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70043313A - Display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Google Patents

Display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313A
KR20070043313AKR1020050099439AKR20050099439AKR20070043313AKR 20070043313 AKR20070043313 AKR 20070043313AKR 1020050099439 AKR1020050099439 AKR 1020050099439AKR 20050099439 AKR20050099439 AKR 20050099439AKR 20070043313 AKR20070043313 AKR 20070043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display device
auxiliary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장호
신승록
홍한영
황현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439ApriorityCriticalpatent/KR20070043313A/en
Priority to PCT/KR2006/004275prioritypatent/WO2007046653A1/en
Publication of KR2007004331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70043313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 데이타를 전송받아 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receive wireless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hort distanc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same, and to use a secondary display device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데이타 통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 데이타 통신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제 2 데이타 통신부를 내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display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ary display devic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ich has a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 통신, 보조 디스플레이장치,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displa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System for Mobile Phone Using Portable Wireles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Display System for Mobile Phone Using Portable Wireles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of a display system between an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이동통신 단말기 2 : 보조 디스플레이장치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auxiliary display device

10 : 본체부 20 : LCD 디스플레이부10: main body 20: LCD display

24 : 표시부 23 : 구동회로24: display unit 23: drive circu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 말기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 데이타를 전송받아 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receive a wireless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hort distanc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secondary display includ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ystem of a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LCD(Liquid Crystal Dispaly)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각종 텍스트, 그래픽 등을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이동 전화기와 같은 경우에는 동화상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digital cameras, and the like are display device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aly) panels.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information, various texts, graphics, etc.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s a pictur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a user can also display a moving picture.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되고 고기능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크기도 제한되는 반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가능한 많은 양의 정보를 한번에 표시하게 되었다.Howev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smaller and more functional, the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s also limited, while displaying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on the display screen at once.

즉, 오늘날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고화소의 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및 위성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이를 크기가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감상하여야 하므로 영상 식별이 용이하지 않아 눈의 피로가 가중되며, 자막처리 등의 다양한 텍스트 구성시 공간이 한정된다.That is, today, it is possible to watch high resolution video, video and satellite broadcasting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ealize various functions, but it is easy to identify the image because it must be view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sm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yes are aggravated and the space is limited when constructing various texts such as caption processing.

또한, 제한된 화면 크기에서 방송 시청 중 E-mail, SMS, 화상채팅 기능을 동시에 이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방송 시청을 중단하여야 하는 등의 사용 자의 편의성이 낮아진다.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perform E-mail, SMS, and video chat functions while watching a broadcast on a limited screen size, user 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stop watching a broadcast is reduced.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화상은 한 장당 약 200KB~1MB 정도의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마구 찍을 경우 메모리가 금새 꽉 차버리게 되며 중복되거나 상태가 깨끗하지 않은 사진 등은 빨리 지우지 않으면 메모리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처리 성능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aking an image using a mobile terminal, the image occupies about 200KB to 1MB of memory per sheet, so when the shot is taken, the memory quickly fills up. If not erased, not only can the memory be wasted,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impairing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terminal.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고화소로 촬영한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단말기의 LCD 화면을 통해 확인하려고 하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화면의 크기가 작으므로 이미지의 결점을 자세히 보기 곤란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er tries to check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captured by the high pixel through the LCD screen of the terminal, but the LC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e defects of the image in detail.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컴퓨터, TV 등의 제품에 연결하여 좀 더 큰 화면을 통해 영상을 확인하나, 이는 제품마다 유선 영상입력선과 입력단 및 데이타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등이 존재하여야 하므로 제작 비용 등이 상승하고, 유선 영상입력선의 길이에 따라 설치장소 및 길이에 대한 제약이 따르게 된다.To this end, the user conn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product such as a computer or a TV and checks the image through a larger screen. However, the product must have a wired video input line, an input terminal, and a program that enables data compatibility. Costs increase and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length depend on the length of the wired video input line.

