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computer equipped with an auxiliary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secondary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secondary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ID/PW 룩 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D / PW lookup table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휴대용 컴퓨터11 : 중앙처리장치(CPU)10: portable computer 11: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3 : 저장부15 : 통신모듈13: storage 15: communication module
20 : 보조 입출력장치22 : 컨트롤러20: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22: controller
23 : 비디오 출력부25 : RAM23: video output unit 25: RAM
27 : 오디오 출력부29 : 메모리부27: audio output unit 29: memory unit
본 발명은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uter having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는 본체 덮개 내부에 구비되는 LCD 디스플레이 창과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컴퓨터 전체를 구동시켜야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가 필요없는 작업의 수행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동되었다.Conventional portable computers have an output unit including an LCD display window and a speaker provided inside the body cover.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a task through the portable computer, the entire portable computer must be driven, and the display apparatus is driven even when performing a task that does not require a display.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모든 작업시에 휴대용 컴퓨터 전체가 구동되므로 전력의 소비가 증가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가능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entire portable computer is driven at every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to shorten the usable time of the portable computer.
또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휴대용 컴퓨터의 덮개를 덮은 채로 특정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없으므로, 이동시 휴대용 컴퓨터를 이동이 편리하도록 덮개를 덮은 채로 음악을 듣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puter, it is not 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a specific task with the cover of the portable computer closed, so that the portable computer cannot continuously perform simple tasks such as listening to music with the cover closed for convenience of movement.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메인 OS가 종료된 이후에도 독자적인 OS를 갖는 보조입출력장치를 구비되어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input / output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OS even after the main OS of the portable computer is terminated.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omputer that can run an appli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중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ID 및 PW의 입력 없이도 로그인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mputer having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by logging in without input of a separate ID and PW when a user needs a login process during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상기 보조의 입출력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별로 ID(Identification) 와 PW(pass word)가 구분되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ID 및 PW를 독출하여 로그인을 실행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ortable computer, the auxiliary input and output device driven by its own operating system (OS),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execution command A controller for executing a command; An interface unit connecting the portable computer to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nd a memory unit in which an identification (ID) and a password word (PW) ar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applica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logi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command, reads the ID and the PW from the memory unit, and executes the login.
이때, 상기 ID 및 PW는,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 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D and PW may be input and stored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통신모듈의 활성 여부를 판별하여 활성화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computer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command.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의 활성화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CPU를 구동시킴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실행명령의 실행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실행명령을 상기 CPU로 전달하여 실행되도록 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Wherein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driving the CPU of the portable computer; Execution of the execution command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transferring the execution command to the CPU to be executed.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용컴퓨터의 CPU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저장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first interface connecting the CPU and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computer; And a second interface connecting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computer to the controller.
또는, 상기 통신모듈의 활성화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활성화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controlling and activa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ortable computer.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용컴퓨터의 통신모듈과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저장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first interface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ortable computer and the controller; And a second interface connecting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computer to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인증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command, and perform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한편,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는, 상기 실행명령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execution result of the execution command.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상면 일 측에 구비되는 LCD(Liquid cristal display)로 구성된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 다.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video output unit including an LCD (Liquid Cristal Display) provid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computer.
또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or. The video output unit may be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and output.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입출력장치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받는 명령수신단계와;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로그인단계; 그리고 상기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 과정은, 상기 보조입출력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ID 및 PW를 독출하여 수행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with a secondary input and output device which is provided in a portable computer driven by its own operating system (OS), comprising: a command receiving step for receiving an execution command from a user; A logi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ogi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command input and performing a login process; And an execution step of executing the execution command. The login process includes an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which is performed by reading an ID and a PW stored in a memory unit of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여기서,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명령수신단계 수행 후,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인증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step of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by determining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command input after the command receiving step. It may be.
그리고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인증단계 수행 후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통신모듈의 활성여부를 판별하여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ctivation step of activa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command input after the authentication step.
