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기반의 의사 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n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암 밴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arm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기반의 의사 전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G-base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수화소를 토대로 수화 단어를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a sign language word based on a hydration pix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수화 단어를 토대로 문장을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a sentence based on a sign language wo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기반의 의사 전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an EMG-bas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근전도와 수화에 사용되는 근전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를 상대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대화 상대자는 음성으로 이에 대한 응신을 할 경우, 문자로 변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measures the EMG of a user, compares the measured EMG and the EMG used for sign language, and sends a text message to a counterpart to a user to communicate.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transmitted by voice, and when a conversation partner responds to it by voice.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저장이 가능하며,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easy to carry, can store various programs, and has excellent utility, and thus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그러나, 현재 휴대 단말기가 가지는 모든 기능은 일반 정상인을 모델로 하여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많은 수의 장애인들 휴대 단말기 사용에 있어서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since al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re implemented based on the normal person,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disabled to use them, and accordingly, a large number of disabled people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using the mobile terminal. to be.
특히, 청각 및 언어장애인들은 앞을 볼 수 있지만, 소리를 듣지 못하고, 소리로서 의사전달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청각 및 언어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인 수화를 통해 대화하고자 하는 상대와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감정표현 및 의사전달을 하고 있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에 놓인 장애인들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 하여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할 수 없다. 즉, 기존 일반 휴대 단말기에 수화기능이 있는 것도 아니며,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음성으로 의사전달을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청각 및 언어장애인들은 기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과 정보교환을 할 수 없는 등 인간의 기본 권리인 의사전달마저 누리지 못하는 불편함을 감소하며 살아가고 있다.In particular, hearing and speech impaired people can see ahead, but cannot hear and communicate as sound, so they are face-to-face with the person they are trying to talk to.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emotions. Disabled people in such a special situation can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existing general mobile terminal does not have a sign language function, and since the mobile terminal is basically a device for communicating by voice, hearing and speech impaired people cannot use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distant people. In other words, it is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enjoy communication, which is the basic human right.
이에 따라, 상기 청각 및 언어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roposal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be used by the hearing and speech impa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들끼리 및 장애인과 일반인 사이에 의사전달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and the general public. In providing.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수화소와 매핑되는 기준 근전도 및 현재 수화를 수행 중인 근육의 현재 근전도를 측정하는 암 밴드; 상기 암 밴드로부터 상기 기준 근전도 및 상기 현재 근전도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근전도에 해당하는 문장을 완성하여 알리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rm band for measuring the reference EMG mapped to the hydration and the current EMG of the muscle currently performing hydr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reference EMG and the current EMG from the arm band and completing and informing a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EMG.