures with zero interframe time
US11025831B2 (en)2012-09-042021-06-01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multiple exposures with zero interframe time
US10931897B2 (en)2013-03-152021-02-23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image sensor
US11394894B2 (en)2014-11-062022-07-19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low-noise, high-speed captures of a photographic scene
US10924688B2 (en)2014-11-062021-02-16Duelight Llc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low-noise, high-speed captures of a photographic scene
US12401911B2 (en)2014-11-072025-08-26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igh-dynamic range (HDR) pixel stream
US11463630B2 (en)2014-11-072022-10-04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igh-dynamic range (HDR) pixel stream
US12401912B2 (en)2014-11-172025-08-26Duelight Llc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12418727B2 (en)2014-11-172025-09-16Duelight Llc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10904505B2 (en)2015-05-012021-01-26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11356647B2 (en)2015-05-012022-06-07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11375085B2 (en)2016-07-012022-06-28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US10785401B2 (en)2016-09-012020-09-22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ocus based on focus target information
US12003853B2 (en)2016-09-012024-06-04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ocus based on focus target information
WO2018044314A1 (en)2016-09-012018-03-08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ocus based on focus target information
EP3507765A4 (en)*2016-09-012020-01-01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ocus based on focus target information
US11455829B2 (en)2017-10-052022-09-27Duelight Llc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an image with correct skin tone exposure
US11699219B2 (en)2017-10-052023-07-11Duelight Llc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an image with correct skin tone exposure
US10586097B2 (en)2017-10-052020-03-10Duelight Llc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an image with correct skin tone exposure
US10558848B2 (en)2017-10-052020-02-11Duelight Llc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an image with correct skin tone exposure
US12445736B2 (en)2024-10-302025-10-14Duelight Llc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1451129B1 (en)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00094200A (en)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US8300135B2 (en)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86754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3076A (en) Bracketing Device and Method in Digital Image Processor
CN101441388B (en)Focu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22462B1 (en)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of
KR20130143381A (en)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15422A (en)Method for providing reference image and image photographing device thereof
KR20100003918A (en)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digital image capable of recognizing user
KR101812585B1 (en)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of
KR101396335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ce
US20220159192A1 (en)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KR20100094201A (en)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20090125602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same
KR101417811B1 (en) Zoom-in device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in digital image processor
KR101445610B1 (en)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KR20090090210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KR200901044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composition using face recognition in digital image processor
KR200901053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or
KR20090026938A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aring images in digital image processor
KR20100084835A (en)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36833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99565A (en)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46781B1 (en)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KR20090112397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A201Request for examination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927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1001

Year of fee payment:5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1001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2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