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90077480A -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480A
KR20090077480AKR1020080003462AKR20080003462AKR20090077480AKR 20090077480 AKR20090077480 AKR 20090077480AKR 1020080003462 AKR1020080003462 AKR 1020080003462AKR 20080003462 AKR20080003462 AKR 20080003462AKR 20090077480 AKR20090077480 AKR 2009007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guide
user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현
홍노경
김현기
유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462ApriorityCriticalpatent/KR20090077480A/ko
Priority to US12/172,610prioritypatent/US20090179867A1/en
Publication of KR2009007748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90077480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UI 제공방법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 조작 가이드, MP3, 문지름

Description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Method for providing UI to display operation guide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UI(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는 사용자와 밀접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게 생산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와 같은 아이템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에 의한 GUI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UI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터치스크린은 매우 다양한 입력방식이 존재한다. 또한, 입력방식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에 대해서, 키보드 등과는 달리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함에 있어, 터치스크린의 입력방식에 따라 어떤 기능이 수행되는지를 미리 알아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한 방식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를 디스플레이 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터치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조작 가이드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 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가이드는, 사용자의 문지름 조작의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지름 조작의 방향은, 상, 하, 좌, 우의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조작 가이드를 상기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터치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조작 가이드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정 방향의 문지름이 입력된 경우, 상기 특정 방향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상기 조작 가이드가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 가이드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터치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조작 가이드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가이드는, 사용자의 문지름 조작의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지름 조작의 방향은, 상, 하, 좌, 우의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상기 조작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터치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조작 가이드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방향의 문지름이 입력된 경우, 상기 특정 방향에 해당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상기 조작 가이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 가이드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경우 조작 가이드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조작 방법을 미리 알고 있을 필요 없이 바로 확인하여 터치스크린을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 맞게 조작 가이드를 표시해주므로, 사용자는 각 모드에 따라 달라지는 기능을 일일이 암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는 인터페이스(110), 저장부(120), 코덱(130), 오디오 처리부(140), 오디오 출력부(145), 비디오 처리부(150), GUI 생성부(153), 비디오 출력부(155), 제어부(160) 및 터치스크린(170)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110)는 컴퓨터와 MP3 플레이어를 연결시켜준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받는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컴퓨터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한다.
저장부(12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MP3 플레이어의 저장부(120)는 음악파일, 비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MP3 플레이어의 작동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코덱(130)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코덱(130)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그리고 코 덱(130)은 압축이 해제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오디오 처리부(140) 및 비디오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130)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향 처리, 잡음 제거, 이퀄라이징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처리된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145)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45)는 오디오 처리부(14)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 등으로 출력한다.
비디오 처리부(150)는 코덱(13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해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비디오 처리부(150)는 처리된 비디오를 GUI 생성부(153)로 출력한다.
GUI 생성부(153)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비디오 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에 부가한다.
