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90055270A -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270A
KR20090055270AKR1020070122106AKR20070122106AKR20090055270AKR 20090055270 AKR20090055270 AKR 20090055270AKR 1020070122106 AKR1020070122106 AKR 1020070122106AKR 20070122106 AKR20070122106 AKR 20070122106AKR 20090055270 AKR20090055270 AKR 2009005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sound
honeycomb
building
noi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홍성남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filedCritical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2106ApriorityCriticalpatent/KR20090055270A/ko
Publication of KR2009005527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90055270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제1차음부재, 허니콤 및 제2차음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허니콤은 무독성 폴리올레핀계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제지 중 하나로 선택되고; 상기 제1차음부재 및 상기 제2차음부재와 상기 허니콤은 용융접착필름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허니콤의 각각의 셀을 형성하는 격벽에는 상기 제1차음부재 및 제2차음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순환시키거나 상기 각각의 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셀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허니콤의 각각의 셀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해당 셀로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하여 쇄진시키기 위한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부의 각각의 차음부재에 의해 1차적 또는 3차적으로 차음이 행해진 후, 각각의 차음부재내로 유입입되는 소음은 그 사이의 허니콤에서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각각의 셀로 순환되거나 순환되면서 쇄진됨과 동시에 일부의 셀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흡음재에 의해 흡음되어 소진됨으로써, 상, 하 층이 상호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민원의 발생을 완전 방지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차음패널, 허니콤, 셀, 흡음재

Description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Sound-Proof Panel Used Between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또는 빌딩과 같이 복층으로 건축되는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어 층간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동시에 순환 및 흡음하여 차음 및 방음할 수 있는 허니콤을 이용한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주거 형태는 크게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의 전체가구수의 50% 이상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단독주택인 경우에도 대부분 단층이 아닌 복층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은 물론 단독주택 또한 복층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층 과 층 사이에는 대부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 및 바닥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콘크리트 구조의 층간은 재료의 특성상 강성이 있기 때문에 말소리, 기구 또는 장치 등에서 발생되는 음이 공기를 매체로 하여 전달됨으로 인해 이웃으로 전달되어 이웃간 불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시공사와 입주자간의 법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층간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종래의 예들로서 특허공개 제10- 2005-45164호 및 실용등록 제20-402348호가 있다.
특허공개 제10-2005-45164호의 공동주택 소음방지용 저감재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mm의 두께를 갖는 고무 칩층(1)과, 상기 고무 칩층(1) 위에 약 5m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패드층(2)과, 상기 폴리에틸렌 패드층(2) 위에 약 10mm의 두께를 갖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칩층(3)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3중 복합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소음방지용 저감재는 소음에 대한 흡수율이 뛰어나고 단열성능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주택 소음방지용 저감재는 소음의 흡수면적이 협소하여 완전하게 차음할 수 없으며, 특히 두께가 얇은 경우 차음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용등록 제20-402348호의 건축용 단열 및 차음 복합패널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허니콤 중공시트(4)와, 상기 허니콤중공시트(4)의 상하 양측에 부착 구성되며 광택이 나는 표면에 의해 열을 반사토록 형성한 알루미늄 반사시트(5, 5’)와, 일측의 알루미늄 반사시트(5)에 접착되며 낮은 열전도율과 높은 흡음률을 갖는 섬유질 단열재(6)와, 섬유단열재(6)의 하측에 접착된 규산칼슘보드(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열 및 차음 복합패널은 복수의 공기층과 구성부재 자체의 낮은 열전도율과 높은 흡음률에 의해 단열, 보온, 흡음 및 차음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열 및 차음 복합패널은 허니콤의 각각의 중공부 에서만 단순하게 흡음기능이 수행되므로 완전한 흡음 및 차음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소음 저감재 및 복합패널들은 차음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의 허니콤과 흡음기능을 갖는 흡음재를 구비하여, 각각의 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순환시키면서 쇄진시킴과 동시에 흡음하여 완전하게 차음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은, 건축물의 층간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로서, 각각의 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일차적으로 차음하기 위한 제1차음부재와, 일측부가 상기 제1차음부재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셀을 구비하는 허니콤과, 상기 허니콤의 타측부가 일 측면에 부착되며 소음을 최종적으로 차음하기 위한 