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60130535A -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535A
KR20060130535AKR1020060116568AKR20060116568AKR20060130535AKR 20060130535 AKR20060130535 AKR 20060130535AKR 1020060116568 AKR1020060116568 AKR 1020060116568AKR 20060116568 AKR20060116568 AKR 20060116568AKR 20060130535 AKR20060130535 AKR 2006013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amera
unit
sensing
subj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209B1 (ko
Inventor
신중식
Original Assignee
(주)유한프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한프리젠filedCritical(주)유한프리젠
Priority to KR1020060116568ApriorityCriticalpatent/KR10076020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535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60130535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0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760209B1/ko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담당자 혹은 외부기관에 상황을 전송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어떤 시설 환경 하에서도 침입 물체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 고, 침입 물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아울러 침입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침입 물체를 근접 촬영하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 주변 장치들과 연동되어 침입에 시각적, 청각적 대응 및 관리자 혹은 외부기관에 침입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리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자동추적, 바닥감지, 위치추적.

Description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Crime prevention System In Use Of Tile Sen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제어수단 110 : 센서통신부
120 : 카메라통신부 130 : 저장부
140 : 메인제어부 150 : 외부장치연동부
150a : 경보장치연동부 150b : 녹음장치재생부
150c : 침입상황전송부 200 : 센싱수단
210 : 바닥센서부 220 : 통신부
230 : 아이디셋팅부 300 : 카메라
400 : 외부연동장치 400a : 경보장치
400b : 음성재생수단
본 발명은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담당자 혹은 외부기관에 상황을 전송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요 시설이나 건물, 빌딩을 비롯하여 이제는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안과 방범 장비들이 설치 운용되고 있다. 초기 줄에 소리나는 물체를 매달아 놓은 원시적 장비에서부터 최근 CCTV를 이용한 장비까지 보안 및 방범에 관한 장비들은 침입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의 보안 및 방범 장비들은 현대 시설 환경의 복잡 다원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고도로 첨단화되고 시스템화되었다.
하지만 최신의 보안 및 방범 장비들도 현대 시설 환경의 복잡 다원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침입물체 발견시에도 근접 촬영이 불가능하여 면식범 식별이 불가하고, 사건 발생시 사건 확인을 위해 장시간
의 검색 시간이 불가피하여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사건이 발생되어 녹화 테이프를 확인하는 경우 다행히 침입물체가 영상에 잡혔다고 하더라도 전체 화면만을 제공하므로 침입물체와의 촬영거리가 멀어 식별이 곤란하거나 추적 촬영이 불가능하여 침입물체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언론매체에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어떤 시설 환경 하에서도 침입 물체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고, 침입 물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아울러 침입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침입 물체를 근접 촬영하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면 침입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보안 및 방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감지된 바닥센서 의 순서를 저장하여 침입자의 움직임 경로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음성재생수단을 통해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제어수단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외부기관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침입상황을 알리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장치와 연동되어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장치연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경보장치연동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음성재생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음성재생수단을 통해 음성을 출력시키기 위한 녹음장치재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경보장치연동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싱수단은,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 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20)와,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200)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110)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120)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장치와 연동되어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장치연동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실시간으로 바닥센서부(210)로부터 아이디 값 및 감지 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의 동작 데이터를 카메라로 전송하여 카메라(300)가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통신부(110)는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센싱수단의 통신부(220)와는 일반적인 RS485, RS422, RS 232C, RS 232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하게 되며, 센싱수단과 제어수단간의 통신방식의 구성원리 및 동작원리는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하겠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과 카메라간의 통신방식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하게 된다.
바닥센서부의 해당 아이디값에 활성화되는 카메라의 동작값 세팅방식은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세팅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바닥센서부의 해당 아이디값에 카메라의 팬, 틸트, 줌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화면에 맞추고 이에 대해 카메라로부터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을 읽어 들여 저장부(130)에 저장하게 된다.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은 기준좌표에 대한 절대값으로 인식되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전원이 꺼져도 다시 사용자가 세팅하기 전까지 지워지지 않도록 한다.
저장되는 원리는 카메라의 초기값(P(pan)=0, T(tilt)=0, Z(zoom)=0)과 센서의 초기값(S(sensor)=0)을 설정하고,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이 저장되는 공간의 이름을 N이라고 가정하여 저장공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N(S,P,T,Z)에 각각 값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230)의 셋팅방법은 일반적인 센서 셋팅 방법을 채택하게 되며, 세팅 방법에 관한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점인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는 타일 모양의 바닥재 형태를 갖춘 센서를 의미하며 본원 발명에서는 이를 바닥센서라 정의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자면, 상기한 바닥센서부를 방법 및 보안이 필 요한 곳에 설치 구성하게 되며, 바닥센서부는 조각조각 이루어져 있으며, 각 조각마다 아이디값을 아이디셋팅부를 통해 셋팅을 하게 되며, 아이디값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동작값에 따라 카메라가 동작하도록 하게 되는데, 만약 시설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센서부 위를 침입자가 밟고 가게 되면 바닥센서부는 침입자의 발이 누르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수단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수단에서는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전송받아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게 동작값을 보내게 된다.
