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상태를 알려주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할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미리 후방 차량에게 알려주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notifying the emergency state of th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notifying the rear vehicle in advance when there is a risk that serious problems that may cause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종래에는 본인 차량 전방에 사고 또는 갑작스런 상황에 의해 급제동을 하거나 운전자 판단에 의해 차량에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수동으로 비상등을 점등시킴으로써 본인 차량의 비상 상태 또는 위험을 후방 차량에게 알려주어 안전거리 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past, if a sudden braking occurs in front of your vehicle due to an accident or a sudden situation, or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driver's judgment, the emergency light is manually turned on to inform the rear vehicle of the emergency condition or danger of your vehicle. It is secured.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 운행상태의 위험상황을 운전자가 판단하여 수동으로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운전자가 차량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미리 적절한 대비를 취할 수 없어서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더라도 순간적으로 당황하여 비상등을 켜는 것을 생각지 못하고 차를 운행할 수도 있으며, 위험상황에서 평소에 많이 사용하지 않는 비상등 스위치를 누르려고 시도하다고 다른 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driver must manually operate the emergency light switch by judging a dangerous state of the vehicle driving state, when the driver does not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there is a case that an appropriate preparation cannot be taken in advance, resulting in an accident. In addition, even if the driver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the driver may be embarrassed momentarily without thinking about turning on the emergency light, and may cause other accidents by attempting to press an emergency light switch that is not normally used in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비상상태의 발생을 비상등, 후방 경음기 등을 통해 후방 차량에게 알려주어 후방 차량이 미리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만일의 추돌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orm the rear vehicle of the emergency state of the vehicle that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through the emergency light, rear horn, etc., so that the rear vehicle can secure a sufficient safety distance in advance to prevent a collision in adv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으로부터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모니터링모듈; 비상상태로 간주할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이상 상태를 정의하고, 상기 차량모니터링모듈을 통해 수집한 상태정보 중 상기 정의된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차량상태분석부; 및 상기 차량상태분석부의 분석결과, 상기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부품이 적어도 하나가 발견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비상상태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onitoring module for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arious parts in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vehicle; A vehicle state analysis unit defining an abnormal state of various parts in the vehicle to be regarded as an emergency state and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abnormal state amo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vehicle monitoring module; And an emergency state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emergency light of the vehicle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when at least on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tate is fou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vehicle state analysis uni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법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으로부터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비상상태로 간주할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이상 상태를 정의하고, 상기 차량모니터링모듈을 통해 수집한 상태정보 중 상기 정의된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결과, 상기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부품이 적어도 하나가 발견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various parts in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vehicle; Defining an abnormal state of various parts in the vehicle to be regarded as an emergency state and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abnormal state among the st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vehicle monitoring module; And operating the emergency light of the vehicle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when at least on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tate is fou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이로써, 후방 차량은 앞선 차량의 이상 상태를 미리 감지하여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 등을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ar vehicle may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preceding vehicle in advance to secure a sufficient safety distanc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100)는 차량 모니터링 모듈(110), 차량 상태 분석부(120) 및 비상 상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emergency
차량 모니터링 모듈(110)은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으로부터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ECU는 연료공급, 차량 전압, 점화장치, 엔진과열 등의 상태를 진단하여 고장진단코드(DTC)를 발생하며, 차량 모니터링 모듈(110)은 그 고장진단코드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The
차량 상태 분석부(120)는 차량 모니터링 모듈(110)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집된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태로 간주할 심각한 고장이 발생한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비상 상태로 간주할 심각한 고장이 어떤 것인지 정의될 필요가 있다.The vehicle
예를 들어, 연료펌프 및 릴레이 고장으로 인한 연료공급 불량, 알터네이터 및 배선의 고장으로 인한 차량 전압의 저하, 점화코일 및 배전기의 이상으로 인한 점화장치 불량, 라디에이터 계통 및 냉각팬 등의 이상으로 인한 엔진과열 등을 비상상태로 간주할 심각한 고장으로 정의한다. 이 외에도 운행 차량의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시동이 꺼지거나 운행이 멈출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비상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poor fuel supply due to fuel pump and relay failure, vehicle voltage deterioration due to alternator and wiring failure, ignition failure due to ignition coil and distributor failure, engine due to abnormality of radiator system and cooling fan, etc. Overheating is defined as a serious fault that will be considered an emergency. In addition, emergency situations can be defined for situations in which the start of the vehicle may be stopped or the vehicle stops regardless of the driver's intention of the driving vehicle.
