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바디에 착탈되는 집진통으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필터링 효율이 높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container detachable from a body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which can configure the upright vacuum cleaner itself in a compact manner, and to a dust collecting container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high filtering efficiency. will be.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헤드(2)와, 상기 헤드(2)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을 내장하는 바디(4),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6)을 포함하고 있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ventional upright vacuum cleaner based on FIG. 1. As shown in the figure, an upright vacuum cleaner includes a head 2 capable of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suction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d 2 and capable of sucking air. It includes a body (4), and a handle (6)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4) that the user can hold.
상기 헤드(2)는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흡입구를 통하여, 진공청소기의 동작과 같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The head 2 is a portion that moves in close proximity to the floor to be cleaned, and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such as an operation of a vacuum cleaner, through an inlet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그리고 상기 바디(4)에는, 상기 헤드(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4)에 내장된 흡입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헤드(2)의 저면을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의 하부는 헤드(2)의 후방에 대하여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4)가 헤드(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In addition, the body 4 has a built-in suction means for sucking air through the head (2). Therefore, the suction of air through the bottom of the head 2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eans built in the body (4).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4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head 2, so that the body 4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ilt at an angle to the rear of the head 2 substantially.
상기 바디(4)의 상부에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사용자가 잡고 청소기 전체를 조작할 수 있는 핸들(6)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핸들(6)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2)에 대한 바디(4)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부분의 청소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4, a handle 6 is formed that the user can hold and operate the entire vacuum cleaner when using the vacuum cleaner. For example, while the user grasps the handle 6, the cleaning of the desired part may be performed while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dy 4 with respect to the head 2.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전면 중심부분에는 집진통(8)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진통(8)은 헤드(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서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종래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기 집진통(8)은 싸이클론방식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And the dust collector (8)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body (4). The dust collector (8) i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head (2) to collect it therein.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how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shows an examp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cyclone metho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바디(4)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의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헤드(2)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바디(4)를 경유하여 집진통(8)의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집진통(8)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그 내부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다시 바디(4)의 내부를 경유하여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Looking at the flow of air of the conventional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eans built in the body 4,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ead (2) Air is inhaled. The air thus sucked in enter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via the body 4.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is filtered out of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8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via the inside of the body 4 again.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상기 집진통(8) 내부에는 이물질이 차게 되고, 주기적으로 이러한 이물질을 비워야 한다. 상기 집진통(8)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비우기 위해서는, 상기 집진통(8)을 바디(4)에서 분리하여야 하는데, 도 2는 집진통(8)이 상기 바디(4)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And as the use time of the vacuum cleaner elapses, the foreign matter is fi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and should periodically empty such foreign matter. In order to empty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body (4), and FIG. 2 show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separated from the body (4). have.
그리고 상기 집진통(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8a)와, 상기 용기본체(8a)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리드(8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집진통(8)은 착탈노브(7)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바디(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진통(8)은 바디(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착탈노브(7)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후크가 집진통(8)의 리드(8b)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8c)에 결합되어 있어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has a container body 8a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herein and containing foreign matter therein as shown in FIG. 2, and a lid 8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8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4 by manipulation of the detachable knob 7. That is,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is mounted to the body 4, a hook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knob 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ad 8b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It is connected to 8c) and maintains the state which does not leave arbitrarily.
그리고 집진통(8) 내부의 이물질을 비우기 위하여 집진통(8)을 바디(4)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착탈노브(7)를 사용자가 누르게 된다. 상기 착탈노브(7)의 선단부가 눌러지면, 상기 체결홈(8c)에 결합되어 있는 후단의 후크가 상기 체결홈(8c)에서 이탈하게 되어, 상기 집진통(8)을 전방으로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And in order to separat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from the body 4 in order to empty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the user is pressing the removable knob (7). When the distal end of the detachable knob 7 is pressed, the hook of the rear end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8c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8c,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can be pulled forward. Becomes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노브(7)는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데, 집진통(8)의 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착탈노브(7)의 후단부의 후크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체결홈(8c)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knob 7 is elastically supported in on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8 is mounted, the hook of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knob 7 is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and the fastening is performed. The state connected to the groove 8c is maintained.
상기 집진통은 바디에 많이 들어가 있어야 진공청소기의 사용중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을 내부에서 수행하는 집진통은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착탈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집진통이 바디에 수납될 때, 집진통이 반을 초과한 상태로 바디에 들어가도록 설계하면 집진통과 바디 사이에는 많은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집진통과 바디 사이에 틈새가 크게 발생하게 되면, 외관상의 측면에서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없음은 당연하다.Naturally, the dust collector should be placed in the body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during use. However, since the cyclone dust collecting bin which performs the dust collection ins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should be detachable, it is designed so that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housed in the body, the dust collecting bin enters the body with more than half. This can lead to many gaps between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If a large gap between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occurs, it is natural that it does not have a good effect in terms of appearance.
