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nge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본체부 20 : 목걸이부10: body portion 20: necklace portion
30 : 거치부 31 : 제1지지부30: mounting portion 31: first support
32 : 제2지지부 33 : 접촉부32: second support portion 33: contact portion
34 : 힌지부34: hinge par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mount that can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다닐 수 있으며, 이동 중에 손에 들고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자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현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있다.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with one hand and performs a function for sending or receiving data that is made to be input and operated while holding it on the go. Currently,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There are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rmin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근래에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의 거치대가 별도로 보급되고 있다.Recently, a portable terminal for watching a video is provided. Accordingly, various cradles for allowing a user to conveniently watch a video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별도의 거치대가 장착되지 않아서 지하철이나 버스 등과 같이 이동중에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손으로 계속 들고 있어야 하거나, 별도의 거치대를 항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However, whe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cradle inside, and a user wants to watch a video while moving, such as a subway or a bus, the user should keep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by hand or carry a separate cradle at all times. There is inconvenience to be done.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내부에 거치대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기도 하는데,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거치대는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어서, 제자리에 서있거나 이동중이어서 상기 거치대를 올려놓을 테이블 등이 없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동영상 시청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radle insi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radle mounted o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primarily intended for use on a table, such as a stand or moving in the cradle If there is no table, etc. to put the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 not watch the video conveniently.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자리에 서있거나 이동중에도 테이블 등에 올려놓을 필요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거치부가 내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mounting portion that enables convenient viewing of a video by allowing the user to mount it on a user's body without having to put it on a table or the like while standing or moving. It is done.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부에 결합되는 목걸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소정각도로 바라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a necklac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ngle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body of the user so that you can see.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부에 결합되는 목걸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display portion, a necklac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first support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제안되는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자리에 서있거나 이동중에도 테이블 등에 별도로 거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게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user can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without having to mount it on a table or the like even while standing or moving,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watch a video and thus enhance user's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ppend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d, change, delete, and ad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 would be able to sugge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에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목걸이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가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3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the
상세하게는, 상기 목걸이부(20)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목에 걸 수 있도록 소정의 끈으로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걸이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부(20)를 목에 걸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1)가 상기 목걸이부(20)에 가려지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또한,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31)와, 상기 제1지지부(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32)와, 상기 제2지지부(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접촉부(33)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신체에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목걸이부(20)를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31)를 상기 본체부(10) 내부부터 슬라이딩시켜서 빼낸 후, 상기 제2지지부(31)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상기 접촉부(33)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하면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mount 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자리 에 서있거나 이동중에 테이블 등과 같은 별도의 거치장소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신체에 거치시킬 수 있어서,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33)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그러면, 상기 접촉부(33)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접촉부(33)는 마찰력에 의해 사용자의 옷 등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1)는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Then, when the
또한,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제2지지부(32)가 상기 제1지지부(3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34)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34)는 사용자가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이루는 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Preferably, the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이루는 각을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원하는 각도로 시청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Then,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formed by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중이거나 제자리에 서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시킬 별도의 테이블 등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시킨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even when the user is moving or standing in position and there is no separate table for mounting th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중이거나 제자리에 서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시키고 동영상 등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면 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사용자는 목걸이부(20)를 목에 걸고, 상기 제2지지부(32)를 임의의 각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접촉부(33)를 옷에 접촉되게 한다.First, the user hangs the
