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진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thoscope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청진기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ethoscope device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ECG부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ECG unit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휴대용 단말기 120 : 청진기 장치110: portable terminal 120: stethoscope device
200 : 키입력부 210 : 청진기 장치 연결부200: key input unit 210: stethoscope device connection unit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220: control unit 230: storage unit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무선 송수신부240: display unit 250: wireless transceive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하여 사람의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심음/심전도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t sound / EC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o attach a separate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to measur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person to display the heart sound / ECG.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부분의 사람이 이용할 정도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기존에는 단순히 전화 기능만을 수행하던 시기에서 지나 이제는 부가 서비스 기능도 많이 추가되고 있으며, 각종 개인적인 일들을 처리하는 복합 단말기의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for most people. In the past, the phone service function has been added. Now, many additional service functions have been added and evolved into a multi-function terminal that handles various personal tasks.
그중에서도 실버산업의 유망 아이템으로 떠오르고 있는 바이오폰(건강폰)제품화를 위한 의료 벤처 업체와 휴대폰 업체간 제휴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Among them, alliances between medical venture companies and mobile phone companies for the bio-phone (health phone) product, which is emerging as a promising item of the silver industry, are being actively progressed.
성인병, 만성병 환자를 타깃으로 한 바이오 휴대폰은 당뇨, 비만, 체온, 심전도, 혈압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내장하고 측정된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주치의에게 보내 상시 건강 관리 서비스를 받을수 있어 이동 통신사와 휴대폰 업체들이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Bio cell phones targeting adult and chronic patients have built-in modules that can measure bio signals such as diabetes, obesity, body temperature, electrocardiogram and blood pressure, and send the patient's biometric data to the attending physician through a network for constant health care. Mobile operators and cell phone companies are aiming to dominate the market.
바이오 벤처인 헬스피아와 인포피아는 LG 전자와 제휴, 휴대폰으로 당뇨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당뇨폰 개발을 완료하였다. 헬스피아와 LG 전자는 특수칩 및 센서를 배터리팩에 내장한 당뇨폰으로 사용자가 직접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결과치를 주치의에게 보내 저장하고 이를 통해 운동관리, 식이요법, 투약관 리, 당뇨관리 등의 개인별 맞춤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Bio Ventures Healthpia and Infopia have partnered with LG Electronic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diabetes phones that diagnose and manage diabetes with mobile phones. Healthpia and LG Electronics are diabetic phones with special chips and sensors built into the battery pack that allow users to directly measure blood glucose levels and send the results to their doctors for storage and exercise management, diet, medication management and diabetes management. It also offers personalized services such as
심근이 활동할때는 전기적 흥분이 일어나고 소위 활동 전위가 생긴다. 이것이 신체의 표면에 전달된 것을 전류에 의해 파형으로 기록한 것이 심전도이다.When the myocardium is active, electrical excitement occurs and so-called action potentials arise. It is an electrocardiogram that records what is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as a waveform by electric current.
심장의 활동 전위는 1mV이하의 작은 전위차를 가지므로 매우 예민한 전류계가 필요하다. 심전도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계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초창기에 만들어서 사용한 것은 Eithoven의 현선 전류계이다.The action potential of the heart has a small potential difference of less than 1 mV, so a very sensitive ammeter is needed. A mechanical device is used to record the electrocardiogram,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by Eithoven's shunt ammeter.
이 현선은 2-3u의 석영 또는 백금선을 이용하여 이것이 강한 자장 속에 배열되어 있으며 여기에 활동 전류를 흘리게 되면 플레밍의 왼속 법칙에 의해 편향 운동을 한다. 이 편향 운동을 하는 회전축에 거울을 붙이고 여기에 광선을 비쳐서 확대하여 투사 촬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This string is arranged in a strong magnetic field using 2-3u quartz or platinum wire, and when an active current flows in it, it deflects by Fleming's left-hand law. A mirror was attached to the rotational axis that performs this deflection movement, and a method of enlarging and projecting a light beam was used.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전류 심전계라고 한다. 이에 비해 활동 전압을 증폭하고 음극선관, 광학적, 역학적으로 확대하여 표현하는 장치를 전압 심전계라고 한다. 전자의 경우보다 신체의 접촉 저항, 피부 전류, 외부의 진동 또는 전기의 영향을 적게 받고, 사용법이 간단하다. 이러한 심전계는 주로 심장 검사, 수술시의 감시 장치, 중환자 감시 장치등에 쓰이고 있다.This principle is called a current electrocardiograph. In contrast, a device that amplifies the active voltage and expands the cathode ray tube, optically and mechanically, is called a voltage electrocardiograph. It is less affected by contact resistance, skin current, external vibration or electricity of the body than the former, and is simple to use. These electrocardiographs are mainly used for cardiac examination, surgical monitoring devices, and critical care monitoring devices.