또한,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로그인 단계 수행 후, 사용자로부터 업 데이트 명령을 입력받아, 업 데이트를 실행하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pdate step of receiving an update command from a user and executing an update after performing the login step.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주식계좌, 인터넷 뱅킹 또는 메신저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applica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n email, a stock account, an internet banking or a messenger program.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입출력장치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실행명령이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저장부에 애플리케이션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ID 및 PW를 독출하여 로그인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provided in a portable computer and driven by its own operating system (OS). When an execution command input from a user requires a login, the storage unit is configured for each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a secondary input / output device that executes the execution command by reading a separately stored ID and PW.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협소한 보조입출력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로그인 없이도, 로그인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perform a task that requires a login without a separate login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narrow input and out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ID/PW 룩 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secondary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secondary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computer having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D / PW lookup table employ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secondary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에는 외면 일 측에 보조 입출력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디스플레이창(23)(비디오 출력부)과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21)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창(23)과 입력부(21)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the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한다)(11)가 구비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specific embodiment of a
한편, 상기 CPU(11)에는 휴대용 컴퓨터(10)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3)가 연결된다. 상기 저장부(13)는 일반적으로는 하드 드라이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13)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에서 실행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메일 문서 등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CPU 11 is connected to the
그리고 상기 CPU(11)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0)가 외부와 통신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15)이 구비된다. 대표적인 통신모듈(15)은 유/무선 랜 모듈이나, 공지된 다른 통신형태의 모듈일 수도 있다.The CPU 11 is provided with a
상기 통신모듈(15)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웹사이트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다.The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에는 자체 OS로 구동되는 보조 입출력장치(2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컨트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input /
상기 컨트롤러(22)는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명령을 실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The
먼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사용자에게만 허락되어야 하는 것이라면, 시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21)가 협소한 관계로 문자를 이용하는 방법보다는 지문인식, 홍채 인식, 음성확인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암호(문자/기호) 입력 등의 문자입력(자판을 이용한) 이외의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First, if the application should be allowed only to a specific user,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fingerprint input, iris recognition, voice verification or password (character / symbol) input using a touch screen rather than the method using the character in the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웹사이트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상기 웹사이트 접속을 위하여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CPU(11)를 구동시켜 상기 통신 모듈(15)을 활성화하는 방법과, 상기 컨트롤러(22)가 직접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후자의 경우를 다른 실시예로 정의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f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based on a website connec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22)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CPU가 수행할 명령을 상기 CPU(11)로 전달하여, 상기 CPU(11)가 작동하도록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22)에는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데, 그 중 하나는 상기 컨트롤러(22)와 상기 휴대용컴퓨터(10)의 CPU(11)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컨트롤러(22)와 후술할 휴대용 컴퓨터(10)의 저장부(13)를 연결 하는 제 2 인터페이스이다.In this case,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22)가 상기 통신모듈(15)을 직접 컨트롤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인터넷 접속을 수행한다(도 3 참조).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제 1 인터페이스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2)와 통신모듈(13)을 연결한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connects th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22)의 로드가 줄어들어, 고 사양의 칩이 탑재되지 않아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휴대용 컴퓨터910)가 구동되어 전력소모 등에 단점이 있다.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휴대용 컴퓨터(10)의 구동이 없어 작동이 간소화 되는 반면에, 상기 컨트롤러(22)의 로드가 증가 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operation is simplified because there is no drive of the
또한,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사용자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 접속 후,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로그인 절차는 후술할 메모리부(29)에 저장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ID 및 PW의 저장은 이하에서 상기 메모리부(29)를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922)는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접속된 인터넷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13)에 저장된 이메일 내용만을 열람할 수도 있지만, 상기 업데이트 명령을 입력하여 새로운 메일을 업데이트하여 열람할 수도 있다. 이때,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자체내의 저장공간을 이용하는 아웃룩과 같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When the updat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922 executes the update based on the connected Internet.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is an e-mail application, the user may view only e-mail contents stored in the
한편, 상기 컨트롤러(22)에는 RAM(25)이 연결되는데, 상기 RAM(25)은 상기 컨트롤러(22)의 구동에 필요한 임시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Meanwhile, a
그리고 도 1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비디오 출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input /
또한, 상기 컨트롤러(22)는 오디오 출력부(27)와 연결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7)는 휴대용 컴퓨터(1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모듈일 수도 있고, 별도로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에 구비되는 오디오 출력 모듈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1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모듈을 보조입출력장치의 오디오 출력부(27)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독자적인 휴대용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체적인 오디오 출력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27)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는 메모리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메모리부(29)는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의 데이터 저장공간으로, 애플리케이션 별로 구분된 ID 및 PW가 저장된다. 상기 ID 및 PW가 저장된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The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D 및 PW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고(물론,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이들 ID 및 PW는 룩 업 테이 블로 정리되어 저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시된 테이블에서 E-mail1,2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하고, Stock은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Bank1,2는 인터넷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말하고, Messenger1,2는 매신져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As shown therein, the ID and PW may be different for each application (of course, some or all may be the same), and these IDs and PWs are effectively stored in a lookup table. In the table shown, E-mail1,2 refers to the email application, Stock refers to the stock trading application, Bank1,2 refers to the Internet banking application, and Messenger1,2 refers to the messenger application.