그리고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력은 청소기의 전체적인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집진통과 바디는, 서로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가 서로 출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통상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상기 집진통과 바디가 완벽하게 기밀상태로 연결된다고 보기는 힘들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집진통과 바디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한 상태에서, 집진통과 바디의 연결부분에서 조금이라도 공기가 새게 되면, 궁극적으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단점으로 나타나게 된다.In a vacuum cleaner, the suction force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cleaner.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ar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re portions in which air flows in and out of the cleaner.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which are usually formed of synthetic resin, are connected in a completely airtight state.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gap between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as described above, if any air leaks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it appears as a fatal disadvantage that ultimately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s lowered.
본 발명은 바디에 착탈되는 집진통과 바디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집진통과 바디 사이의 기밀상태를 효과적으로 확보함으로써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 aesthetic appearance by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the body detachable from the body, and to maintain the suction force by effectively securing the airtight stat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the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에 연결되고,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을 내장하며, 일측면에는 집진통 장착홈부가 성형된 바디; 상기 집진통 장착홈부에 착탈 가능하고, 양측에는 상기 집진통 장착홈부의 전방측단부에 접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한쌍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집진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ead to which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flows along the bottom surface; A bod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d and having a built-in means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having a dust collecting groove moun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dust collecting tube mounting groove is detachable, and both sides include a dust collecting tube having a pair of wing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tact the front end of the dust collecting tube mounting groove.
그리고 상기 날개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양이 커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g portion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in which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becomes large.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서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헤드(10)와, 상기 헤드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20), 그리고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10 that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in a close state along the bottom surface, and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head. The body 20 has a built-in means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tioning, and is installed on top of the body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30 for the user to hold.
상기 헤드(1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10)의 상부에는 바디(2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디(20)의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내장되어 있어서, 그것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헤드(10)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The head 10 is a portion that sucks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at the bottom while moving in a stat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head 10, the body 20 is rotatably install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e body 20 has a means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built in, so that the head 10 can suck the air by its operation.
그리고 상기 바디(20)는 헤드(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0)를 잡고 상기 바디(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And the body 20 is coupl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range of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ead (10). Therefore, the user cleans the bottom surface while holding the handle 30 and adjusting the body 20 to a desired angle.
상기 바디(20)의 중심부분에는 원통상의 집진통(5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통 장착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통 장착홈부(22)는 집진통(50)이 수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20 is formed with a dust collector mounting groove 22 to which the cylindrical dust collector 50 is detachably mounted. The dust collector mounting groove 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or 50 can be accommodated.
상기 집진통(50)은, 헤드(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서 내부에 포집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통(50)은,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을 1차필터링한 후,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미세한 이물질을 2차필터링하는 것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2차필터링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먼지 등과 같은 미세한 이물질까지 완전하게 필터링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통(50)은, 상면이 개구된 원통상의 용기본체(52)와, 상기 용기본체(52)의 상면을 개폐하는 리드(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i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head 10 to collect the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the foreign matter by the cyclone method, and then filter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by secondary filtering the fine foreign matter through a separate filter. Also in secondary filtering, by using a plurality of filters, even fin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completely filtered out.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52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lid 58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52. It is configured by.
상기 용기본체(52)는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을 위하여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에는 접선방향으로 성형되어 헤드(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바디(20)를 경유하여 흡입되는 흡입구(53)와, 상기 흡입구(5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한 후,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구(56)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tainer body 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cyclone dust collection, and is form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head 10 is sucked through the body 20. And an exhaust port 56 for exhausting the air afte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53.
그리고 상기 리드(58)의 저면 중심부분에는 원통형의 필터어셈블리(59)가 설치되어 있어서, 싸이클론방식의 1차집진이 완료된 후, 상기 필터어셈블리(59)에 의하여 미세 먼지까지 필터링하는 2차집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필터어셈블리(59)의 하부에 대응하는, 용기본체(52)의 저면에는 원통상으로 직립한 연결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55)는 배기구(56)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cylindrical filter assembly 59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58. After completion of the cyclone-type primary dust collection, the secondary filter unit filters the fine dust to the fine dust by the filter assembly 59. This can be done.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52, which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filter assembly 59,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upright connecting portion 55, the connecting portion 55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56 have.
상기 집진통(50)이 바디(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53)는 집진통 장착홈부(22)에 성형된 바디공급구(22a)와 밀착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기구(56)는 바디흡입구(22b)와 밀착되어 연결되어, 각각 공기가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56)는 하단부에서 측벽으로 개구되도록 성형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53)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is mounted on the body 20, the suction port 53 is conne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supply port 22a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groove 22, and the exhaust port 5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suction opening (22b), each of the air can enter and exi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haust port 56 is shaped to open from the lower end to the side wall, and the suction port 53 is formed at the upper end.