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각기 다른 값을 가지는 기준 근전도들과 수화소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근전도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현재 근전도와 일정 오차 이상의 유사율을 가지는 기준 근전도를 찾고, 상기 기준 근전도에 매핑되는 수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화소를 이용하여 수화 단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화 단어를 이용하여 문장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완성된 문장을 문자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mapping and storing the reference EMG having a different value and the hydride; Collecting a current EMG of the user; Finding a reference EMG having a similarity ratio greater than the current EMG and a predetermined error, and extracting a pixel mapped to the reference EMG; Forming a sign language word using the sign language; Forming a sentence using the sign language word; And informing the completed sentence by at least one of a text and a vo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appropriate to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암 밴드 간에 근전도 송수신을 위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블루투스 칩으로 형성하는 것을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및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및 방법은 상술한 블루투스 뿐만 아니라, 유선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중에서도, 지그비,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 등이 이용될 수 도 있으며, 상술한 기능들의 확장된 형태 및 변형된 형태들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embodiment in which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rm band to transmit and receive EMG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of a Bluetooth chip. However, the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can not only use the above-described Bluetooth, but also a wired cable can be used, even in wireless,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ltra wide band (UWB) communication, etc. may be used, and various applications may be applied to the expanded and modified forms of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수화를 우리나라에 적용되는 수화로서 김승국 교수가 "한국 수화의 심리언어학적 연구" 제3장 수화의 기호 구성 방법에서 설명하는 수화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분석하고 문장으로 구성하는 수화는 외국의 각 특정 수화를 근전도와 매핑하여 동일한 문장 구성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화는 근전도에 매핑되어 의사전달 수단이 될 수 있는 특정 기호로서 인식되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invention and to facilitate th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sign language is applied to Korea by Professor Seung-Kook Kim in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Studies of Korean Sign Language". Although a sign language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ign language analyzed b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sed of sentences may be configured to map the specific foreign sign language with the EMG to implement the same sentence structure. Therefore, the sign languag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specific symbol that can be mapped to EMG and become a communic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거나, 음성 정보를 지정된 시간에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 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capable of storing voice information 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at a specified time, and preferably,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s,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s, and applications thereof It will be obvious that this can also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는 암 밴드(200), 휴대 단말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는 암 밴드(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기준 근전도(ST_Sig)와 현재 근전도현재 근전도(N_Sig)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준 근전도(ST_Sig)와 현재 근전도(N_Sig)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기준 근전도(ST_Sig)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와 미리 매핑된 수화소(H_Ph)를 이용하여 문장을 완성하고, 완성된 문장을 대화 상대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을 알린다. 여기서, 기준 근전도(ST_Sig)는 수화소(H_Ph)와 매핑되는 근전도를 의미하며, 현재 근전도(N_Sig)는 현재 사용자가 수화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근전도를 측정한 근전도를 의미한다.The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reference EMG (ST_Sig) and the current EMG current EMG (N_Sig) of the user wearing the
이를 위하여 암 밴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10)와, 밴 드(210) 일측에 형성된 근전도 측정 센서(220), 측정된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상기 밴드(210)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 또는 천 타입의 소재로 구성되어 팔의 특정 부분에 부착 또는 감기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근전도 측정 센서(220)와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이 장착된다. 또한 밴드(210) 일측에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벨크로(Velcro), 스냅(Sanp), 버튼(Button)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근전도 측정 센서(220)는 밴드(210)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근육의 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기준 근전도(ST_Sig) 및 현재 근전도(N_Sig)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근전도 측정 센서(220)는 사용자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탈착의 용이성 및 본 발명의 수화 사용에 따른 근육 사용 부위를 고려하여 팔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는 바늘 근전도(nEMG)와 표면 근전도(sEMG)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근운동단위 집합체의 총체적인 시너지 활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표면 근전도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근전도는 한 근육을 구성하는 많은 모터 유닛(motor unit)들의 활동전위(Motor unit Action Potential Trains : MUAPs)들을 합한 결과이다. 