제2차음부재를 구비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은 무독성 폴리올레핀계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제지 중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음부재 및 상기 제2차음부재와 상기 허니콤은 용융접착필름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허니콤의 각각의 셀을 형성하는 격벽에는 상기 제1차음부재 및 제2차음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순환시키거나 상기 각각의 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셀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허니콤의 상기 각각의 셀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해당 셀로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하 여 쇄진시키기 위한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의하면, 상, 하부의 각각의 차음부재에 의해 1차적 또는 3차적으로 차음이 행해진 후, 각각의 차음부재내로 유입되는 소음은 그 사이의 허니콤에서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각각의 셀로 순환되거나 순환되면서 쇄진됨과 동시에 일부의 셀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흡음재에 의해 흡음되어 소진됨으로써, 상, 하 층이 상호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민원의 발생을 완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소음재 또는 방음재에 비해 보다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차음 및 흡음효과를 이룰 수 있어 층간의 슬라브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순환시키면서 쇄진시킴과 동시에 흡음하여 완벽하게 차음시킴으로써, 이웃간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음패널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선Ⅳ-Ⅳ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Ⅴ-Ⅴ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패널에 적용되는 허니콤에 형성된 관통공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 및 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패널에서의 소음의 순환 및 쇄진상태를 화살표로 보여주는 흡음 상태를 보여주는 도 4 및 5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5 와 도 11 및 12를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에 있어서, 부호 10은 제1차음부재로서, 실제적으로 층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일차적으로 차음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차음부재(10)는 차음성이 우수함은 물론, 작업성 및 가공성, 경량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판재로 형성된다. 이 같은 판재의 예로서, 아연도금강판, 금속판, 알루미늄 강판, PVC판, 강판, 알루미늄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등이 있으며, 여기서 알루미늄 강판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두께 및 사이즈는 사용용도 및 제조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차음부재(10)의 일 표면에는 후술되는 허니콤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 또는 용융접착필름(12)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용융접착필름(12)은 금속친화성의 폴리올레핀계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차음부재(10)와 후술되는 허니콤의 부착공정 중 열이 가해지면 상기 용융접착필름(12)의 카르복시기가 상기 제1차음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상호간 접합이 이루어진다.
부호 20은 상기 제1차음부재(1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허니콤이다. 상기 허니콤(20)은 고분자 무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제지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셀(22)이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벌집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허니콤(20)에서의 공간 대 수지의 체적 비는 95~97 : 5~3으로 설정된다.
특히,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셀(22)을 형성하는 격벽(24)에는 공기 또는 소음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26)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관통공(26)은 상기 각각의 셀(22)의 내부공간을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제1차음부재(10) 또는 후술되는 제2차음부재를 통해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셀(22)내로 유입되는 소음이 각각의 셀(22)로 순환되면서 쇄진 및 흡음되어 소멸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관통공(26)은 상기 각각의 격벽(24)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특히, 소음의 순환경로를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소음의 쇄진율 및 흡음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셀(22)을 형성하는 격벽(24)들 중 상호 마주하는 격벽(24)중 하나의 격벽(24a)에는 상부에 관통공(26)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격벽(24b)에는 하부에 관통공(2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상기 관통공(26)들의 형성 위치에 의해 소음의 순환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그 소음의 쇄진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공(26)들은 차음패널의 사이즈 또는 용도에 따라 각각의 격벽(24)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니콤(20)의 높이 또는 두께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격 벽(24)의 상부에만 관통공(26a)을 형성하거나(도 6), 또는 상기 각각의 격벽(24)의 하부에만 관통공(26b)을 형성할 수 있다(도 7). 그리고 상기 허니콤(2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격벽(24)의 상부 및 하부 모두에 관통공(26c)을 형성할 수 있다(도 8). 또한, 다른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격벽(24) 전체에 걸쳐 상대적으로 작거나 미세한 관통공(26d)을 천공 형성하거나(도 9), 또는 상기 각각의 격벽(24)의 대체로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공(26e)을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도 10).
