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70109192A -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192A
KR20070109192AKR1020060041807AKR20060041807AKR20070109192AKR 20070109192 AKR20070109192 AKR 20070109192AKR 1020060041807 AKR1020060041807 AKR 1020060041807AKR 20060041807 AKR20060041807 AKR 20060041807AKR 20070109192 AKR20070109192 AKR 2007010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insulating layer
gate insulating
electrode
storage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807ApriorityCriticalpatent/KR20070109192A/ko
Priority to CNA2007100798153Aprioritypatent/CN101071242A/zh
Priority to US11/697,983prioritypatent/US20070262347A1/en
Publication of KR2007010919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70109192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고개구율을 가지는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표시 기판은 게이트 금속 패턴, 제1 게이트 절연막, 제2 게이트 절연막, 소스 금속 패턴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게이트 금속 패턴은 게이트 배선,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극 및 제1 스토리지 전극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한다. 제2 게이트 절연막은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패터닝된다. 소스 금속 패턴은 소스 배선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접촉하는 제2 스토리지 전극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은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개구율을 가지는 표시 기판을 구현함으로써 고휘도의 표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고개구율, 스토리지 캐패시터, 면적, 고휘도

Description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기판200 : 대향 기판
CST ; 스토리지 캐패시터STE1 : 제1 스토리지 전극
STE2 : 제2 스토리지 전극126 : 게이트 배선 단부
132 : 제1 게이트 절연막134 : 제2 게이트 절연막
162 : 연결 패턴164 : 소스 배선 단부
TFT : 스위칭 소자PE : 화소 전극
TE1 : 제1 패드 패턴TE2 : 제2 패드 패턴
GP : 게이트 패드부DP : 소스 패드부
C1,C2,C3 : 제1, 제2, 제3 콘택홀
본 발명은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개구율을 가지는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표시 기판과 상기 표시 기판과 결합하여 액정층을 수용하는 대향 기판(Counter Substrate)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에는 게이트 배선들 및 게이트 배선들과 교차하는 소스 배선들이 형성되며, 게이트 배선들과 소스 배선들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과, 상기 스위칭 소자들에 연결된 화소 전극들이 형성된다. 각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연장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며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된 채널, 소스 배선으로부터 형성되어 채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이격되며 채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텔레비전과 같은 대형의 표시 장치는 물론, 모바일 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중소형의 표시 장치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컨텐츠의 다양화 및 고급화를 위해 고휘도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일 예로서,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이는 방법은 소비전력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개구율을 가지는 표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상기 표시 기판의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은 게이트 금속 패턴, 제1 게이트 절연막, 제2 게이트 절연막, 소스 금속 패턴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은 게이트 배선,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극 및 제1 스토리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패터닝된다. 상기 소스 금속 패턴은 소스 배선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접촉하는 제2 스토리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기판 위에 게이트 금속층으로 게이트 배선,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극 및 제1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 위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이 패터닝된 베이스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패터닝된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소스 금속층으로 소스 배선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에 노출된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접촉되는 제1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투명 도전층으로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 및 대향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은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극 및 제1 스토리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도록 패터닝된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패터닝된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접촉하는 제2 스토리지 전극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표시 기판과 결합하여 액정층을 수용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고개구율을 가지는 표시 기판을 구현함으로써 고휘도의 표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100)과 상기 표시 기판(100)과 결합하여 액정층(300)을 수용하는 대향 기판(2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100)은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복수의 화소부(P)들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화소부에는 화소 전극(PE)이 형성된다. 상기 대향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10) 위에 컬러 필터층(220)과 상기 화소 전극(PE)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23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기판(100)은 복수의 게이트 배선(GL)들, 복수의 소스 배선(DL)들, 복수의 스위칭 소자(TFT)들, 복수의 화소 전극(PE)들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공통 전압이 인가되는 스토리지 배선(SC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은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금속층은 구리(Cu)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구리 계열 금속,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 또는 은 합금 등의 은 계열의 금속, 몰리브덴(Mo) 또는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탄탈륨(Ta) 또는 티타늄(Ti)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단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금속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저항 금속인 알루미늄(Al)과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Mo/Al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각 게이트 배선(GL)의 단부에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패드부(GP)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패드부(GP)는 상기 게이트 배선(GL)의 단부(126), 연결 패턴(162) 및 제1 패드 패턴(TE1)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 단부(126)는 게이 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패턴(162)은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드 패턴(TE1)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스 배선(DL)들은 상기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소스 금속층은 구리(Cu)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구리 계열 금속,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 또는 은 합금 등의 은 계열의 금속, 몰리브덴(Mo) 또는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탄탈륨(Ta) 또는 티타늄(Ti)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단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금속이 적층된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Mo) 또는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각 소스 배선(DL)의 단부에는 소스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패드부(DP)가 형성된다. 