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USB 인가전압을 최적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장치가 호스트 장치와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장치로 인가되는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공급하기 위한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method for optimally controlling a USB applied voltage from a host device to a device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t device so that a device device connected through a USB port of the host device can perform USB communication with the host device. An applied voltage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d supplying a minimum applied voltage applied from a device to a device device accordingly.
본 발명에서 '호스트 장치'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노트북, 동영상(MPEG, AVI 등) 재생기, 오디오(MP3 등) 재생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말하며, 특히 자체전원으로 구동되면서 디바이스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 장치'란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주변기기로서, 상기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특히 버스-파워형(bus-power) USB 장치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t device'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digital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a wireless LAN terminal, a laptop, a video (MPEG, Th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AVI player, an audio (MP3, etc.) player, and particularly, a terminal that supplies power to a device device while being driven by its own power sour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device' refers to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host device, and particularly refers to a bus-powered USB device which is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USB port of the host device.
디지탈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호스트 장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별도의 드라이버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각종 주변기기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란 단순히 프린터나 스캐너만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USB 방식의 주변기기(예; 메모리, 하드 디스크, 카메라, 캠코더 등)를 손쉽게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해 고안된 국제 표준규격이며, 종래의 병렬/직렬 인터페이스의 전송속도를 개선시킨 방식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terface technology, various peripheral devices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a separate driver through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port of the host device. The USB interface is not just an interface for connecting a printer or a scanner but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designed to easily connect a USB peripheral device (eg, memory, hard disk, camera, camcorder, etc.) to a terminal, and is a conventional parallel / serial interface. This is an improved method of transmission speed.
USB 인터페이스(암놈포트, 숫놈포트)는 4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이 4개의 핀 중 VBUS 핀은 전원 공급용이고, D+ 핀 및 D- 핀은 데이터 송수신용이고, 나머지 하나의 핀은 그라운드 접지용이다.The USB interface (female port, male port) consists of four pins. Of these four pins, the VBUS pin is for power supply, the D + and D- pins ar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other pin is for ground ground.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 방식의 기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such a USB interface device is as follows.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의 예인 이동형 USB 호스트 오디오 재생기는 제품단가를 낮추기 위해 내부 플래시 메모리에 최소한의 시스템 파일, 오디오 재생 프로그램, 코덱 등만을 저장하고 있다. 즉, 이동형 USB 호스트 오디오 재생기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외부의 USB 메모리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 외부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서 재생한다.In general, a portable USB host audio player, which is an example of a host device, stores only minimal system files, audio playback programs, codecs, and the like in the internal flash memory to reduce product cost. That is, the portable USB host audio player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USB memory by using a USB interface and reads and reproduces audi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USB memory.
한편, 디바이스 장치는 전원구동 방식에 따라 버스-파워형과 셀프-파워형으로 나뉜다. 버스-파워형 USB 기기는 USB 커넥터 중 VBUS 핀을 통하여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셀프-파워형 USB 기기는 자체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device devices are divided into bus-power type and self-power type according to the power driving method. Bus-powered USB devices are powered from the USB port of the host device through the VBUS pin of the USB connector, and self-powered USB devices are powered by their own battery.
호스트 장치는 USB 포트에 디바이스 장치가 연결되면 VBUS 핀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한 후에 해당 기기의 하드웨어적인 특성 등을 판별하여 이 디바이스 장치를 등록한다. 여기서, 호스트 장치가 주변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버스일람(Bus Enumeration)이라고 한다. 즉, '버스일람'이란 주변기기의 정보를 보관, 관리하는 기능이며, 이러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When a device device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the host device supplies power through the VBUS pin, and then registers the device device by determining hardwar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device. Here,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peripheral device by the host device is referred to as bus enumeration. That is, the bus list is a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s, and through this bus list process, a hardware tree for managing each device can be generated.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호스트 장치가 USB 포트의 VBUS 핀을 통하여 모든 디바이스 장치로 동일하게 고정된 전원을 공급한 후에 해당 디바이스 장치를 등록하여 통신을 수행한다.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host device supplies the same fixed power to all device devices through the VBUS pin of the USB port, the host device registers the corresponding device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호스트 장치가 디바이스 장치의 실제적인 구동전압에 무관하게 모든 USB 기기에 고정된 전원을 동일하게 공급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가 불필요한 전원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호스트 장치는 자체전원으로 구동되는데, 저전원 구동의 디바이스 장치에도 이보다 높은 고정전원을 공급하므로 결과적으로 전원이 빨리 방전된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host device consumes unnecessary power because the host device supplies the same fixed power to all USB devices regardless of the actual driving voltage of the device device. In other words, the host device is driven by its own power source, and since the fixed power supply is higher than the low power device device device, the power is quickly discharged.
