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80047018A -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018A
KR20080047018AKR1020060116844AKR20060116844AKR20080047018AKR 20080047018 AKR20080047018 AKR 20080047018AKR 1020060116844 AKR1020060116844 AKR 1020060116844AKR 20060116844 AKR20060116844 AKR 20060116844AKR 20080047018 AKR20080047018 AKR 2008004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window
displayed
window
window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찬
Original Assignee
홍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찬filedCritical홍성찬
Priority to KR1020060116844ApriorityCriticalpatent/KR20080047018A/en
Publication of KR2008004701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80047018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표시수단에 문자표시창을 활성화하여 입력하던 중에 숫자를 입력시킬 필요가 있을 때 숫자 표시창을 활성화시켜 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숫자와 문자의 입력을 편리하도록 하는 전자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lectronic device that facilitates input of numbers and letters by activating a number display window and displaying the number on a display means when it is necessary to input a number while activating a text display window on the display means.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동종의 기호들이 배열된 표시창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표시창들을 생성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 상기 표시창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우도록 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표시창이 표시되도록 선택되면, 선택된 표시창을 생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와 상기 표시수단에 영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영상으로 표시된 표시창에 특정의 기호가 선택될 때 이를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표시창을 지우도록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표시창을 상기 표시수단으로부터 지우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display windows in which symbols of the same kind are arranged;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for generating the display windows; Selection means for displaying or erasing the display windows on the display means; If an arbitrary display window is selected to be displayed by the selection means, data for generating the selected display window is read from the storage means and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display means, and when a specific symbol is selected on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as the image, And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means and deleting the selected display window from the display means when it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means to erase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ing window for charactor inputting}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ing window for charactor inpu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블록도이다.1 is a circuit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표시창의 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2 shows one form of a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표시창의 크기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3 is a screen state diagram for illustrating a process of causing a change in the size of a display window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폰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mobile phone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표시되는 표시창들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display window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o describe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표시수단의 활성화된 화면자판을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에 따라서 변형가능 하도록 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transform an activated screen keyboard of a display means according to an input letter or number.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소형의 전자장치는 제품의 크기에 의하여 표시수단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소형이며, 버튼키들로 이루어진 입력키 또한 소형이기 때문에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기가 불편하다.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is small because the size of the display means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product, and it is inconvenient to input letters and numbers because the input key consisting of button keys is also small.

특히 버튼키들로 이루어진 휴대폰의 숫자입력은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애니콜 휴대폰같은 경우에 문자와 숫자가 동시에 할당된 버튼키를 짧은 시간 누르게 되면 문자가 입력되고, 장시간 누르게 되면 숫자가 입력되는 입력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숫자를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입력시간이 많이 소요된다.In particular, the numeric input of a mobile phone made of button keys is very inconveni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amsung's Anycall mobile phone, if you press a button key that has both letters and numbers assigned to it for a short time, a character is input, and if you press it for a long time, a character is input. This takes a lot.