본 발명은 소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화상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확대된 영상을 구현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 image information wirelessly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mall display screen to implement an enlarged image so that a user can easily see. There is this.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화상 정보와 동일하거 나 또는 다른 화상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 활용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product usability by implementing the same or different image information in an auxiliary display devic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타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 간 호환성이 우수하고, 유선 회선의 연결로 인한 조작성에 제한을 받지 않는 무선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compatibility between devices that can receive data wireless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the dat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auxiliary display device that is not limited to the operability due to the connection of a wired lin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splay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데이타 통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 데이타 통신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제 2 데이타 통신부를 내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ary display devic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ich has a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데이타 통신부는 블루투스, UWB, Zigbee, WLAN, Binary CDMA, IrDA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Bluetooth, UWB, Zigbee, WLAN, Binary CDMA, and IrDA communica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을 위한 DMB 칩이 내장된다.Furthermore,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DMB chip for receiving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본 발명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schematicall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는 이동통신 단말 기(1)와 분리되어 있으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각종 텍스트, 그래픽, 동영상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but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r various text, graphics, video, etc. It is connected wirelessly to display on the screen.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입력수단인 키패드가 위치하는 본체부(1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LCD 디스플레이부(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는 휴대폰 회로부(101)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등의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폰 회로부(101)와 연결되는 제 1 데이타 통신부(102)를 포함한다.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cludes amain body 10 in which a keypad, which is an input means such as letters or numbers, and anLCD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themain body 10 The mobilephone circuit unit 101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a firstdata communication unit 102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standard such as Bluetooth, and connected to the mobilephone circuit unit 101.

또한, LCD 디스플레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201)와, 상기 LCD(201)로 입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는 LCD 구동부(20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LCD display unit 20 includes anLCD 201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LCD driver 202 for processing data input to theLCD 201.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의 휴대폰 회로부(101)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LCD 디스플레이부(2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동일하게 구성할 것인지 또는 다르게 구성할 것인지에 따라 데이타를 처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ellularphone circuit unit 101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display content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LCD display unit 20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data is processed depending on whether you want to configure it or configure it differently.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타 통신부(102)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WLAN, Binary CDMA,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칩 모듈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data communication unit 102 may be configured of any one of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Zigbee, WLAN, Binary CDMA,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hip modules. have.

한편,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7)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부(24)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데이타 통신부와 무선 통신하는 받는 제 2 데이타 통신부(21)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wirelessly connected to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s described above, the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power, thedisplay unit 24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And a receiving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는 상기 제 2 데이타 통신부(21)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타를 처리하여 신호형태로 변환하여 입력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콤(22)과, 상기 마이콤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부(2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동회로(23)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부(26)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microcomputer 22 for processing the data applied through the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to convert into a signal form to process the input video and audio signals, and Adriving circuit 23 for displaying an image processed by the microcomputer on thedisplay unit 24 and anaudio unit 26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상기 표시부(24)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또는 STN(Super Twisted Nematic) 방식의 칼라 LCD와, OLED(Organic 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제작된다.Thedisplay unit 24 is made of a thin film transistor (TFT) or super twisted nematic (STN) type color LCD, an organic 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 the like.

또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는 필요에 따라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외부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카메라 및 사용자의 명령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auxiliary display apparatus 2 may directly input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user, a camera for receiving an external image, and a user's command as needed. It further comprises akeypad 28.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에는 공간적ㆍ시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TV를 수신할 수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부(25)를 구비한다.Furthermore,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unit 25 capable of receiving a TV anytime and anywhere, free from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상기 DMB 수신부(25)는 CD수준의 음질과 데이타 또는 영상 서비스가 가능하고 우수한 고정 및 이동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 및 인터넷 방송을 가능케 하는 칩 모듈로서, 위성 또는 중계기로부터 방송 수신된 데이 타를 인식할 수 있도록, RF(Radio Frequency) 모듈부, 오디오부, 데이타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다.The DMB receiver 25 is a chip module that enabl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Internet broadcasting, which provides CD-level sound quality and data or video service, and provides excellent fixed and mobile reception quality, and is received from a satellite or repeater. It is composed of RF (Radio Frequency) module unit, audio unit, data unit and display unit to recognize data.