비디오 출력부(155)는 GUI 생성부(153)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비디오를 터치스크린(170)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터치스크린(170)은 비디오 출력부(155)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7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MP3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에서 터치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인 조작 가이드가 터치스크린(17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조작 가이드는 사용자가 특정 터치 입력을 수행한 경우, 어떤 기능이 수행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가이드이다. 즉, 조작 가이드는 터치스크린(170)의 조작 방법에 대해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계속되는 동안, 조작 가이드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면, 조작 가이드가 터치스크린(170) 상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가 화살표 모양과 각 화살표에 따른 기능이 표시된 GUI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추후에 기술한다.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가 사용자의 문지름 조작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가 터치스크린을 위로 문지른 경우 스크롤 업, 아래로 문지른 경우 스크롤 다운, 좌로 문지른 경우 뒤로(Back), 우로 문지른 경우 플레이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을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가 상하좌우 방향 이외에 대각선 방향들에 대해서도 기능을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가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서 지원 가 능한 기능들만을 안내하도록 제어한다. 그럼으로써,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에 표시되는 조작방법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고하여 추후 상세히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가이드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에 현재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10).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터치스크린(170)에는 메인화면, 카테고리 리스트 화면, 음악파일 리스트 화면 또는 음악 재생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 후에,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 만약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면(S220-Y),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S230). 이 때, 제어부(160)는 조작 가이드를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터치한 위치에서 어떤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70)을 문지르는가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이 달라진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특정 방향의 문지름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만약,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 상에서 특정 방향의 문지름을 입력하였다면(S240-Y), 제어부(160)는 특정 방향의 문지름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S245).
예를 들면,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가 음악파일 리스트가 표시된 모드인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윗방향 문지름이 입력된 경우 스크롤 업, 아랫방향 문지름이 입력된 경우 스크롤 다운, 좌방향 문지름이 입력된 경우 뒤로(Back), 우방향 움직임이 입력된 경우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특정방향의 문지름 입력 없이(S240-N) 터치입력이 종료된 경우(S250), 제어부(160)는 조작가이드가 터치스크린(170) 상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S255). 즉, 조작가이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만 표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 상에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터치스크린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조작 방법의 종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70)의 터치입력의 종류는 탭(Tap), 더블탭(Double Tap), 터치 앤 홀드(Touch & Hold), 문지름(Flick), 플릭 앤 홀드(Flick & Hold), 터치 앤 무브(Touch & Move),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 제스처 인식(Gesture Recognition) 및 문자인식(Character Recognition)이 있다.
탭(Tap)은 터치스크린(170)을 짧은 시간동안 한번 터치했다가 떼는 입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탭은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하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가 되어야 한다. 탭은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더블탭(Double Tap)은 터치스크린(170)을 짧은 시간동안 두번 터치했다가 떼는 입력을 의미한다. 더블탭은 마우스의 더블클릭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
터치 앤 홀드(Touch & Hold)는 터치스크린(170) 상의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터치 앤 홀드는 특정시간 이상동안 터치스크린(170)의 한 지점을 계속 터치한 경우가 된다. 터치 앤 홀드는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와 유사하다.
문지름(Flick)은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한 후 터치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지름(Flick)은 스트록(Stroke)이라고도 표현한다.
플릭 앤 홀드(Flick & Hold)는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한 후, 특정 지점에서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앤 무브(Touch & Move)는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드래그 앤 드랍(Drag &Drop)은 터치스크린(170)에 표시된 아이템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다른 지점으로 문지름으로써 선택된 아이템을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에, 터치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래그하는 것과 유사하다.
제스처 인식(Gesture Recognition)은 미리 저장된 형태의 제스처를 터치스크린(170) 상에서 입력받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을 문질러 삼각형을 그렸다면, 터치스크린(170)은 삼각형이 입력되었음을 제어부(160)로 알리게 된다.
문자인식(Character Recognition)은 미리 정해진 문자를 터치스크린(170) 상에서 입력받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을 문질러 영문자 'M'을 썼다면, 터치스크린(170)은 영문자 'M'이 입력되었음을 제어부(160)로 알리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70)에는 다양한 종류의 터치 입력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종류의 터치입력 이외에도 더욱 다양한 종류의 터치입력이 존재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터치입력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모두 기억할 수는 없다. 따라서, 조작 가이드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지름(Flick)이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한 후 터치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나,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써 문지름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문지름이라는 용어는 도 3에 도시된 문지름(Flick), 플릭 앤 홀드(Flick & Hold) 및 터치 앤 무브(Touch & Move)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의 도 3에 대한 설명 이외에서 사용된 '문지름'이라는 용어는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상태에서 문지르는 입력이라면 어떤 입력이든지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조작 가이드의 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70)에 음악파일 리스트(400)가 표시되어 있다. 터치입력이 없는 경우, 터치스크린(170)에는 음악파일 리스트(400)만 표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상에 조작 가이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경우, 음악파일 리스트(400)에서 터치된 위치에 표시된 음악파일(510)이 하이라이트된다. 그리고, 조작가이드(520)가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의 4방향 화살표 형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각 화살표 끝에는 각 방향에 해당하는 기능들이 표시된다.