또한, 휴대폰 또는 PDA의 입력구조는 버튼키들로 입력하는 구조에서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된 화면자판상의 특정 문자나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스크린 상에 화면자판의 크기가 표시수단의 크기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자판과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자판을 분리하여 형성하고,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자판을 활성화시키고,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화면자판을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화면자판과 숫자자판을 별도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활성창을 번갈아 활성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게 된다. 예를 들어 "2006년 12월 25일"을 입력시키기 위하여 문자 입력창을 숫자 입력창으로 변환시키고, "2006"을 입력한 후 다시 문자 입력창으로 변환하여 "년"을 입력시키고, 다시 숫자 입력창으로 변환하여 "12"를 입력한 후 문자 입력창으로 변환하"월"을 입력한 후 숫자 입력창으로 변환하여 "25"를 입력하고 문자 입력창으로 변환한 후 "일"을 입력시켜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structure of a mobile phone or a PDA has been changed from a structure of inputting with button keys to a structure of selecting and inputting specific characters or numbers on a screen keyboard activated on a touch screen.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screen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display means, a screen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 screen keyboard for inputting numbers are formed separately. Activate it, and activate the keyboard to enter numbers. As such, in order to activate the screen keyboard and the numeric keyboard separately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active windows must be alternately activated,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example, to input "December 25, 2006", convert the text input window to the number input window, enter "2006", convert it back to the text input window, enter "year", and enter the number again. Enter "12" into the window, enter "Month" into the text entry window, enter "25" into the number entry window, convert to the text entry window, and enter "day". It goes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수단에 문자표시창을 활성화하여 입력하던 중에 숫자를 입력시킬 필요가 있을 때 숫자 표시창을 활성화시켜 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숫자와 문자의 입력을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the display window to activate the display window when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number when the input of the number and letters by activating the display window to display the display means To make it conveni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할성화된 문자 또는 숫자의 표시창의 크기를 변형시킴으로써 편리하게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niently input letters or numbers by modifying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of active letters or numbers.]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종의 기호들이 배열된 표시창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표시창들을 생성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 상기 표시창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우도록 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표시창이 표시되도록 선택되면, 선택된 표시창을 생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와 상기 표시수단에 영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영상으로 표시된 표시창에 특정의 기호가 선택될 때 이를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표시창을 지우도록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표시창을 상기 표시수단으로부터 지우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display windows arranged the same kind of symbols;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for generating the display windows; Selection means for displaying or erasing the display windows on the display means; If an arbitrary display window is selected to be displayed by the selection means, data for generating the selected display window is read from the storage means and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display means, and when a specific symbol is selected on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as the image, And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means and deleting the selected display window from the display means when it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means to erase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창은 숫자를 선택하기 위한 숫자 표시창과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window preferably includes a number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a number and a text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the tex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문자 표시창은 한글 자모음이 표시되는 한글 표시창인 것입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display window is preferably a Hangul display window in which the Hangul alphabet is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창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는 영문 대문자 표시창과 영문 소문자를 표시하는 영문 소문자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window preferably includes an English uppercase letter display window displaying English capital letters and an English lowercase letter display window displaying English small letter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창은 일문의 히라가나가 표시되는 히라가나 표시창과 가다가나가 표시되는 가다가나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window preferably includes a hiragana display window in which one hiragana is displayed, and a katakana display window in which Kagana is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수단은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저장수단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표시창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키들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키들이 선택될 때 선택된 표시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표시창을 지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eans is a touch screen, and the storage means further stores data indicating selection keys for selecting display window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selection keys when the selection keys are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selected display window on the touch screen or to erase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표시창의 윤곽선이 터치수단에 의하여 터치되어 드래그될 때, 상기 표시된 표시창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서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is preferably enlarg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drag direction when the contour of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s touched and dragged by the touch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표시창의 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circuit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one form of a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 스크린(10)은 제어부(30)에 의하여 정하여진 영역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표시창과 문자 표시창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표시창에 표시된 특정 문자 또는 숫자(이하 기호라 함)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선택할 때 감지부(20)는 선택된 기호를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한다. 제어부(30)는 터치 스크린(10)과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운용체제(OS:Operating System)를 구비하는 제 어모듈(31)과 감지부(20)에 의하여 전송되는 선택기호에 따라서 문자를 생성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모듈(32)을 구비하며, 제어모듈(31)은 응용프로그램 모듈(32)에 의하여 생성된 문자를 터치 스크린(10)의 정해진 영역에 표시한다.Thetouch screen 10 displays a numeric display window and a text display window in the area determined by thecontroller 30 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letter or nu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mbol)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using a stylus pen, thedetector 20 detects the selected symbol and transmits it to thecontroller 30. Thecontroller 30 displays characters according to a selection symbol transmitted by thecontrol module 31 having thetouch screen 10 and an operating system (OS) for controlling the control object and thesensing unit 20. Anapplication module 32 for generating is provided, and thecontrol module 31 displays a character generated by theapplication module 32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touch screen 10.

또한, 제어부(30)에는 터치 스크린(10)에 사용자가 기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창들을 생성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0)가 연결되며, 저장부(4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10)상에 영상 이미지로 표시하도록하는 영상 처리부(50)가 연결되며, 제어부(30)로 하여금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명령을 입력시키는 입력부(60)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touch screen 10, thestorage unit 40 for storing data for generating display window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symbol, the touch screen by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storage unit 40 Animage processor 50 for displaying a video image on theimage 10 is connected, and aninput unit 60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controller 30 to input a letter or a number is connected.

또한, 저장부(40)에는 한글 표시창 저장모듈이 구비되고, 한글 표시창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50)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10) 상에 한글 표시창(13)으로 표시된다. 또한, 저장부(40)에는 대, 소 영문표시창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대,소 영문 표시창 저장모듈이 구비되며, 터치 스크린(10)에 표시되는 숫자 표시창(11)을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숫자 표시창 저장모듈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기호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제어명령을 선택하기 위한 콘트롤 표시창(12)을 생성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콘트롤 표시창 저장모듈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stora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Hangul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the data stored in the Hangul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is displayed as a Hanguldisplay window 13 on thetouch screen 10 by theimage processor 50. In addition, thestora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large and small English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necessary to generate a large and small English display window, and to generate anumeric display window 11 displayed on thetouch screen 10. And a numeric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storing the data, and a control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for generating acontrol display window 12 for selecting a control command required for a user to input a symbol.