그리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제 2 데이타 통신부(2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 1 데이타 통신부(102)와 동일한 무선 규격을 갖고 통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WLAN, Binary CDMA,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칩 모듈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may communicate with the same wireless standard as that of the firstdata communication unit 102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Ultra wideband, Zigbee, WLAN, Binary CDMA,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hip module.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는 신호 또는 데이타를, 허가된 특정주파수(반송파)로 변조하여 일정 대역폭과 레벨로 변환시켜 공간상으로 방출하게 된다.In gener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modulates a signal or data into an authorized specific frequency (carrier), converts the signal or data into a predetermined bandwidth and level, and releases the same in space.

블루투스는 정보통신 기기간의 데이타 통신을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내 전파를 이용하여, 최대 데이타 전송 속도1Mbps에 통상전송 거리인 10m로 무선 데이타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고, UWB(Ultra wideband) 통신 방법 또한 10m 정도의 근거리에서 극초단파를 이용해 대용량 동영상을 고속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Bluetooth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t a maximum data transfer rate of 1Mbps and a normal transmission distance of 10m by using 2.4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in-band radio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method is also a technology that can transmit a large amount of video at high speed using a microwave at a short range of about 10m.

그리고, 지그비(Zigbee) 통신방법은 반경 30m 내에서 20∼250kbps의 속도로 데이타를 전송하며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최대 255대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transmits data at a speed of 20 to 250kbps within a radius of 30m and connects up to 255 devices to one wireless network.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데이타 통신부(102, 21)는 블루투스 칩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ing Bluetooth a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s 102 and 21 may be configured as a Bluetooth chip module.

이와 같은 블루투스 칩 모듈은 고주파신호를 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부와, 피지컬 레이어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베이스밴드부와, 플래시 메모리부로 구성된다.Such a Bluetooth chip module receives a high frequency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for processing, or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radio frequency (RF) unit, a baseband unit for processing a physical layer protocol, and a flash memory. It consists of wealth.

한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표시부(24)에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부과하기 위해 ITO가 형성된 유리기판 위에, ITO가 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PET) 필름("ITO 필름"이라고도 한다)을 특수 코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display unit 24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on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ITO is formed to impart a touch screen function, a polyester (PET) film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TO (also called "ITO film") Can be specially coated.

그리고,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상기 마이콤(22)은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데이타를 읽고 저장하며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부와, 상기 내부 메모리 부에 저장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데이타를 표시부인 LCD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이루어진다.Themicrocomputer 22 of theauxiliary display apparatus 2 reads and stores data from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stores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It consists of a microcontroller that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LCD.

상기 내부 메모리부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상기 이미지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실제 동작하는 영역으로 데이타 처리를 위한 임시 저장 메모리로 사용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이동식 디스크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받은 상기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Flash R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nal memory unit is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toring the control program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by the microcontroller, and is used as a temporary storage memory for data processing in an area in which the control program actually operates. And a Flash ROM for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 camera, a removable disk or a personal computer.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방법은 하기와 같다.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 예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타 통신부 (102, 21)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그 실시 가능성을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s 102 and 21 illustrate the feasibility by using Bluetooth as an example.

사용자가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를 이용하여 위성 방송을 시청할 경우,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로 인입된 압축된 음성 및 영상 신호는 휴대폰 회로부(101)를 통하여 각각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와 오디오로 분리되어 LCD 디스플레이부(20)에서 출력된다.If the user watches satellite broadcasting using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compressed audio and video signals introduced into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rough the antenna are converted into respective analog video signals through the cellularphone circuit unit 101. The image is converted into video and audio and output from theLCD display unit 20.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인터넷 접속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모듈을 통해 통신망을 이용한 기지국과 연결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고화소의 영상, 다양한 데이타, 그래픽 및 동영상 데이타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necting to an external Internet network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y using an Internet access module, if necessary, and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RF module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being connected to the used base station, a video of a high pixel, various data, graphics, and video data may be displayed.

이때,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좀 더 넓고 큰 화면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를 무선으로 연결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 명령이 이동통신 단말기(1)에 입력된다(S11).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connects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to the terminal wirelessly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n a wider and larger screen, the display device is displayed by the user. A connection command of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11).

이동통신 단말기(1)는 통신포트로 입력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12).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detects a signal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2).

그리고,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가 무선으로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의 LCD 화면에 제공되는 데이타와 동일한 데이타를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로 전송할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13).When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is connected wirelessly, it is checked whether the same data as the data provided on the LCD screen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2 (S13).

