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가 설치된 특정 지역에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방문할 때, 이동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방문자의 방문사실을 인지하고, 방문자 정보를 파악하여 방문자 성향에 적합한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mobile terminal subscriber visits a specific area where a terminal signal receiver is installed, the visitor detect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that provides additional services (eg, SMS service) suitable for visitor's inclination by recognizing a visit fact of visitor and grasping visitor information,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에 이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위치추적 서비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는 홈위치 등록기(HLR)에 등록된 셀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Recently,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widely spread, almost all people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s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being extended to basic wireless calls, text / voice messages, wireless Internet services, and location tracking services. In particular, the location tracking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using a cell location registered in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by GPS, and the like.
단말기가 있는 셀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의 반경 정도, 즉 수 km 정도의 오차를 가지므로 정확한 위치추적이 어려우나, GPS, DGPS(Differnetial GPS)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 m 내지 수십 m 정도의 오차를 가지는 비교적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thod using the cell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has a radius of the cell, that is, a few km of error,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track the position. However, if a GPS or DGPS (Differnetial GPS) system is used, an error of several m to several tens of meters can be obtained. Branches can provide relatively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최근, 퀄컴(Qualcomm)사의 CDMA 모뎀칩인 MSM 3300에 'gpsOne'이라는 GPS 측위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이를 장착한 단말기(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 기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를 통해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단말기 등에 부여된 GPS 기능은 단순한 위치 정보, 시각만을 자신이 확인할 수 있을 뿐, 이를 이용한 여러 서비스에 대해서는 아직 미진하다. 또한, 기존의 위치 추적 서비스는 특정 단말기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상대방에게 특정 정보(예컨대, 단말기 번호, 서비스 인증 등)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인 신상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알기 위해서는 모든 단말기 소지자와 위치 추적 서비스에 대한 소정의 계약을 맺은 상태에서 각 단말기 소지자의 위치 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특정 지역에 진입되는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이동 통신 사업자에 한하여 위치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호출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위치 추적 서비스는 기지국 단위의 가입자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기지국의 관할 지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진입되는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를 확인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특정 지역의 방문자에게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없어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로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 지역에 방문하지 않은 자에게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the GPS positioning function 'gpsOne' has been added to Qualcomm's CDMA modem chip, the MSM 3300, which is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or a GPS satellite via a terminal (e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other portable computer system) equipped with the GPS positioning function. Using GPS information, fast and accurate location can be determined. However, until now, the GPS func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can only confirm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and is still insufficient for various services using the same. In addition, the existing location tracking service has a problem that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is leaked because it needs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eg, terminal number, service authentication, etc.) to the other party to know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In addition, in order to know the visitor of the terminal holder visiting the specific place, there is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holder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contract for the location tracking service is established with all the terminal holders. In addition, there is no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subscriber entering a specific area, and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an provide a terminal call function us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above-described location tracking ser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ubscribers entering a specific area because the jurisdiction of the base station is wide by using the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herefore, if a user wants to provide a predetermined additional service to a visitor in a specific region,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holder cannot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thus the service is provided to a randomly providing a specific additional service to an unspecified number or to a person who has not visited a specific region.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becom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특정 지역에 설치하고, 해당 지역으로 진입되는 단말기에서 송출된 특정 신호(예컨대, 위치등록신호)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해당 지역을 방문한 단말기를 인지하고, 인지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synchronized with the jurisdiction base station in a specific area, and transmits from the terminal entering the are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that recognizes a terminal that has visited a corresponding region by receiving a specific signal (eg,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hecks the visit of the terminal holder based on the recognized terminal informatio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통해 확인된 단말기 소지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원하는 특정인에게 특정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광고, 이벤트 설명 등)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using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that provides a specific additional service (eg, SMS service, advertisement, event description, etc.) to a specific person desired by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terminal holder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To provide a wa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 및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 범위의 통신 영역을 관할하는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고, 커버리지 영역의 임의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관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기지국 정보를 통해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에서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고,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 가입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장치와; 관리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을 허가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송출하고, 특정 경로를 통해 입수된 특정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특정 부류별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 DB와;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장치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고객 DB; 및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고, 단문 메시지의 전달 내역을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that extracts information about a terminal visiting a specific coverage area and checks the visit of the terminal holder based on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coverage area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coverage area for managing a range of communication areas, and extracts information on the base station through any mobile terminal of the coverage area, synchroniz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for extracting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from an access channel transmitted from an incoming mobile terminal, extracting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o a designated path; Connected to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to confirm the visi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subscriber, and managing to perform a specific additional service based on the confirmed terminal subscriber information; A management device which controls to apply various data required by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device;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management device, and permits visits or stores registered terminal information and subscriber information, extracts and send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requested externally, and makes a database of specific termin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specific path for each specific class. 