콘트롤 표시창(12)에 표시된 「한/영」키는 한글과 영문 표시창을 전환하기 위한 토글 키이며, 「한/ 영」키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30)는 「대영」, 「소영」으로 두 개가 생성되도록 하여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를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으로 짧게 누름으로써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들 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한글 표시창으로 복귀를 하게 되고, 이때 콘트롤 표시창(12)에는 「한/ 영」키로 표시되도록 한다.The “Korean / English” key displayed on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is a toggle key for switching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 display windows. When the “Korean / English” key is pressed, thecontrol unit 30 is divided into “British” and “Soyoung”.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can be selected by the user with a short press of a stylus pen.Then, by pressing and holding these keys, the display returns to the Korean display window. Be sure to

또한, 콘트롤 표시창(12)의 「123」키는 숫자 표시창(11)을 표시하기 위한 숫자 표시창 활성화 키로써 한번 선택되면 숫자 표시창(11)을 터치 스크린(10)에 표시하고, 한번 더 선택하면 숫자 표시창(11)을 터치 스크린(10)에서 지운다.In addition, the "123" key of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is a numeric display window activation key for displaying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and once selected, displays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on thetouch screen 10, and if selected again, Thedisplay window 11 is removed from thetouch screen 10.

이와 같이, 표시창들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10)의 기호를 선택하여 "2006년 12월 25일"을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문자 입력을 위하여 입력부(60)에 의하여 제어부(30)에 문자 입력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저장부(40)에서 한글 표시창 저장모듈과 콘트롤 표시창 저장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영상처리부(50)에 전송하도록 하여 터치 스크린(10)에 콘트롤 표시창(12)과 한글 표시창(13)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2006"을 입력하기 위하여 콘트롤 표시창(12)의 「123」키를 선택하면 제어부(30)는 숫자 표시창 저장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영상처리부(50)에 전송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숫자 표시창(11)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숫자 표시창(11)과 한글 표시창(13)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2006"을 생성하기 위하여 해당키들을 숫자 표시창(11)에서 선택하고, "년"을 생성하기 위하여 응용프로그램모듈(32)에 저장된 한글 문자를 생성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규정된 약정에 따라서 각각 해당 기호를 한글 표시창(13)의 키들을 선택하고, 마찬 가지로 "12"를 숫자 표시창(11)에서 선택하고, "월"을 한글 표시창(13)에서 선택하고, "25" 숫자 표시창(11)에서 선택하고, "일"을 한글 표시창(13)에서 선택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완성한다.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inputting “December 25, 2006” by selecting a symbol of thetouch screen 10 on which the display windows are display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irst, when a character input command is input to thecontroller 30 by theinput unit 60 to input characters, thecontroller 30 stores data from the Hangul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and the control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in the storage unit 40. ) To display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and theKorean display window 13 on thetouch screen 10. In this state, when the user selects the "123" key of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to input "2006", the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data from the numeric display window storage module to theimage processing unit 50 to display the numbers on the touch screen.Display window 11 is displayed. In this manner, the corresponding keys are selected in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to generate "2006" while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and theKorean display window 13 are activated, and theapplication program module 32 to generate the "year".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defin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for generating the Hangul characters stored in the respective symbols to select the keys of the Hanguldisplay window 13, likewise "12" is selected in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Mon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by selecting " " in theKorean display window 13, " 25 " in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and selecting " days "