또한, 도 5에 따르면, 조작가이드(520)는 진하게 표시되고, 음악파일 리스트(400)는 반투명 상태로 표시된다. 하지만, 조작 가이드(520)가 반투명하게 표시되고 음악파일 리스트(400)는 표시되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서는 윗방향 화살표에 'Scroll up', 아랫방향 화살표에 'Scroll down', 좌방향 화살표에 'Back', 우방향 화살표에 'Play'가 표시된다. 즉, 조작 가이드(520)는 윗방향 문지름이 'Scroll up', 아랫방향 문지름이 'Scroll down', 좌방향 문지름이 'Back', 우방향 문지름이 'Play'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안내해 준다.
이와 같이, 화살표 끝부분에 기능을 표시하는 형태로 조작 가이드(520)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조작가이드는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표시 가능함은 물론 이다. 또 다른 표현방식에 대해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상에 조작 가이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파일(610)을 터치한 경우, 조작가이드(620)는 터치된 부분에 화살표 모양만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방향에 대한 기능은 음악파일 리스트(400) 하단에 표시된 안내영역(63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안내영역(630)을 두어 각 방향에 해당하는 기능을 표시할 경우, 음악파일 리스트와 겹치지 않게 기능이 표시되므로, 기능에 대해 사용자가 더욱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 별로 표시되는 조작가이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4개의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화면 모드(710), 카테고리 리스트 모드(720), 음악파일 리스트 모드(730) 및 음악재생 모드(740)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화면 모드(710)에서는 MP3 플레이어가 지원하는 각종 메뉴가 표시된다. 메인화면 모드(710)에서는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만 필요하다. 그러므로,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경우, 조작 가이드(715)는 우방향 화살표와 'Select'만 포함된 형태로 표시된다.
메인화면 모드(710)에서 사용자가 특정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터치한 후 우 방향으로 문지름을 입력하면, 특정 메뉴가 선택되어 선택된 메뉴에 해당되는 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사용자가 메인화면 모드(710)에서 음악듣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 카테고리 리스트 모드(720)로 넘어가게 된다.
카테고리 리스트 모드(720)는 음악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카테고리들이 표시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Artists', 'Albums', 'Songs', Genres', 'Playlists' 등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카테고리 리스트 모드(720)에서는 선택 기능 및 뒤로가기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카테고리 리스트 모드(720)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경우, 조작 가이드(725)는 좌우 방향의 화살표, 우방향 화살표에 'Select', 좌방향 화살표에 'Back'이 포함된 형태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Songs'가 표시된 위치를 터치한 후 우방향 문지름을 입력한 경우, 음악파일 리스트 모드(730)로 넘어가게 된다.
음악파일 리스트 모드(730)는 음악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는 모드이다. 음악파일 리스트 모드(730)에서는 스크롤 업, 스크롤 다운, 뒤로가기 및 재생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음악파일 리스트 모드(730)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경우, 조작 가이드(735)는 상하좌우 방향의 화살표, 상방향 화살표에 'Scroll up', 하방향 화살표에 'Scroll down', 좌방향 화살표에 'Back', 우방향 화살표에 'Play'가 포함된 형태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특정 음악파일이 표시된 위치를 터치한 후 우방향 문지름을 입력한 경우, 선택된 음악파일이 재생된다.
음악재생 모드(740)는 선택된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모드이다. 음악재생 모드(740)에서는 볼륨 업, 볼륨 다운, 이전곡 듣기 및 다음곡 듣기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악재생 모드(740)에서 터치스크린(170)을 터치한 경우, 조작 가이드(745)는 상하좌우 방향의 화살표, 상방향 화살표에 'Vol +', 하방향 화살표에 'Vol -', 좌방향 화살표에 'Prev', 우방향 화살표에 'Next'가 포함된 형태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조작 가이드가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만을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지원되는 기능이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가이드가 필요한 기능만을 표시해 주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고 간단하게 MP3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가이드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의 방향에 대해서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조작 가이드는 상하좌우 외에 대각선 방향을 포함해 총 8개의 방향에 대한 문지름에 해당되는 기능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문지름에 대한 기능을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조작가이드는 시계방향의 화살표와 'Scroll up', 반시계방향 화살표와 'Scroll down'이 표시된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기기는 MP3 플레이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의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는 어떠한 멀티미디어 기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 론이다. 예를 들면, PMP(Portable Media Player),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PDA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가이드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조작 방법의 종류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상에 조작 가이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상에 조작 가이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인터페이스 120 : 저장부
130 : 코덱 140 : 오디오 처리부
150 : 비디오 처리부 160 : 제어부
153 : GUI 생성부 170 : 터치스크린
520 : 조작 가이드