심전도 검사는 아주 중요하다. 심장 전기도의 약칭으로 ECG(Electrocardiogram)로 표시된다. 심근의 흥분은 정맥동에서 일어나 심방, 심실 방향으로 나아가므로 이 흥분을 임의의 두점에서 전류계(심전계)에 유도하면 심장의 활동 전류가 그래프로 묘사된다.Electrocardiogram examination is very important. Abbreviation for cardiac electrical diagram, expressed in ECG (Electrocardiogram). Myocardial excitation occurs in the venous sinus and travels to the atrium and ventricular direction, so when this excitation is directed to an ammeter (electrocardiograph) at any two points, the heart's current is depicted graphically.
이때 얻은 것이 심전도이며, 심장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 심전도를 얻 는 방법에는 양손(제1 유도), 오른손과 왼발(제2 유도), 왼속과 왼발(제3유도)의 표준 지유도 외에 단극유도, 흉부유도 등이 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등의 관동맥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부동맥이나 전해질이상등의 진단 또는 수술중의 심장 이상 유무의 조사 확인등 그 응용이 넓고 심장 질환의 진단학상 매우 중요하다.The electrocardiogram obtained here is very useful for the diagnosis of heart disease. ECG methods include unipolar induction and chest induction, as well as standard induction of both hands (first induction), right hand and left foot (second induction), and left and left feet (third induction). The diagnosis of various coronary artery and electrolyte abnormalities including coronary artery disease such as angina pectoris and myocardial infarction, or the confirmation of the presence of heart abnormalities during surgery is widely applied and is very important in the diagnosis of heart diseas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의료 기기중 상당수가 전자식으로 개발되어 원격 진료에 활용이 가능하나 전자식이 아닌 청진기는 원격 진료 서비스가 불가능하여 진료에서 임상의사에 의해서만 순간적으로 진단되고, 다음 진료 때에는 환자의 상태를 기억하지 못하므로 객관적 판단이 쉽지 않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many of the medical devices are developed electronically and can be used for remote medical care. However, non-electronic stethoscopes are not available for remote medical care. Because you do not remember the objective judgment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간편하게 심전도와 심박수를 측정하고 일정시간동안의 신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t sound / EC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measure the ECG and heart rate and to monitor the body changes for a certain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고유 기능인 통신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심전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 건강관리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여 응급처치를 받을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receive emergency treatment by contacting the health care service center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CG by utiliz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is a unique function of the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이어폰 또는 심음/심전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청진기 장치, 상기 청진기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청진기 장치에서 측정된 심음/심전도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thoscope device used as a device for measuring earphone or heart sound / ECG according to the user's mode selection, the heart sound / measured by the stethoscope device by connecting the stethoscope device Provided is a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for storing and displaying ECG information.
상기 청진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모드를 선택하면, 이어폰 모듈이 동작하고,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심음/심전도 측정 모듈이 동작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earphone mode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tethoscope device operates the earphone modul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heart sound / ECG mode, the heart sound / ECG module operates.
상기 청진기 장치는 이어폰, 마이크, ECG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어폰 모듈로 이용되면, 이어폰과 마이크가 동작하고, 심음/심전도 측정 모듈로 이용되면, 이어폰, 마이크, ECG부가 동작한다.The stethoscope device is composed of an earphone, a microphone, and an ECG unit. When used as an earphone module, the earphone and a microphone operate. When the stethoscope device is used as a heart sound / ECG module, the earphone, the microphone, and the ECG unit operate.
상기 ECG부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3전극, 심음을 청취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한 음성을 전달하는 스피커로 구성된다.The ECG unit includes three electrodes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a microphone for listening to a heart sound, and a speaker for delivering a voic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무선 단말기이다.The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terminal.