상기 소스 패드부(DP)는 상기 소스 배선(DL)의 단부(164)와 제2 패드 패턴(TE2)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배선 단부(164)는 상기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드 패턴(TE2)은 상기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TFT)들은 상기 게이트 배선(GL)들과 소스 배선(DL)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P)들에 각각 형성된다. 각 스위칭 소자(TFT)는 해당하는 게이트 배선(GL)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G)과, 해당하는 소스 배선(DL)과 연결된 소스 전극(S) 및 상기 소스 전극(S)과 이격되어 채널부(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G)과 채널부(140)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32)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34)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이 형성된 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32, 13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2)이 단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산화 실리콘(SiOx)으로 대략 500Å 내지 1200Å정도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은 질화 실리콘(SiNx)으로 형성되며, 대략 3000Å 내지 4500Å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서는 상기 게이트 전극(G)과 채널부(140) 사이에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화소 전극(PE)들은 상기 스위칭 소자(TFT)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화소 전극(PE)은 해당하는 스위칭 소자(TFT)의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소부(P)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인듐(In), 주석(Sn), 아연(Zn), 알루미늄(Al) 및 갈륨(Ga)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한 산화물질 또는 질산화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스토리지 배선(STL)과 연결된 제1 스토리지 전극(STE1)과, 제1 게이트 절연막(132) 및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과 마주하는 제2 스토리지 전극(STE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은 상기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리지 전극(STE2)은 상기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절연물질로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산화 실리콘(SiOx)으로 대략 500Å 내지 1200Å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커패시턴스(Cstg)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32602980-PAT00001
여기서, A는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의 면적이고, d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리지 전극들(STE1, STE2) 간의 거리이고, ε은 유전체의 유전율이다. 즉, 상기 d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의 두께이고, 상기 ε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의 유전율이다.
상기 수학식 1을 참고할 때,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및 제2 스토리지 전극들(STE1, STE2) 간의 간격(d)을 얇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의 면적(A)을 작게 형성하여도 실질적으로 충분한 커패시턴스(Cstg)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산화 실리콘(SiO2)으로 대략 500Å 내지 1200Å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의 면적을 줄여 개구율을 향상시킨다.
다음의 표 1은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두께(d)에 따른 면적(A)의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1비교예 2실시예
양단 전극게이트 금속층 투명 도전층게이트 금속층 소스 금속층게이트 금속층 소스금속층
유전체게이트 절연막 패시베이션막게이트 절연막게이트 절연막
두께(d)4000Å+2000Å4000Å750Å
점유 면적율20%16%4%
감소율020%8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양단 전극이 게이트 금속층과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유전체는 게이트 절연막과 패시베이션막으로 대략 600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비교예 1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화소부 면적의 대략 20%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비교예 2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양단 전극이 게이트 금속층과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유전체는 게이트 절연막으로 대략 40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상기 비교예 2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유전체의 두께가 비교예 1에 비해 대략 2000Å으로 얇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비교예 2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화소부 면적의 대략 16% 정도로 형성된다. 비교예 2의 스토리지 캐패시터 면적은 비교예 1의 스토리지 캐패시터 면적에 비해 대략 20% 정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양단 전극이 게이트 금속층과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대략 750Å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유전체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의 스토리지 캐패시터 면적은 화소부 면적의 대략 4%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스토리지 캐패시터 면적은 상기 비교예 1의 면적에 비해 대략 80% 정도로 감소되고, 상기 비교예 2의 면적에 비해 대략 75% 정도 감소된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면적(A)은 유전체의 두께(d)가 얇을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면적은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유전체인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면적을 작게 형성하여 고개구율을 구현한다. 예컨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에 따라서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면적을 상기 화소부(P) 면적의 3% 내지 10% 정도로 형성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게이트 금속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게이트 금속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은 게이트 배선(GL), 스위칭 소자(TFT)의 게이트 전극(G), 스토리지 배선(STL) 및 상기 스토리지 배선(STL)에 연결된 제1 스토리지 전극(STE1)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GL)은 게이트 패드부(GP)가 형성되는 게이트 배선 단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제1 두께(d)로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절연특성이 우수한 절연물질로 대략 500Å 내지 1200Å의 제1 두께(d1)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산화 실리콘(SiO2)으로 형성된다.
