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 및 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동차를 원격 조종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distance and the terrai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vehic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relates to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ed.
종래에, 자동차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을 이용하여 시동을 걸거나 도어 록킹장치를 제어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가 공지된 바 있으며,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the related art,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for starting a vehicle or controlling a door locking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ler has been known and widely used.
이와 같은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는 리모콘을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시동 및 도어의 록킹을 제어할 시에 리모콘의 키패드를 통하여 해당 버튼을 눌러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리모콘으로 부터 송출하고, 이 제어신호를 록킹장치의 제어장치에서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하여 시동을 걸거나 도어를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Such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transmits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o switch to the open or closed state by pressing a corresponding button through the keypad of the remote control when the user controls the start and the door locking while the user carries the remote control. It is a device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of the locking device to determine the control signal to automatically start by the drive of a motor or the like or to switch the door to an open or closed state.
여기에서 사용되는 리모콘은 제어 장치와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는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이 신호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제어신호이다.The remote controller used herein transmits a signal that can be contro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rol device, which is a control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따라서, 사용자가 보유한 리모콘으로는 이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설치된 자동차 등에서만 작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remote control possessed by the user can be operated only in a car or the like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은 FM 방식의 일대일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리모콘과 자동차의 제어 장치 사이의 거리에 제약이 있으며, 또한, 리모콘과 자동차의 제어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그 사용에 제약을 받았다.However, since such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es FM-based one-to-one communica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obstacle is located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Restricted
또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사용자수가 급증하게 되어 동일 장소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리모콘에 대응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등이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도의에 어긋난 목적을 가진 자가 동일 주파수를 획득하므로 인하여 해당 자동차 등을 탈취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use of the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creases, the number of users rapidly increases, so that a vehicle or the like equipped with a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possessed by the user at the same place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purpose of the purpose of the drawing is not inten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erson having the same frequency can deodorize the vehicle.
한편,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를 적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Meanwhile, recently,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a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pplying a car remote control system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대부분의 원격 제어 시스템도 상기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제어 장치 사이의 거리 및 장애물에 영향을 받으며, 주파수 대역의 영향을 받는다.However, most of these remote control systems are also affected by the distance and obstacle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 device, as well as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remote control, and are affected by the frequency band.
또한, 상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자동차 키(key)를 분실하는 경우, 자동차의 도난의 우려가 상당하였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described above have a considerable risk of theft of a vehicl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vehicle key is lost.
한편, 본 출원인이 선행특허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상기와 같은 기존 리모컨의 단거리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무선 공중통신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자동차의 시동 및 도어 개폐 등에 한정된 기능만 갖고 있어서 사용상의 제약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use a wireless public communication system to overcome the short-rang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remote control in the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ior patent, but is limited to start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car There was only a function, so there was a limitation in use.
그리고, 타인에 의한 자동차의 운행, 예를 들어 주차 위탁, 자동차 수리에 따른 일시 위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자동차의 관리 주체를 일시적으로 이관해주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비밀번호의 관리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problem such as driving a car by another person, for example, a car consignment or a temporary consignment due to a car repair, has to be temporarily transferred to a car management subjec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managing a passwor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 및 지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not affected by the distance and terrai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vehic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 purpose is to.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차의 거리에 상관없이 자동차의 시동 제어와 도어개폐 제어는 물론, 자동차 일시 위탁에 따른 제어권의 이양과, 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transfer of control rights according to the temporary contract of the car, as well as the start control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car regardless of the distance of the car.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이 가능한 제 1통신모듈, 제 1메모리, 단말기 운용과 자동차 제어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제 1디스플레이, 제 1조작부, 음성 신호를 입출력시켜 주는 음성 입출력부, 및 상기 제 1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통신모듈을 통한 통신과 자동차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설정과 자동차의 제어 및 자동차의 상태 확인 중 적어도 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1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무선 이동 통신망; 및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1통신모듈과 무선 이동 통신을 하는 제 2통신모듈, 제 2메모리, 자동차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 제어부,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제 2조작부, 제 2디스플레이, 상기 제 2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시동 및 도어 개폐 제어와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 2통신 모듈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 2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 first memory, a first display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rminal operation and the vehicle control operation, the first operation unit, the voice input and output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 first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f setting a control signal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vehicle, controlling the vehicle, and checking the state of the vehicle by manipulation of the first operation unit. A terminal;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mobile communi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memory, a star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vehicle, a door controll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an alarm.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alarm unit, the second operation unit, the second displa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of the start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and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vehicle terminal including a second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to deliver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제 1제어부는 통신 모드와 자동차 제어모드 중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 제어모드는 엔진 시동 및 정지, 도어 열기 및 닫기, 현재 위치 확인 중 적어도 어느 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select any one of a communication mode and a vehicle control mode, and the vehicle control mode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of starting and stopping an engine,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 checking a current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ccurs.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와의 상호 인식을 위한 단말기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terminal setting function for mutual recognition with the vehicle terminal.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가 설치된 자동차의 위탁 관리를 위한 일시 비밀 번호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temporary password setting function for consignment management of a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terminal is installed.