상기 심전도 정보는 심전도 파형, 저장시간, 심박수 경향을 포함한다.The ECG information includes an ECG waveform, a storage time, and a heart rate trend.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청진기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청진기 장치에서 측정된 심전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청진기 장치에서 측정된 심전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기 고유 기능 수행 모드 또는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에 따라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청진기 장치에서 측정된 심음/심전도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 기 저장부에 저장된 심음/심전도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터에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stethoscope device, a storage unit storing EC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tethoscope device, a display unit displaying EC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tethoscope device, a user The terminal is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terminal specific function execution mode or the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ode selected by the terminal,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ode, the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ed by the stethoscope device is receiv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displayed and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heart sound / EC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the center.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적외선 무선 송수신부 또는 이동통신 무선 송수신부이다.The radio transceiver is an infrared radio transceiver or a mobile radio transceiver.
상기 센터는 상기 전송된 심전도 정보를 일정 시간 저장한 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The center stores the transmitted ECG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alyzes the result, and transmits the result in a message form to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진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청진기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ECG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Figure 1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thoscope device shown i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ethoscope device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ECG unit shown in FIG. to be.
도 1을 참조하면,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100)은 휴대용 단말기(110)에 청진기 장치(120)를 연결하여 상기 청진기 장치(120)를 전화통화를 위한 이어폰으로 사용 또는 심음/심전도 측정 장치로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1, the heart sound /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는 단말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심음과 심전도를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신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단말기로서, 핸드폰, PCS, PDA등일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가 핸드폰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는 고유의 기능인 통신 기능을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청진기 장치(120)를 연결한 후,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심음/심전도 모니터링 장치로 동작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키입력부(200), 청진기 장치 연결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무선 송수신부(250)를 포함한다.2, the
상기 키입력부(200)는 문자/숫자/특수키, 메뉴키, 통화키, 전원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문자/숫자 등을 입력하고,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다.The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200)의 메뉴키를 이용하여 단말기 고유 기능 수행 모드,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청진기 장치(120)는 이어폰 또는 심음/심전도 측정 장치로 이용된다.That is, the user may select a terminal specific function execution mode and a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ode by using a menu key of the
상기 청진기 장치 연결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10)와 상기 청진기 장치(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청진기 장치 연결부(220)는 잭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thoscope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200)를 통하여 입력한 단말기 고유 기능 수행 모드,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에 따라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제 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 고유 기능 수행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청진기 장치(120)가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청진기 장치(120)가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상기 사용자가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청진기 장치(120)에서 측정된 심음/심전도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ode, the
즉, 상기 제어부(220)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심전도 파형과 맥박수 측정 시간등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이때의 심음/심전도 정보가 상기 저장부(230)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the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제어부(220)로부터 전송된 심음/심전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심전도 정보는 심전도 파형, 저장시간, 심박수 경향등을 포함한다.The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실시간으로 얻어지는 심전도 파형과 맥박수 측정시간등의 심음/심전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심음/심전도 정보를 보고 일정 시간동안의 신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상기 무선 송수신부(250)는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심전도 정보를 건강 관리 센터 또는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해줄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무선 송수신부(250)는 적외선 무선 송수신부 또는 이동통신용 송수신부 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250)가 적외선 무선 송수신부인 경우,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심전도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에 적외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교환한다.The
그러면,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심전도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에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함은 물론이고, 심전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 건강 관리 센터에 연락하여 응급 처치를 받을수 있도록 한다.Then, the user computer stores the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다음으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250)가 이동통신용 송수신부일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250)는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심전도 정보를 망을 통하여 건강 관리 센터에 전송한다.Next, when the
그러면, 상기 건강 관리 센터는 상기 전송된 심전도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응급 처치를 받을수 있도록 한다.Then, the health care center stores the transmitted ECG information, and periodically analyzes th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to receive emergency treatment.