또한, 디바이스 장치는 각 제조업체별 및 각 기기 종류별로 구동전압과 기기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고정전원을 모든 디바이스 장치에 동일하게 공급하는 것은 해당 디바이스 장치에 대해서 전기적 손상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이 파손 또는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device devices vary in driving voltage and device characteristics for each manufacturer and device type, supplying fixed power to all device devices in the same manner may cause electrical damage to the device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breakage or life is shorte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장치가 호스트 장치와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장치로 인가되는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공급하기 위한 인가전압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minimum applied voltage applied from the host device to the device device so that the device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USB port of the host device can perform USB communication with the host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pplied voltage for detecting and supplying the sam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 인가전압을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른 최대레벨의 값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 USB 포트에 디바이스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한 USB 포트 인가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반복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제1 스텝만큼 레벨을 감소시킨 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레벨을 변경하여 전압을 공급할 때마다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상기 제1 스텝만큼 증가시킨 값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을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최소 인가전압의 전원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etting the USB port applied voltage of the host device to the value of the maximum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USB interface protocol; A second step of, when a device device is connected to a USB port, supplying the USB port applied voltage set in the first step to the device device and performing a bus list process; When the bus list process of the second step is normally performed, the bus is repeatedly supplied with a voltage whose level is decreased by the first step from the voltage supplied to the device device, and the bus is changed every time the voltage is supplied by changing the level. A third step of performing the list process again; And when the bus list process is not normally performed while performing the third step, determine a voltage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a value increased by the first step from the voltage supplied to the device apparatus as the minimum applied voltage, and applying the minimum applied voltage.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ed voltage from a host device to a devic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fourth step of supplying power of a voltage to the device device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디바이스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ost device and a devic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10)는 동작전원이 축적된 배터리(11)와,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전압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부(12)와, 상기 전압변환부(12)에서 변환한 전압 및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른 버스일람 관련 데이터를 디바이스 장치(20)로 제공하기 위한 USB 포트(13)와,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USB 포트(13)에 디바이스 장치(20)의 USB 커넥터(21)가 연결되면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압변환부(12)에서 출력되는 전압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 및 호스트 장치 구동 프로그램과 버스일람 프로세스 수행을 위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ost device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nverts a battery 11 in which operating power is accumulated and a voltage level supplied from the battery 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And a USB port 13 for providing the device device 20 with bus list-related data according to the voltage converter 12, the voltage converted by the voltage converter 12,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And controlling the components and when the USB connector 21 of the device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13, the voltage conversion unit 12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a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voltage level output from the control panel 14 and a memory 15 for storing a host device driving program and data for performing a bus list process.
이외에도, 상기 호스트 장치(10)는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버튼을 통해 각종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와, 음성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와,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또는 이어폰)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st device 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screen data,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signals, and the like,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etc. Or basic components (not shown) such as an earphone).
상기 디바이스 장치(20)는 호스트 장치(10)에 연결되는 USB 포트(13)와 연결하기 위한 USB 커넥터(21)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오디오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device 20 includes a USB connector 21 for connecting with a USB port 13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evice device 20 stores audio data, video data, and the like. It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or a hard disk.