이와 같이, 문자와 숫자를 혼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숫자 표시창(11)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숫자와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하지만, 단순히 문자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숫자 표시창(11)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10)상에 문자 표시창 즉 한글 표시창 또는 영문 표시창만을 표시하도록 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mixture of letters and numbers is input, numbers and letters are conveniently input while thenumber display window 11 is activated. However, when only letters are input, there is no need to activate thenumber display window 11. Therefore, a character display window, ie, a Korean display window or an English display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touch screen 10 so that characters may be input.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표시창의 크기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3 is a screen state diagram for illustrating a process of causing a change in the size of a display window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폰과 같이 작은 터치 스크린상에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창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문자 표시창의 크기가 제한되지만, 단순히 문자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 표시창을 확대시킨 후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시킨다.In order to enter letters or numbers on a small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phone, the size of the text display window is limited because two windows are activated and displayed at the same time. .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 스크린(10)의 문자 표시창(13)의 윤곽선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30)는 윤곽선의 눌린 상태를 인식하여 영상처리부(50)에 의하여 윤곽선을 따라 사각형을 도시하도록 하고, 제어부(30)는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윤곽선의 모서리에 스타일러스 펜을 누르면 확장표시기호(↕)를 표시하고, 스타일러스 펜으로 확장 표시기호를 드레그(drag)시키면 확장되는 크기를 표시하도록 하고, 드레그 종료후에 확장된 크기로 문자 표시창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확장방법은 현재 윈도우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상세한 설명 없이도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utline of thecharacter display window 13 of thetouch screen 10 with the stylus pen, thecontroller 30 recognizes the pressed state of the outline so that theimage processor 50 shows a rectangle along the outline. In this state, thecontrol unit 30 displays an extended symbol when the user presses the stylus pen at the corner of the outline, and displays an expanded size when the extended symbol is dragged with the stylus pen, and the drag ends. Later, the text display is expanded to the expanded size. This extens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tailed description in a manner commonly used in the present window system.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만 적용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사 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판에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only to the touch screen, and may be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urrently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폰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mobile phone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LCD 모니터(17)와, LCD 모니터(17)에 문자/숫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키(15)와, LCD 모니터(17)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키(14)와, 커서가 위치하는 기호를 선택하기 위한 확인키(16)가 설치된다. 휴대폰에는 다양한 키들이 존재하지만 도 4의 키들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ellular phone moves theLCD monitor 17, amenu key 15 for inputting a command for inputting letters / numbers into theLCD monitor 17, and a cursor of theLCD monitor 17. Acursor moving key 14 for moving and aconfirmation key 16 for selecting a symbol where the cursor is located are provided. There are various keys in the mobile phone, but the keys in FIG. 4 only show those which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present invention.

메뉴키(15)를 누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모니터(17)에는 콘트롤 표시창(12)과 한글 입력창(13)이 표시되고, 커서 이동키(14)와 확인키(16)를 이용하여 콘트롤 표시창(12)의「123」키를 선택하게 되면 숫자 표시창(11)이 표시되게 된다. 한글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 표시창(13)을 표시한 상태로 입력하면 되지만 숫자를 혼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숫자 표시창(11)을 LCD 모니터(17)에 표시하도록 한 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숫자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When themenu key 15 is pressed,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and theKorean input window 13 are displayed on theLCD monitor 17 as shown in FIG. 4, and thecursor movement key 14 and theconfirmation key 16 are used. When the "123" key of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is selected, thenumeric display window 11 is displayed. If you input only Korean, you can enter the display with theHangul display window 13, but if you mix numbers, enter thenumber display window 11 on theLCD monitor 17. You can enter text.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표시되는 표시창들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display window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o describe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실시예는 영문을 대문자와 소문자를 혼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English can be conveniently inputted when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re mixed.

콘트롤 표시창(12)에는 한글 표시창을 표시하도록 하는 「한글」키와, 영문 대문자 표시창(18)을 표시하도록 하는 「영대」키와, 영문 소문자 표시창을 표시하 도록 하는 「영소」키와, 숫자표시창을 표시하도록 하는 「123」키가 표시된다.Thecontrol display window 12 includes a "Korean" key for displaying a Korean display window, a "zero" key for displaying an Englishuppercase display window 18, a "zero" key for displaying a lowercase English display window, and a numeric display window. The "123" key is displayed to display.

이와 같은 콘트롤 표시창(12)의 각각의 키를 한 번 선택하면 해당 표시창이 터치 스크린(10)상의 정해진 영역에 표시되지만 각각의 키를 다시 한번 선택하면 해당 표시창이 지워지게 된다.When each key of thecontrol display window 12 is selected once, the corresponding display window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touch screen 10, but when each key is selected again, the corresponding display window is erased.

이와 같이,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를 혼용 입력하는 경우에 영문 대문자 표시창(18)과 영문 소문자 표시창(19)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한 후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한가지의 표시창만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표시창만을 표시하여 해당 표시창만을 남기고 불필요한 표시창을 지운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mixing English uppercase letters and lowercase letters, the uppercaseEnglish uppercase window 18 and the lowercaseEnglish display window 19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n the uppercase English and lowercase letters may be conveniently input. In this case, when a character is input using only one display window, only one display window may be displayed so that only the display window is left and the unnecessary display window is deleted.