또한, 상기 건강 관리 센터는 상기 심전도 정보 분석 결과를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변화를 알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ealth care center transmit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CG information to the
상기 청진기 장치(1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이어폰 모드와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로 이용된다.The
즉, 상기 청진기 장치(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어폰 모드,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이어폰 모듈(124)과 심음/심전도 측정 모듈(128)로 구성된다.That is, the
상기 청진기 장치(12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400)의 키 입력부를 이용하여 이어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청진기 장치는 이어폰 모듈이 동작한다. 이때의 청진기 장치(410)는 이어폰(412)과 마이크(414)가 동작한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412)을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듣고, 상기 마이크(414)를 통하여 음성을 전달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earphone mode using the key input unit of the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400)의 키 입력부를 이용하여 심음/심전도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청진기 장치(410)는 심음/심전도 측정 모듈이 동작한다. 이때의 청진기 장치(410)는 이어폰(412), 마이크(414), ECG부(418)가 동작한다.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heart sound / ECG mode using the key input unit of the
상기 청진기 장치(410)는 심음과 심전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한다.The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412)을 이용하여 ECG부(418)에서 측정된 심음을 듣고, 상기 마이크(414)를 이용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상기 ECG부(418)에 전달한다.The user hears the heart sound measured by the
상기 ECG부(418)는 심음과 심전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심음과 심전도를 이이폰(412)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된 심음과 심전도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The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412)을 통하여 측정된 심음과 심전도를 듣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볼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hear the heart sound and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ECG부(418)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ECG부(418)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3전극(420)과 심음을 청취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419),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414)를 통하여 입력한 음성을 전달하는 스피커(421)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심음이라는 것은 심장의 수축, 판막의 페쇄, 혈류등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소리와 공기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폐음을 말하며 심음기는 위의 소리를 들을수 있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심음을 크게 4가지 형태로 나뉘어지는데, 길고 둔한 저음, 짧은 저음, 아주 약하고 짧은 음, 말굽 소리와 같은 분리성 리듬이며 폐음은 소낭 호흡음과 기관기 호흡음 등 2가지로 분류되는데 진찰시 적절한 관련 부위를 통해 청음된다.The heart sounds are sounds generated by the contraction of the heart, blockage of the valve, blood flow, etc. and lung sounds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air, and the heart sound machine is a device designed to hear the above sounds. The heart sound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long, dull bass, short bass, very weak and short notes, and separate rhythms such as horseshoe sound. Pulmonary sound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vesicular breathing and tracheal breathing. Hear through the site.
심장에서 발생하는 주기적인 소리는 상기 마이크로폰(419)으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크로폰(419)은 상기 소리를 이어폰(412)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한다.Periodic sound generated in the heart is transmitted to the
그러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저장부에 저장한다.Then, the
상기 3전극(420)은 심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표시하고 저장부에 저장되게 한다.The three
심음과 심전도는 동시에 측정이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는 5초간격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심음과 심전도를 자동으로 변화하게 하여 측정치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The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can be measured simultaneously, and the user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every 5 seconds so that the user can examine the measured values.
상기와 같은 청진기 장치(410)는 청진기 기능을 갖으며 임산부와 태아의 대 화를 할수 있도록 엄마의 목소리가 스피커로 전달이 되게 설계되어 있다. 대화를 하는 도중에 태아에게 유용한 음악을 배경으로 나오게 하여 자연스러운 엄마와 태아와의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심음과 심전도를 측정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심음과 심전도 파형이 휴대용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부에 모니터링되고, 이때의 자료가 자동으로 저장된다.In the heart sound /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waveform is continuously monitored on the display of the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의 심음/심전도 처리 소프트웨어에는 실시간으로 얻어지는 심전도 파형과 맥박수 측정 시간등을 표시하고 30초 간격으로 소리를 내주고, 30초간의 측정치를 자동으로 저장하게 한다.The cardiac sound /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oftware of the
상기와 같은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400)에 청진기 장치(410)를 연결한 후, 사람의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심전도 상태를 판단한다.The ECG measurement system as described above connects the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청진기 장치(410)의 심전도 측정 모듈을 통해서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면, 상기 측정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된다.That is,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measured through the ECG measurement module of the