이러한 표면 근전도는 기준전극과 측정전극사이의 거리가 좁을수록 해당 근육부위의 활동만 모니터링하게 되며(specific-mode), 거리가 멀수록 여러 근육부위의 전반적 활동(general-mode)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근전도 측정 센서(220)는 검출된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의 신호 분석시 필요한 적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사용자의 일측에 부착된 전극과 센서 제어부 사이에 차동 증폭기, 1000배 증폭기, 노치 필터, 하이패스 필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은 휴대 단말기(100)에 배치되는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지그비, UWB(Ultra Wide Band)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보급률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일대다,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에 대한 표준이며, 금속이 아닌 고체를 통과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는, 약 10cm에서 10m에 이르는 거리 내의 단말 간 통신이 가능하고, 전파를 높이면 100m까지도 확장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 (2.402GHz ~ 2.480GHz)을 이용하며, 1Mbps의 전송 속도와, 간섭방지를 위한 주파수 호핑 방식 (79/23 hop, 1600 hop/sec)을 이용하며, 저소비 전력(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이 가능하고, 전송거리 10m 및 Option으로 100m까지 가능하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송신 파워에 따라 클래스로 구분되며, 클래스 1,2,3의 송신 파워는 각 100mW, 2.5mW, 1mW로 정의 된다. 또한 블루투스는 GFSK (Gua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이용하며 A-Law, u-Law PCM, CVSD의 3채널의 Voice 지원이 가능한다.The first short range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밴드(200)와의 통신채널 형성하여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과, 상기 수신된 현재 근전도(N_Sig)를 분석하여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재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현재 근전도(N_Sig)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 즉, 기준 근전도(ST_Sig)와 기준 근전도(ST_Sig)와 매핑되는 수화소(H_Ph)를 저장하는 메모리(170), 분석된 현재 근전도(N_Sig)를 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0), 분석된 현재 근전도(N_Sig)를 소리로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lso, as illustrated in FIG. 3, the
상기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0)은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서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과 동일한 통신모듈이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0)은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이 블루투스 칩으로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블루투스 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short range
상기 메모리(170)는 암 밴드(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 신호에 각각 매핑되는 수화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현재 측정되는 현재 근전도(N_Sig)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는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구분하기 위한 신호로서 이용되며, 이러한 사용자의 손 움직임은 사용자가 대화 상대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수화를 동작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따라서, 기준 근전도(ST_Sig)에 따른 신호와 사용자의 수화 동작을 매핑한 후, 사용자의 현재 근전도(N_Sig) 신호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표현하 고 있는 수화 동작 및 동작의 의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에 매핑되는 수화 동작 및 수화 동작이 뜻하는 의미 즉, 수화소(H_Ph)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각 수화소(H_Ph)로 형성된 수화 단어(H_WD)의 형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7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기준 근전도(ST_Sig)에 매핑되는 수화소(H_Ph)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화 단어(H_WD) 등이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구현에 필요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영역이며,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에 따른 수화소(H_Ph) 추출과, 수화소(H_Ph)를 기반으로하는 수화 단어(H_WD) 추출 및 문장(H_Set) 구성을 위한 수화 변환 프로그램(H.App)이 저장될 수 있다. 수화 변환 프로그램(H.App)은 기준 근전도(ST_Sig)와 매핑된 수화소(H_Ph)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암 밴드(200)로부터의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일정 문장(H_Set)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The
수화소(H_Ph)는 음성언어에서 음소가 모여서 형태소, 단어, 문으로 점차 큰 모임을 만들어 가듯이, 음소와 대응하는 수화의 기본소를 의미한다.Sign language (H_Ph) refers to the basic elements of sign language corresponding to phonemes, as phonemes are gathered together in vocal language to form large groups of morphemes, words, and doors.
수화소(H_Ph)는 수형, 수위, 수동, 수향, 체동을 포함한다.The hydride H_Ph includes water type, water level, manual, water direction, and body dynamics.
수형은 의미 있는 위치에서 의미 있는 운동을 하는 한 손 또는 두 손의 결합 구도를 수형이라 한다.A tree is a combination of one or two hands that makes a meaningful movement in a meaningful position.
수위는 수화 행동의 위치 표식으로서 의미있는 결합 구도 즉 수형이 의미있는 운동을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The water level is a location marker of sign language behavior, which means a meaningful binding structure,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tree performs meaningful movement.
수동은 수화 행동의 운동 성분 또는 시상으로서 특히 의미있는 위치에서 하는 의미있는 결합 구도 즉 수형의 운동을 의미한다.Passive refers to a meaningful binding composition, ie, exercise in a meaningful position, particularly as a motor component or thalamus of hydration behavior.
수형.수위.수동만이 수화의 시각적인 변별 단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 또는 손등과 손가락의 방향도 수화의 시각적인 변별 단위가 되는데 수화의 수향은 손바닥의 10개 방향과 손가락의 10개 방향으로 모두 20개가 있다.Not only water, water, and hand are the visual distinction units of sign language, but the direction of the palm or the back of the hand and fingers also becomes the visual discrimination unit of sign language. There are 20.
체동은 수화 기호 중에 손이나 손가락 이외에 다른 신체 부위의 동작을 취해 보이는 기호이다. 즉, 손이나 손가락이 아닌 다른 신체 부위의 동작을 체동이라 한다.The body is a sign of taking a gesture of other body parts besides hands and fingers. In other words, the movement of body parts other than hands or fingers is called body movement.