이후에, 상기 제1지지부(31)를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 내부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신체에 거치시킨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때, 사용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를 바라보는 각도를 편의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2지지부(32)와 제1지지부(31)가 이루는 각도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가능해진다.In this case, the user may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user views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중이거나 서있는 경우에 테이블 등의 별도의 거치장소가 없는 경우에도, 자신의 신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시키고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에서 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에는 상기 거치부(30)의 접촉부(33)가 안착되는 홈(12)과, 상기 제2지지부(32)가 안착되는 홈(13)과, 상기 힌지부(34)가 안착되는 홈(14)과, 상기 제1지짖부(31)가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홈(15)이 형성된다.3 and 4, a
따라서,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신체에 거치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에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does not mount the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신체에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지지부(32)를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상기 제1지지부(31)를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로부터 빼내면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n order for the user to mount the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이루는 각을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동영상 시청하는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formed by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nge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34)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341)와, 상기 돌출부(341)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32)의 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삽입홈(342)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5, the
여기서, 상기 결합부(341)와 삽입홈(342)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 기 제1지지부(31)의 내측에는 삽입홈(342)이, 상기 제2지지부(32)의 외측에는 결합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341)와 삽입홈(342)의 단면은 돌출부(343)와 함몰부(344)가 소정의 곡률로 교대로 형성되는 형상을 가진다.In detail, the cross section of the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제2지지부(32)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부(341)에 형성된 돌출부(343)와 함몰부(344)가 각각 상기 삽입홈(342)에 형성된 함몰부(344)와 돌출부(343)에 맞물리게 되면서, 소정각도로 고정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rotates the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343)와 함몰부(344)의 개수가 6개 형성된다면, 사용자가 상기 제2지지부(32)를 한번 회전시킬 때 상기 돌출부(343)와 함몰부(344)가 한번 맞물리면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이루는 각도는 30도의 간격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he
나아가서, 상기 돌출부(343)와 함몰부(344)의 개수가 많아지면, 사용자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이루는 각도를 더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34)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 사이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제2지지부(3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각도를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다만, 상기 힌지부(34)에 대한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 사이의 각도가 임의의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다 양한 실시예 중에서 하나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힌지부(34)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However, one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테이블 등에 올려놓을 필요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시킬 수 있어서, 제자리에 서있거나 이동중에도 편리하게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without having to put on a separate table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watch the video even while standing or moving.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98816AKR20080032818A (en) | 2006-10-11 | 2006-10-11 | Handheld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98816AKR20080032818A (en) | 2006-10-11 | 2006-10-11 | Handheld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32818Atrue KR20080032818A (en) | 2008-04-1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98816AWithdrawnKR20080032818A (en) | 2006-10-11 | 2006-10-11 | Handheld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80032818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83310B1 (en)* | 2008-08-12 | 2010-09-20 | 김국원 | Necklace-type information equipment holder |
| GB2474048A (en)* | 2009-10-02 | 2011-04-06 | Robert Staples Clarke | Personal media player support device |
| WO2012139198A1 (en)* | 2011-04-11 | 2012-10-18 | Kielland Peter J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WO2015164945A1 (en)* | 2014-05-01 | 2015-11-05 | Kielland Peter J | Improved support for a portable computer |
| KR102347934B1 (en)* | 2020-12-21 | 2022-01-05 | 기덕종 | A multi-purpose necklace-type smartphone hold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83310B1 (en)* | 2008-08-12 | 2010-09-20 | 김국원 | Necklace-type information equipment holder |
| GB2474048A (en)* | 2009-10-02 | 2011-04-06 | Robert Staples Clarke | Personal media player support device |
| WO2012139198A1 (en)* | 2011-04-11 | 2012-10-18 | Kielland Peter J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CN103649615A (en)* | 2011-04-11 | 2014-03-19 | 彼得·J·凯尔蓝 | portable calculator support |
| GB2506080A (en)* | 2011-04-11 | 2014-03-19 | Peter Kielland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EP2726771A4 (en)* | 2011-04-11 | 2015-05-06 | Peter J Kielland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US9690327B2 (en) | 2011-04-11 | 2017-06-27 | Peter J Kielland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GB2506080B (en)* | 2011-04-11 | 2018-02-07 | Johann Kielland Peter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WO2015164945A1 (en)* | 2014-05-01 | 2015-11-05 | Kielland Peter J | Improved support for a portable computer |
| KR102347934B1 (en)* | 2020-12-21 | 2022-01-05 | 기덕종 | A multi-purpose necklace-type smartphone holder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53889B1 (en) | Two rings accessory for mobile device | |
| EP2438829B1 (en) |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 |
| CN102084315B (en) |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 |
| KR100754586B1 (en) | Portable folding cradle | |
| US20020043545A1 (en) |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US20140049851A1 (en) |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 |
| KR101614388B1 (en) | Terminal holder | |
| EP3018889B1 (en) |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 |
| KR101866881B1 (en) | A case for mobile terminals | |
| KR20130082285A (en)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 |
| KR20080032818A (en) | Handheld terminal | |
| KR20160018306A (en) |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200462244Y1 (en) | Holder for Fixing Mobile Phone | |
| KR20160063599A (en) | Finger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 |
| KR20120019971A (en) | A cradle for smart phone or tablet pc | |
| KR100702709B1 (en) | Step hinge and personal mobile device using it | |
| KR20120035810A (en) |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 |
| US7596394B2 (en) | Handhold wireless device | |
| KR101946952B1 (en) | Mobile phone case | |
| KR100654704B1 (en) | 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120003972U (en) | Protecting case for a mobile terminal | |
| KR101034107B1 (en) |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 KR101980833B1 (en) | smart-phone protecting case | |
| KR20140005390U (en) | Case for portable digital devices comprising parts for standing the digital devices | |
| KR200484140Y1 (en) | Portable device hold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6101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