그러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면상에 심전도와 맥박을 표시한다.The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 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간편하게 심전도와 심박수를 측정하고 일정시간동안의 신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음/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separate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heart sound / EC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asily measure the ECG and heart rate and monitor body changes over a period of time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고유 기능인 통신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심전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 건강관리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여 응급처치를 받을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receive emergency treatment by contacting the health care service center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lectrocardiogram by utiliz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is a unique function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건강보조 기기로 이어폰에 장착된 심음과 심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simply managing the health state by using the heart sound and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ounted on the earphone as a health supplement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신중인 엄마와 태아의 대화를 유도하며 자연스럽게 태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o induce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pregnant mother and the fetus and to be naturally prenat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여 통신으로 전달이 가능하고, 심음과 심전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관리함으로써 건강한 출산이 되도록 도움이 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diogram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communication by measuring the heart sound of the fetus, and by measuring and managing the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periodically to be healthy childbirth.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51492AKR20060002448A (en) | 2004-07-02 | 2004-07-02 |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51492AKR20060002448A (en) | 2004-07-02 | 2004-07-02 |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02448Atrue KR20060002448A (en) | 2006-01-0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51492ACeasedKR20060002448A (en) | 2004-07-02 | 2004-07-02 |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02448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71450B1 (en)* | 2007-02-05 | 2007-10-31 |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 Remote Stethoscope System Using Wired / Wireless Network |
| WO2015005538A1 (en)* | 2013-07-12 | 2015-01-15 |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 Auscultation apparatus |
| US10417513B2 (en) | 2016-02-26 | 2019-09-17 | Samsung Display Co., Ltd. | Photosensitive thin film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apparatus including the photosensitive thin film device |
| KR20200017536A (en)* | 2017-06-30 | 2020-02-18 | 코알라-라이프 에이비 | Analyzing Echo and Electrocardiogram Data from Portable Sensor Devices |
| KR20220086445A (en)* | 2020-12-16 | 2022-06-23 | 주식회사 케어식스 |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heart disease based on combined measurement of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11426125B2 (en) | 2009-02-16 | 2022-08-30 | Masimo Corporation |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71450B1 (en)* | 2007-02-05 | 2007-10-31 |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 Remote Stethoscope System Using Wired / Wireless Network |
| US11426125B2 (en) | 2009-02-16 | 2022-08-30 | Masimo Corporation |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
| US11432771B2 (en) | 2009-02-16 | 2022-09-06 | Masimo Corporation |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
| US11877867B2 (en) | 2009-02-16 | 2024-01-23 | Masimo Corporation |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
| WO2015005538A1 (en)* | 2013-07-12 | 2015-01-15 |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 Auscultation apparatus |
| US10417513B2 (en) | 2016-02-26 | 2019-09-17 | Samsung Display Co., Ltd. | Photosensitive thin film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apparatus including the photosensitive thin film device |
| KR20200017536A (en)* | 2017-06-30 | 2020-02-18 | 코알라-라이프 에이비 | Analyzing Echo and Electrocardiogram Data from Portable Sensor Devices |
| KR20220086445A (en)* | 2020-12-16 | 2022-06-23 | 주식회사 케어식스 |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heart disease based on combined measurement of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038897B2 (en) | EC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 EP2049013B1 (en) | Device for mobile electrocardiogram recording | |
| JP509599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rdless recording and telecommunications transmission and process of three specific ECG leads | |
| JP5049132B2 (en) | Mobile medical telemetry device with voice indicator | |
| US20170319082A1 (en) |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 |
| US2006010053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 signals | |
| EP3295867B1 (en) | A phone for use in health monitoring | |
| US9144388B2 (en) |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a heart and other body functions | |
| US20020143576A1 (en) | Remote patient health management system | |
| US9913991B2 (en) | Defibrillation apparatus for wireless data exchange with a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 |
| EP2783627A1 (en) | Diagnostic device | |
| JP2015512754A (en) | e-card ECG monitor | |
| KR20020009724A (en) |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And A Method | |
| US20210330201A1 (en) | Non-invasiv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cardiac performance | |
| EP2114245A2 (en) |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cardiography | |
| KR20090120033A (en) | Multifunctional handle with basic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 |
| JP2767744B2 (en) | Biometric risk management adapter | |
| KR20040072553A (en) | Electrocardiogram measuring necklace and portabl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 |
| KR20060002448A (en) | Heart sound / ECG measur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 |
| JPH09322882A (en) | Wearable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 |
| JP3831701B2 (en) | ECG monitoring system | |
| KR101125425B1 (en) | Electrocardiograph using of portable teminal | |
| JP2004147994A (en) | Portable electrocardiograph | |
| JP2002238863A (en) | Telemedicine diagnosis management system | |
| JPH11178801A (en) | Biological risk management adapter device and biological risk management method using mobile phone as medium using the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407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602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6063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60228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