이동 통신 단말기(1)의 LCD 디스플레이부(20)에서 실행되는 데이타와 동일한 데이타를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를 통하여 실행할 경우, 휴대폰 회로부(101)에서 처리되어 LCD 구동부(202)로 송신되는 데이타와 동일한 데이타가 제 1 데이타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로 송신된다(S14).When the same data as that executed in theLCD display unit 20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executed through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the data processed by the cellularphone circuit unit 101 and transmitted to theLCD driver 202 is transmitted. The same data as is transmitted to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via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102 (S14).

그리고,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제 2 데이타 통신부(21)로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마이콤(22)에서 처리되어 상기 표시부(24) 및 오디오부(26)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S15).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is processed by themicrocomputer 22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display unit 24 and the audio unit 26 (S15).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작은 LCD 화면을 통해 시청하는 동영상 등을 좀 더 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watch a video or the like viewed through the small LCD screen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rough the largerauxiliary display device 2.

한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연결 확인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1)의 LCD 화면(20)에 제공되는 데이타와 다른 데이타를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에서 실행하는 명령이 선택될 경우(S16),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을 검색하여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로부터 디스플레이할 내용을 결정하게 된다(S17).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nnection of thesecondary display device 2 is confirmed, when a command for executing data different from the data provided on theLCD screen 20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n thesecondary display device 2 is selected ( In operation S16, themobile terminal 1 searches for a function that may be executed in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determine content to be displayed from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in operation S17.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의 휴대폰 회로부(101)로부터 LCD 구동부(202)로 송신되는 데이타와 다른 종류의 데이타가 제 1 데이타 통신부(102)로 전송되고 이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제 2 데이타 통신부(21)로 송신된다(S14).Then, data different from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ellularphone circuit unit 101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theLCD driver 202 is transmitted to the firstdata communication unit 102, which is thesecondary display device 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21 (S14).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제 2 데이타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마이콤(22)에서 처리되어 상기 표시부(24) 및 오디오부(26)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S15).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is processed by themicrocomputer 22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display unit 24 and the audio unit 26 (S15).

이때,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와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서로 다른 데이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휴대폰 회로부(101)에서는 처리된 영상 정보를 스위치 회로(미도시)를 통해 LCD 구동부(202)로 전송될 데이타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 1 데이타 처리부(102)를 통해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의 제 2 데이타 통신부(21)로 송신될 데이타를 분리하여 처리하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when it is required to display different data information on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and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mobilephone circuit unit 101 transmits the processed image information to the LCD driver through a switch circuit (not shown).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202 and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of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through the firstdata processing unit 102 of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will be processed separately.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CCD, CMOS)에 의해 전기 신호로 바뀐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타를 디지털 RGB 데이타로 바꾸고 필요에 따라 상기 RGB 데이타를 압축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한다.If the image is taken using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image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data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image sensor (CCD, CMOS) into digital RGB data and compressing the RGB data as necessary. Process.

이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인 LCD(201)에 표시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제 1 데이타 통신부(10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 2 데이타 통신부(21)로 전송된다.Such a digital image signal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and displayed on theLCD 201 which is the main display unit, or the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auxiliary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irstdata communication unit 102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nt).

이 후,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 2 데이타 통신부(21)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마이콤(22)에서 처리되어 상기 표시부(24) 및 오디오부(26)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Thereafter,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data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is processed by themicrocomputer 22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display unit 24 and theaudio unit 26.

그리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2)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와 송수신하는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송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secondary display device 2 is provided with a memory for storing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t is possible to store the transmitted image in the memory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는 DMB 수신부(25)와 전원부(27)를 단독으로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위성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MB receiving unit 25 and thepower supply unit 27 alone, theauxiliary display device 2 may reproduce satellite broadcasting even when no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제 3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이들 이미지를 시청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영상 또는 다른 영상을 좀 더 넓은 화면에서 고화지리의 이미지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when viewing these images using a thir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ame video or other video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viewed as a high-resolution geographic image on a wider screen. Will be.