Claims (16)

KR1020080003462A2008-01-112008-01-11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CeasedKR20090077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03462AKR20090077480A (ko)2008-01-112008-01-11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US12/172,610US20090179867A1 (en)2008-01-112008-07-14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isplay operating guid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03462AKR20090077480A (ko)2008-01-112008-01-11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77480Atrue KR20090077480A (ko)2009-07-15

Family

ID=4085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0003462ACeasedKR20090077480A (ko)2008-01-112008-01-11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US (1)US20090179867A1 (ko)
KR (1)KR200900774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30058593A (ko)*2011-11-252013-06-04삼성전자주식회사휴대단말기의 오브젝트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50006210A (ko)*2013-07-082015-01-16삼성전자주식회사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595186B2 (en)2010-01-042017-03-14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combining functions of touch screen and remote contro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35687A (ko)*2017-06-132018-12-21네이버 주식회사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8483853B1 (en)2006-09-122013-07-09Sonos, Inc.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9202509B2 (en)2006-09-122015-12-01Sonos, Inc.Controlling and grouping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8788080B1 (en)2006-09-122014-07-22Sonos, Inc.Multi-channel pairing in a media system
US12167216B2 (en)2006-09-122024-12-10Sonos, Inc.Playback device pairing
US8677285B2 (en)2008-02-012014-03-18Wimm Labs, Inc.User interface of a small touch sensitive display for an electronic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538420B1 (ko)*2008-09-052015-07-22엘지전자 주식회사식별모듈 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8610673B2 (en)*2008-12-032013-12-17Microsoft Corporation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CN101441525B (zh)*2008-12-132010-06-02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电脑键盘
US8289162B2 (en)*2008-12-222012-10-16Wimm Labs, Inc.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 wearable portable device
KR101521932B1 (ko)*2009-01-192015-05-20엘지전자 주식회사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0107009A1 (ja)*2009-03-172010-09-23日本電気株式会社携帯電子機器の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89757A1 (en)*2009-05-142010-11-18Budelli Joey GScanner with gesture-based text selection capability
EP2341419A1 (en)*2009-12-312011-07-06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Device and method of control
US8438504B2 (en)2010-01-062013-05-07Apple Inc.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multiple viewing areas
US9405404B2 (en)*2010-03-262016-08-02Autodesk, Inc.Multi-touch marking menus and directional chording gestures
US8502856B2 (en)2010-04-072013-08-06Apple Inc.In conference display adjustments
EP2583152A4 (en)*2010-06-172016-08-17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INPUT
JP2012033059A (ja)*2010-07-302012-02-16Sony Corp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573487B2 (ja)2010-08-202014-08-20ソニー株式会社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操作制御方法
KR20120020247A (ko)*2010-08-272012-03-08삼성전자주식회사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컨텐츠 재생을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US9430128B2 (en)2011-01-062016-08-30Tivo, Inc.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s based on concurrent gestures
EP2661669A4 (en)*2011-01-062017-07-05TiVo Solutions Inc.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based controls
US11429343B2 (en)2011-01-252022-08-30Sonos, Inc.Stereo playback configuration and control
US11265652B2 (en)2011-01-252022-03-01Sonos, Inc.Playback device pairing
US8381106B2 (en)2011-02-032013-02-19Google Inc.Touch gesture for detailed display
CN102650924B (zh)*2011-02-282014-11-05联想(北京)有限公司一种解锁方法、装置及终端
US20130002715A1 (en)*2011-06-282013-01-03Tidman James MImage Sequence Reconstruction based on Overlapping Measurement Subsets
KR101262700B1 (ko)*2011-08-052013-05-08삼성전자주식회사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EP4600786A2 (en)2011-08-052025-08-13Samsung Electronics Co., Ltd.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1873056B1 (ko)*2011-09-202018-07-02삼성전자주식회사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850302B1 (ko)*2011-10-142018-04-20삼성전자주식회사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렌더링 장치 제어 방법