상기 제 1메모리에는 시동 유지 시간 프로그램, 비밀 번호 설정 프로그램,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만 자동차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사용자가 키(key)를 이용하여 수동 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memory stores a start holding time program, a password setting program, a program for starting the car only to the user terminal, and a program for allowing the user to switch to the manual mode by using a key. It features.
상기 제 2제어부는 상기 제 2조작부를 통해 기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외의 다른 단말기의 사용을 등록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register and use the use of another terminal other than the user terminal previously registered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unit.
상기 제 2제어부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GPS 모듈을 통한 자동차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길 안내를 상기 제 2디스플레이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wherei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estination road guidanc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상기 제 2제어부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자동차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제 2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wherein the camera photographs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stores them in the second memory.
상기 제 2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transmit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가 설치된 자동차의 도어 열기 및 닫기, 엔진 시동 및 정지, 자동차의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단축키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starting and stopping an engine, and checking a current position of a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terminal is installed.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간에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에 의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적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determine suitability of the user terminal by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state where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자동차 단말기는 스마트 키 기능을 구현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terminal a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ule capable of implementing a smart key func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근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해 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a vehicl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ardless of the distance.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시 위탁에 따른 일시 비밀 번호 설정을 통해 자동차 관리를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car through the temporary password set according to the temporary consignment of the car.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망 또는 GPS 모듈을 통해 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 automobi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이동 통신망(50)에 통신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자동차 단말기(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nd a vehicle terminal 20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이동 통신이 가능한 제 1통신모듈(12), 사용자 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메모리(13), 사용자 단말기(10)의 운용과 자동차의 제어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제 1디스플레이(16), 사용자 단말기(10)의 조작을 위한 제 1키패드(14),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한 통신과 자동차 원격 제어를 위한 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음성 입출력부(15), 및 상기 제 1키패드(14)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통신모듈(12)을 통한 통신과 자동차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설정과 자동차의 제어 및 자동차의 상태 확인 중 적어도 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1제어부(11)로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10 i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 capable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20 The first memory 13 for storing th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the first display 16 indica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ontrol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keypad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 14)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5 for input / output of voice signals for communication via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 by operating the first keypad 14. The
상기 제 1키패드(14)와 아래의 제 2키패드(30)는 키패드는 물론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도 구현 가능하다.The first keypad 14 and the second keypad 30 below may be implemented by an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using each display as well as a keypad.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는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5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제 1통신모듈(12)과 무선 이동 통신을 하는 제 2통신모듈(22),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의 운용에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23), 자동차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 제어부(26),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 제어 하는 도어 제어부(27),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28), 상기 제 2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시동 및 도어 개폐 제어와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 2통신 모듈(22)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 2제어부(21)로 구성된다.The vehicle terminal 20 i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 for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 of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the vehicle terminal 20 A second memory 23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vehicle, a
또한, 상기 제 2제어부(21)는 데이터 입력 또는 조작을 위한 제 2키패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는 상기 제 2제어부(21)에 연결된 GPS 모듈(24)과 제 2디스플레이(25)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현재 위치 확인 및 길 안내(navigatio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20 may include a GPS module 24 and a second display 25 connected to the
이때, 도 1에는 상기 GPS 모듈(24)과 상기 제 2디스플레이(25)를 포함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상기 GPS 모듈(24)과 상기 제 2디스플레이(25)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설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GPS module 24 and the second display 25 is illustrated in FIG. 1, the GPS module 24 and the second display 25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user's purpose of use. You can also make a decision.
