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된 도면과 결합돼서 개시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본 발명이 실시되는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또는 균등한 기능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집적 회로를 패키징하는 방법으로서,
포일막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포일막의 제1 측면 상에 땜납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일막 상에서 상기 땜납에 집적 회로의 제1 측면을 부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이의 제1 측면이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의 제2의 대향 측면이 복수의 본딩 패드를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본딩 패드를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상기 포일막 상에서 상기 땜납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 상기 전기 접속, 및 상기 포일막의 제1 측면을 몰드 화합물로 캡 슐화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 및 상기 복수의 와이어로부터 상기 포일막을 분리하여 패키지형 집적 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패키지형 집적 회로는,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다이를 포일막 상의 땜납에 부착하며, 다수의 다이를 땜납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모든 다이를 캡슐화하며, 캡슐화된 다이를 서로 그리고 포일막으로부터 분리함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멀티 칩 모듈은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패키지형 반도체 디바이스(10)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된다. 패키지형 디바이스(10)는 복수의 본딩 패드(14)를 갖는 상측면을 구비한, 실리콘 웨이퍼로부터의 일 절단(one cut)과 같은 집적 회로 다이(12)를 포함한다. 본딩 패드(14)는 이에 부착된 와이어(16)를 가진다. 더욱 특히, 와이어(16)의 제1 단은 본딩 패드들(14) 각각에 접속되며, 제2 단은 볼(18)이 형성되는 공통면(패키지 저면)에 연장된다. 이하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볼(18)은 와이어본딩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다이(12), 전기 접속, 와이어(16), 및 볼(18)의 적어도 상부는 몰드 화합물(20)로 커버 또는 캡슐화된다. 다이(12) 및 볼(18)의 하측면은 다이(12) 및 볼(18)이 인쇄 회로 기판(도시 안됨)에 접속되게 하는 땜납(22)의 박막으로 코팅된다. 와이어(16)가 접속된 볼(18)은 데이터, 파워 및 접지 신호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다이(12) 및 기판 또 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에 통과시키는데 사용된다. 다이(12)가 부착되는 땜납(22)은 다이(12)로부터 열을 전도시킬 수 있으며(즉, 열 관리), 기판 레벨 땜납 조인트 강도를 강화시킨다.
집적 회로 다이(12)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특정 목적 회로 등과 같은 소정 타입의 회로일 수 있다. 이런 회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와이어(16)는 패키지형 집적 회로에 공통 타입으로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와이어(16)는 전기 신호가 통과할 수 있는 전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재료는 구비, 금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일 수 있으며, 약 50 내지 100μm의 직경을 가진다. 다른 재료 및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도 또한 적합할 수 있다.
도 2A-2E 및 도 3을 참고하여, 패키지형 디바이스(10)를 형성하는 방법을 후술한다. 도 2A는 포일막(30)으로서 그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땜납(32)의 층을 갖는 포일막(30)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포일막(30)은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비교적 평탄한 베어막(bare sheet)이다. 이런 포일막은 상용가능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땜납 층(32)은 포일막(30) 상에서 고온 땜납 페이스트의 층을 스크린 인쇄함에 의해 포일막(30) 상에 형성된다. 땜납(32)의 층은 약 0.1mm의 두께를 가진다. 땜납(32)은 바람직하게 약 250℃에서 300℃의 범위에서 리플로우 온도를 갖는 고온 땜납 페이스, 예컨대 약 310℃의 리플로우 온도의 97%/2%/1%Pb/Ag/Sn 땜납이다. 스테인리스 스틸 스텐실과 같은 스텐실(stencil)을 이용하여, 땜납(32)의 층은 포일막(30)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다. 패키지형 집적 회로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플로우챠트인 도 3에서, 단계 50은 포일막(30)의 제공을 나타내며, 단계 52는 포일막(30) 상에서 땜납(32)의 층의 형성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다이(12)는 땜납(32)에 의해 포일막(30)에 부착된다. 더욱 특히, 집적 회로 다이(12)의 제1 측면은 땜납(32)의 층에 배치된다. 땜납이 응고되기 전에 다이(12)가 땜납(32)에 배치된다면, 표준 픽 및 배치 설비(standard pick and place equipment)는 다이(12)를 포일막(30)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이(12)를 포일막(30) 상에서 땜납(32)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이(12)의 하부 측면은 금속(34)의 층을 포함한다. 금속층(34)은 웨이퍼의 후측면이 압력하에서 웨트 연마재를 이용하여 하향 접지되는 백래핑(backlapping)을 통해, 다이(12)에 적용된다. 그 후, 금과 같은 금속은 스퍼터링을 통해 웨이퍼의 후면 상에 배치된다. 이런 후측면 금속화는 다이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다이(12)의 상측면은 복수의 본딩 패드(14)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다이 부착은 단계 54에서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계 56에서, 포일막(30)이 리플로우 오븐을 통과하는 제1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오븐 내의 열은 땜납 페이스트(32)를 녹이고, 땜납은 필렛(fillet)(36)을 형성하는 다이(12)의 측면으로 조금씩 이동하여, 다이(12)를 포일막(30)에 고정시킨다.
