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to which a nozzle assembly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노즐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의 드럼브러시와 엉김방지부재가 노즐조립체 케이싱에 설치된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drum brush and the anti-angling member of FIG. 2 installed in the nozzle assembly cas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진공청소기 본체 120...핸들부110
130...연장관 140...플렉시블호스130 ...
150...노즐조립체 151...노즐조립체 케이싱150
151a...흡입구 153...드럼브러시151a ... Intake 153 ... Drumbrush
154...드럼 155...돌출부154 Drum ... 155 Projection
155a...제 2 원기둥부재 155b...제 2 돌기155a ... second
158...감김방지부재 158a...제 1 원기둥부재158.Welding
158b...제 1 돌기158b ... the first projec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피청소면에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의 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zzle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which is connected to a vacuum cleaner body and sucks dirt on a surface to be cleaned.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과 노즐조립체를 접촉한 상태에서 오물을 포함한 외부공기가 흡입되고 이 후, 공기유로를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집진장치로 유입되면, 집진장치에서 오물이 분리된 후, 정화된 공기가 진공청소기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청소동작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when the vacuum clean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nozzle assembly, external air including dirt is sucked in, and then enters the dust collector built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rough the air passage,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or.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llowing the purifi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한편, 진공청소기의 노즐조립체는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어 흡입하도록 드럼브러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드럼브러시는 노즐조립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돌기들이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어 흡입구로 유도시킨 후, 공기유로로 유입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nozzle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drum brush so as to scratch the suction of the hair of the surface being cleaned or the animal. The drum brush includes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nozzle assembly,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drum, and as the drum rotates, the protrusions guide the hair or animal hair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the suction port. Allow it to enter the air channel.
하지만, 종래의 노즐조립체는 돌기들에 의해 흡입구로 유도된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드럼브러시에 감겨 얽킴으로써, 공기유로로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청소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ozzle assembly is entangled by the drum brush of the hair or animal of the surface to be guided to the suction port by the projections, it does not move to the air flow,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사용자가 드럼브러시에 감긴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손으로 제거하는 일은 상당히 번거롭고 비위생적인 것이었다.In addition, it was quite cumbersome and unsanitary for the user to remove the hair of the drum brush or animal hair by han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드럼브러시에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조립 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nozzle assembly that can prevent the hair of the hair or animals to be wound in the drum brus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는 피 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 노즐조립체 케이싱; 상기 노즐조립체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드럼브러시; 상기 드럼브러시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상기 드럼브러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노즐조립체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감김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감김방지부재는, 상기 노즐조립체 케이싱의 상측 저면에 머리빗 모양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며, 제 1 원기둥부재와 제 1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nozzle assembly casing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for sucking the dirt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A drum brush rotatably installed in the nozzle assembly casing; And a coiling prevent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nozzle assembly casing to prevent hair or animal h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by the drum brush, and being wound inside the nozzle assembly casing, wherein the coiling preventing member includes the nozzle assembly.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hape of a hair comb,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he first cylindrical member and the first projection.
또한, 상기 제 1 돌기는 구형상이고, 상기 제 1 원기둥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otrusion has a spherical shape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ylindrical member.
또한, 상기 드럼브러시는, 상기 노즐조립체 케이싱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피 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도록 상기 드럼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며 연장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김방지부재와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소정길이 만큼 중첩되고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돌출부가 상기 감김방지부재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부에 걸쳐진 머리카락 등이 상기 감김방지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um brush may include: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nozzle assembly casing;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outer surface to scratch the hair or animal hair of the cleaning surface, wherein the anti-roll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verlap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lternate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the anti-wound member whil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as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nti-wound members.
또한, 상기 다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드럼으로부터 돌출된 봉 형상의 제 2 원기둥부재와, 상기 제 2 원기둥부재의 끝단에 연결된 구형상의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eferably includes a rod-shaped second cylindrical member protruding from the drum and a spherical second protrus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member.
