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60026228A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228A
KR20060026228AKR1020040075076AKR20040075076AKR20060026228AKR 20060026228 AKR20060026228 AKR 20060026228AKR 1020040075076 AKR1020040075076 AKR 1020040075076AKR 20040075076 AKR20040075076 AKR 20040075076AKR 20060026228 AKR20060026228 AKR 2006002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amera
camera body
separated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076ApriorityCriticalpatent/KR20060026228A/ko
Priority to US11/064,644prioritypatent/US20060061663A1/en
Priority to CNA2005100628596Aprioritypatent/CN1753457A/zh
Publication of KR2006002622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60026228A/ko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리모콘으로 활용함으로써 카메라 기능 및 사진을 조작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 상을 촬영하여 가공 처리하는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원격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서 가공 처리된 피사체 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카메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카메라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었던 각종 버튼을 생략할 수 있고, 카메라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방향 통신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Digital camera using touch screen display panel i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4는 도 3에서 디지털 카메라 본체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이 분리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3에서 분리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부를, 도 5b는 도 3에서 분리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구동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리모콘으로 활용함으로써 카메라 기능 및 사진을 조작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선택 버튼(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파인더(17a), 기능-블록 버튼(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선택 버튼(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블록 버튼(18)은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대표-음성 버튼 (42), 스피커(SP), 전원 버튼(31),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35), 노출보정/삭제 버튼(36), 엔터/재생 버튼(37), 메뉴/OK 버튼(38),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이 있다.
사용자가 대표-음성 버튼(42)을 누르면, 새로운 디렉토리 및 이에 상응하는 대표-음성 파일을 생성하라는 명령의 대표-음성 신청 신호가 발생된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되며, 세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모니터 버튼(32)은 본 발명에서 해상도 변경을 위해 부분적으로 이미지를 선택할 때 사용되며, 모니터 버튼(32)을 조작부에 포함시켜 하기에 설명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노출보정/삭제 버튼(36)은 디지털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삭제 버튼으로 사용된다. 또한 노출보정/삭제 버튼(36)은 본 발명에서 해상도 변경을 위해 연속적으로 이미지를 선택할 때 사용되며, 노출보정/삭제 버튼(36)을 조작부에 포함시켜 하기에 설명한다. 엔터/재생 버튼(37)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메뉴/OK 버튼(38)은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도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디지털 카메라의 기술 발전으로, LCD 패널을 분리하여 리모콘으로 활용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우, 영상을 캡쳐하는 본체(미도시)와 영상을 수신하는 리시버(미도시)가 분리되어, 단방향 송신 방식으로 영상 획득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LCD 패널을 분리하여 리모콘으로 활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단순히 송신단에서 획득한 영상을 수신단에 송신하는 방법만을 강조하였고, 기구적으로 부피가 크고, 리모콘에서 전체 카메라를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리모콘으로 활용함으로써 카메라 기능 및 사진을 조작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 상을 촬영하여 가공 처리하는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원격에서 상기 카 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서 가공 처리된 피사체 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카메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카메라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분리된 카메라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분리된 카메라에게 피사체 상을 촬영하도록 입력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서 가공 처리된 피사체 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터치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상을 조작하거나, 터치에 의해 상기 카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는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전원 및 데이터를 유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상기 피사체 상을 촬영하여 전기신호 로 변환하는 촬영부; 수신된 명령에 의해 상기 촬영된 전기신호를 가공 처리하는 화상 가공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점검하며,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로 촬영 또는 가공 처리된 신호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수신된 명령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또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피사체 상 신호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에 의해 입력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상의 조작 신호 또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는 메뉴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분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분리된 카메라 본체로 상기 감지부의 피사체 상의 조작 신호 또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는 메뉴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전송된 피사체 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카메라 본체 로부터 분리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카메라 본체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전원부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은 피사체 상을 촬영하여 가공 처리하는 카메라 본체로부터, 원격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동작을 지시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서 가공 처리된 피사체 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분리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써, (a)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체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경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써, 셔터(300-1), 전원키(300-2) 및 뷰파인터(300-3)를 포함하는 카메라 본체(300),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 본체(300)에는 조작에 필요한 각종 버튼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각종 버튼이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 본체(300)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카메라 본체(300)에 구비되어 있던 각종 버튼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포함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400) 자체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고, 또는 디지털 카메라 전체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서 카메라 본체(300)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분리됨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카메라 본체(300)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분리된 경우, 카메라 본체(300)와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분리된 카메라 본체(3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300-4),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에 부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카메라 본체(3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00-5)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에 부착되었을 때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300-6)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5a는 도 3에서 분리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전면부를, 도 5b는 도 3에서 분리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에도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400-1), 분리된 카메라 본체(300)와 디스플레이 패널(400) 사이에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부(400-2)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분리되었을 때 원격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셔터(400-3)가 더 구비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은 카메라 본체(300)에서 가공 처리된 피사체 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은 터치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상을 조작하거나, 터치에 의해 카메라 본체(300)의 동작을 지시하는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된 조작에 필요한 버튼들은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조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이 더 커지게 되어 더 큰 피사체 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조작에 필요한 버튼들 설명하면, 줌 W/T 버튼(400-5a)은 메뉴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때, 광학 줌 또는 디지털 줌 동작 버튼으로 사용된다. 줌 W/T 버튼(400-5a)의 T 버튼을 터치하면 피사체가 가깝게 보이고, W 버튼을 터치하면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보인다.