본 발명의 메모리(170)는 상술한 수화소(H_Ph)와, 수화소(H_Ph)로 이루어진 수화 단어(H_WD) 등을 저장한다. 수화 단어(H_WD)에는 관용구, 복합 단어, 유사 단어, 지수화 처리 단어 등이 있다. 수화 단어(H_WD)를 이용한 문장 분석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제어부(160)는 암 밴드(20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근전도(ST_Sig) 신호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에 매핑되는 수화소(H_Ph)를 메모리(170)로부터 검색하여 찾고, 찾아낸 수화소(H_Ph)를 통합하여 하나의 수화 단어(H_WD)를 이룬 후, 수화 단어(H_WD) 중 상기 관용구, 복합 단어, 유사 단어, 지수화 처리 단어 등에 따라 각 단어들을 처리하여 하나의 문장(H_Set)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After the
이를 상세히 하면, 제어부(160)는 표면 근전도 분석법 사용시 RMS(Root Mean Square), 파워 스펙트럼, Median Frequency, Mean Frequency, RMS-확률분포, RMS 상관함수(cross-correlation), MVIC Normalization.. 등을 이용하며, 특히 RMS는 근수축, 또는 근긴장 정도를 반영하며 Median Frequency는 근육의 피로도 정보를 반영한다. 또한 근육 부위간의 상호상관함수(Cross-Correlation)는 근수축 타이밍에 대한 정보로 이용된다.In detail, the
제어부(160)는 암 밴드(200)로부터 전달된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서 우선 랜덤한 길이의 전극 신호를 일정한 길이의 유효한 데이터로 추출해 주는 과정이 거친다. 이후,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을 시키게 된다. 제어부(160)는 학습이 된 각 뉴런들의 연결강도로 사용자의 수화동작을 분류해 낼 수 있으며, 만약 학습 된 데이터의 내용이 다를 경우는 역전파 (Back-Propagation : BP)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결강도를 조정한다. 학습을 하기 위해서 입력 데이터와 원하는 출력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 역전파 알고리즘은 다층(multilayer)이고, 피드 포워드(feedforward) 신경망에서 사용되는 학습 알고리즘이며, 학습의 방법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이다. 제어부(160)는 조정된 연결 강도로 이후에 전송되는 현재 근전도(N_Sig) 패턴의 전극 신호가 들어올 경우의 오류율을 줄일 수 있다. 신경망 알고리즘은 뉴론을 모델링한 것으로 입력의 각 성분에 가중치(weight)를 곱한 값이 net 값이 되며, 출력은 net 값과 함수 f에 따라 달라지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신경망에서의 학습이란 원하는 결과의 노드가 최대값이 나오도록 적절히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제어부(160)의 표면 근전도 인식 과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한편, 제어부(160)의 수화 단어(H_WD) 표현에 있어서, 관용구는 예를 들면, "학교, 공부, 부족하다" 라는 수화단어들이 입력되는 경우 "가방 끈이 짧다"라고 출력될 수 있으며, "관심없다, 가만두다" 라는 수화단어들이 입력되는 경우, "강건너 불구경"이라고 출력되는 것처럼 관용적인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는 어구이다. 복합단어는 "영화, 집"이 입력되는 경우, 해석으로 극장이 출력될 수 있는 것처럼, 다양한 의미의 언어들이 복합적으로 하나의 뜻을 이루는 경우의 어구이다. 유사단어는 "공기"와 "호흡"이 동일한 수화소를 가지며 이를 유사단어라 하고, 이러한 공기 또는 호흡은 앞뒤 단어를 판단하여 결정하게 된다. 지수화 처리는 지문자, 지숫자를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ign language word (H_WD) expression of the
또한, 제어부(160)는 대화 상대자가 수화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을 수집하여 TTS(Text to Service) 기반으로 문자로서 수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a conversation partner wants to deliver a message to a user who uses sign language by voice, the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에 의하여 분석된 문장(H_Set)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150)는 수화를 이용한 사용자의 의사전달을 문자로서 대화 상대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표시부(150)는 대화 상대자가 수화 사용자 즉, 장애인에게 의사전달을 하기 위해 음성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음성을 문자로서 변환하여 보여준다.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The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에 필요한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60)가 분석한 문장(H_Set)을 음성으로 재생하여 대화 상대자에게 전달한다.Th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전도 기반의 의사 전달 장치에 있어서, 기준 근전도(ST_Sig)와 매핑되는 수화소(H_Ph), 수화소(H_Ph)로 구성되는 수화 단어(H_WD), 수화 단어(H_WD)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문장(H_Set) 등은 특정 컨텐츠 서버가 대신할 수 있다. 