즉, 이는 외부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커넥터의 필요없이 공통으로 사용되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형 전자제품과 연결함으로써 가능해진다.That is, this is possible by connec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the small electronic products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commonly used without the need for a wired connector that can connect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 데이타 통신부와 무선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가전제품들 또한 별도의 통신장비나 모듈 없이 상기 무선 데이타 통신부를 통해 외부와 신호 및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nit without a separate communication equipment or module for home appliance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data communication unit have.

즉, 홈 네트워킹을 위하여 별도로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기능이 구축되어야 하는 세탁기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에 상기 무선 데이타 통신부를 장착함으로써 기존 가전제품을 통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그 외의 외부와의 데이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by installing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nit in a home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in which a communication function must be established to enable separate communication for home networking, the Internet can be used through existing home appliances, and data with other external sources. Allows sending and receiving.

이러한 경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의 무선 데이타 통신부와 상기 가전제품의 송수신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송신신호가 상기 무선 데이타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 데이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으로 수신된 신호가 상기 가전제품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nit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home appliance are properly converted to transmit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ni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received signal in the home appli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 작은 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고화소의 화상, 동영상 정보를 시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wirelessly connec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mall screen, the user can easily view the image and video information of a high pixel stored or display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s eyes I can protect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디스플레이부와 다르거나 같은 화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대의 디스플레이가 아닌 여러 대에 각각의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same screen or different from the LCD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displaying different images on several units instead of one display. hav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휴대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메인 서버들로부터 데이타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들에 영상입력선과 고정단자, 데이타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등이 존재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 간 호환성이 우수하여 전자제품의 사용 확장성을 획득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ata can be received wirelessly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ain server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the like, the data can be displayed on the devices. Since there is no need for such a program to enable the excellent compatibility between the devices can be obtained to expand the use of electronic produ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자 부품간의 유선 연결을 위한 영상입력선과 고정단자 등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0.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manufacture image input lines and fixed terminals for wired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Claims (11)

Translated fromKorea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데이타 통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 데이타 통신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제 2 데이타 통신부를 내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An auxiliary display devic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a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mprising a.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The secondary display device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수신받는 상기 제 2 데이타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처리하는 마이콤;A microcompute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data appli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는 구동회로;A driving circuit which processes the data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mprising a.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타 통신부는 블루투스, UWB, Zigbee, WLAN, Binary CDMA, IrDA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first and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is 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econdary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communicate Bluetooth, UWB, Zigbee, WLAN, Binary CDMA, IrDA.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을 위한 DMB 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uxiliary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DMB chip for receiving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된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되도록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Inputting a user's command so that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로 데이타가 무선으로 전송되는 단계;Transmitting data wireless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auxiliary display device;상기 전송된 데이타가 영상처리되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Displaying the transmitted data o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 방법.Method of driving a 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mprising a.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타와 동일한 데이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과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동 방법.The second displa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data as the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o that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is the same. Display system driv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타와 다른 데이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과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동 방법.Dat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th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he display screen of the screen and the secondary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Display system driv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데이타를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와;Confirming whether to store the displayed data on the secondary display device;상기 데이타를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동 방법.And storing the data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타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될 데이타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동 방법.Retrieving data contents to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isplay apparatus when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auxiliary display apparatus and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display system driv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데이타 통신부;A dat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수신받는 상기 데이타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처리하는 마이콤;A microcompute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data applied from an external device;상기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구동회로;A driving circuit for processing to display the data;를 포함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mprising a.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을 위한 DMB 칩 및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MB chip for receiving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econdary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KR1020050099439A2005-10-212005-10-21 Display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WithdrawnKR2007004331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0099439AKR20070043313A (en)2005-10-212005-10-21 Display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PCT/KR2006/004275WO2007046653A1 (en)2005-10-212006-10-20Display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ssistant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0099439AKR20070043313A (en)2005-10-212005-10-21 Display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70043313Atrue KR20070043313A (en)2007-04-25