카메라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동작값에 따라 상하좌우, 회전 및 줌 확대, 축소 등을 하여 침입자를 촬영하게 되며, 외부녹화장치로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침입자가 밟게 되는 바닥센서부를 통해 침입경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할 수 있게 되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이 되므로 향후 수사자료에 활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중에 하나인 외부연동장치와의 연동을 위해 외부장치연동부(150)를 구성하게 된다.
외부연동장치란 예를 들어 조명장치, 싸이렌 장치, 경광등 장치, 비상음 발생장치, 메세지 전송 장치등이 있으며, 바닥센서부중 일부를 지정하여 지정된 바닥센서부를 밟게 되면 조명이 켜지거나, 싸이렌이 울리거나, 경광등을 동작시키거나, 아니면 사람의 음성이 녹음된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보안업체등에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한 문자메세지, 메일링, 구내전화를 통해 비상상황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200)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110)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120)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경보장치연동부(150a)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장치연동부(150a)는 바닥센서부 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조명수단 혹은 경보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바닥센서부 중 일부 바닥센서부를 밟게 되면 경보장치연동부와 연동되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게 되는데 외부에 설치된 조명수단(미도시)과 경보수단(미도시)에 상기 경보장치연동부에서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동작 신호를 전송받은 조명수단은 조명을 밝히게 되며, 경보수단은 싸이렌을 울리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바닥센서부 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음성재생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음성재생수단(400b)을 통해 음성을 출력시키기 위한 녹음장치재생부(150b)를 통해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을 재생수단(미도시)을 통해 재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200)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110)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120)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30)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 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150c)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150c)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 혹은 전화단말기 또는 경찰서 및 보안업체의 모바일 단말기 혹은 전화단말기로 문자메세지, 전화발송, 음성메세지, 메일 등을 전송하게 된다.
만약, 문자메세지 전송이라면 이동통신 전송수단 중에 하나인 SMS서비스 장치를 통해 전송하게 되는데 전송 방식 및 동작 원리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화발송 및 음성메세지, 메일링 서비스 또한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은 센싱수단, 제어수단, 카메라, 외부연동장치로 구성된다.
즉, 센싱수단으로부터 아이디 및 감지상태 신호를 제어수단에서 전송받아 해당하는 센서부의 아이디값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동작값을 제어수단에서 카메라로 전송하여 카메라는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닥센서부는 장판형, 카페트형, 타일형, 악세스플로어형으로 바닥에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형태의 변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닥센서부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5에 도시한 대로 1번 부터 9번까지 바닥센서부를 바닥에 설치하였다고 가정하게 되면, 바닥센서부의 1번부터 9번까지 각 센서부의 중심위치값을 기억시키게 된다. 따라서, 침입자가 감지되면 바닥센서부의 기억값으로 카메라를 이동하여 추적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로서 바닥센서부는 센서 한개의 크기는 보통 45CM X 45CM로 설정한다면 1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는 1개에서 4개 정도 이내 일 것이다.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1개 일때 감지센서값을 1로 하고, 2개 일때는 2개 감지센서값을 플러스하여 1/2하고, 3개 일 때는 3개 감지센서값을 플러스하여 1/3하고, 4개 일때는 4 개 감지센서값을 플러스하여 1/4하여 값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카메라에 위치값을 명령하게 된다.
예를 들어 1번 감지센서가(10,10), 2번 감지센서가 (20,20)이면 플러스하면 (30,30)이 되고, 1/2로 나누면 (15,15)가 감지센서값이 되어 이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동작값을 세팅하게 되는데 이때 동작값을 예를 들어 (15,15,2)라 하면 좌로 15도 회전, 위로 15도 조정, 2배 줌으로 카메라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줌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한 개 이상의 센서를 밟고 있다면 포커스를 멀리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세팅값에 따라 동작시 침입자의 특정 부위만 촬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접촬영이 가능한 범위 내로 포커스를 잡아줌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닥 센서부의 동작 원리는 +판과 절연판과 -판을 합쳐서 일체형 장판 혹은 개별 타일을 형성하여 사림이나 기타 압력에 의해 +판과 -판이 합쳐지는때에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복수의 카메라를 구성할 경우에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역을 분담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바닥센서부의 영역이 카메라에 따라 분리되고 어느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어느 다른 카메라의 촬영 영역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즉, A영역의 바닥센서부에 해당하는 A 카메라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A영역을 촬영하게 되고, B영역의 바닥센서부에 해당하는 B 카메라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B영역을 촬영하게 된다. 만약, A영역 및 B영역에 걸 쳐 감지된다면 두 카메라 모두 촬영할 수도 있고, A영역의 카메라 혹은 B영역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촬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복수의 카메라를 구성할 경우 바닥센서부를 침입자가 밟게 되어 감지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게 되면 A 카메라는 줌 아웃으로 넓은 범위를 촬영하게 되고, B 카메라는 해당 바닥센서부의 영역을 줌 인하여 정밀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방식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A,B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 저장장치 예를 들어 VCR, DVR에 저장되게 되고 관제센터나 기타 감시기관의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되는데, 활용 예로 DVR에 입력된 영상 중 A 카메라의 영상은 넓게 디스플레이하고, B 카메라의 영상은 넓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어느 일측에 PIP로 작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센싱수단과 제어수단간의 통신 방식을 유선으로 연결하고 있으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일 경우에는 센싱수단의 통신부 대신 무선 통신부를 구성하고, 제어수단 또한 무선센서통신부를 구성하게 되면 된다.