또한, 상기 각각의 격벽(26)에 대해, 해당 격벽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26;26a~26e)의 면적비는 9:1 내지 7:1로 형성된다. 여기서 면적비가 9:1 이하로 설정되면 소음의 순환통로가 좁아 흡음률 및 소음 쇄진율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7:1 이상으로 설정되면 흡음률 및 소음 쇄진율은 증가되지만 각각의 격벽(24)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부호 30은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셀(24)에 삽입되는 흡음부재이다. 상기 흡음부재(30)는 상기 허니콤(20)의 상기 각각의 관통공(28) 및 셀(24)을 통해 순환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음부재(30)는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셀(24)에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혼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음재(30)는, 상기 허니콤(20)으로 유입된 소음을 연속 반복적으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음재(30)에 의해 흡음될 수 있도록, 상기 허니콤(20)에 형성된 각각의 셀(24)에 교대로 또는 지그재그방식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흡음재(30)는 흡음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계열의 부직포, 레진 펠트, 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펠트, 재활용 섬유펠트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흡음재(30)는 상기 해당하는 각각의 셀(24)에 독립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각각의 흡음재(30)는 상기 해당 셀(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음재(3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응하는 각각의 해당 셀(24)에 동시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부호 40은 상기 제1차음부재(10)에 대향하며 상기 허니콤(20)의 타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2차음부재이다. 상기 제2차음부재(40)는 상기 제1차음부재(1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차음부재(40)는 차음성이 우수함은 물론, 작업성 및 가공성, 경량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판재로 형성된다. 이 같은 판재의 예로서, 아연도금강판, 금속판, 알루미늄 강판, PVC판, 강판, 알루미늄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등이 있으며, 여기서 작업성, 경량성, 단열성이 가장 우수한 알루미늄 강판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그 두께 및 사이즈는 사용용도 및 제조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음부재(40)는 용융접착필름(42)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용융접착필름(42)은 상기 제1차음부재(10)에 적용되는 상기 용융접착필름(22)과 같이 금속친화성의 폴리올레핀계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차음부재(40)와 상기 허니콤(20)의 부착공정 중 열이 가해지면 상기 용융접착필름(42)의 카르복시기가 상기 제2차음부재(40)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상호간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의 설치방식 및 그 작용모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작업자는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층간 전체에 본 발명에 따른 차음패널을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컨대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음은 일차적으로 상기 제1차음부재(10)에 의해 차음된다.
이후, 연속 반복적인 소음의 발생 또는 강력한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일부의 소음은 상기 제1차음부재(10)에 의해 차단되는 반면, 일부의 소음은 상기 제1차음부재(10)를 통과하여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셀(22)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허니콤(20)의 셀내로 유입된 소음 중 일부는 상기 각각의 셀(22)들 중 일부에 설치된 흡음재(30)에 의해 흡수되며, 상기 흡음재(30)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일부의 소음은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상기 제2차음부재(40)에 의해 반향되고, 또한 빈 공간의 상기 셀(22)에 유입된 일부의 소음은 자체적인 확산에 의해 또는 상기 각각의 격벽(24)에 의한 반향에 의해 주변으로 확산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확산 및 반향되는 소음은 상기 각각의 격벽(24)에 형성된 관통공(26)에 의해 순환되거나 순환이 유도되면서 자체적으로 소진 또는 쇄진됨과 동시에 일부의 상기 셀(22)에 구비된 상기 흡음재(30)에 의해 흡음되어 차음되는 것이다.