디사 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암 밴드(20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특정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며, 이때, 특정 컨텐츠 서버는 상기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문장(H_Set)으로 구성한 후, 이 문장(H_Set)을 다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재 전송하여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재생함으로써, 의사전달을 수행할 수 도 있다.Meanwhile, in the EMG-based pseud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 language word H_WD including a hydration pixel H_Ph and a hydration pixel H_Ph mapped to the reference EMG ST_Sig. ), The sentence H_Set generated using the sign language word H_WD, etc. may be replaced by a specific content server. In other words,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rs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an EMG-bas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G-bas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사 전달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는 암 밴 드(200)로부터 전달된 기준 근전도(ST_Sig) 신호를 수화소(H_Ph)와 매핑한다(S101).Referring to FIG. 4, in the pseudo-deli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상기 S101 단계에서, 상기 암 밴드(200)는 표면 근전도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준 근전도(ST_Sig)를 측정하게 된다.In step S101,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현재 입력되는 현재 근전도(N_Sig) 신호와 매핑되는 수화소(H_Ph)를 추출하고(S102), 추출된 상기 수화소(H_Ph)를 이용하여 수화 단어(H_WD) 분석 과정을 수행한다(S103).Next, the
상기 S102 단계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암 밴드(2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현재 근전도(N_Sig) 신호와 매핑된 수화소(H_Ph)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수화소(H_Ph)는 수화를 이루는 최소 단위로, 단어를 이루는 음소와 대비될 수 있다. 상기 S102 단계에서, 추출시, 기준 근전도(ST_Sig)와 현재 근전도(N_Sig)는 일정 오차율의 범위로 한정하여 비교하게 되며, 일정 오차율은 표현하고자 하는 수화소(H_Ph)의 개수에 따라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수화소(H_Ph)가 많은 경우에는 오차율을 좁게 설정하고, 수화소(H_Ph)가 많은 경우에는 오차율을 좁게 설정함으로써, 기준 근전도(ST_Sig)와 현재 근전도(N_Sig)가 가장 유사한 근전도를 비교하고, 그에 해당하는 수화소(H_Ph)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근전도 비교를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03 단계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수화소(H_Ph)를 바탕으로 수화 단어(H_WD)를 형성하는데, 수화 단어(H_WD)는 뜻을 이루는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표면 근전도 인식 과정에 따른 수화 단어(H_WD) 분석을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step S102,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수화 단어(H_WD)를 이용하여 문장 분석 과정을 수행한다(S104).Next, the
상기 S104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S103 단계에서 형성된 수화 단어(H_WD)를 이용하여 문장 형성관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장(H_Set)을 완성하게 된다. 수화 단어(H_WD)는 단어의 연속으로서, 조사, 부사, 동사 등의 품사를 따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문맥을 통하여 추출된 수화 단어(H_WD)가 동사 인지, 명사인지 구분된다. 이러한 문장 분석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step S104, the
다음으로, 완성된 상기 문장(H_Set)을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대화 상대자에게 알린다(S105).Next, the completed sentence (H_Set) is notified to the conversation partner in at least one of the text and voice (S105).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문장(H_Set)을 대화 상대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S106).On the other hand, i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nalyzed sentence (H_Set) to the conversation partn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06).