Family

ID=3796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50099439AWithdrawnKR20070043313A (en)2005-10-212005-10-21 Display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20070043313A (en)
WO (1)WO2007046653A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09035188A1 (en)*2007-09-142009-03-19Casuh CorporationMethod and system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on zone
KR100910245B1 (en)*2007-07-242009-07-31(주)에프씨언와이어드 Wireless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using Zigbee
WO2010002127A3 (en)*2008-07-042010-04-15Sang Jun Choi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KR20110080688A (en)*2010-01-062011-07-13엘지전자 주식회사 A terminal,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erforming a broadcast related conversation service thereof
WO2012133982A1 (en)*2011-03-252012-10-04엘지전자 주식회사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254933B1 (en)*2010-12-202013-04-16주식회사 한신정보기술Portable wireless display system
KR101341406B1 (en)*2011-12-262013-12-13주식회사 한신정보기술System for multipl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of smart device and computer
KR101507120B1 (en)*2013-06-172015-04-06장현철Wireless mobile terminal for auxiliary display device
KR20210010293A (en)*2019-07-172021-01-27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Mobile terminal, antenna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8068011B1 (en)2010-08-272011-11-29Q Street, LLC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r-directed interfacing between handheld devices and RFID media
GB2490961A (en)*2011-05-202012-11-21Vincent Patrick DonohoeTouch screen for connection to smartphone
BE1020187A3 (en)*2011-08-102013-06-04Laureyssens Dirk SPECIAL MOBILE PHONE.
TWI632513B (en)*2012-10-222018-08-11祥閎科技股份有限公司Data transmitting structure
CN105051726A (en)*2013-01-092015-11-11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GB2541590A (en)*2016-11-282017-02-22Constantine PaulSmartphone-bound attachable/detachable plug-and-play tablet combo peripheral
CN109257497B (en)*2018-09-292020-07-31努比亚技术有限公司Eye protection mode opening control method, foldable double-sided scree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625673A (en)*1994-09-221997-04-29Lucent Technologies Inc.Modular communication apparatus
US6507762B1 (en)*1999-03-312003-01-14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ppliance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30011146A (en)*2003-01-212003-02-06김효덕Assistant device for mobile-phone by using bluetooth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10245B1 (en)*2007-07-242009-07-31(주)에프씨언와이어드 Wireless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using Zigbee
WO2009035188A1 (en)*2007-09-142009-03-19Casuh CorporationMethod and system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on zone
WO2010002127A3 (en)*2008-07-042010-04-15Sang Jun Choi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US9042843B2 (en)2008-07-042015-05-26Sang Jun Choi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KR20110080688A (en)*2010-01-062011-07-13엘지전자 주식회사 A terminal,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erforming a broadcast related conversation service thereof
KR101254933B1 (en)*2010-12-202013-04-16주식회사 한신정보기술Portable wireless display system
WO2012133982A1 (en)*2011-03-252012-10-04엘지전자 주식회사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US8847746B2 (en)2011-03-252014-09-30Lg Electronics Inc.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41406B1 (en)*2011-12-262013-12-13주식회사 한신정보기술System for multipl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of smart device and computer
KR101507120B1 (en)*2013-06-172015-04-06장현철Wireless mobile terminal for auxiliary display device
KR20210010293A (en)*2019-07-172021-01-27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Mobile terminal, antenna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038259B2 (en)2019-07-172021-06-15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Mobile terminal, antenna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07046653A1 (en)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WO2007046653A1 (en)Display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ssistant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11623B2 (en)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081628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RU2670603C2 (en)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57766B2 (en)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e in a portable terminal
CN105489194B (en)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 image
US8036650B2 (en)Mobile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the same
US20080003985A1 (en)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EP2026578A3 (en)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90088210A1 (en)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10044690A (en) Mobile phone and incoming notification system
US20050200695A1 (en)Transceiver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3087865A (en)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s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its program
KR200194768Y1 (en)The camera uniformity cellularphone of a background image choice
US20070275714A1 (en)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visual data processing
WO2007049933A1 (en)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CN108683435A (en)A kind of termin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WO2006088273A1 (en)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KR20090015260A (en) Sound output method and system of a multi-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therein
JP2008160692A (en)Cable, and method
KR100865279B1 (en) Mobile terminal that can be displayed on external display device
CN203206404U (en) Smart TV integrated application device
KR20050059717A (en)Mobile phone for dmb
KR20040036161A (en)Digital television capable of interfac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09644A1 (en)Cellular phone installation adapted to capture and view images while providing telephone communication service simultaneously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5102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