물론, 소음 중 일부가 강력한 주파수를 갖는 경우,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셀(22) 및 상기 흡음재(30)에서 완전히 소진 및 흡음되지 않은 일부의 소음은 상기 제2차음패널(40)에 의해 차단되어 완전한 차음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부층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역으로 하부층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술된 순서와 역으로 소음이 순환 및 흡음되어 소음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즉 상기 허니콤(20)의 각각의 격벽(24)에 상기 관통공(26)이 상하로 지그재그 또는 엇갈리는 방식으로 소음이 순환 및 안내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격벽(24)에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관통공(26a~26e)이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모드로 소음이 순환 및 흡음되어 차단된다.
실험예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mm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판재로 형성된 상기 제1차음부재(10)와, 50mm의 높이를 갖고 무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상기 허니콤(20)과, 상기 허니콤(20)에 형성된 전체의 상기 셀(22)들에 지그재그로 또는 교대로 삽입되는 부직포로 형성된 상기 흡음재(30)와, 2mm 두께의 알루미늄판재로 형성된 상기 제2차음부재(40)로 이루어진 4,000mm x 3,000mm의 규격으로 제조하였으며, 비교대상은 현재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소음방지용 저감재로서 5mm의 고무칩층, 5mm의 폴리에틸렌패드층, 10mm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층으로 구성된 층간 소음 저감재이다.
시공방법은 150mm의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층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층 간 차음패널을 설치하고, 50mm 두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50mm 두께의 몰탈, 2mm 두께의 장판을 순서대로 시험 시공하였으며, 비교대상예의 층간 소음저감재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표준 경량충격원에 의한 방법과 표준중량충격원에 의한 방법을 준용하여 상층을 음원실로 하고 하층을 수음실로 하여 상층에서 충격음을 발생시킨 후 하층에서 충격음 레벨을 측정하였다.
시험중 충격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발생기는 바닥시험체의 중앙과 이로부터 모서리와의 중간 4개 지점 및 5개 지점에 설치하였으며, 수음실의 평균음압 레벨의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폰 위치는 잔향실 마이크로폰 상호간에 1m 이상 이격되고 시험체면 벽면으로부터 0.5m 이상 이격되는 5개 지점에서 총 25회 측정하였다.
여기서, 음원으로는 태핑머신, B&k 3204와 타이어:5.10-104pr, 요코하마로 사용하였으며, KSC 5522마이크로폰에 규정하는 1종에 무지향 특성을 가진 마이크로폰과 실시간 주파수 분석기 B&K 2144를 음압레벨 측정기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실험된 측정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주파수(Hz)바닥충격음레벨(dB)
경량충격음중량충격음
기준치비교예본 발명기준치비교예본 발명
5083.150.645.6
6377.649.244.9
8066.845.043.5
10060.940.038.267.449.843.1
12562.044.442.569.444.842.1
16066.751.248.158.045.642.3
20068.457.854.251.745.341.4
25065.657.155.150.843.240.5
31569.556.455.352.042.339.3
40068.654.155.250.739.336.1
50070.751.949.250.036.533.2
63069.249.647.845.232.130.2
80069.649.347.5
100070.243.942.1
125069.635.534.4
160071.327.325.6
200070.620.119.2
250070.215.814.2
315070.714.213.1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을 설치하면 기준값 이하를 나타냄은 물론 비교예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도 적어도 30% 정도 더 층간의 소음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얇은 두께로 층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실내의 층고를 높일 수 있으며 이웃간의 쾌적한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층간 소음방지용 저감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다른 하나의 건축용 단열 및 차음 복합패널을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음패널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취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Ⅳ-Ⅳ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Ⅴ-Ⅴ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패널에 적용되는 허니콤에 형성된 관통공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1 및 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패널에서의 소음의 순환 및 쇄진상태를 화살표로 보여주는 흡음 상태를 보여주는 도 4 및 5와 유사한 단면도.