이는 자동차를 타인이 이용할 경우에 자동차의 보안 상태를 다른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게 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자동차의 도난 등과 같은 이유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다른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용하는 경우에 자동차의 현재 위치 확인 등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황이 상기 제 2디스플레이(25)에 표시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GPS 모듈(24)은 자동차의 현재 위치 확인이 무선 이동 통신망(50)이 셀(cell) 방식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에는 필요 없기 때문이다.This may be used to prevent other users from verifying the security state of the car when others use the car. In other words, to preve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ion such as check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performed in the second display 25 when another user operates the vehicle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for example, due to theft of the vehicle. This is because the GPS module 24 is not necessary when the current position confirmation of the vehicle is performed when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is confirmed by the cell method.
상기 제 1제어부(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자동차 제어모드를 사용자 단말기(10) 상에서 설정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2, the
즉, 도 2의 (A)와 같이, 자동차 제어모드는 엔진 시동(A-1), 도어 열기(A-2), 도어 닫기(A-3), 현재 위치 확인(A-4), 단말기 설정을 위한 초기 설정(A-5),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한 제어가 아닌 수동 제어 설정을 위한 수동 제어 설정(A-6), 자동차 제어를 사용자 단말기(10)의 단축키를 통해 가능하도록 하는 단축키 설정(A-7) 등의 동작과 설정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 the vehicle control mode includes engine start (A-1), door open (A-2), door close (A-3), current position check (A-4), and terminal setting. Initial setting (A-5) for the control, manual control setting (A-6) for manual control setting rather than control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shortcut key to enable the vehicle control through the shortcut key of the user terminal 10 It consists of operation and setting of setting (A-7).
상기 초기 설정(A-5, B)은 자동차 단말기(20)에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0)를 등록하기 위한 단말기 설정(B-1),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권을 허용하기 위해 확인용으로 사용되는 비밀번호 설정(B-2), 상기 시동(A-1)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 유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동 유지 시간 설정(B-3)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initial setting (A-5, B) is a terminal setting (B-1) for registering the user terminal 10 capable of remote control in the vehicle terminal 20, to allow the use of the user terminal 10 A password setting (B-2) used for confirmation, a start holding time setting (B-3) for setting a start holding time of the vehicle by the start-up (A-1), and the like.
상기 단말기 설정(B-1)은 사용자 단말기(10)의 ID 즉,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설정 가능하다.The terminal setting (B-1) can be set using an ID of the user terminal 10, that is, a telephone number.
상기 비밀 번호 설정(B-2)은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사용권 허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를 제어하고자 할 때에 인증 수단으로 상기 비밀 번호 설정(B-2)에서 설정된 비밀 번호를 이용한다.The password setting (B-2) is related to the user's permission to use the user terminal 10 registered in the vehicle terminal 20. The user terminal 10 uses the vehicle terminal ( 20, the password set in the password setting (B-2) is used as the authentication means.
여기서, 인증 수단은 상기 비밀 번호 외에 생체 정보와 같이 개인의 고유성을 가지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authentication means may use other information having uniqueness of an individual, such as biometric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assword.
한편, 자동차를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상황, 예를 들어, 자동차의 주차 위탁이나 자동차의 수리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임시로 시효성(언제부터 언제까지 일시로 설정된 시간)을 가지는 비밀 번호와 사용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같이 자동차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의 ID(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일시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ituation in which a car is used by another person instead of the user, for example, a parking entrustment of a car or a repair of a car, the aging is temporarily applied to the vehicle terminal 20 (when and when. A password having a set time and an ID (for example, a phone number) of another user terminal (preferably a terminal includ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such as the user terminal) to be used can be temporarily made available. Can b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분실한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등록하여 계속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는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재수행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lost, another user terminal must be registered and used continuously in the vehicle terminal 20, and thus the vehicle terminal 20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re-registering the user terminal. Process.
이때의 인증 과정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통신 접속을 한 후에, 등록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새로 등록할 사용자 단말기의 ID를 등록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a user inputting a password for registration after accessing a communication through another user terminal, and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 ID of a user terminal to be newly registered is registered.