M(메뉴) 버튼(400-5b)을 터치하면 카메라 동작 모드별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방향버튼(400-5c)은 디지털 카메라 조작을 위한 메뉴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Adj 버튼(400-5d)은 노출 보정, 화이트 밸런스, ISO, RGB, A/S/M, 촬영 모드 롱 타임 셔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Adj 버튼(400-5d)을 터치하고 노출 보정 메뉴를 터치하면, 촬영 상황에 적합한 노출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Adj 버튼(400-5d)을 터치하고 화이트 밸런스 메뉴를 터치하면, 광원 조건에 따라 자연스러운 색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Adj 버튼(400-5d)을 터치하고 ISO(필름의 감도 단위)를 터치하면, 이미지 촬영 시에 감도를 선택할 수 잇다. Adj 버튼(400-5d)을 터치하고 RGB 버튼을 터치하면, 촬영할 영상의 R, G, B 값을 조정할 수 있다. Adj 버튼(400-5d)을 터치하고 A/S/M 버튼을 터치하면, 촬영자의 의도대로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Adj 버튼(400-5d)을 터치하고 롱 타임 셔터를 터치하면 야경 촬영 모드에서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MF(400-5e) 버튼은 초점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으로, MF(400-5e) 버튼을 터치할 때마다 수동 초점→연속 자동 초점→자동 초점 순으로 변경된다.
LCD(400-5f) 버튼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온/오프 하는 버튼으로, 한 번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온 상태가 되고, 한 번 더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오프 상태가 된다.
Play(400-5g) 버튼은 동영상 구현 시에 이를 재생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후면부인 도 5b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에 부착되었을 때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400-6)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카메라 본체(300) 및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카메라 본체(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렌즈부(미도시)와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광각(wide angle)-줌 또는 망원(telephoto)-줌 신호가 수신하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60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600)가 렌즈 구동부(602)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신가 수신되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지고 마이크로 제어기(600)는 이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600)는 광학계(OPS)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의 위치에 대한 화각(θ)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θ)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 통과 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는 타이밍 회로(606)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08)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608)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 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08)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제어기(600)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610)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가 포함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612)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61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1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미도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618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620)와 그 접속부(618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622) 및 비디오 출력부(618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24)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플래시(626)는 플래시-광량 센서(62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600)와 플래시 제어기(630)를 통하여 구동된다.
데이터 송수신부(632)는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디지털 카메라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가공 처리하며, 그 결과를 다시 데이터 송수신부(63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카메라 본체(300)와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부착된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632)는 디스플레이 패널(400)과 유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전원부(634)로부터 공급되면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을 실행하여 다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한다.
다음에 분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구성을 설명하며,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되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원격에서 카메라 본체(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으로 사용된다.
마이크로 제어기(700)의 제어 하에 데이터 송수신부(702)는 무선으로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카메라 본체(300)에 신호를 송신한다.
메모리(704)에는 카메라 본체(300) 조작을 위한 메뉴 데이터 및 데이터 송수신부(702)를 통하여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전송되는 피사체 전기신호 등이 저장된다.