KR101990866B1 (ko)*2011-12-292019-06-20주식회사 알티캐스트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E102012101629A1 (de)*2012-02-282013-08-29Deutsche Telekom Ag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fachen Steuerung von Kommunikationsdiensten im Fahrzeug durch Einsatz von berührungssensitiven Bildschirmen und Touch-Gesten
EP2917822B1 (en)*2012-11-062019-01-02D&M Holdings, Inc.Selectively coordinated audio player system
US9510055B2 (en)2013-01-232016-11-29Sonos, Inc.System and method for a media experience social interface
US20150220498A1 (en)2014-02-052015-08-06Sonos, Inc.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9679054B2 (en)2014-03-052017-06-13Sonos, Inc.Webpage media playback
WO2015168849A1 (zh)2014-05-052015-11-12华为技术有限公司一种拟真桌面建立方法及相关装置
US20150324552A1 (en)2014-05-122015-11-12Sonos, Inc.Share Restriction for Media Items
EP3108342B1 (en)2014-05-302019-10-23Apple Inc.Transition from use of one device to another
US20150356084A1 (en)2014-06-052015-12-10Sonos, Inc.Social Queue
CN104049846A (zh)*2014-06-242014-09-17联想(北京)有限公司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6014577A1 (en)*2014-07-212016-01-28Beam Authentic, LLCSystems and applications for display devices
US9671997B2 (en)2014-07-232017-06-06Sonos, Inc.Zone grouping
WO2016018929A1 (en)2014-07-282016-02-04Beam Authentic, LLCMountable display devices
US9874997B2 (en)2014-08-082018-01-23Sonos, Inc.Social playback queues
WO2016025853A1 (en)2014-08-152016-02-18Beam Authentic, LLCSystems for displaying media on display devices
US9690540B2 (en)2014-09-242017-06-27Sonos, Inc.Social media queue
US9667679B2 (en)2014-09-242017-05-30Sonos, Inc.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9959087B2 (en)2014-09-242018-05-01Sonos, Inc.Media item context from social media
US9723038B2 (en)2014-09-242017-08-01Sonos, Inc.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9860286B2 (en)2014-09-242018-01-02Sonos, Inc.Associating a captured image with a media item
WO2016049342A1 (en)2014-09-242016-03-31Sonos, Inc.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10645130B2 (en)2014-09-242020-05-05Sonos, Inc.Playback updates
KR102318920B1 (ko)*2015-02-282021-10-29삼성전자주식회사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9864571B2 (en)*2015-06-042018-01-09Sonos, Inc.Dynamic bonding of playback devices
US10248376B2 (en)*2015-06-112019-04-02Sonos, Inc.Multiple groupings in a playback system
US10637986B2 (en)2016-06-102020-04-28Apple Inc.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US20180032215A1 (en)*2016-07-292018-02-01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Automatic partitioning of a list for efficient list navigation
US10712997B2 (en)2016-10-172020-07-14Sonos, Inc.Room association based on name
US12242707B2 (en)2017-05-152025-03-04Apple Inc.Displaying and moving application views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US11449188B1 (en)2021-05-152022-09-20Apple Inc.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2021-05-152024-02-20Apple Inc.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2405631B2 (en)2022-06-052025-09-02Apple Inc.Displaying application view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760773A (en)*1995-01-061998-06-02Microsoft Corporation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data objects using action handles
US5689667A (en)*1995-06-061997-11-18Silicon Graphics, Inc.Methods and system of controlling menus with radial and linear portions
US5745116A (en)*1996-09-091998-04-28Motorola, Inc.Intuitive gestur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292111B2 (en)*1998-01-262016-03-22Apple Inc.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6239803B1 (en)*1999-04-142001-05-29Stanley W. DriskellMethod to achieve least effort selection from an item list of arbitrary length
GB2365676B (en)*2000-02-182004-06-23Sensei Ltd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machine interface
US20020015064A1 (en)*2000-08-072002-02-07Robotham John S.Gesture-based user interface to multi-level and multi-modal sets of bit-maps
US20050134578A1 (en)*2001-07-132005-06-23Universal Electronics Inc.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US20060267967A1 (en)*2005-05-242006-11-30Microsoft CorporationPhrasing extensions and multiple modes in one spring-loaded control