또한, 상기 ID 및 PW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가 로그인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ID 및 PW를 상기 룩 업 테이블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자동으로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D and PW are set by the user. Therefore, the controller reads the ID and PW from the lookup table in the process of logging in and performs the login automatic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OS 전환 방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n OS switching method of a portable computer having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이 입력됨에 의해 시작된다(S100). 상기 실행명령은 각각 애플리케이션 별로 구분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도 각각 다른 실행명령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도 수신되어 저장된 메일의 내용을 살펴보는 사용자 명령이 있을 수도 있고, 이와 함께 인터넷에 접속하여 새로운 메일을 수신하여 새로운 메일의 내용을 열람하는 사용자 명령이 공존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ecution method of an application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by first inputting an execution command from a user (S100). Each of the execution commands may be classified for each application, and different execution commands may be allocated even within the same application. For example, there may be a user command to view the contents of received and stored mail in one email application, and a user command for accessing the Internet to receive a new mail and reading the contents of the new mail may coexist. .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사용자명령의 실행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사용자명령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10). 이때, 사용자인증이 필요한 사용자 명령이라 함은, 상기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개인의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명 령인 경우나, 자산의 유동을 유발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인지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이메일이나 주식정보 등은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사용자명령에 속하고, 단순 저장파일의 열람이나 재생(문서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은 사용자 인증이 필요없는 사용자명령일 수 있다.Next, the
이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일반적인 문서라 하여도 공개를 원치않는 사용자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춰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be able to change fluidly by user's setting. In other words, even a general document may not be available to some users, so it is desirable to have the user set it to his or her taste.
한편, 제 11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증과정을 실행한다(S112).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은 지문인식과 같이, 자판을 이용한 긴 문자의 입력이 없는 인식방법을 통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그 크기가 작으므로 다양한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없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상에서 하나하나의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간소화된 방법으로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각각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도록 하겠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0 that user authentication is required,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executed (S112). At this time,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to be performed through a recognition method without the input of long characters using the keyboard. Since the auxiliary input /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모듈(15)의 활성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120).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tivation of the
즉, 위에서 예를 든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명령이 기 저장된 이메일의 내용을 열람하는 것이라면 상기 통신모듈(15)은 활성화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사용자명령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새로 수신된 메일을 열람하는 것이라면 상기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해야 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command is to view the contents of the pre-stored e-mail, the
상기 제 120 단계의 판단결과, 통신모듈(15)의 활성화가 필요하면,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 한다(S112). 이때, 상기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휴대용 컴퓨터(10)의 CPU(11)를 구동시키는 방법과, 상기 컨트롤러(22)가 상기 통신모듈(15)을 직접 제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120, when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130). 이때,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란 상기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접속이 필요한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요구하는 경우를 말한다.The
상기 제 130 단계의 수행결과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22)는 사기 메모리부(29에) 저장된 ID/PW 테이블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ID 및 PW를 독출한다(S132). 그리고 상기 ID 및 PW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S134).When a log-in is requir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operation 130, the
한편,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업데이트를 실행한다(S140, S142). 상기 업데이트 과정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 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f an updat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update is executed (S140 and S142). The update proces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업데이트 과정이 로그인 과정 이후에 실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통신모듈(22)이 활성화된 이후이면 어느 단계에서든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시세의 열람이 사용자 명령인 경우 로그인이 필요 없을 수도 있고(물론, 자신의 보유종목만을 알고자 하는 경우 로그인이 필요), 새로운 메일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과정 이후에 업데이트가 실행되어야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date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login process as an example, but may be executed at any stage after the
결과적으로 상술한, 인증단계, 활성화단계, 로그인 단계 및 업 데이트 단계의 순서는 일 예를 든 것에 불과하고, 상기 인증과정이 활성화 단계 이후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만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 데이트 단계가 통신모듈 활성화 단계 이후에 실행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As a result, the above-described sequence of the authentication step, activation step, login step and update step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executed only when a login is required after the activation step.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in which the update step is executed after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step is also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단계, 활성화단계, 로그인 단계 또는 업 데이트 단계 중 상기 사용자명령 실행에 필요한 과정을 마친 상기 컨트롤러는 입력된 실행명령을 실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which has completed the necessary steps for executing the user command during the authentication, activation, login, or update, executes the input execution command.