터치 스크린 감지부(706)는 디스플레이부(708)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상을 조작하거나, 카메라 본체(300)의 동작을 지시하는 메뉴의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 스크린 감지부(706)의 감지 결과는 마이크로 제어 기(700)로 출력되고, 마이크로 제어기(700)는 해당 메뉴 실행 명령을 데이터 송수신부(702)를 통해 카메라 본체(300)로 전송한다.
LCD 구동부(710)는 마이크로 제어기(700)의 제어 하에 LCD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708)를 구동한다.
전원부(712)는 마이크로 제어기(700)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만 동작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마이크로 제어기(7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분리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된 경우 전원부(712)를 동작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에 부착된 경우 전원부(712)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디스플레이부(708)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를 조작하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된 메뉴(400-5a∼400-5g)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신호는 데이터 송수신부(702)를 통하여 무선으로 카메라 본체(300)로 전송된다. 카메라 본체(300)는 데이터 송수신부(632)룰 통하여 수신한 명령신호는 마이크로 제어기(700)에 의해 제어되어 명령을 수행하게 되고, 명령 수행 결과는 데이터 송수신부(632)를 통하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조작하여 영상을 원하는 조건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구동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먼저 카메라 본체(300)의 마이크로 제어기(6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분리 상태를 확인한다(70단계). 마이크로 제어기(6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에 부착되었을 때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300-6)와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에 부착되었을 때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400-6)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여 분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기(600)의 확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카메라는 본체 전원부(634)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71, 72단계).
그러나, 마이크로 제어기(600)의 확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카메라 본체(3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자체 전원부(712)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73단계).
이후, 마이크로 제어기(600)는 카메라 본체(300)와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점검한다(74단계). 마이크로 제어기(600)는 데이터 송수신부(63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데이터 송수신부(70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기(600)의 점검결과,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 경고문을 디스플레이 한다(75, 76단계).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마이크로 제어기(700) 또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점검하는데, 데이터 송수신이 정 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에 경고문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표시부(400-3)에 빨간색 표시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빨간색 표시등은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카메라 본체(300)의 마이크로 제어기(60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마이크로 제어기(700)는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77단계).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카메라 본체(300) 및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동작을 대기한다.
마이크로 제어기(600)의 점검결과,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표시부(400-3)에 녹색 표시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녹색 표시등은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후 마이크로 제어기(6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 명령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78, 79단계).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400-4)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를 조작하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된 메뉴(400-5a∼400-5g)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신호는 데이터 송수신부(702)를 통하여 무선으로 카메라 본체(300)로 전송된다. 카메라 본체(300)는 데이터 송수신부(632)룰 통하여 수신한 명령신호는 마이크로 제어기(700)에 의해 제어되어 명령을 수행하게 되고, 명령 수행 결과는 데이터 송수신부(632)를 통하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400-5)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조작하여 영상을 원 하는 조건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었던 각종 버튼을 생략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방향 통신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카메라 본체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함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카메라 본체가 연결된 경우 본체의 조작에 필요한 버튼을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카메라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리모콘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목적에 적합하도록 각종 기능을 설정함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조작에 대한 높은 자율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4)

KR1020040075076A2004-09-202004-09-20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WithdrawnKR20060026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40075076AKR20060026228A (ko)2004-09-202004-09-20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US11/064,644US20060061663A1 (en)2004-09-202005-02-24Digital camera with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able a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CNA2005100628596ACN1753457A (zh)2004-09-202005-04-01具有可用作遥控器的触摸屏显示面板的数码相机和操作该数码相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40075076AKR20060026228A (ko)2004-09-202004-09-20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60026228Atrue KR20060026228A (ko)2006-03-23