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for supporting additional services; A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connected to the managemen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toring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information, and transferr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requested by the management device; And an SMS server connected to the managemen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delivering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to a specific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management device, and transmitting a delivery message of the short message to the manage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여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한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관할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거리차에 기인한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하여 상기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상기 커버리지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면, 해당 액세스 채널 중 위치등록신호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가 상기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 등록된 정보인가를 판단하여 등록된 정보이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고, 등록된 정보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미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는 단계와; 특정 경로를 통해 상기 방문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방문 단말기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변경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기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that extracts information on a terminal visiting a specific coverage area and checks the visi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owner based on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to provide a specific additional service.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base station from any mobile terminal located in the coverage area, compensates for propagation delay due to the distance difference with the base station to synchronize with the base station, and adjust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Adjusting the coverage area; Determining whether an access channel has been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visiting the coverage area; When the access channe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extracting and analyzing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mong the corresponding access channels, extracting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zed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to a designated path; Wow; Receives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and if the information is registered, recognizes the terminal holder as a registered subscriber; otherwise, the terminal holder is not registered information. Recognizing an unregistered subscriber; Check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visited terminal through a specific path to provide the additional service to a specific visited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provided additional service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additional service to a designated path; And updat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hanged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서, 본 방문자 인지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기지국(120),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 관리장치(140), 단말기 정보 관리 DB(150), 통신망(160), 이동통신 고객DB(170) 및 SMS 서버(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100 includes a mobile terminal 110, a base station 120, a terminal signal receiving device 130, and a management device 140. ),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150, the communication network 160, the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170 and the SMS server 180 is configured.
이동 단말기(110)는 휴대 또는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대기시에는 주기적으로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obile terminal 1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while being carried or moved, and periodically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when waiting.
기지국(120)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각 기지국(120)은 각자의 고유한 서비스 영역인 셀을 형성하고 있다.The base station 120 is wirelessly connected with the mobile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ignals, and each base station 120 forms a cell, which is a unique service area.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는 이동 단말기(110) 및 기지국(120)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120)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보 채널 중 파일럿 채널을 검출하여 해당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자신의 영역에 진입되는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의 방문 사실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는 단말기 방문을 인지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예컨대, 학원, 교회, 군대, 백화점 등)에 설치되며, 이동통신사(예컨대, 011, 016, 019 등)별로 각각 설치되어 해당 이동통신에 가입된 단말기의 방문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The terminal signal receiver 13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base station 120, detects a pilot channel among information channel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20, synchronizes with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and enters its own area. Receive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o detect the fact of the visit.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130 is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eg, academy, church, military, department store, etc.) for which the terminal visit is to be recognized, and is install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eg, 011, 016, 019, etc.) and moved. It is implemented to recognize the visit of the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munication.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1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관리장치(140)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로부터 인가되는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경로(예컨대, 자체 DB, 이동통신 고객 DB 등)를 통해 해당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등)를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관리장치(140)는 일반 컴퓨터를 사용한다.The management device 14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device 130 and receives a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device 130 to establish a specific path (for example, its own DB, a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etc.). It checks the corresponding terminal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s to perform a specific service (eg, SMS service) based on the confirm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authorizes various data required by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130. do. The management device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general computer.
단말기 정보 관리 DB(150)는 관리장치(14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을 허가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특정 경로(예컨대, 이동통신 고객 DB)를 통해 입수한 특정 단말기 정보(즉, 해당 지역에 방문한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방문횟수, 성별, 관심분야별 등에 따른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등)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에는 단말기 고유번호(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 단말기 소지자 정보(예컨대, 개인신상정보, 취미, 관심분야 등), 방문시간 및 방문횟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150 is interconnected with the management device 140, and permits a visit or stores registered terminal information and subscriber information, and extracts and sends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an external request is made. In addition, by making a database of specific terminal information (ie, terminal information visited to a corresponding region) acquired through a specific path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an additional service (eg, SMS service, etc.)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s, gender, and interests, etc. ) To help select and provide. Data stored and manag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includes a terminal unique number (for example, an electronic serial number or a terminal phone number), terminal holder information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hobbies, interests, etc.), visit time and frequency of visit. This may be included.