이때, 실행이라 함은, 명령을 수행하고 수행된 결과를 출력부(23,27)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is case, execution includes performing a command and outputting the result through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의 실행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execution method of a user command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별도의 OS를 가진 보조 입출력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므로, 휴대용 컴퓨터의 OS를 종료하고, 소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해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since an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having a separate OS is provided to perform a user comm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pecific task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auxiliary input / output device that terminates the OS of the portable computer and consumes a small amount of power.
그리고 본 발명은, 입력 공간이 협소한 보조입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ID 및 PW를 테이블로 저장하여 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the user command through the auxiliary input and output device with a narrow input space, in order to minimize the input amount from the user by storing the ID and PW as a table using the automatic login process by using 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increas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74773AKR101369676B1 (en) | 2007-07-25 | 2007-07-25 | Auxiliary IO apparatus of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mg method of application using of auxiliary IO apparatu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74773AKR101369676B1 (en) | 2007-07-25 | 2007-07-25 | Auxiliary IO apparatus of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mg method of application using of auxiliary IO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11323Atrue KR20090011323A (en) | 2009-02-02 |
| KR101369676B1 KR101369676B1 (en) | 2014-03-0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74773AActiveKR101369676B1 (en) | 2007-07-25 | 2007-07-25 | Auxiliary IO apparatus of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mg method of application using of auxiliary IO apparatu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6967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118911A (en)* | 2016-07-29 | 2020-10-16 | 애플 인크.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
| JP2022046615A (en)* | 2013-09-09 | 2022-03-23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based on unlock inpu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11321041B2 (en) | 2014-01-23 | 2022-05-03 | Apple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
| US11393258B2 (en) | 2017-09-09 | 2022-07-19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1468155B2 (en) | 2007-09-24 | 2022-10-11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 US11619991B2 (en) | 2018-09-28 | 2023-04-04 | Apple Inc. |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
| US11676373B2 (en) | 2008-01-03 | 2023-06-13 | Apple Inc. |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
| US11755712B2 (en) | 2011-09-29 | 2023-09-12 | Apple Inc. |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
| US11809784B2 (en) | 2018-09-28 | 2023-11-07 | Apple Inc. | Audio assisted enrollment |
| US11836725B2 (en) | 2014-05-29 | 2023-12-05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payments |
| US11914419B2 (en) | 2014-01-23 | 2024-02-27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
| US11928200B2 (en) | 2018-06-03 | 2024-03-12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2079458B2 (en) | 2016-09-23 | 2024-09-03 | Apple Inc. |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
| US12099586B2 (en) | 2021-01-25 | 2024-09-24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2216754B2 (en) | 2021-05-10 | 2025-02-04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uthenticating to perform secure operations |
| US12262111B2 (en) | 2011-06-05 | 2025-03-2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63638A (en)* | 2002-01-23 | 2003-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having a cover equipted with auxilary Liquid Crystal Display(LCD) |
| KR20030082712A (en)* | 2002-04-18 | 2003-10-23 | 주식회사 바롬테크 | CDRom drive equipped with audio playing module |
| KR101023333B1 (en)* | 2003-12-01 | 2011-03-1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Log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memory car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68155B2 (en) | 2007-09-24 | 2022-10-11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 US11676373B2 (en) | 2008-01-03 | 2023-06-13 | Apple Inc. |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
| US12406490B2 (en) | 2008-01-03 | 2025-09-02 | Apple Inc. |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
| US12262111B2 (en) | 2011-06-05 | 2025-03-2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
| US11755712B2 (en) | 2011-09-29 | 2023-09-12 | Apple Inc. |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
| JP2022115877A (en)* | 2013-09-09 | 2022-08-09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n base of unlock input |
| US11494046B2 (en) | 2013-09-09 | 2022-11-0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nlock inputs |
| JP2022046615A (en)* | 2013-09-09 | 2022-03-23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based on unlock inpu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12314527B2 (en) | 2013-09-09 | 2025-05-27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nlock inputs |