상기 S10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송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이 포함되며, 이에 따라, 송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수화를 실시하면, 그에 상응하여 현재 근전도(N_Sig)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근전도(N_Sig)를 수화소(H_Ph)와 매핑한 후, 문장(H_Set)을 완성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송신측 단말기가 수화소(H_Ph) 및 수화 단어(H_WD)를 토대로 문장 분석을 실시하는 특정 컨테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송신 측 단말기는 암 밴드(200)로부터 수신된 현재 근전도(N_Sig)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서버는 수신된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분석하여 문장(H_Set)으로 완성하고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전도를 기반으로하는 의사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tep S105,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included. Accordingly, when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performs sign language, the current EMG ( N_Sig is measured, the measured current EMG N_Sig is mapped with the hydration pixel H_Ph, and the sentence H_Set is completed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uses a specific content server that performs sentence analysis based on the sign language H_Ph and the sign language word H_WD, the transmitting terminal moves the current EMG received from the
도 5는 제어부(160)의 표면 근전도 인식 과정에 따른 수화 단어(H_WD) 분석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nalysis of a sign language word H_WD according to a surface EMG recognition process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표면 근전도 인식 과정에 따른 수화 단어(H_WD)는, 먼저 제어부(160)는 근전도 신호를 수집한다(S201).Referring to FIG. 5, the sign language word H_WD according to the surface EMG recognition process, the
상기 S201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표면 근전도(sEMG) 신호를 매개 변수로 지정한다.In step S201,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기준 근전도(ST_Sig) 신호의 특징을 추출한다(S202).Next, the
상기 S202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수집된 기준 근전도(ST_Sig) 신호를 이용하여 학습할 모델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데이터에 기초한 데이터 작성을 모델의 학습이라고 한다. 즉, 제어부(160)는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 신호를 수화소(H_Ph)에 각각 매핑하여 데이터를 작성한다.In step S202,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데이터 정규화 과정을 수행한다(S203).Next, the
상기 S203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변동하는 패턴의 차이를 수용하기 위해, 현재 근전도(N_Sig)를 인식하기 전의 상태와 인식후 사용과정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단위 모델의 갱신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기준 근전도(ST_Sig)와 수화소(H_Ph)와의 기본적인 매핑 테이블 형성 후, 실질적인 사용에 있어서, 각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기준 근전도(ST_Sig)가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별로 적용될 수 있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In step S203,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데이터의 단위를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04).Next, the
상기 S204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실제 수화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에 해당하는 수화소(H_Ph)를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한다.In step S204,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단어 후보 예측과 언어 제약 학습을 실시한다(S205).Next, the
상기 S205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수화소(H_Ph) 단위의 단순한 조합으로 생각해 낼 수 있는 단어열 후보의 수가 입력 신호 지속에 대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이용하여 언어의 제약에 따라 단어의 후보 범위를 좁혀 나갈 수 있다. 여기서, 제약은 대상 언어가 갖고 있는 음운 어휘, 문법, 의미 등의 특성을 의미한다.In step S205,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단어 후보의 탐색을 수행하고(S206), 수화 단어(H_WD)를 결정한다.Next, the
상기 S206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언어의 제약 이외에, 단어 인식시 입력 신호와 인식 후보와의 대조 횟수가 많기 때문에 효율적인 탐색을 위하여, 신호나 언어면에서 보아도 낮은 인식 후보를 서서히 제거해 가면서 복수의 후보중 가장 적합한 것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적절한 단어열을 선택한다.In the step S206, since the
상술한 과정을 거쳐 제어부(160)는 수화소(H_Ph)로부터 수화 단어(H_WD)를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수화 단어(H_WD)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문장 분석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문장(H_Set)으로서 형성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도 6은 제어부(160)의 수화 단어(H_WD)를 이용한 문장 분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ntence analysis process using the sign language word H_WD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수화 단어(H_WD)를 이용한 문장 분석 과정은, 먼저 제어부(160)가 수화 단어(H_WD)를 수집한다(S301).Referring to FIG. 6, in the sentence analysis process using the sign language word H_WD, the
상기 S301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준 근전도(ST_Sig)와 매핑되는 수화소(H_Ph)를 이용하여 수화 단어(H_WD)를 수집하게 된다.In operation S301, th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수화 단어(H_WD)가 관용구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2).Next, the
상기 S302 단계에서, 관용구 치환은 예를 들면, "학교+공부+부족하다"의 수화 단어(H_WD)들의 조합인 경우 "가방 끈이 짧다"라는 관용어구로 치환되는 것이다.In the step S302, idiom substitution is a combination of the phrase "short bag string" when the combination of the sign language words (H_WD) of "school + study + lack".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수화 단어(H_WD)가 관용구인 경우에는 관용구로 치환하며(S303), 관용구가 아닌 경우에는 복합단어 치환을 실시한다(S304).In the step S302, if the sign language word (H_WD) is an idiom, it is replaced with an idiom (S303), and if it is not an idiom, compound word substitution is performed (S304).