또한, 상기 돌출부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부재의 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rod of a rubber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실시예의 노즐조립체(15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15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는 진공청소기 본체(110), 핸들부(120), 연장관(130), 플렉시블호스(1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15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는 노즐조립체(1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즉, 진공청소기 본체(110), 핸들부(120), 연장관(130) 및 플렉시블호스(140)는 통상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하고, 노즐조립체(15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2, the
진공청소기 본체(110)는 흡입원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모터(미도시)와, 오물을 포함한 외부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기 위한 집진장치(미도시)가 내장된다.The
핸들부(120)는 진공청소기 본체(110)와 노즐조립체(150)의 사이에 배치되며, 노즐조립체(150)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연장관(130)은 노즐조립체(150)와 핸들부(120)를 연결하며, 플렉시블호스(140)는 핸들부(120)와 진공청소기 본체(110)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노즐조립체(150)를 통해 유입된 오물을 포함한 외부공기는 연장관(130), 핸들부(120), 플렉시블호스(140)를 차례로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 집진장치(미도시)에서 오물을 분리된 후, 진공청소기 본 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external air including the dirt introduced through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150)는 피청소면의 먼지와 함께 피청소면을 긁어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흡입하여 연장관(130)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노즐조립체 케이싱(151), 드럼브러시(153) 및 감김방지부재(158)를 포함한다.2 and 3, the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은 저면에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51a)가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 흡입구(151a)로 부터 흡입된 오물을 배출하여 연장관(13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구(151b)가 형성되어 있다.The
드럼브러시(153)는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어 보다 용이하게 흡입구(151a)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드럼(154), 돌출부(155)를 포함한다.The
드럼(154)은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힌지축(10)에 의해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흡입구(151a)의 상측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154)이 회전하도록 도 2와 같이, 에어터빈(20)과 동력전달수단(25)이 구비된다. 흡입구(151a)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에어터빈(20)이 회전하고, 이러한 에어터빈(2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인 벨트부재(25)에 의해 드럼(154)에 전달됨으로써, 드럼(154)이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드럼(154)은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전방에서 피청소면을 거쳐 후방으로 회전 즉, 도 2의 A 방향과 같이 회전되어야 한다. 이 에 따라, 에어터빈(20)의 회전방향도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154)이 회전되기 위하여 에어터빈(20)을 사용하였으나,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내부에 별도의 모터를 설치하여, 드럼(154)을 회전하여도 무방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감김방지부재(158)는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드럼(154)에 감겨 진공청소기(100)의 연장관(130, 도1 참조)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상측저면(152)에 드럼(1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치되며, 제 1 원기둥부재(158a) 및 제 1 돌기(158b)를 포함한다. 제 1 원기둥부재(158a)는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상측저면(152)으로부터 흡입구(151a)를 향해 소정직경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연장되며, 제 1 돌기(158b)는 제 1 원기둥부재(158b)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형상으로 제 1 원기둥부재(158a)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돌출부(155)는 드럼(154)이 회전할 때,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도록 드럼(1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드럼(154)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이 되도록 드럼(154)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길이로 다수개가 연장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155)는 머리빗형상으로 제 2 원기둥부재(155a)와 제 2 돌기(155b)를 포함하며, 제 2 원기둥부재(155a)는 소정직경 및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드럼(154)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돌기(155b)는 제 2 원기둥부재(155a)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형상으로 제 2 원기둥부재(155a)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 2 원기둥부재(155a)의 끝단에 제 2 돌기(155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어 들어올리는 것이 더 쉬워지기 때문에,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보다 더 용이하게 흡입구(151a)를 통해 노즐조립체 케이싱(151)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돌출부(155)는 고무부재로 형성되어, 돌출부(155)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피청소면에 손상을 주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돌출부(15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이 경우, 드럼브러시(153)가 회전할 때, 드럼브러시(153)의 돌출부(155)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감김방지부재(158)들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돌출부(155)와 감김방지부재(158)는 소정길이 h1 만큼 중첩되고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드럼브러시(153)가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긁어 들어올린 상태로 회전하게 되다가 돌출부(155)가 감김방지부재(158)들에 형성되는 간격사이를 소정길이 h1만큼 중첩되어 통과하기 때문에, 돌출부(155)에 걸쳐진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감김방지부재(158)에 걸려 분리된다.In this case,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노즐조립체(150)은 감김방지부재(158)는 제 1 원기둥부재(158a)보다 큰 직경의 제 1 돌기(158b)를 가지고 있으므로, 돌출부(155)에 있는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제 1 돌기(158b)에 걸려 드럼브러시(153)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55)가 드럼(15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돌출부(155)는 별도의 부재로 드럼(154)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캐니스터타입에 사용되는 노즐조립체(15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업라이트형 타입의 진공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15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진공청소기 본체(110)에 내장된 흡입모터(미도시)가 가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흡입력이 전달된 노즐조립체(150)는 피청소면과 접촉하면서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외부공기를 흡입구(151a)를 통해서 흡입하게 되며, 에어터빈(20)을 회전시키면서 연장관(130)으로 유입된다. 에어터빈(20)의 회전력은 벨트(25)를 통해서 드럼(154)을 A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드럼(154)의 회전에 의하여 돌출부(155)는 피청소면을 긁어 피청소면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흡입구(151a)를 통해 노즐조립체 케이싱(151)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드럼(154)이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드럼(154)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력을 저하시킬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150)는 드럼(154)이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155)가 감김방지부재(158)들에 형성되는 간격사이를 소정깊이 h1만큼 중첩되게 통과하기 때문에, 돌출부(155)에 있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은 감김방지부재(158)에 걸려 드럼브러시(153)으로 분리됨으로써, 드럼(154)에는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감기지 않게 된다. 이후, 감김방지부재(158)에 뭉쳐진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은 연장관(130)으로 유입된다. 이후,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포함한 각종오물들은 핸들부(120) 및 플렉시블호스(140)를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110)로 유입된 후, 집진장치(미도시)에서 분리된 후, 정화된 공기는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외부로 빠져나간다.When the suction motor (not shown) built in the vacuum cleaner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조립체는 감김방지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드럼브러시에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효율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사용자가 드럼브러시 자체를 청소하는 청소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ince the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iling preven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ir or animal hair from being wound in the drum brush, thereby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and the user of the drum. The cleaning cycle for cleaning the brush itself can be extended.