여기서, 상기 자동차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은 상기와 같은 비밀 번호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생체 인증 수단을 상기 제 2제어부(2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일시 비밀 번호 등록과 같은 시효성은 없다.Here, although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is preferably made through the above password,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biometric authent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원격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이동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접속할 때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50)간에 사전에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비밀 번호를 모르면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대한 접속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a user other tha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 to remotely control the vehicle using another terminal, the other terminal using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via the vehicle terminal ( 20 to input a preset password between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thereby preventing access to the vehicle terminal 20 without knowing the password. do.
이와 같은 단말기와 무선 이동 통신망(50)간의 비밀 번호 설정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분실로 인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할 때에 사용자의 적부 여부를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ssword setting proces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may prevent theft of the vehicle becaus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user is appropriate when using another user terminal due to the loss of the user terminal 10.
이와 같이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대한 접속 여부는 상기 설명과 같이 자동차 단말기(20)에 의한 비밀 번호 설정 방법과 무선 이동 통신망(50)에 의한 비밀 번호 설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중의 보안 단계를 통해 보다 안전한 자동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vehicle terminal 20 is performed is performed through a password setting method by the vehicle terminal 20 and a password setting process by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as described above. Safer car manag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특히, 이러한 관리는 초기 접속 단계에서만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따른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such management may be made only in the initial connection stage, the inconvenience of repeated use can be eliminated.
상기 시동 유지 시간 설정(B-3)은 상기 자동차 제어모드(도 2의 A)에서의 엔진 시동(A-1)이나 단축키에 의한 엔진 시동에 의해 상기 자동차 단말기(20)가 시동 제어부(26)를 통해 엔진을 시동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별도 제어가 없는 상태에서 시동을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이 설정되면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의 제 2메모리(23)에 저장되며, 이때의 시간은 자동차의 엔진 상태나 외부 기온의 상태에 따라 적당한 시간(예를 들어 5분 내지 20분)이 바람직하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의 제 2제어부(21)는 상기 시동 제어부(26)를 통해 엔진을 시동 상태로 유지한다.The start holding time setting (B-3) is the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에 대한 사용권 허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를 제어하고자 할 때에 인증 수단으로 상기 비밀 번호 설정(B-2)에서 설정된 비밀 번호를 이용한다.It is related to the permission of the user terminal 10 registered by the user in the vehicle terminal 20, and when using the user terminal 10 to control the vehicle terminal 20 as an authentication means The password set in the password setting (B-2) is used.
그리고, 자동차 제어모드(도 2의 A)에서 수동 제어 설정(A-6)은 상기 자동차 단말기(20)가 설치된 자동차의 제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만을 통해 제어 가능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자동차 열쇠를 통하여 가능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양쪽 모두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에 따라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는 설정 상태가 저장되어 그 상태로 제어되게 한다.In the vehicle control mode (A of FIG. 2), the manual control setting (A-6) enables control of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terminal 20 is install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only, or the car key. It is to set whether to enable through or both to enable, according to the setting is stored in the vehicle terminal 20 is set to be controlled in that state.
이때, 수동으로 자동차를 시동할 때에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의 키패드(30)를 통해 별도의 비밀 번호를 입력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manually started, theft of the vehicle may be prevented by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through the keypad 30 of the vehicle terminal 20.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분실로 인하여 다른 사용자가 자동차 단말기(20)에 접속할 때에 자동차 운행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동차에 대한 시동까지는 가능하나 상기 제 2키패드(30)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수행하게 하고, 비밀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별도의 사이드 브레이크(주차 브레이크) 및/또는 가속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주차 브레이크) 및/또는 가속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자동차의 운행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driving of a vehicle when another user accesses the vehicle terminal 20 due to the loss of the user terminal 10, the vehicle can be started up but the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second keypad 30. Process, and if the passwords do not match, separate side brakes (parking brakes) and / or accelerator control devices prevent the side brakes (or parking brakes) and / or the accelerators from operating,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an do.
또한, 자동차 제어모드(도 2의 A)에서 단축키 설정(A-7)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자동차 단말기(20)가 설치된 자동차의 제어를 할 때에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도 2의 (A)와 같은 화면 단계를 통해 자동차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간편한 제어를 위해 자주 이용되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기(10)의 키패 드(14) 상에서 구현 가능한 최소한의 키 입력을 통해 구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ontrol mode (A of FIG. 2), the shortcut key setting A-7 i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 when controlling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terminal 20 is installed using the user terminal 10. Instead of controlling the car through the screen steps as shown in (A) of FIG. 1,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for easier control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minimum key input that can be implemented on the keypad 14 of the user terminal 10. It is to.