또한, 제3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히라가나"와 "가다가나"와 같이 두 개의 문자형태가 있는 일문 입력시에 히라가나 표시창과 가다가나표시창 모두를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하도록 하여 이들 두 가지 문자를 혼용 입력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문자판이 구성되는 다양한 기호입력시에 다양하게 변형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embodimen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hen entering Japanese characters with two character forms, such as "Hiragana" and "Kagawa", both Hiragana display windows and Kagana display windows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o that these two characters can be mixe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used when inputting various symbols.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제품, 즉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소형의 제품에 문자와 숫자를 혼용하여 입력하는 경우 문자 표시창과 숫자 표시창을 동시에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문자와 숫자를 편리하게 혼용 입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and configuration, when a letter and number are mixed and entered into electronic products, ie, small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the letter and number display window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You can conveniently mix input.

또한, 다양한 문자의 표시창들을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형태 의 문자 또한 편리하게 혼용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display window of the various characters on the display means, it is also possible to conveniently mix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동종의 기호들이 배열된 표시창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는 표시수단;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display windows in which like symbols are arranged;상기 표시창들을 생성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for generating the display windows;상기 표시창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우도록 하는 선택수단;Selection means for displaying or erasing the display windows on the display means;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표시창이 표시되도록 선택되면, 선택된 표시창을 생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와 상기 표시수단에 영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영상으로 표시된 표시창에 특정의 기호가 선택될 때 이를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표시창을 지우도록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표시창을 상기 표시수단으로부터 지우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If an arbitrary display window is selected to be displayed by the selection means, data for generating the selected display window is read from the storage means and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display means, and when a specific symbol is selected on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as the image,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means, and control means for erasing the selected display window from the display means when selected by the selection means to erase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Electronic device that the display windows for the variable.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숫자를 선택하기 위한 숫자 표시창과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window comprises a numeric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a number and a text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the character.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표시창은 한글 자모음이 표시되는 한글 표시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text display window is a Hangul display window in which a Hangul consonant is displayed.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는 영문 대문자 표시창과 영문 소문자를 표시하는 영문 소문자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window comprises an English uppercase display window displaying English capital letters and a lowercase English display window displaying English lowercase letters. 5. Device.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일문의 히라가나가 표시되는 히라가나 표시창과 가다가나가 표시되는 가다가나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window comprises a hiragana display window in which a Japanese hiragana is displayed, and a gagana display window in which gagana is displayed.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저장수단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표시창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키들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키들이 선택될 때 선택된 표시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표시창을 지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eans is a touch screen, and the storage means further stores data indicating selection keys for selecting display window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selection keys. And display windows for inputting symbol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wherein the selected display window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erased.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표시창의 윤곽선이 터치수단에 의하여 터치되어 드래그될 때, 상기 표시된 표시창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서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7. The symbol input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enlarge or reduce the displayed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when the contour of the display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s touched and dragged by the touch means. Electronic device that the display windows for the variable.
KR1020060116844A2006-11-242006-11-24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CeasedKR200800470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116844AKR20080047018A (en)2006-11-242006-11-24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116844AKR20080047018A (en)2006-11-242006-11-24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80047018Atrue KR20080047018A (en)2008-05-28

Family

ID=3966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60116844ACeasedKR20080047018A (en)2006-11-242006-11-24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0800470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45439B1 (en)*2008-08-042010-03-05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45439B1 (en)*2008-08-042010-03-05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449781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1441200B1 (en)Teminal with moving keyboard and method thereof
US20100013852A1 (en)Touch-type mobile computing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applied thereto
US10387033B2 (en)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JP2002062973A (en)Improved data input device
KR20130083195A (en)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JP2003186613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046660B1 (en)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KR20080047018A (en)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e display windows for symbol input
US10101906B2 (en)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KR19990048401A (en) Keyboard enlarged display device
EP2524283A1 (en)Virtual keyboard
KR101016948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s
KR20120078806A (en)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KR20040034915A (en)Apparatus for implementing dynamic keyboard in pen computing system
KR101255801B1 (en)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JP5965212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25138827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JP66614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605921B2 (en)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H04299723A (en)Data input device
JP2009151688A (en)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touch input pen, and mobile terminal device
JP200127307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2002268800A (en)Electronic equipment,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program for electronic equipment
JP2002251250A (en)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61124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712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80721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09013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80721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2I

Patent event date:20071217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