상기 배터리(11)는 직류 전원을 축적하고 있는 축전지로 구현되거나 직류/교류 전원을 어댑터 등을 통하여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전압변환부(12)는 직류 전압-직류 전압 변환기(DC/DC Converter)로 구현되며, 이 전압변환부(12)는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직류 전원의 크기를 가변시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압변환부(12)는 예컨대 적응출력 타입 컨버터(adjustable output type converter)로서, 피드백(feedback) 핀에 걸리는 전압을 통하여 출력전압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4)는 전압변환부(12)의 피드백 핀에 제어신호(출력전압)를 인가하여 전압변환부(12)가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을 해당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한다.The battery 11 is implemented as a storage battery that accumulates DC power or a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charging DC / AC power through an adapt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voltage converter 12 is implemented as a DC / DC converter, and the voltage converter 12 is a DC supplied from the battery 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Outputs the variable size of power supply. In addition, the voltage converter 12 is, for example, an adaptive output type converter, and determines an output voltage through a voltage applied to a feedback pin. That is, the controller 14 applies a control signal (output voltage) to the feedback pin of the voltage converter 12 so that the voltage converter 12 converts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battery 11 to the corresponding voltage.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 장치(10)가 USB 포트(13)를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20)로 특정의 인가 전압을 공급하면서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바이스 장치(20)로의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여 인가 전압의 생성에 반영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performing a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while supplying a specific applied voltage to the device device 20 connected through the USB port 13, the device The minimum applied voltage to the device 20 is detected and reflected in the generation of the applied voltage.
즉, 호스트 장치(10)는 기 설정한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즉, 기기의 특성 등을 판별하여 해당 기기의 각종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호스트 장치(10)는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통하여 디바이스 장치(20)를 리셋시키고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며, 디바이스 장치(20)로부터 구성정보(configuration)를 읽어와서 당해 구성정보를 시스템 레지스트리 등에 등록한 후에 디바이스 장치(20)와의 USB 통신을 수행(예; USB 기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등을 로딩)한다.That is, the host device 10 performs a bus list process (that is,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evice and registering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hile supplying a preset applied voltage to the device device 20. At this time, the host device 10 resets the device device 20 and assigns a unique address through a bus list process, read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device device 20, and registers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with the system registry. Afterwards, USB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device 20 is performed (eg, audio data stored in the USB device 20 is loaded).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버스일람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로 구현하여 특정 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이 단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기 설정한 상기 특정 전압을 일정 크기(예; 0.1V, 0.5V 등)만큼 더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 인가전압을 재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재설정한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단위 프로세스가 실패(정상적으로 단위 프로세스가 재수행되지 않음)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며, 마지막으로 성공(정상적으로 단위 프로세스가 재수행됨)한 과정에서의 재설정 인가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할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bus list process as one unit process and supplies a specific voltage to the device device 20 while the unit process is normally performed. Reset the applied voltage by further decreasing or increasing by 0.1V, 0.5V, etc.). Then, while the reset applied voltage is supplied to the device device 20, the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unit process fails (normally, the unit process is not executed again), and finally, the process of success (normally the unit process is executed again). The reset applied voltage at is determined as the minimum applied voltage to be supplied to the device apparatus 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ed voltage from a host device to a dev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USB 최대 인가전압 레벨(예컨대, 5.25V)로 설정한다(200). 이 때, USB 포트(13)의 VBUS 핀에는 전압변환부(12)에서 출력한 최대 인가전압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고, 따라서 USB 포트(13)를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20)에는 이 최대 인가전압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르면 USB 포트(13)의 VBUS 핀에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레벨은 5.25V이며, 이에 디바이스 장치(20)로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레벨도 5.25V로 선정되었다.First,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set to a USB maximum applied voltage level (for example, 5.25V) (200). At this time, the VBUS pin of the USB port 13 is supplied with the power of the maximum applied voltage level output from the voltage converter 12, and thus the maximum applied voltage is applied to the device device 20 connected through the USB port 13. The voltage level is supplied with power. Here, according to the USB interface protocol, the maximum voltage lev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VBUS pin of the USB port 13 is 5.25V, and thus the maximum voltage lev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vice device 20 is also set to 5.25V.