도 2의 (C)와 같이, 단축키의 이용을 도어 열기(C-1), 도어 닫기(C-2), 엔진 시동(C-3), 엔진 정지(C-4), 현재 위치 확인(C-5)을 위한 키를 표 1과 같이 설정하고(물론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해당 키를 입력하면 자동차 단말기(20)에 해당 제어 신호가 전송되게 한다.As shown in (C) of FIG. 2, the use of the shortcut key is used to open the door (C-1), close the door (C-2), start the engine (C-3), stop the engine (C-4), and check the current position (C). -5) is set 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t differently, of course), and if the corresponding key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20.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상기 자동차 단말기(20)가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50)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자동차 원격 조종을 위한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키패드(14)를 통해 발생되는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서로 간에 통신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로 전달되는 SMS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for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vehicle terminal 20 is communicated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through the keypad 14 of the user terminal 10 The generated signal may be used 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 SMS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the vehicle terminal 20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made between each other.
상호 단말기간의 통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14)를 통한 제어 신호의 발생은 상기 키패드(14)의 클릭에 따라 발생되는 다중 주파수 신호(MFC)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무선 이동 통신망(50)의 통신 규약에 따른 별도의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다.Generation of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keypad 14 in a state wher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performed may use a multi-frequency signal (MFC) generated by the click of the keypad 14, but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may It can generate and use separate signal according to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SMS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단말기(20)에 자동차 제어용으로 수신되는When the SMS message is used, the vehicle terminal 20 is received for vehicle control.
사용자 단말기의 콜러 ID(CID)와 제어 문자 헤더 및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자동차 제어모드(도 2의 (A)에 SMS 작성 루틴을 별도로 부가하여 자동으로 작성되게 하여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로 전송되게 한다.The user can arbitrarily create and send an SMS message including a caller ID (CID), a control character header, and a control code of the user terminal, or automatically add an SMS writing routine to the vehicle control mode ((A) of FIG. 2).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20.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CID를 통한 사용자 확인과 함께 제어코드를 해석하여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한다.The vehicle terminal 20 receives the SMS message including the control code, interprets the control code together with user confirmation through the CID,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control.
여기서,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는 제어 신호 또는 코드의 수신에 따른 제어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달 방법은 통화 접속을 통한 음성 안내나 SMS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hicle terminal 20 preferably transmits the control performance result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or the code to the user terminal 10. The transmission method may be delivered through voice guidance or SMS message through a call connection. have.
상기 GPS 모듈(24)은 자동차를 주차 시나 도난 시 자동차의 위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GPS 코드를 수신하여 그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달하는데 이용된다.The GPS module 24 is used to receive the GPS code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position to the user terminal 10 so as to facilitat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stolen.
그리고, 상기 GPS 모듈(24)은 상기 제 2메모리(23)에 별도 저장된 맴 데이터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25)를 이용하여 항법 장치(navigator)로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PS module 24 may be used as a navigation device by using the data stored separately in the second memory 23 and the second display 25.
이때, 상기 제 2메모리(23)에 맵 데이터가 수록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 확인 제어가 이루어지면 GPS 데이터 즉, 위도 및 경도 데이터 외에 해당 위치의 행정 구역 명칭 및/또는 주변의 지명도가 높은 지명(예를 들어, 유명 건물 등)을 같이 전달하여 위치 확인 절차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positioning control is performed while the map data is recorded in the second memory 23, the name of the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 or the name of a high name of the surrounding place besides the GPS data, that is, the latitude and longitude data (for example, For example, famous buildings, etc. can be delivered together to simplify the location confirmation process.
아울러, 상기 제 2제어부(21)에 카메라(29)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별도로 지정된 경로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29 may be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자동차 단말기(20)는 ARS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ARS 시스템은 자동차 원격 제어를 위한 절차 예를 들어, 사용자 확인을 위한 비밀 번호 입력 절차 안내 및 입력, 제어 종류 선택을 위한 절차 안내 및 선택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terminal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RS system, the ARS system is a procedure for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password input procedure guide and input for the user confirmation, the procedure guide for selecting the control type And control the car through the selection.