비상 상태 제어부(130)는 차량 상태 분석부(120)에 의해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가 비상 상태에 해당하면 차량의 비상등, 브레이크등 및 후방 경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ECU를 통해 명령한다. 여기서, 후방 경음기는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청각적인 경고를 후방 차량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emergency
비상 상태 제어부(130)는 비상 상태 발생시, 차량의 실내 계기판의 방향 지시등을 점등하도록 ECU를 통해 명령함으로써, 운전자도 비상 상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The emergency
후방 경음기는 비상 상태 감지 초기에만 일정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상등 및 브레이크 등은 차량이 완전히 정차하였을 때 자동으로 소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차 후 비상등을 계속 점등할 필요가 있는 경 우, 운전자가 수동으로 비상등 스위치를 점등하도록 한다.The rear horn is preferably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at the beginning of the emergency state detection, and the emergency light and the brake light are preferably turned off automatically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stopped. If it is necessary to keep the emergency light on after stopping, the driver must turn on the emergency light switch manual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100)는 차량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차량(200)의 OBD-II 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차량 실내에 설치가 가능하다. 차량 비상상태 알림 장치(100)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emergenc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상태 알림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비상상태 알림장치는 차량의 ECU를 통해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의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한다(S300). 차량 비상상태 알림장치는 수집한 각종 부품의 상태 정보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이상 상태를 파악한다(S310). 파악된 이상 상태가 차량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비상 상태에 해당하면(S320), 비상등, 브레이크등, 후방 경음기 등을 작동시켜 후방 차량에게 현 운행차량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S330).Referring to FIG. 3, the vehicl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device continuously collects state information of various components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ECU of the vehicle (S300). The vehicl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device analyzes a change in state information of various parts collected and identifies an abnormal state (S310). If the identified abnormal state corresponds to an emergency state that causes a serious problem of the vehicle (S320), an emergency light, a brake light, and a rear horn are operated to notify the rear vehicle that a serious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urrent driving vehicle (S33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차량의 심각한 문제(예를 들어, 엔진 정지 등)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비상등이나 후방 경음기 등을 통해 후방 차량에게 이를 알려 줌으로써 후방 차량이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추돌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후방 경음기의 경우, 피곤하여 집중력이 떨어졌거나 앞차의 비상등을 인지하지 못한 후방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rious problem (for example, an engine stop, etc.) of a vehicle that is not recognized by a vehicle driver may occur, the rear vehicle is sufficiently secured by notifying the rear vehicle through an emergency light or a rear horn. The distance can be secured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ar horn, it is possible to call attention of the rear vehicle driver who is tired and has low concentration or does not recognize the emergency light of the front vehicl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87054AKR20080023057A (en) | 2006-09-08 | 2006-09-08 |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87054AKR20080023057A (en) | 2006-09-08 | 2006-09-08 |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23057Atrue KR20080023057A (en) | 2008-03-1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87054ACeasedKR20080023057A (en) | 2006-09-08 | 2006-09-08 |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80023057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76207B1 (en)* | 2011-05-31 | 2013-06-18 | 전자부품연구원 | Appratus and Method for Vehicule Light Automatic Control |
| KR101386423B1 (en)* | 2013-05-21 | 2014-04-16 | 김병용 | Traffic safety indicating apparatus using ob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WO2020080572A1 (en)* | 2018-10-16 | 2020-04-23 | 주식회사 디젠 | Vehicle network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CN111775870A (en)* | 2020-07-29 | 2020-10-16 |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network-based passenger car operation auxiliary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76207B1 (en)* | 2011-05-31 | 2013-06-18 | 전자부품연구원 | Appratus and Method for Vehicule Light Automatic Control |
| KR101386423B1 (en)* | 2013-05-21 | 2014-04-16 | 김병용 | Traffic safety indicating apparatus using ob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WO2020080572A1 (en)* | 2018-10-16 | 2020-04-23 | 주식회사 디젠 | Vehicle network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CN111775870A (en)* | 2020-07-29 | 2020-10-16 |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network-based passenger car operation auxiliary system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712437A2 (en) | Vehicle control network integrated theft deterrent system | |
| KR101511964B1 (en) | Stoplight forced lighting control device | |
| KR20080023057A (en) | Vehicl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 US20070100525A1 (en) | Safety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 status of a safety apparatus of a motor vehicle | |
| US10144303B2 (en) | Monitor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vehicle | |
| KR20000054385A (en) | Voice guided self-scanner to comparing analysis, diagnose and pre-arrangement by detected data of vehicle | |
| KR100867615B1 (en) | Emergency ligh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using OCD-II | |
| JP2000194403A (en) | Vehicle load diagnosis device | |
| JP2012183877A (en) | Detection processing device of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 |
| JPH10194007A (en) | Power supply cutoff device at the time of vehicle collision | |
| JP6206054B2 (en) | Brake lamp control device | |
| CN112907908A (en) | Automobile accident alarm method and device and automobile | |
| KR20070066167A (en) | Vehicle indicator fault detection device | |
| KR20020018914A (en) | System and method to diagnose and control condition car using telemetering system | |
| JP2013069034A (en) | Vehicular warning device | |
| KR102696952B1 (en) | Electric vehicle sudden acceleration prevention system including brake-linked redundant control mechanism | |
| JP2010137725A (en) |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 KR20230000757U (en) | driving vehicle noise and vibration sensing alarm system | |
| KR20230000990U (en) | driving vehicle noise and vibration sensing alarm system | |
| JPH11184762A (en) | Diagnosis device for backup RAM system of automotive control device | |
| JPH09240391A (en) | Automotive power diagnostic device | |
| KR0115757Y1 (en) | ABS warning light control port failure detection device of anti-lock braking system | |
| KR20250041328A (en) | Electric control unit for sensing inflow liquid by water level and method for diagnosing thereof | |
| JP2000006736A (en) | Abnormality warning device for vehicle control system | |
| KR2005000597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breakdown in a suspens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609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708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8012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8040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80125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Patent event date:2007082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