도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을 상기 게이트 전극(G) 및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도록 패터닝한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E1) 만을 커버하도록 패터닝한다.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을 저저항의 Mo/Al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접착성은 우수하나 상대적으로 내막성이 떨어지는 몰리브덴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 패터닝 공정에서 손상될 수 있다. 즉, 대략 500Å 내지 1200Å의 얇은 두께로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을 식각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이 패터닝되어 노출된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금속 패턴의 손상으로 인해 게이트 패드부(GP)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 배선 단부(126)와 접촉되는 연결 패턴(162)을 추후 소스 금속 패턴 형성공정에서 형성한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상기 게이트 전극(G) 및 제1 스토리지 전극(STE1)을 각각 커버하도록 패터닝한다. 즉,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위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G) 위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이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위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이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위에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제2 두께(d2)로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은 질화 실리콘(SiNx)으로 대략 3000Å 내지 4500Å의 제2 두께(d2)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채널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채널층(14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형성된 활성층(142)과, n+ 이온이 고농도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n+ a-Si)으로 형성된 저항성 접촉층(144)을 포함한다.
도 1,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채널층(140)을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G) 위의 제2 게이트 절연막(134) 위에 상기 채널층(140)을 잔류시킨다.
이어,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위에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을 노출시키고, 상기 게이트 배선 단부(126)를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과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은 서로 다른 식각 선택비를 갖는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132)은 식각하지 않고,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만 식각된다.
일 예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을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및 상기 단부(126) 각각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패터닝한다. 또는, 다른 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및 상기 단부(126)와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패터닝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및 상기 단부(126) 각각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이 패터닝된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134)이 패터닝된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소스 금속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소스 금속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소스 금속 패턴은 상기 소스 배선(DL)과, 상기 스위칭 소자(TFT)의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과,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스토리지 전극(STE2) 및 상기 게이트 패드부(GP)의 연결 패턴(16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토리지 전극(STE2)은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STE1) 위의 제1 게이트 절연막(132)과 접촉된다. 상기 연결 패턴(162)은 상기 게이트 배선 단부(126)와 접촉되어 상기 게이트 패드부(GP)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소스 배선(DL)은 상기 소스 패드부(DP)가 형성되는 소스 배선 단부(164)를 포함한다.
이 후, 상기 소스 금속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저항성 접촉층(144)을 식각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TFT)의 채널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스토리지 전극(STE1)과 제2 스토리지 전극(STE2)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토리지 전극들(STE1, STE2) 사이에 개재된 제1 게이트 절연막(132)으로 정의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소스 금속 패턴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패시베이션막(170) 및 유기막(18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70)은 대략 2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며,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2)으로 형성된다.