상기 S304 단계에서, 복합단어 치환은 수집된 수화 단어(H_WD)가 "영화+집"일 경우, "극장"을 의미하는 단어로 치환되는 것이다.In the step S304, the compound word substitution is replaced with a word meaning "theater" when the collected sign language word H_WD is "movie + collection".
다음으로, 복합단어가 완료된 언어를 다시 유사 단어 치환을 실시하 고(S305), S305 단계에서 치환된 단어의 핵심 단어 여부를 확인하고(S306), 핵심 단어가 아닌 경우, 지수화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307). 한편, S305 단계에서, 치환된 단어가 핵심 단어인 경우에는 수화 문장(H_Set)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한다(S308).Next, similar word substitution is again performed on the language in which the compound word is completed (S305), and in step S305, whether or not the key word of the substituted word is checked (S306), and if it is not the key word, an indexing process is performed. (S307). On the other hand, in step S305, if the substituted word is a key word,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 language sentence (H_Set) is completed (S308).
상기 S305 단계에서, 유사 단어 치환은 수화 단어(H_WD)들은 동일한 단어가 다른 언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공기"와 "호흡"은 동일한 수화로 표현되는 것인데, 이러한 단어를 문장(H_Set)의 앞뒤를 판단하여 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step S305, the similar word substitution means that the same words may be used in different languages in the sign language words H_WD. For example, "air" and "breathing" are expressed in the same sign language. ) Means to judge the front and back of the replacement.
상기 S306 단계에서, 지수화 처리는 지문자 지숫자 등의 처리를 의미하며, 상기 핵심단어는 그 자체로 문장(H_Set)으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단어를 의미한다.In the step S306, the exponentiation process means a process such as a fingerprint index number, and the key word itself means a word that can have a meaning as a sentence (H_Se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송수신 단말기 간에 의사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밴드(200), 제 1 이동통신 단말기(400), 이동통신 시스템(300),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여기서, 암 밴드(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 전달 장치에서 설명하는 암 밴드(200)와 동일한 구성임으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본 발명의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밴드(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410)과, 상기 암 밴드(200)로부터 수신된 현재 근전도(N_Sig)를 분석하여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재생하고, 재생된 의사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300)에 전송하는 제어부(460), 상기 현재 근전도(N_Sig)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70), 분석된 현재 근전도(N_Sig)를 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50), 분석된 현재 근전도(N_Sig)를 소리로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440), 상기 재생된 의사 정보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전달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3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주파수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rt range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 1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상술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비교하여 제어부(460)의 일부 특성 및 무선주파수부(430)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임으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first
제어부(460)는 상술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 특성을 포함함과 아울러, 이동통신 시스템(300)에 상술한 의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통신채널 형성을 위한 무선주파수부(430)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어부(460)는 무선주파수(430)를 이용한 통화호 형성 후 음성 송수신을 제어하며,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근전도(N_Sig)를 기반으로 생성된 문장(H_Set)을 문자 메시지로 작성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무선주파수부(430)는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 츠에 관련된 제어 신호 등의 송수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4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무선주파수부(4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 근전도(N_Sig) 신호에 매핑되는 수화소(H_Ph) 및 수화소(H_Ph)를 기반으로 생성된 수화 단어(H_WD)와 이를 토대로 작성된 문장(H_Set)을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430)는 상기 암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거쳐 특정 컨텐츠 서버에 전송할 수 도 있다. 이때, 특정 컨텐츠 서버는 상기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를 기반으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문장(H_Set)을 구성하여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전달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400, 500) 간에 의사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400)과 비교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410)의 선택적 결합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의사 정보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화소(H_Ph), 수화 단어(H_WD) 및 문장(H_Set) 분석을 특정 컨텐츠 서버가 담당하는 경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기준 근전도(ST_Sig) 또는 현재 근전도(N_Sig)를 수신하여 이를 특정 컨텐츠 서버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근전도 기반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장애인들끼리 및 장애인과 일반인 사이에 의사전달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general public.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93424AKR20080028084A (en) | 2006-09-26 | 2006-09-26 |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93424AKR20080028084A (en) | 2006-09-26 | 2006-09-26 |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28084Atrue KR20080028084A (en) | 2008-03-3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93424AWithdrawnKR20080028084A (en) | 2006-09-26 | 2006-09-26 |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80028084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2077909A3 (en)* | 2010-12-10 | 2012-08-0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sign language using electromyogram sensor and gyro sensor |