Family

ID=3607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40075076AWithdrawnKR20060026228A (ko)2004-09-202004-09-20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Link
US (1)US20060061663A1 (ko)
KR (1)KR20060026228A (ko)
CN (1)CN17534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075575B2 (en)2011-10-062015-07-07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Multimedia device having detachable controller functioning as remote control while detach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7697827B2 (en)2005-10-172010-04-13Konicek Jeffrey CUser-friendlier interfaces for a camera
JP2007129433A (ja)*2005-11-022007-05-24Fujifilm Corpデジタルカメラ
US8036469B2 (en)*2006-05-162011-10-11Canon Kabushiki KaishaImaging apparatus including a separable moni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ing apparatus
US8106856B2 (en)*2006-09-062012-01-31Apple Inc.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US20080238893A1 (en)*2007-03-282008-10-02Kensuke IshiiImage capture apparatus wireless display
ES2721823T5 (es)2007-04-242022-03-25Signify Holding BvMétodo, sistema e interfaz de usuario para crear automáticamente una atmósfera, en particular una atmósfera de iluminación, basándose en una entrada de palabra clave
WO2010005975A1 (en)2008-07-072010-01-14Woodman LabsCamera housing with integrated expansion module
CN101729767B (zh)*2008-10-312011-12-28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影像撷取装置
US20100289910A1 (en)*2009-05-152010-11-18Moran Research And Consulting, Inc.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amera control
US8675084B2 (en)*2009-09-042014-03-18Apple Inc.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amera control
WO2011037558A1 (en)2009-09-222011-03-31Apple Inc.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698762B2 (en)2010-01-062014-04-15Apple Inc.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CN103945131B (zh)*2010-02-192018-05-01株式会社尼康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图像取得方法
CN101866329A (zh)*2010-05-072010-10-20刘兰平一种用于刑侦影像处理的ccd控制系统
HRP20220077T1 (hr)2010-09-132022-04-15Contour Ip Holding, LlcPrijenosna digitalna video kamera konfigurirana za daljinsko upravljanje i gledanje slike
US20120169614A1 (en)*2011-01-032012-07-05Ems Technologies, Inc.Computer Terminal with User Replaceable Front Panel
CN102625032A (zh)*2011-01-272012-08-01爱国者数码科技有限公司数码相机模组基座
CN102142187A (zh)*2011-03-302011-08-03陈伟坤无线可视相机遥控装置及方法
EP2699985A4 (en)*2011-04-192014-12-17Intel Corp MULTIFUNCTION ENTRY DEVICE
CN102447834B (zh)*2011-10-122014-07-16陈伟坤无线控制相机和闪光灯工作状态参数的装置及其方法
US8934045B2 (en)*2012-03-122015-01-13Apple Inc.Digital camera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US20130235234A1 (en)2012-03-122013-09-12Megan Lyn CucciDigital camera having multiple image capture systems
JP6064403B2 (ja)*2012-07-242017-01-25株式会社ニコン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電子機器、プログラム
JP6039328B2 (ja)*2012-09-142016-12-07キヤノン株式会社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9736342B2 (en)2012-10-192017-08-15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Visual inspection device
US8655161B1 (en)*2012-10-252014-02-18Yung-Chien ChenWireless image transmission device
EP2932704B1 (en)*2012-12-132019-08-07Thomson LicensingRemote control of a camera module
JP5921427B2 (ja)*2012-12-272016-05-24キヤノン株式会社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46244B2 (ja)*2013-03-062015-07-08オリンパス株式会社撮像操作端末、撮像システム、撮像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54334B2 (ja)*2013-10-112016-02-09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操作システム、消費電力制御方法、操作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05706436B (zh)*2013-11-142019-04-16索尼公司信息处理装置、成像装置、成像系统、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成像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50205350A1 (en)*2014-01-232015-07-23Lenovo (Singapore) Pte. Ltd.Skin mounted input device
AU2015201313A1 (en)*2014-03-142015-10-01Wilcox Industries Corp.Modular camera system
JP6427944B2 (ja)*2014-05-082018-11-28ソニー株式会社撮像装置
US10452105B2 (en)*2016-01-192019-10-22BEAM Authentic Inc.Mobile device case for holding a display device
JP6478515B2 (ja)*2014-08-072019-03-06キヤノン株式会社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6573211B2 (ja)*2015-03-042019-09-11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60094B2 (en)2015-03-102020-12-08Lenovo (Singapore) Pte. Ltd.Execution of function based on location of display at which a user is looking and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JP6611601B2 (ja)*2015-12-252019-11-27キヤノン株式会社撮像装置
CN105549303A (zh)*2016-01-152016-05-04武汉理工大学分体式135全画幅数码单反相机
CN105759539A (zh)*2016-04-122016-07-13武汉理工大学四遮光片三热靴座多功能分体式全画幅工业相机
CN105759540A (zh)*2016-04-122016-07-13武汉理工大学三遮光片双热靴座多功能分体式全画幅工业相机
AU2017100670C4 (en)2016-06-122019-11-21Apple Inc.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JP6808399B2 (ja)*2016-08-262021-01-06キヤノン株式会社アクセサリ装置、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9864257B1 (en)2016-09-192018-01-09Gopro, Inc.Camera frame with side door