무선 통신 방식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을 이용하면 어떤 시설 환경 하에서도 침입 물체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고, 침입 물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아울러 침입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침입 물체를 근접 촬영하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 주변 장치들과 연동되어 침입에 시각적, 청각적 대응 및 관리자 혹은 외부기관에 침입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리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KR1020060116568A2006-11-232006-11-23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Expired - Fee RelatedKR10076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116568AKR100760209B1 (ko)2006-11-232006-11-23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116568AKR100760209B1 (ko)2006-11-232006-11-23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60130535Atrue KR20060130535A (ko)2006-12-19
KR100760209B1 KR100760209B1 (ko)2007-09-20

Family

ID=3781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60116568AExpired - Fee RelatedKR100760209B1 (ko)2006-11-232006-11-23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7602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12423B1 (ko)*2010-08-312011-02-08(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복수의 진동 센서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013412B1 (ko)*2010-08-312011-02-14(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복수의 자기장 센서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WO2015020396A1 (en)*2013-08-052015-02-12Samsung Electronics Co., Ltd.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497106B1 (ko)*2012-10-312015-03-03전진홍방범 시스템
CN105160743A (zh)*2015-09-292015-12-16吴希文门禁系统和门禁监控方法
CN106412519A (zh)*2016-10-292017-02-15安徽省艾佳信息技术有限公司一种基于压力传感器的监控系统
CN106454244A (zh)*2016-10-292017-02-22安徽省艾佳信息技术有限公司一种智能监控方法
CN109903703A (zh)*2017-12-082019-06-18上海三思电子工程有限公司智能显示装置及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910767A (en)1997-07-111999-06-08Laser GuardIntruder detector system
KR100388500B1 (ko)*2000-05-092003-06-25주식회사 이오리스댄스게임장치
KR20010112180A (ko)*2001-11-212001-12-20주식회사 나노스타스움직임 추적 감시 및 격퇴 시스템
KR100792802B1 (ko)*2002-08-282008-01-14김정구인공지능 방범시스템
JP3874717B2 (ja)2002-11-202007-01-31日本オペレーター株式会社ハウ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466833B1 (ko)2004-03-312005-01-24신중식감지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0517A (ko)*2006-06-052006-06-23김현재디지털 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12423B1 (ko)*2010-08-312011-02-08(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복수의 진동 센서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013412B1 (ko)*2010-08-312011-02-14(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복수의 자기장 센서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497106B1 (ko)*2012-10-312015-03-03전진홍방범 시스템
WO2015020396A1 (en)*2013-08-052015-02-12Samsung Electronics Co., Ltd.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247626B2 (en)2013-08-052019-04-02Samsung Electronics Co., Ltd.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5160743A (zh)*2015-09-292015-12-16吴希文门禁系统和门禁监控方法
CN106412519A (zh)*2016-10-292017-02-15安徽省艾佳信息技术有限公司一种基于压力传感器的监控系统
CN106454244A (zh)*2016-10-292017-02-22安徽省艾佳信息技术有限公司一种智能监控方法
CN109903703A (zh)*2017-12-082019-06-18上海三思电子工程有限公司智能显示装置及显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0760209B1 (ko)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0760209B1 (ko)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381924B1 (ko)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10957174B2 (en)Communication-linked floodlight controllers with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features
KR20120002801A (ko)감시용 카메라와 그에 따른 음원 추적 방법
KR101467352B1 (ko)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US20150093102A1 (en)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1020670B1 (ko)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JP2009016926A (ja)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90121796A (ko)물체감지센서 및 무선전송 기능이 구비된 비디오폰영상기록장치 그를 이용한 영상기록방법
KR100689287B1 (ko)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JP2020030544A (ja)不審者監視システム
US8032110B2 (en)Mobile security device
KR20200049189A (ko)가전 기기
CN105336089A (zh)一种全天候智能联网报警系统
KR100977537B1 (ko)홈네트워크 솔루션을 탑재한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20100073671A (ko)방범 장치
KR101416076B1 (ko)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20020010247A (ko)다목적 경보 시스템
KR101123438B1 (ko)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0382262Y1 (ko)가정용 보안 시스템
KR20160033390A (ko)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3650612B2 (ja)来訪者監視装置
JP2004104510A (ja)監視システム
KR101597154B1 (ko)듀얼무선모듈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JP2006260585A (ja)侵害防除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装置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A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E14-X000Pre-grant third party observation fil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4-opp-X000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G170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20080417

Republication note text: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100760209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2007092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20910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0913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409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40914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