이와 같은 상기 ARS 시스템을 통한 제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분실이나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자동차의 제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Such control through the ARS system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loss of the user terminal 10 or the control of the vehicle through another us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상기 자동차 단말기(20)에 스마트 키 시스템 모듈을 부가함으로써, 스마트 키 시스템 기능을 구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smart key system module to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vehicle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mart key system function.
본 발명은 기존의 자동차 리모컨에 비해 휴대성과 통신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원거리에서도 제어 가능하므로 자동차의 운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ehicle since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from a long distanc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cellent portability 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r remote contr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of a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4699AKR20090089501A (en) | 2008-02-19 | 2008-02-19 |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4699AKR20090089501A (en) | 2008-02-19 | 2008-02-19 |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89501Atrue KR20090089501A (en) | 2009-08-2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14699ACeasedKR20090089501A (en) | 2008-02-19 | 2008-02-19 |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90089501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39930B1 (en)* | 2010-12-31 | 2013-03-06 | 허광모 |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ed by mobile phone |
| KR101385618B1 (en)* | 2011-11-22 | 2014-04-16 | 주식회사 케이티 | Car remote control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r control system |
| US8868254B2 (en) | 2012-06-08 | 2014-10-21 | Apple Inc. | Accessory control with geo-fencing |
| US9669783B2 (en) | 2015-03-19 | 2017-06-06 | Hyundai Motor Company | Vehicle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10166948B2 (en) | 2014-05-08 | 2019-01-01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 | Mobile device system for remote starting and management of a vehicle |
| CN115866130A (en)* | 2022-11-21 | 2023-03-28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Prompt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39930B1 (en)* | 2010-12-31 | 2013-03-06 | 허광모 |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ed by mobile phone |
| KR101385618B1 (en)* | 2011-11-22 | 2014-04-16 | 주식회사 케이티 | Car remote control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r control system |
| US8868254B2 (en) | 2012-06-08 | 2014-10-21 | Apple Inc. | Accessory control with geo-fencing |
| US9168927B2 (en) | 2012-06-08 | 2015-10-27 | Apple Inc. | Accessory control with geo-fencing |
| US9763041B2 (en) | 2012-06-08 | 2017-09-12 | Apple Inc. | Accessory control with geo-fencing |
| US10166948B2 (en) | 2014-05-08 | 2019-01-01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 | Mobile device system for remote starting and management of a vehicle |
| USRE50177E1 (en) | 2014-05-08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device system for remote starting and management of a vehicle |
| US9669783B2 (en) | 2015-03-19 | 2017-06-06 | Hyundai Motor Company | Vehicle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15866130A (en)* | 2022-11-21 | 2023-03-28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Prompt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2215926T3 (en) | INSTALLATION OF COMMUNICATIONS OF A CAR AND PROCEDURE FOR THE ESTABLISHMENT OF A CALL DEVICE. | |
| US20160217635A1 (en) |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 |
| CN108306940B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dification of information transmitted by appliance activation | |
| CN108882200A (en) | Key card is operated in Car sharing system | |
| US7363061B2 (en) | Information registering and retrieving system, in-vehicle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 |
| KR101745443B1 (en) | Authentication system for driver of vehicle | |
| US20090074193A1 (en) | Method for accessing a user operable device of controlled access | |
| CN104778773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guard by mobile phone | |
| JP2016511191A (en) | Method for making a vehicle available and corresponding system for making a vehicle available | |
| KR20090089501A (en) |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WO2007063161A1 (en) | System for wirelessly controlling devices using an apparatus including a mobile telephone | |
| US20220180679A1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 CN106686022A (en) |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 |
| US11390247B2 (en) | Motor vehicle entry and/or starting system | |
| US20040198311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service access reques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WO2022078193A1 (en) |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 CN103826322A (en) | Mobile terminating packet connection | |
| US20170346942A1 (en) | Anti-distracted driver system | |
| CN105644501A (en) |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remote control of automobile | |
| JP3580788B2 (en) | Unlocking method and lock control device | |
| KR101406192B1 (en) | Car access control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 KR102010730B1 (en) | Method and key device for operating at least one function of a vehicle by means of a portable key device | |
| WO2002071786A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constituting the same | |
| CN101631301B (en) | Method for switching a telematics 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of | |
| US20110003588A1 (en) |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an apparatus with a mobile phon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802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9061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9083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9061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