Claims (9)

KR1020070122106A2007-11-282007-11-28건축용 층간 차음패널CeasedKR20090055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70122106AKR20090055270A (ko)2007-11-282007-11-28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70122106AKR20090055270A (ko)2007-11-282007-11-28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55270Atrue KR20090055270A (ko)2009-06-02

Family

ID=4098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70122106ACeasedKR20090055270A (ko)2007-11-282007-11-28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090055270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272061B1 (ko)*2011-07-062013-06-12유인섭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0470250Y1 (ko)*2012-07-102013-12-06주식회사 에이브이티경량콘크리트 방음판
KR101382042B1 (ko)*2011-08-252014-04-04(주)엘지하우시스허니컴 지지체를 가지는 석고 베이스의 건축 마감재
CN103915776A (zh)*2014-04-302014-07-09国家电网公司一种抗震型变电站
KR101435993B1 (ko)*2013-04-182014-09-15주식회사 양지이엔지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1463079B1 (ko)*2014-05-282014-11-21주식회사 엠플라이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구조
CN105926890A (zh)*2016-05-122016-09-07济南舜景医药科技有限公司一种防震隔音地板
WO2017218756A1 (en)*2016-06-172017-12-21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Pelletization of recycled ceiling materials
KR20180055336A (ko)*2016-11-172018-05-25전미애황토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용 흡음블록
KR20180067240A (ko)*2016-12-122018-06-20한형우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CN108731072A (zh)*2018-07-142018-11-02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一种带多层蜂巢式噪声过滤装置的油烟机
CN109138192A (zh)*2018-10-102019-01-04金陵科技学院一种室内噪音降噪装置
CN109927844A (zh)*2019-04-292019-06-25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客船与游艇隔音降噪结构
KR101960271B1 (ko)*2018-10-262019-07-15장안하이텍주식회사공용주택 층간 충격 소음 방지하기 위한 패널과 그 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83786A (ko)2018-12-282020-07-09엠텍 주식회사친환경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KR20210100364A (ko)*2020-02-062021-08-17김종덕소음 저감용 패널결합체
WO2021020823A3 (ko)*2019-07-312021-08-26구본희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CN113339440A (zh)*2021-05-262021-09-03吉林大学一种仿足球烯结构的多向承载蜂窝缓冲组合吸能结构
KR20220002770A (ko)2020-06-302022-01-07문성철난연성과 흡음성이 우수한 친환경 흡음재의 제조방법
KR20220002771A (ko)2020-06-302022-01-07문성철난연성과 차음성이 우수한 친환경 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2361756B1 (ko)*2021-03-182022-02-14이승조돌출된 구조의 테라스를 가지는 공동주택
KR102392140B1 (ko)*2021-10-152022-04-29김원중공동 주택용 층간 소음 방지 건축 슬래브 구조
KR20230123113A (ko)*2022-02-162023-08-23송상현공동 주택용 층간 소음 방지 건축 슬래브 구조
CN116968404A (zh)*2023-07-072023-10-31浙江华江科技股份有限公司一种吸音隔热蜂窝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DE102022126254A1 (de)*2022-10-112024-04-11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nkendorfKörperschalldämpfungsanordnung, insbesondere Trittschalldämpfungsanordnung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272061B1 (ko)*2011-07-062013-06-12유인섭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101382042B1 (ko)*2011-08-252014-04-04(주)엘지하우시스허니컴 지지체를 가지는 석고 베이스의 건축 마감재
KR200470250Y1 (ko)*2012-07-102013-12-06주식회사 에이브이티경량콘크리트 방음판
KR101435993B1 (ko)*2013-04-182014-09-15주식회사 양지이엔지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CN103915776A (zh)*2014-04-302014-07-09国家电网公司一种抗震型变电站
CN103915776B (zh)*2014-04-302017-03-01国家电网公司一种抗震型变电站
WO2015182851A1 (ko)*2014-05-282015-12-03주식회사 엠플라이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구조
KR101463079B1 (ko)*2014-05-282014-11-21주식회사 엠플라이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구조