USD890835S1 (en)2017-12-282020-07-21Gopro, Inc.Camera
DK180171B1 (en)2018-05-072020-07-14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EP3834039B1 (en)2018-08-072024-03-27GoPro, Inc.Camera and camera mount
USD905786S1 (en)2018-08-312020-12-22Gopro, Inc.Camera mount
USD894256S1 (en)2018-08-312020-08-25Gopro, Inc.Camera mount
DK201970535A1 (en)2019-05-062020-12-21Apple Inc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USD920419S1 (en)2019-09-172021-05-25Gopro, Inc.Camera
US10955988B1 (en)2020-02-142021-03-23Lenovo (Singapore) Pte. Ltd.Execution of function based on user looking at one area of display while touching another area of display
DK202070616A1 (en)2020-02-142022-01-14Apple Inc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D946074S1 (en)2020-08-142022-03-15Gopro, Inc.Camera
US11711603B1 (en)2022-02-102023-07-25Gopro, Inc.Modular camera with interchangeable image head and sub-system bases
US12321084B2 (en)2022-08-122025-06-03Gopro, Inc.Interconnect mechanism for image capture device
US12379650B2 (en)2023-02-152025-08-05Gopro, Inc.Reinforced image capture devices including interconnect mechanisms with a threaded accessory interface
USD1096914S1 (en)2024-03-152025-10-07Gopro, Inc.Camera mou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4887161A (en)*1987-05-281989-12-12Fuji Photo Film Co., Ltd.Memory cartridge and digital electronic still video camera in which said memory cartridge is freely loadable/unloadable
JPH08139980A (ja)*1994-11-081996-05-31Canon Inc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6738090B2 (en)*1997-10-232004-05-18Eastman Kodak Company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single intelligence circuit for a plurality of imaging rendering components
US5923908A (en)*1997-10-301999-07-13Eastman Kodak CompanyCamera with touch sensitive control
JP4178484B2 (ja)*1998-04-062008-11-12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モニタ付きカメラ
JPH11355617A (ja)*1998-06-051999-12-24Fuji Photo Film Co Ltd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US6628326B1 (en)*1999-02-052003-09-30Eastman Kodak Company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images from an enabled electronic camera to receiver
US7177906B2 (en)*2001-05-312007-02-13Palmsource, Inc.Software application launch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274239A (ja)*2002-03-122003-09-26Alps Electric Co Ltd映像記録再生装置
US20040056958A1 (en)*2002-09-242004-03-25Lee Steven K.Video environment for camera
CN1507268A (zh)*2002-12-092004-06-23�ʼҷ����ֵ��ӹɷ����޹�˾将可拆卸显示屏作为遥控装置的数码像机
JP2004221908A (ja)*2003-01-142004-08-05Sanyo Electric Co Ltd表示制御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可能な撮影画像出力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液晶プロジェクタ、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075575B2 (en)2011-10-062015-07-07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Multimedia device having detachable controller functioning as remote control while detach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20060061663A1 (en)2006-03-23
CN1753457A (zh)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060026228A (ko)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US7573522B2 (en)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on-screen display when a shutter mechanis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s half-pressed
US7456883B2 (en)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060102134A (ko)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7760240B2 (en)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CN100440932C (zh)控制数字拍摄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数字拍摄装置
JP2004032524A (ja)デジタルカメラ
KR100929390B1 (ko)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697489B (zh)控制数字图像处理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数字图像处理装置
KR100515959B1 (ko)저시력자를 위한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058028B1 (ko)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KR101080404B1 (ko)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1080405B1 (ko)인증 이미지를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
KR101244913B1 (ko)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310220B1 (ko)파노라마 촬영 방법
KR100651812B1 (ko)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45206A (ko)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 방법
KR101387406B1 (ko)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288914B1 (ko)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118215B1 (ko)디지털 카메라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33967A (ko)지정 검출 영역의 위치가 변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20100096521A (ko)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18369A (ko)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
KR20060099233A (ko)디지털 이미지 장치의 에이브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이미지 장치
KR20070118368A (ko)플래시용 배터리가 장착된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4092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20090413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