도 3 및 2B를 참고하면, 제1 리플로우 프로세스(56) 이후, 본딩 패드(14)를 포일막(30)에 접속시키는 와이어(16)가 부착되는 와이어 본딩 단계 58가 수행된다. 와이어(16)는 본딩 패드(14)를 포일막(30) 상의 땜납(32)에 접속시킨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땜납(32)은 포일막(30)의 소정 위치, 예컨대, 다이(12)를 수용하도록 결정된 위치, 및 패키지형 디바이스(10) 입력 및 출력에 대해 정의 된 위치로서, 본 예에서는 랜드 그리드 어레이(land grid array)(도 4 참조)에 대해 형성된다. 와이어 본딩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 볼 본딩 프로세스이다. 공지된 볼 본딩 프로세스에서, 와이어는 캐필러리(capillary)에 유지되며, EFO(elctrical spark)는 와이어의 팁에서 매우 작은 볼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16)의 가열된 팁은 포일막(30) 상에 땜납(32)에 가압된다. 와이어(16)의 팁이 뜨겁기 때문에, 소프트해져서, 스쿼시드(squashed) 볼(38)은 포일막(30) 상에 형성된다. 각종 게이지 와이어는 다이(12)의 전기적 요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와이어 크기는 약 50μm 내지 100μm 사이에 있다. 75μm 게이지 와이어에서, 스쿼시드 볼 본드는 약 0.25mm의 직경을 가진다. 더욱이, 평편한 포일막이 사용되기 때문에, 볼(38)은 실질적으로 평편한 저면을 가진다. 회로 I/O의 수는 와이어(16) 및 볼(38)의 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와이어본딩 프로세스(58)가 수행된 후, 다이(12), 전기 접속, 와이어(16) 및 볼(38)의 일부는 바람직하게 집적 회로를 패키징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플라스틱 재료로 캡슐화된다. 도 2C 및 3에서 단계 60은 다이(12), 와이어(16), 및 땜납(32) 층 및 포일막(30)의 상부들 상에 몰드 화합물(20)이 형성되는 단계를 예시한다. 바람직한 몰드 화합물(20)은 반도체 패키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상용가능한 에폭시 몰딩 화합물이다. 도 2C는 캡슐재(20)를 갖는 포일막을 도시한다. 이런 스테이지에서, 캡슐재(20)는 포일막(30)의 일 측면 전체를 커버한다.
캡슐화 단계(60) 이후, 제2 리플로우 프로세스(62)는 다이(12) 및 와이어(16)로부터 포일막(30)을 분리하도록 수행된다. 도 2D는 캡슐화된 다이(12) 및 와이어(16)로부터 분리된 땜납(32) 층의 일부 및 포일막(30)을 도시한다. 제2 리플로우 프로세스(62)는 금속 포일(30) 상에서 땜납(32)을 평활화하며, 에폭시 몰드 화합물(20)과 금속 포일(3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약하게 하여, 몰드 화합물(20)로부터 포일막(3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와이어(16) 및 다이(12)로부터 분리된 후 땜납(32)의 일부가 포일막(30)에 부착된 채 유지됨에 유의해야 한다.
전형적인 패키징 프로세스가 다수의 디바이스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패키징할 때, 포일막(30)이 탈착된 후, 캡슐화된 다이(12), 및 각 다이에 접속된 와이어(16)는 서로 분리되어, 다수의 패키지형 디바이스(10)는 싱귤레이션(singulation) 단계 64에 있게 한다. 도 2E는 싱귤레이션 이후 3개의 개별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공지된 쏘 싱귤레이션(saw singulation)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패키지형 디바이스(10)의 확대 저부 사시도이다.
쏘 싱귤레이션 프로세스(64) 이전에, 선택적인 전기 기능 테스트가 수행된다. 캡슐화된 디바이스의 모든 I/O 단자가 패키징 프로세스를 통해 분리되기 때문에, 스트립 형태의 전기 테스트는 가능하여, 부가 프로세스 또는 비용 없이도 테스터 활용을 개선하고 병렬 테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패키지형 디바이스(10)는 IC(12)로부터 기판까지의 신호 경로가 짧기 때문에 개선된 고 주파수 전기 성능을 가진다. 더욱이, 시스템 신뢰도는 시스템 기판의 열화에 의해 야기된 스트레스 고장에 대한 땜납 조인트 내성을 증가시킴에 의해 개선된다. 개선된 RF 성능 및 기계적 스트레스 고장에 대한 내성은 셀룰러 전화 핸드셋 제작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또한 MCM(multi-chip module), SIP(system in a package), 및 스택형(stacked) 다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형성된 수동 디바이스(44) 및 2개의 집적 회로(42)를 구비한 멀티 칩 디바이스(40)를 도시한다. 회로(42) 및 수동 디바이스(44)는 와이어(46)와 접속된다. 회로(42 및 44) 및 와이어(46)는 몰드 화합물(48)로 캡슐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땜납의 소량이 와이어(46)의 단부 및 회로(42 및 44)의 아래에 형성된 스쿼시드 볼 상에 남는다.
비록 실시예에 패키지형 디바이스가 노출된 다이형 디바이스로 도시되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은 히트 싱크를 갖추고 히트 싱크가 노출된 패키지형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12)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이 패들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다이 패들의 다른 측면은 포일막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집적 회로를 패키징하는 용이하고 값싼 방법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비용은 기판 또는 종단(외부 핀 또는 볼) 모두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낮게 된다. 금속 리드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싱귤레이션 단계에서 사용되는 쏘 블레이드는 금속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쏘 블레이드는 더 긴 수명을 가진다. 또한, 리드프레임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기판 트레이스 라우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패키징 프로세스는 값비싼 어떤 화학적 에치-백을 요구하지 않는다. 패키징 프로세스는 현재 이용가능한 설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패키지는 또한 0.4mm로 낮춘 매우 낮은 프로파일을 가진다. 랜드 그리드 어레이는 고 상호접속 밀도를 제공한다. 예컨대, 200+I/O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수많은 수정, 변화, 변형, 대체 및 균등물이 당업자에게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