이동통신 고객 DB(170)는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장치(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고객 정보(예컨대, 단말기 번호, 고객신상정보 등)를 저장하고, 관리장치(140)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장치(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관리장치(140)와 이동통신 고객 DB(170)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망(160)은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17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60, stores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information (eg, terminal number,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and requests from the management device 140. Whe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60.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60 for data exchange between the management device 1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170 uses either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MS 서버(180)는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장치(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장치(14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110)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예컨대, 경고 메시지, 광고 메시지, 이벤트 설명 등)를 전달하고, 단문 메시지 수신 확인 결과를 관리장치(1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관리장치(140)와 SMS 서버(180)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망(160)은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The SMS server 18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60, an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anagement device 140,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for example, a warning message and an advertising message) to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10. , Event description, etc.), and transmits a short message reception confirmation result to the management device 140.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60 for data exchange between the management device 140 and the SMS server 180 uses either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 서비스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커버리지 영역(130a)은 특정 기지국(120)의 커버리지 영역(120a)에 포함되고, 이동 단말기(110)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커버리지 영역(130a)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120)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를 동기화시키면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커버리지 영역(130a)에 진입되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110)의 방문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2 is a service diagram illustrating a coverage area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coverage area 130a of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130 is included in the coverage area 120a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120, and the mobile terminal 110 is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130. Is included in the coverage area 130a. Therefore, when the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130 are synchronized, the mobile terminal 110 receive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entering the coverage area 130a of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130. The visit of 110 can be recogniz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의 내부 구성도로서,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는 기지국 동기화부(310) 및 단말기 정보 수신부(320)로 구성되어 있고, 기지국 동기화부(310)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 기지국 동기신호 수신부(312),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 수신모듈 보정부(314) 및 수신모듈 설정부(315)를 포함하고, 단말기 정보 수신부(320)는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 및 위치등록신호 처리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includes a base station synchronizing unit 310 and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320. The unit 310 includes a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1, a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ing unit 312, a base station information channel receiving unit 313, a receiving module correcting unit 314, and a receiving module setting unit 315. 320 includes a posi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ing unit 321 and a position registration signal processing unit 322.
기지국 동기화부(310)의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의 DM(Diagnostic Monitor)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가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과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물론 특정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가 설치될 지역의 기지국과 이미 통신 가능 상태에 있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기지국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DM 포트를 통해 전송받는다.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1 of the base station synchronizing unit 310 receives base station information for the area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is installed by using a DM (Diagnostic Monitor) function of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 Since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is not synchronized with a base station that manages a corresponding area,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cannot communicate with a specific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base st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ceiv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any mobile terminal that is already in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is to be installed and perform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Here,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any mobile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DM port of the mobile terminal.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312)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 중 파일럿 채널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 중 정보채널을 검출하여 pn 코드(pn code), 롱 코드(long code), 쇼트 코드(short code) 및 주파수(frequence)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 및 임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ceiver 312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r 311, and performs a role of extra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r 311. 313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r 311, and detects an information channel among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r 311 to detect a pn code, a long code, and a short code. ) And acquires and temporarily stor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frequency.