| US11768575B2 (en) | 2013-09-09 | 2023-09-26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nlock inputs |
| US11914419B2 (en) | 2014-01-23 | 2024-02-27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
| US12277003B2 (en) | 2014-01-23 | 2025-04-15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
| US11321041B2 (en) | 2014-01-23 | 2022-05-03 | Apple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
| US12399667B2 (en) | 2014-01-23 | 2025-08-26 | Apple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a touch-sensitive secondary device |
| US11429145B2 (en) | 2014-01-23 | 2022-08-30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
| US11836725B2 (en) | 2014-05-29 | 2023-12-05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payments |
| KR20200118911A (en)* | 2016-07-29 | 2020-10-16 | 애플 인크.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
| KR20220002739A (en)* | 2016-07-29 | 2022-01-06 | 애플 인크.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
| US12079458B2 (en) | 2016-09-23 | 2024-09-03 | Apple Inc. |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
| US11765163B2 (en) | 2017-09-09 | 2023-09-19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1393258B2 (en) | 2017-09-09 | 2022-07-19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1928200B2 (en) | 2018-06-03 | 2024-03-12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2189748B2 (en) | 2018-06-03 | 2025-01-07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1809784B2 (en) | 2018-09-28 | 2023-11-07 | Apple Inc. | Audio assisted enrollment |
| US12124770B2 (en) | 2018-09-28 | 2024-10-22 | Apple Inc. | Audio assisted enrollment |
| US12105874B2 (en) | 2018-09-28 | 2024-10-01 | Apple Inc. |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
| US11619991B2 (en) | 2018-09-28 | 2023-04-04 | Apple Inc. |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
| US12099586B2 (en) | 2021-01-25 | 2024-09-24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12216754B2 (en) | 2021-05-10 | 2025-02-04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uthenticating to perform secure operation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69676B1 (en) | 2014-03-04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69676B1 (en) | Auxiliary IO apparatus of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mg method of application using of auxiliary IO apparatus | |
| US9852731B2 (en) | Mechanism and apparatus for seamless voice wake and speaker verification | |
| US7185211B2 (en) | Power management in computing applications | |
| JP581669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secure resources | |
| US6718307B1 (en) | Speech input device with attention span | |
| EP3646318B1 (en) |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deciding duration of receiving voice input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 |
| US20070106891A1 (en) | Computer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 |
| US20060061451A1 (en) | Personalized control device having security mechanism | |
| KR100322467B1 (en) | multiuser computer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06092547A (en) | Computer system having basic input / out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107422976A (en) | Black screen gesture-based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 JP2004234331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USER OPERATION RESTRICTION METHOD USED IN THE DEVICE | |
| CN101194456A (en) | Secure rapid navigation and power control for a computer | |
| KR20000060254A (en) | Remote controlled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 CN107450839A (en) | Black screen gesture-based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 US2010026886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US8842025B2 (en) | Method of setting specific scan codes for manual input device | |
| KR20050012928A (en) | Portable computer | |
| EP2727004A1 (en) |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 |
| US20210216639A1 (en) | Credential management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 |
| US20090070491A1 (en) | Method for executing target programs with compound quick keys | |
| JP4738105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7945293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adio connection method | |
| JP2007066089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 |
| EP2942708A1 (en) | Data input system for macro activa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7072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20718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70725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306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311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4022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40225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124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124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124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0124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123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0123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122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121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