이후, USB 포트(13)에 디바이스 장치(20)가 연결됨을 인지한다(201).Thereafter, it is recognized that the device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13 (201).
그러면, 기 설정(상기 "200" 과정에서 설정)된 출력전압(USB 최대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다(202).Then, the bus list process is performed while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USB maximum applied voltage) previously set (set in the process “200”) to the device apparatus 20 (202).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202),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버스일람 프로세스 수행실패 사실을 통보한다(203). 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바이스 장치 등록 실패", "디바이스 장치와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디바이스 장치 오류 발생", "USB 포트 오류 발생" 등과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bus list process 202, if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apparatus 20 is not normally performed, the bus list process is notified that the bus list process has failed (203). For example, if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is not performed, "Device device registration failed",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device is not performed", "Device device error", "USB port" on the display screen Error "and so 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반면,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202),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상기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기 설정(상기 "200" 과정에서 설정)한 전압레벨에서 일정 크기(예; 0.1V 등)를 감소시킨 값으로 설정한다(204).On the other hand, when the bus list process 202 and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apparatus 20 are normally performed,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preset (set in the process “200”). At one voltage level,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0.1V, etc.) is set to a reduced value (204).
그런후, 이전 과정(상기 "204"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한다(205).Thereafter, the bus list process is re-run while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set in the previous step (step 204) to the device apparatus 20 (205).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205),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상기 "204" 과정 및 "205"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205),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이전 과정(상기 "204"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 레벨에 일정 크기의 전압(예; 0.1V 등)을 증가시킨 값으로 재설정한다(206). "206" 과정에서 설정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 인가전압이다.As a result of the bus list process re-execution 205, when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apparatus 20 is normally performed, the processes “204” and “205” are repeated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s list process re-execution result 205 and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are not normally performed, the output in which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set in the previous process (the process “204”) is performed. The voltage level is reset to a value obtained by increasing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or example, 0.1V, etc.) (206).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converter 12 set in step 206 is the minimum applied voltage that can drive the device apparatus 20.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장치(20)의 보다 원활한 구동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해서는 상기 최소 인가전압 레벨에 기기구동 여유(margin)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인가전압 레벨로서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drive and electrically protect the device apparatus 20,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device driving margin voltage to the minimum applied voltage level may be selected as an optimal applied voltage leve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최소 인가전압 결정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minimum applied voltage from a host device to a dev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USB 인가 전압범위 중에서 임의적 크기(예컨대, 3.0V)로 설정한다(300). 이 때, USB 포트(13)의 VBUS 핀에는 전압변환부(12)에서 변환한 임의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고, 그에 따라 USB 포트(13)를 통하여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20)에는 이 임의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 때,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라 USB 포트(13)의 VBUS 핀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레벨의 범위는 0 ~ 5.25V이다.First,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set to an arbitrary size (for example, 3.0V) in the USB voltage range (300). At this time, the VBUS pin of the USB port 13 is supplied with an arbitrary level of power converted by the voltage converter 12, and accordingly, the device device 20 connected through the USB port 13 is connected with this arbitrary level. Power will be supplied. At this time, the voltage lev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VBUS pin of the USB port 13 in accordance with the USB interface protocol is 0 to 5.25V.
이후, USB 포트(13)에 디바이스 장치(20)가 연결됨을 인지한다(301).In operation 301, the device apparatus 2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13.
그러면, 기 설정(상기 "300" 과정에서 설정)된 레벨의 전압(임의 레벨의 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다(302).Then,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set in the process “300”) (voltage of an arbitrary level) is supplied to the device apparatus 20, and a bus list process is performed (302).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302),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기 설정(상기 "300" 과정에서 설정)된 레벨에서 일정 크기(예; 0.1V 등)를 증가시킨 값으로 설정하고(303), 그리고 나서 설정된 전압레벨이 USB의 최대 인가전압 레벨(예컨대, 5.25V)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304).When the result of the bus list process 302 is performed or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is not normally performed, the level at which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preset is set (set in step 300). In step 303, a predetermined magnitude (e.g., 0.1V, etc.) is increased to a value that is increased (303), and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set voltage level exceeds the maximum applied voltage level (e.g., 5.25V) of the USB (304).