US9395905B2 (en)*2006-04-052016-07-19Synaptics IncorporatedGraphical scroll wheel
US8564544B2 (en)*2006-09-062013-10-22Apple Inc.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595186B2 (en)2010-01-042017-03-14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combining functions of touch screen and remote contro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0503389B2 (en)2010-01-042019-12-10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combining functions of touch screen and remote contro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0949079B2 (en)2010-01-042021-03-16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combining functions of touch screen and remote contro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58593A (ko)*2011-11-252013-06-04삼성전자주식회사휴대단말기의 오브젝트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50006210A (ko)*2013-07-082015-01-16삼성전자주식회사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135687A (ko)*2017-06-132018-12-21네이버 주식회사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20090179867A1 (en)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090077480A (ko)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101224588B1 (ko)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11169698B2 (en)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KR101453914B1 (ko)복수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N103370684B (zh)电子设备、显示方法以及非瞬变存储介质
US8914739B2 (en)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95515A1 (en)Method for providing ui capable of detecting a plurality of forms of touch on menus or background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1275355B1 (ko)리스트 항목 속성에 기반한 리스트 탐색에 관한 동적 제어
US9535600B2 (en)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JP6153868B2 (ja)アイテムをディスプレーする方法及び装置
CN104285200B (zh)用于控制媒体装置中的菜单的方法和设备
US10474346B2 (en)Method of selection of a por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90050115A1 (en)Transitioning between graphical interface element modalities based on common data sets and characteristic of user input
KR20100070733A (ko)아이템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8348A (ko)다국어 지원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및 다국어용 ui제공방법
JP6273118B2 (ja)情報処理装置
JP6444476B2 (ja)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0143105A1 (en)User interface for list scrolling
JP2018195180A (ja)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052903A (ja)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HK1217793B (zh)用於计算设备的用户界面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8011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30111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80111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3122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AMNDAmendment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4072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31227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AMNDAmendment
J201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20140821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PJ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4072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2014101005267

Request date:20140821

PB0901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40821

Patent event code:PB09011R02I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821

Patent event code:PB09011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40327

Patent event code:PB09011R02I

B601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PB06011S01D

Patent event date:20141008

PE0801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PE08012E01D

Comment text: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20141008

Patent event code:PE08011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40821

Patent event code:PE08011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40327

J301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1

Effective date:20150226

PJ1301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PJ13011S01D

Patent event date:20150226

Comment text: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20140821

Decision date:20150226

Appeal identifier:2014101005267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