그리고 상기 흡입구(53)를 통하여 집진통(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집진통(5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을 위한 나선류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53)는 용기본체(52)의 측면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5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용기본체(5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면서 나선류로 형성되어, 사이클론 방식에 의한 집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And in order to form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hrough the inlet 53, the spiral flow for the cyclone dust coll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he inlet 53 is a container It is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52. Therefor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53 is formed in a spiral flow while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52, so that dust collection by the cyclone method can be performed.
그리고 도 5에 명백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통(50)은 바디(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반 이상이 바디(20)의 집진통 장착홈부(22)에 들어가게 된다. 원통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집진통(50)이 상기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반이상 바디(20) 속으로 수납되면, 집진통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해서, 상기 바디의 집진통 장착홈부(22)의 전방측단부(26)과 집진통(50)의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5, at least half or mo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enters the dust collecting slot 22 of the body 20 whil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is mounted on the body 20.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accommodated in the body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mounting groove 22 of the body for mounting and detach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Between the side end portion 2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a predetermined gap must occur.
그리고 상기 집진통(50)이 바디(20)의 집진통 장착홈부(22)에 반 이하 수납되더라도, 상기 집진통 장착홈부(22)의 전방측단부(26)와 집진통(50)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상기 집진통(50)과 바디(2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고, 더욱이 흡입력의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And even i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groove 22 of the body 20 or less, between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groove 22 There must be a gap. When the gap betwe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and the body 20 is generated in this way, it is not preferable in appearanc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loss of suction force.
즉, 집진통의 흡입구(53)와 배기구(56)는, 바디(20)의 바디공급구(22a)와 바디흡입구(22b)와 서로 밀착되도록 연결되는데, 만일 그 연결상태에 약간이라도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상술한 바디(20)의 전방측단부(26)와 집진통(50) 사이의 틈새에 의하여 흡입력의 손실이 크게 나타나게 된다.That is, the suction port 53 and the exhaust port 56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re conne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supply port 22a and the body suction port 22b of the body 20. In this case, the loss of the suction force is large due to the gap between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of the body 20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진통(5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날개부(5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날개부(54)는, 집진통 수납홈부(22)의 전방측단부(26)에 밀착되어 틈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통(50)의 양측에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54)는 용기본체(52) 및 리드(58)의 전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wings 5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he wing portion 54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22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and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have. And the wing portion 54 is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entire container body 52 and the lead 58.
상기 날개부(54)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크기가 증가되는 유선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54)의 후단부(54a)는, 집진통 장착홈부(22)의 전방측단부(26)와 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집진통(50)의 외주연과 직선형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g portion 54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eamlined or arc-shap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protru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rear end portion 54a of the wing portion 54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ust collector 50 in a straight line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of the dust collector mounting groove 22. It is preferably formed.
상기 날개부(54)는, 그 후단부(54a)가 집진통 장착홈부(22)의 전방측단부(26)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바디와 집진통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진통(50)을 바디(20)의 집진통 장착홈부(22)에 장착할 때, 상기 날개부(54)가 전방측단부(26)에 접촉하여 밀착될 때 까지 집진통(50)을 바디(20) 측으로 밀어넣게 되면, 집진통과 바디의 연결부분이 완전하게 밀착되어 공기의 출입시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The wing portion 54 i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by the rear end portion 54a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groove 22. Same as one. Therefore, when the user mount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groove 22 of the body 20,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until the wing 5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end 26. When the) is pushed toward the body 20 side, the connection part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body will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loss of air will not occur.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되는 용기본체(52)의 날개부(54)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다수개의 리브(r)를 상기 날개부(54)와 용기본체(52)의 외측면 사이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 4,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wing portion 54 of the injection molded container body 52, a plurality of ribs (r) outside the wing portion 54 and the container body 52 It would be desirable to connect at right angles between the sides.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집진통 장착홈부(22)의 전방측단부(26) 내측에는 세로방향으로 단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54)는, 전방측단부(26)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성형하거나, 상기 단차부(23)의 내측에서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ep portion 2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of the dust collector mounting groove portion 22. The wing portion 54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ide end portion 26 or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side of the step portion 23.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진공청소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바디(20)의 내부에 있는 흡입수단이 동작하게 되면서 헤드(1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헤드(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바디(20)로 유입되고, 바디공급공(22a)을 통하여 상기 집진통(50)의 흡입구(53)로 유입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s started, the suction means inside the body 20 is operated and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ead 10. The air sucked through the head 10 flows into the body 20 and flows into the suction port 53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hrough the body supply hole 22a.