이 후, 상기 유기막(180) 및 패시베이션막(170)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2 스토리지 전극(STE2)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C1)과, 상기 게이트 패드부(GP)의 연결 패턴(162)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C2) 및 상기 소스 패드부(DP)의 소스 배선 단부(164)를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C3)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콘택홀들(C1, C2, C3)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10) 위에 투명 도전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투명 전극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전극패턴은 상기 제1 콘택홀(C1)을 통해 상기 제2 스토리지 전극(STE2)과 접촉하는 화소 전극(PE)과, 상기 제2 콘택홀(C2)을 통해 상기 연결 패턴(162)과 접촉하는 제1 패드 패턴(TE1) 및 상기 제3 콘택홀(C3)을 통해 상기 소스 배선 단부(164)와 접촉하는 제2 패드 패턴(TE2)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절연층을 식각 선택비가 서로 다른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제2 게이트 절연막의 다층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얇은 두께로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유전체로 적용하며,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은 게이트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으로 적용한다. 여기서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얇은 두께로 형성하고, 제2 게이트 절연막은 기존 게이트 절연층의 두께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제1 전극을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하고, 제2 전극을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얇은 두께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여 화소부 내의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점유 면적을 감소시켜 고개구율의 표시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기적 특성은 유지하면서 고개구율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KR1020060041807A2006-05-102006-05-10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CeasedKR20070109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041807AKR20070109192A (ko)2006-05-102006-05-10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A2007100798153ACN101071242A (zh)2006-05-102007-02-14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该显示基板的显示装置
US11/697,983US20070262347A1 (en)2006-05-102007-04-09Displ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041807AKR20070109192A (ko)2006-05-102006-05-10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70109192Atrue KR20070109192A (ko)2007-11-15

Family

ID=3868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60041807ACeasedKR20070109192A (ko)2006-05-102006-05-10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Link
US (1)US20070262347A1 (ko)
KR (1)KR20070109192A (ko)
CN (1)CN1010712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113354B1 (ko)*2010-04-162012-02-29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527B1 (ko)*2012-02-232013-12-02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53269B1 (ko)*2006-12-112014-01-20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122376A (ja)*2007-11-142009-06-04Hitachi Displays Ltd表示装置
KR101670695B1 (ko)2008-09-192016-10-31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반도체장치
KR20120042029A (ko)*2010-10-222012-05-03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296034A (zh)*2013-05-282013-09-11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一种阵列基板、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KR102031203B1 (ko)*2019-03-202019-10-11동우 화인켐 주식회사안테나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970011972A (ko)*1995-08-111997-03-29쯔지 하루오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980156B2 (ja)*1998-02-262007-09-26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EP1049167A3 (en)*1999-04-302007-10-24Sel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20434B1 (ko)*2000-09-272007-05-22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92850B1 (ko)*2000-12-292003-07-28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306142B2 (ja)*2001-04-242009-07-29株式会社日立製作所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8078B2 (ja)*2004-01-282008-06-25シャープ株式会社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装置
JP4088619B2 (ja)*2004-01-282008-05-21シャープ株式会社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装置
EP1837842B1 (en)*2004-12-162014-01-22Sharp Kabushiki KaishaActive matrix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nd television system
KR20060090523A (ko)*2005-02-072006-08-11삼성전자주식회사표시 장치용 배선 및 상기 배선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표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113354B1 (ko)*2010-04-162012-02-29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988640B2 (en)2010-04-162015-03-24Samsung Display Co., Ltd.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335527B1 (ko)*2012-02-232013-12-02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680517B2 (en)2012-02-232014-03-25Lg Display Co., Lt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N101071242A (zh)2007-11-14
US20070262347A1 (en)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CN1858911B (zh)Tft阵列面板、包含它的液晶显示器及tft阵列面板制造方法
KR101353269B1 (ko)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7336324B2 (en)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12071860B (zh)有源矩阵基板以及其制造方法
US20060273316A1 (en)Array substrate having enhanced aperture ratio,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109192A (ko)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192626B1 (ko)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2191467B (zh)金属布线、薄膜制造方法、tft阵列面板及其制造方法
EP3118675B1 (en)Ultra high density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having low lin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287799A1 (en)Semiconductor device, display panel,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EP2743984A2 (en)Array substrat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963649B (zh)用于液晶显示器的薄膜晶体管阵列板及其制造方法
JP2007250804A (ja)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8111342B2 (en)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substrate
US20160035750A1 (en)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097381A (ko)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79574B (zh)Tft陣列基板及其製造方法
JP2009265662A (ja)高開口率アレイ基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20070249096A1 (en)Method of Forming a Metal L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Substrate by Using the Same
KR20090078527A (ko)표시 기판
US7960219B2 (en)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90191698A1 (en)Tft arr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8299468B2 (en)Display substrate having reduced defects
CN101989579A (zh)Tft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JP4084630B2 (ja)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6051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10509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6051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2070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20915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2070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