CN105926890A (zh)*2016-05-122016-09-07济南舜景医药科技有限公司一种防震隔音地板
CN105926890B (zh)*2016-05-122018-07-13中山市创意玩家家居有限公司一种防震隔音地板
WO2017218756A1 (en)*2016-06-172017-12-21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Pelletization of recycled ceiling materials
KR20180055336A (ko)*2016-11-172018-05-25전미애황토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용 흡음블록
KR20180067240A (ko)*2016-12-122018-06-20한형우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CN108731072A (zh)*2018-07-142018-11-02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一种带多层蜂巢式噪声过滤装置的油烟机
CN109138192A (zh)*2018-10-102019-01-04金陵科技学院一种室内噪音降噪装置
KR101960271B1 (ko)*2018-10-262019-07-15장안하이텍주식회사공용주택 층간 충격 소음 방지하기 위한 패널과 그 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83786A (ko)2018-12-282020-07-09엠텍 주식회사친환경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CN109927844A (zh)*2019-04-292019-06-25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客船与游艇隔音降噪结构
WO2021020823A3 (ko)*2019-07-312021-08-26구본희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210100364A (ko)*2020-02-062021-08-17김종덕소음 저감용 패널결합체
KR20220002770A (ko)2020-06-302022-01-07문성철난연성과 흡음성이 우수한 친환경 흡음재의 제조방법
KR20220002771A (ko)2020-06-302022-01-07문성철난연성과 차음성이 우수한 친환경 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2361756B1 (ko)*2021-03-182022-02-14이승조돌출된 구조의 테라스를 가지는 공동주택
CN113339440A (zh)*2021-05-262021-09-03吉林大学一种仿足球烯结构的多向承载蜂窝缓冲组合吸能结构
KR102392140B1 (ko)*2021-10-152022-04-29김원중공동 주택용 층간 소음 방지 건축 슬래브 구조
KR20230123113A (ko)*2022-02-162023-08-23송상현공동 주택용 층간 소음 방지 건축 슬래브 구조
DE102022126254A1 (de)*2022-10-112024-04-11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nkendorfKörperschalldämpfungsanordnung, insbesondere Trittschalldämpfungsanordnung
CN116968404A (zh)*2023-07-072023-10-31浙江华江科技股份有限公司一种吸音隔热蜂窝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090055270A (ko)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Hongisto et al.Sound insulation of double walls–An experimental parametric study
KR102370085B1 (ko)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20160006761A (ko)음향 감쇠 건축 재료
JP6275982B2 (ja)防音材並びに防音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436890B1 (ko)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패널
KR102262286B1 (ko)주파수 제어 설계기술을 적용한 건식온돌용 모듈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중량바닥충격음 레벨 최적화 방법
KR102137373B1 (ko)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감쇄 구조물을 포함하는 난방패널
KR20240116140A (ko)건축물 블랭크의 진동 특성을 고려한 층간소음 저감용 건식 온돌패널의 설계방법
CN216130489U (zh)一种超微孔阻尼板复合吸声结构
KR100724123B1 (ko)바닥충격음 차음구조
JP3909938B2 (ja)床衝撃音低減構造
KR20040020608A (ko)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519081B1 (ko)천장용 차음판넬
KR200352230Y1 (ko)건물의 층간 소음진동 저감판, 및 이를 포함하는소음진동 저감구조
KR20100115930A (ko)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8014073A (ja)防音構造
CN220725518U (zh)一种室内吊顶吸音铝蜂窝板
KR100914333B1 (ko)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KR20090093014A (ko)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재
KR200379075Y1 (ko)소음방지재
CN219973764U (zh)一种基于超微孔结构吸声板
CN223433744U (en)Diffraction preventing device and sound barrier
CN223329725U (zh)一种防衍射装置及声屏障
KR102788460B1 (ko)천장 설치형 층간소음 저감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71128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N231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2008091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9030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09090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90306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