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8691AKR20080086690A (en) | 2007-03-23 | 2007-03-23 | Nozzle Assembly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8691AKR20080086690A (en) | 2007-03-23 | 2007-03-23 | Nozzle Assembl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86690Atrue KR20080086690A (en) | 2008-09-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28691ACeasedKR20080086690A (en) | 2007-03-23 | 2007-03-23 | Nozzle Assembly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80086690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3325A (en)* | 2009-02-16 | 2010-08-25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WO2015035545A1 (en)* | 2013-09-10 | 2015-03-19 |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 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cleaner |
| WO2015035548A1 (en)* | 2013-09-10 | 2015-03-19 |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 Cleaner suction nozzle and dust suction device |
| KR20160003051A (en)* | 2013-05-02 | 2016-01-08 |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CN109199228A (en)* | 2017-07-07 | 2019-01-15 | 添可电器有限公司 | Floor brush of dust collector and its dust catcher |
| CN109907693A (en)* | 2017-12-12 | 2019-06-21 | 吴晓栋 | Anti-tangle cleaning device |
| CN110051273A (en)* | 2018-12-26 | 2019-07-26 | 深圳市杰深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crubbing brush structure of dust collector and dust catcher preventing scrubbing brush shaft end winding hair |
| KR20200007832A (en)* | 2017-04-20 | 2020-01-22 |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 Cleaner with coaming unit to remove rubbish from cleaning rollers |
| CN114403747A (en)* | 2021-12-08 | 2022-04-29 |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 Round brush structure and cleaning robot |
| US11464377B2 (en) | 2019-04-04 | 2022-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cuum cleaner |
| WO2023082590A1 (en)* | 2021-11-15 | 2023-05-19 | 叶隽 | Anti-tangling floor brush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3325A (en)* | 2009-02-16 | 2010-08-25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KR20160003051A (en)* | 2013-05-02 | 2016-01-08 |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WO2015035545A1 (en)* | 2013-09-10 | 2015-03-19 |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 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cleaner |
| WO2015035548A1 (en)* | 2013-09-10 | 2015-03-19 |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 Cleaner suction nozzle and dust suction device |
| KR20200007832A (en)* | 2017-04-20 | 2020-01-22 |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 Cleaner with coaming unit to remove rubbish from cleaning rollers |
| CN109199228A (en)* | 2017-07-07 | 2019-01-15 | 添可电器有限公司 | Floor brush of dust collector and its dust catcher |
| CN109907693A (en)* | 2017-12-12 | 2019-06-21 | 吴晓栋 | Anti-tangle cleaning device |
| CN110051273A (en)* | 2018-12-26 | 2019-07-26 | 深圳市杰深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crubbing brush structure of dust collector and dust catcher preventing scrubbing brush shaft end winding hair |
| US11464377B2 (en) | 2019-04-04 | 2022-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cuum cleaner |
| WO2023082590A1 (en)* | 2021-11-15 | 2023-05-19 | 叶隽 | Anti-tangling floor brush |
| CN114403747A (en)* | 2021-12-08 | 2022-04-29 |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 Round brush structure and cleaning robo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80086690A (en) | Nozzle Assembly | |
| KR101031560B1 (en) | Suction structure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 RU2571810C1 (en) | Vacuum cleaner | |
| KR101361564B1 (en) |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
| JP4801516B2 (en) | Vacuum cleaner mouthpiec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mouthpiece | |
| KR101401512B1 (en) |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 |
| CN106691315B (en) | Drum for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with same | |
| JP4097264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 KR100806397B1 (en) | Suction brush assembly | |
| KR20100093325A (en) |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WO2015062315A1 (en) | 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appliance | |
| JP4749263B2 (en) | Vacuum cleaner suction tool | |
| JP5150704B2 (en) | Vacuum cleaner suction tool | |
| KR100809739B1 (en) | Suction nozz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 |
| JP2004147759A (en) | Electric cleaner | |
| CN109561801B (en) | 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cleaner | |
| JP2007252644A (en) | Vacuum cleaner inlet and vacuum cleaner | |
| JP2007252642A (en) | Vacuum cleaner inlet and vacuum cleaner | |
| KR100480142B1 (en)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
| GB2412571A (en) | Reduced width turbine in vacuum cleaner nozzle head | |
| JP2004057365A (en) |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 |
| KR101461984B1 (en) | A suctio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 JP2004237127A (en) |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 | |
| CN211270491U (en) | A brush and hand-held vacuum cleaner | |
| KR200306319Y1 (en) | Vacuum cleaning appointment suction head the brush is had built-i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7032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110324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20307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70323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3061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3122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30612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20140129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PJ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3122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20141031 Appeal identifier:2014101000594 Request date:20140129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40129 Patent event code:PB09011R02I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129 Patent event code:PB09011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30808 Patent event code:PB09011R02I |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PB06011S01D Patent event date:20140328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29 Effective date:20141031 Free format text:TRIAL NUMBER: 20141010005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29 Effective date:20141031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PJ13011S01D Patent event date:20141031 Comment text: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20140129 Decision date:20141031 Appeal identifier:20141010005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