상기 흡입구(53)를 통하여 집진통(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집진통(50)의 상부에서부터 나선류로 형성된다. 상기 집진통(5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나선류로 형성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는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이 수행된다. 이러한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은 용기본체(52)의 저면에 쌓이게 될 것이다.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hrough the suction port 53 is formed in a spiral flow from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and included in the air formed in the spiral flow is subjected to a cyclone dust collecting method fall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Foreign matter falling downward by this cyclone method will be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52).
그리고 싸이클론방식에 의한 기본적인 필터링이 완료된 공기는 다시 상기 필터어셈블리(70)에 의하여 미세필터링이 수행된다. 즉, 나선류로 회전하던 공기는, 용기본체(5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상의 필터어셈블리(59)를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면서 미세한 이물질까지 제거된다.In addition, fine filtering is performed by the filter assembly 70 on the air after the basic filtering by the cyclone method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air that has been rotated in a spiral flow is remo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ylindrical filter assembly 59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52 from the outside to fine foreign matter.
이렇게 하여 미세 필터링까지 완료된 공기는 상기 필터어셈블리(70)의 내부에서, 원통형 연결부(55)를 통하여 배기구(56)로, 그리고 상기 배기구(56)에서 바디(20)의 바디흡입구(22b)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흡입구(22b)에서는 바디 내부의 유로를 따라서 바디(20)의 표면에 형성된 배기부(25)로 배기될 것이다.The air thus completed to fine filtering flows into the exhaust port 56 through the cylindrical connecting portion 55 and from the exhaust port 56 to the body suction port 22b of the body 20 within the filter assembly 70. do. In addition, the body suction port 22b may be exhausted to the exhaust part 25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20 along a flow path inside the body.
이와 같은 청소과정이 일정시간 이상되면, 상기 집진통(50)을 바디(20)에서 분리하여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버리고, 다시 집진통(50)을 장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되는 집진통(50)은 날개부(54)에 의하여 바디와의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커버될 수 있다.When the cleaning process is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is separated from the body 20 to discard foreign matters inside,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should be mounted again.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or 50 to be mounted can be covered by the wing portion 54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의 집진통 장착홈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디와 집진통 사이에서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관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함은 당연하고, 흡입력의 손실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dust collector does not occur in a state in which it is mounted on the dust collector mounting groove of the body. Therefore, it is natural in terms of appearance, an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olve the concern about the loss of suction power is expected.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예시 사시도.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upright vacuum cleaner.
도 2는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 집진통이 분리된 상태의 예시 사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is separated from the conventional upright vacuum clean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 집진통이 분리된 상태의 예시 사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state is separated from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통의 후면에서 본 분해 상태 예시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seen from the back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통과 바디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헤드20 ..... 바디10 ..... Head 20 ..... Body
22 ..... 집진통 장착홈부26 ..... 전방측단부22 ..... dust collector mounting groove 26 ..... front side end
50 ..... 집진통52 ..... 용기본체50 ..... dust collector 52 ..... container body
54 ..... 날개부58 ..... 리드(lid)54 ..... wing 58 ..... li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98404AKR20050066916A (en) | 2003-12-27 | 2003-12-27 | Up 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dirt and dust casing |
| US11/006,572US7797790B2 (en) | 2003-12-27 | 2004-12-08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98404AKR20050066916A (en) | 2003-12-27 | 2003-12-27 | Up 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dirt and dust casing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66916Atrue KR20050066916A (en) | 2005-06-3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98404ACeasedKR20050066916A (en) | 2003-12-27 | 2003-12-27 | Up 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dirt and dust casing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50066916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7021147A1 (en)* | 2005-08-18 | 2007-02-22 |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Vacuum clea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7021147A1 (en)* | 2005-08-18 | 2007-02-22 |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Vacuum cleaner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591952B2 (en) | Hand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irt chamber | |
| AU2017101264A4 (en) | Vacuum cleaner | |
| US7086119B2 (en) |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 |
| US6532620B2 (en) | Cyclone dust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 |
| EP1629758B1 (en)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 US7488363B2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 CA2448359C (en) |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 |
| KR100936065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1248722B1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 KR101064074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963337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20050066913A (en) | Dust and dirt casing for cacuum cleaner | |
| CN117297379A (en) | Dust collector and cleaning equipment | |
| KR20050019270A (en) |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 |
| KR20050066916A (en) | Up 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dirt and dust casing | |
| KR20060020772A (en)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 CN220275517U (en) | Dust collector and cleaning equipment | |
| KR100941426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 KR20050066908A (en) | Dirt and dust casing for up right type cacuum cleaner | |
| US7665182B2 (en) |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 |
| KR101199662B1 (en) |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 |
| KR101066694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 KR101066753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 KR100640831B1 (en) | Vacuum cleaner | |
| KR20060022955A (en) | Vacuum clean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3122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081219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31227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010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01229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0102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