상기 검사 결과(304), 상기 "303"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이 USB 최대 인가전압 레벨를 초과하면 버스일람 프로세스 수행 실패 사실을 통보한다(305). 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바이스 장치 등록 실패", "디바이스 장치와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디바이스 장치 오류 발생", "USB 포트 오류 발생" 등과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당해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304, if the voltage level set in step 303 exceeds the USB maximum applied voltage level, the bus list process is notified of failure (305). For example, if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is not performed, "Device device registration failed",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device is not performed", "Device device error", "USB port" on the display screen Phrases such as "error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cts.
반면, 상기 검사 결과(304), 상기 "303"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이 USB 최대 인가전압 레벨를 초과하지 않으면 이전 과정(상기 "303"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한다(306).On the other hand, if the test result 304, the voltage level set in the "303" process does not exceed the USB maximum applied voltage level while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set in the previous process (the "303" process) to the device device 20 The bus list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rerun (306).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6),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304" 과정 및 "306"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6),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현재의 상태로 설정한다(307). 이 "307"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 인가전압이다.When the bus list process re-execution result 306 and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apparatus 20 are not normally performed, the processes of "304" and "306"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bus list process re-execution result 306 When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apparatus 20 is normally performed,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set to the current state (307).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converter 12 set in this process 307 is the minimum applied voltage capable of driving the device apparatus 20.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장치(20)의 보다 원활한 구동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해서는 상기 최소 인가전압 레벨을 결정함에 있어 기기구동 여유(margin) 전압을 더 고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driving margin voltage may be further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minimum applied voltage level for smoother driving and electrical protection of the device apparatus 20.
한편,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302),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상기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기 설정(상기 "300"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에서 일정 크기(예; 0.1V 등)를 감소시킨 값으로 설정한다(308).On the other hand, when the bus list process 302 and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are normally performed,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preset (set in step "300"). A predetermined magnitude (eg, 0.1V, etc.) is reduced from the set voltage level (308).
그런후, 상기 "308"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한다(309).Thereafter, the bus list process is re-run while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set in step 308 to the device apparatus 20 (309).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9),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상기 "308" 과정과 "309" 과정을 반복 진행하고,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9), 상기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이전 과정(상기 "300"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에 일정 크기(예; 0.1V 등)를 증가시킨 값으로 설정한다(310). 이 "310" 과정에서 설정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 인가전압이다.When the bus list process re-execution result 309 and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device 20 are normally performed, the process “308” and “309” are repeated, and the bus list process re-execution result 309 is performed. If the bus list process with the device apparatus 20 is not normally performed,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set 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0.1V, etc.) at a voltage level set in a previous process (the process “300”). Is set to an increased value (310).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converting section 12 set in this step “310” is the minimum applied voltage that can drive the device apparatus 20.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장치(20)의 보다 원활한 구동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해서는 상기 최소 인가전압 레벨에 기기구동 여유(margin)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인가전압 레벨로서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drive and electrically protect the device apparatus 20,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device driving margin voltage to the minimum applied voltage level may be selected as an optimal applied voltage level.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였던 실시예에서는 상기 '308' 단계에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감소시키는 일정 크기(이하, '제1 스텝'이라 함)와 상기 '303' 단계에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일정 크기(이하, '제2 스텝'이라 함)이 서로 동일한 것처럼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는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실패될 때 소요되는 시간이 성공할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긴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실패되는 경우에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보다 크게 증가시키도록 제2 스텝이 제1 스텝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predetermined magnitu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ep') and a '303' step of reducing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n step '308'. Although the predetermined magnitu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tep') for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r 12 is described as being equal to each oth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Can be. In particular, in general, since the time required when the bus list process fails is generally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when the bus list process fails,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ing unit 12 is made larger when the bus list process fails. Preferably, the second step is set larger than the first step to increase.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Although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odify or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herein.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의 구동가능한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여 공급함으로써 호스트 장치에서의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디바이스 장치의 구동 전압을 판별하여 가변적으로 최적 인가전압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디바이스 장치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바이스 장치의 기기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the host device by detecting and supplying the minimum drive voltage of the device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Since the optimum applied voltage can be supplied, electrical damage of the device device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device life of the devic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디바이스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ost device and a devic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ed voltage from a host device to a dev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ed voltage from a host device to a device devi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USB 호스트 11 : 배터리10: USB Host 11: Battery