수신모듈 보정부(314)는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propagation delay)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간의 거리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소정 간격(예컨대, 일정 칩)을 지연시킨다.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에 따른 보상방식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The receiving module corrector 314 corrects propagation delay due to a distance differenc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ropagation delay is generated due to this distance difference. To compensate for the propagation delay,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a predetermined chip) is delayed Let's do it. The compens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delay due to the distance difference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수신모듈 설정부(315)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312),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 및 수신모듈 보정부(314)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312) 및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에 보관된 파일럿 채널정보 및 각종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기화된 특정 액세스 채널을 설정하고,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함과 동시에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일한 액세스 채널의 개수 등을 일치시켜 기지국과 동일한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모듈 설정부(315)는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특정 존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운용할 수 있다.The receiving module setting unit 315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2,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hannel receiving unit 313, and the receiving module correcting unit 314, and the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2 and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hannel receiving unit 313 Base station by setting a specific access channel synchronized with the access channel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pensating for propagation delay, and matching the same number of access channels as the access channel of the base station. It serves to build the same communication environment as In addition, the reception module setting unit 315 may operate by adding a function of setting a range of a specific zone by adjus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단말기 정보 수신부(320)의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을 수신하고, 해당 액세스 채널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수신모듈 설정부(315)에 의해 기지국과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는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er 321 of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er 32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access channe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nalyzes the corresponding access channel to extract a normal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Perform. Since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is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by the receiving module setting unit 315,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ing unit 321 may receive an access channe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위치등록신호 처리부(322)는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로부터 인가되는 위치등록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위치등록신호의 전송 주체인 단말기의 고유번호(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등록신호에는 전자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기 전화번호, 전원절약을 위한 SCI(Slot Cycle Index), 소프트웨어의 버전, RF부의 전력제어 등과 같은 각종 운용 파라미터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위치등록신호 처리부(322)는 각종 운용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하는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방문 단말기 번호 등)를 추출한다.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processing unit 322 is connected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ing unit 321, and analyzes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pplied from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ing unit 321 to identify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which is a main agen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 Extracts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or the terminal phone number) and transmits it to the designated path.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contains various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terminal phone number, slot cycle index (SCI) for power saving, software version, and power control of the RF unit.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2 extracts a specific parameter (for example, an electronic serial number or a terminal phone number) from various operating parameters, and visits terminal information (for example, visit time, visit terminal) based on a unique number of a terminal that send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Number, etc.).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설치할 지역을 설정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관리장치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일정 범위의 통신 영역을 관할하는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방문자 인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부가 서비스는 방문을 허용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지역(이하에서는, '특정 존'이라 칭함)(예컨대, 학교, 군부대 등의 특수 시설, 교회, 성당, 사찰, 학원 등) 또는 불특정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불특정 지역(이하에서는, '불특정 존'이라 칭함)[예컨대, 대규모 상가(백화점, 쇼핑몰), 공연 장소, 대학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정 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미리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등록시키는 단계가 필요하지만, 불특정 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이러한 단계가 필요 없다. 특정 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방문을 허용하는 단말기 및 가입자 정보를 등록시켜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말기 및 가입자 정보에는 특정 단말기의 고유번호(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 해당 단말기의 가입자(또는 소지자)에 대한 개인신상정보(예컨대, 단말기 가입자 성명, 나이, 성별, 이메일 등)가 포함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region in which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is to be set and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management apparatus.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has a predetermined coverage area covering a communication range of a predetermined range. Certain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is Visitor Recognition System may be used in certain are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fic zones') to allow visits or to confirm the visits of registered terminal holders (e.g., special facilities such as schools and military units). , Churches, cathedrals, temples, academies, etc.) or unspecified are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specified zones") to confirm visits by unspecified terminal holders (e.g., large malls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performance venues, college roads, etc.) ] Provides services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in a specific zone, a step of collecting and registering terminal information is required in advance, but such a step is not necessary for providing a service in an unspecified zone. When providing a service in a specific zone, 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is established by registering terminal and subscriber information allowing a visit to a coverage area of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e terminal and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 a unique number of a specific terminal (e.g., an electronic serial number or a terminal phone number), and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e.g., terminal subscriber's name, age, gender, e-mail, etc.) of the subscriber (or holder) of the terminal. Included.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임의의 이동 단말기의 DM 포트에 연결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특정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다(S405).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과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물론 특정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가 설치될 지역의 기지국과 이미 통신 가능 상태에 있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 정보에는 파일럿 채널정보 및 정보채널이 포함되어 있으며, 파일럿 채널정보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에 일시 보관되고, 정보채널은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에 일시 보관된다. 여기에서,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는 정보채널을 검출하여 pn 코드(pn code), 롱 코드(long code), 쇼트 코드(short code) 및 주파수(frequence)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정보를 임시 보관한다.First, a user connects a terminal signal receiver to a DM port of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to receive specific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405). Since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cannot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as well as a specific mobile terminal because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that manages the area, any terminal signal receiver is already 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is to be installed. Receiv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includes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channel.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information channel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hannel receiver. Here,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hannel receiver detects the information channel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n code, a long code, a short code and a frequency, and temporarily stores the information. keep it.