| EP2540221A1 (en)* | 2011-06-29 | 2013-01-0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a body sensor |
| US9183760B2 (en) | 2010-12-10 | 2015-11-10 |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sign language using electromyogram sensor and gyro sensor |
| WO2017131318A1 (en)* | 2016-01-27 | 2017-08-03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
| CN113791692A (en)* | 2021-09-28 | 2021-12-14 |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 Intera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US12346500B1 (en) | 2023-04-17 | 2025-07-01 | Snap Inc. | EMG speech signal dete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2077909A3 (en)* | 2010-12-10 | 2012-08-0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sign language using electromyogram sensor and gyro sensor |
| US9183760B2 (en) | 2010-12-10 | 2015-11-10 |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sign language using electromyogram sensor and gyro sensor |
| EP2540221A1 (en)* | 2011-06-29 | 2013-01-0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a body sensor |
| WO2017131318A1 (en)* | 2016-01-27 | 2017-08-03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
| US10685219B2 (en) | 2016-01-27 | 2020-06-16 |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Wonju Campus |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
| CN113791692A (en)* | 2021-09-28 | 2021-12-14 |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 Intera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US12346500B1 (en) | 2023-04-17 | 2025-07-01 | Snap Inc. | EMG speech signal detectio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288979B (en) | A kind of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 |
| KR101777807B1 (en) | Sign language translator, system and method | |
| US10573335B2 (en) |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nner voice recovery from neural activation relating to sub-vocalization | |
| JP2006005945A (en) | Emotion transmission and express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user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 |
| KR20080028084A (en) | EMG-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 |
| CN111985335A (en) | Lip language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facial physiological information | |
| CN103279734A (en) | Novel intelligent sign language translation and man-machine interaction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 |
| Dhanjal et al. | Tools and technique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people | |
| CN106097835A (en) | A kind of deaf mute exchanges the method for intelligent assistance system and exchange | |
| CN117041807B (en) | Bluetooth headset play control method | |
| CN203149569U (en) | Voice and gesture interactive translation device | |
| KR101584685B1 (en) | A memory aid method using audio-visual data | |
| Patwary et al. | Speaking system for deaf and mute people with flex sensors | |
| CN113192537B (en) | Awakening degree recognition model training method and voice awakening degree acquisition method | |
| US201700243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lation of sign languages into synthetic voices | |
| CN116825105A (en) | Speech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 CN104361787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signals | |
| Zhang et al. | Lipwatch: Enabling Silent Speech Recognition on Smartwatches using Acoustic Sensing | |
| WO2019103841A1 (en) | Biopotential wakeup word | |
| CN107592129B (en) | An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for wearable devices | |
| Patel et al. | Teachable interfaces for individuals with dysarthric speech and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 |
| EP1336947B1 (en) | Learning method and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articulation movements during speech | |
| KR20210032159A (en) | Human emotional expression tools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Ghosh et al. | Sign language hand glove | |
| CN117034095A (en) | Yoga action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609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