12 : 전압변환부 13 : USB 포트12: voltage conversion unit 13: USB port
14 : 제어부 15 : 메모리14: control unit 15: memory
20 : USB 디바이스 21 : USB 커넥터20: USB device 21: USB connecto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29228AKR100562894B1 (en) | 2004-04-27 | 2004-04-27 | Control method of applied voltage from host device to device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29228AKR100562894B1 (en) | 2004-04-27 | 2004-04-27 | Control method of applied voltage from host device to device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104064Atrue KR20050104064A (en) | 2005-11-02 |
| KR100562894B1 KR100562894B1 (en) | 2006-03-2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29228AExpired - LifetimeKR100562894B1 (en) | 2004-04-27 | 2004-04-27 | Control method of applied voltage from host device to device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62894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896636B2 (en) | 2010-03-15 | 2014-11-25 | Samsung Display Co., Ltd. | Test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
| KR102463224B1 (en)* | 2022-05-03 | 2022-11-07 | 주식회사 지구사랑 | Portable Fast Charger Using Capacitor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05508B1 (en)* | 2006-09-18 | 2013-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896636B2 (en) | 2010-03-15 | 2014-11-25 | Samsung Display Co., Ltd. | Test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
| KR102463224B1 (en)* | 2022-05-03 | 2022-11-07 | 주식회사 지구사랑 | Portable Fast Charger Using Capacitor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562894B1 (en) | 2006-03-21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94900B1 (en) |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harging function through charging device identification and a method | |
| JP460133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 |
| KR101318512B1 (en) | Dedicated power supply apparatus, terminal,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 |
| US7757104B2 (en) | Integrated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 US10042801B2 (en) |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 |
| US8578198B2 (en) | Controlling power received through multiple bus interface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
| JP5572858B2 (en) | An upstream device that detects the overvoltage and stops the power of the downstream device | |
| US10136223B1 (en) |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udio device | |
| KR20020083042A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using universal serial bus | |
| KR102787543B1 (en) |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when using in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 |
| US9614381B2 (en) | System for performing re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 |
| US12101612B2 (en) | Smart speaker power management | |
| KR20130122266A (en) |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rging in host mode | |
| US7664973B2 (en) | Integrated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 US8941361B2 (en) |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040113497A1 (en) | Conserving power of a system on a chip using an alternate power source | |
| WO2014136265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 |
| JP2010009208A (en) | Interface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 |
| CN101573676B (en) | 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s | |
| KR100562894B1 (en) | Control method of applied voltage from host device to device device | |
| JP2006262610A (en) | Power supply circuit | |
| KR20050000780A (en) | Apparatus for setting usb host/slave of portable terminal | |
| KR200330771Y1 (en) | Cable for data communication | |
| KR20230170513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060100054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harging function through charging cable detection and its method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404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511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06030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060314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060315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90224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00209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10214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20207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208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30208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205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40205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202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50202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201 Year of fee payment: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60201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217 Year of fee payment: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217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219 Year of fee payment: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0219 Start annual number:13 End annual number:13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211 Year of fee payment: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0211 Start annual number:14 End annual number:1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200211 Year of fee payment: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211 Start annual number:15 End annual number: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216 Start annual number:16 End annual number: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210 Start annual number:17 End annual number: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219 Start annual number:19 End annual number:19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20241027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