다음에, 수신모듈 설정부는 수신모듈 보정부에서 보상된 전파전달 지연을 기초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다(S410). 수신모듈 설정부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 및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에 보관된 파일럿 채널정보 및 각종 정보를 기초로 관할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기화된 특정 액세스 채널을 설정하고,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함과 동시에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일한 액세스 채널의 개수 등을 일치시켜 기지국과 동일한 통신 환경을 구축한다. 또한, 수신모듈 설정부는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특정 존의 범위를 설정한다. 따라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기지국과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Next, the receiving module setting unit synchronizes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with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based on the propagation delay compensated by the receiving module correcting unit (S410). The receiving module setting unit sets a specific access channel synchronized with the access channel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hannel receiving unit, compensates for propagation delay, The same communication environment as the base station is established by matching the same number of access channels with the same access channel. In addition, the receiving module setting unit adjusts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set the range of the specific zone. Therefore, since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is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is in a stat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visiting its own coverage area.
그 후,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는가를 판단(S415)하여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대기하고,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으면 해당 액세스 채널 중 위치등록신호를 추출 및 분석한다(S420). 분석된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방문 단말기 정보를 지정된 통신방식(예컨대, TCP/IP)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한다(S425). 위치등록신호에는 전자일련번호(ESN), 단말기 전화번호, 전원절약을 위한 SCI, 소프트웨어의 버전, RF부의 전력제어 등과 같은 각종 운용 파라미터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위치등록신호 처리부는 각종 운용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하는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방문 단말기 번호 등)를 추출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an access channe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visiting the coverage area (S415), and waits if the access channel is not received, and if the access channel is received, registers a location among the corresponding access channels. The signal is extracted and analyzed (S420).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is extracted based on the analyzed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nd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through a designated communication method (eg, TCP / IP) (S425).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is equipped with various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terminal phone number, SCI for power saving, software version, and power control of the RF unit. (E.g., an electronic serial number or a terminal telephone number), and extracts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e.g., visit time, visited terminal number, etc.) based on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관리장치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방문 단말기 정보의 단말기 고유번호가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 등록된 정보인가를 판단(S430)하여 등록된 정보이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고(S435), 등록된 정보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미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한다(S440).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방문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방문 단말기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을 이탈하였다고 인지한다.The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unique number of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S430). Recognized as a subscriber (S435), if not registered information recognizes the terminal holder as an unregistered subscriber (S440). In addition, if the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visited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coverage area of the terminal signal receiver has been departed.
관리장치는 방문 단말기로 소정의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가를 판단(S445)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을 원하면, 단말기 정보 관리 DB 또는 이동통신 고객 DB를 통해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SMS 서버를 통해 해당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부가 서비스를 해당 단말기 소지자가 수신하였는가를 확인한다(S450). 특정 존에서의 단말기 정보는 기 구축된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통해 확인하고, 불특정 존에서의 단말기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고객 DB로 해당 단말기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한다.The management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additional service (for example, an SMS service) to the visited terminal (S445) and if the user wants to provide the additional service, the terminal information is check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or the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The additional service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holder checks whether the provided terminal service has been received (S450). The terminal information in a specific zone is confirmed through 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that is already established,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in an unspecified zone is requested by confirm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특정 존(예컨대, 학교, 군부대 등의 특수 시설, 교회, 성당, 사찰, 학원 등)에 방문한 단말기의 경우, 등록 여부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군부대 등의 특수 시설의 경우, 등록된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인사말 메시지(예컨대, "안녕하십니까? XXX님. 좋은 하루 보내십시오")를 전송하고,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경고 메시지(예컨대, "당신의 출입은 허가되지 않았습니다. 속히 현위치에서 이탈하시길 바랍니다.")를 전송한다. 또한, 교회의 경우, 등록된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인사말 메시지(예컨대, "할렐루야, 주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를 전송하고,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환영 메시지(예컨대, "할렐루야, 주님과의 만남을 축복 드립니다. 새신자는 예배 후, 새신자실로 모여주시기 바랍니다")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는 방문한 단말기의 등록 여부에 따라 일률적으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지만,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부류별(예컨대, 개인별, 성별, 나이별, 관심분야별)로 개별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a terminal visited to a specific zone (eg, a special facility such as a school, a military unit, a church, a cathedral, a temple, an academy, etc.),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registration. For example, for special facilities such as military units, when a registered terminal enters the coverage area, it sends a greeting message (for example, "Hello? XXX, have a nice day"), and the unregistered terminal moves to the coverage area. Upon entering, send a warning message (for example, "You are not authorized to enter. Please exit from your location so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urches, when a registered terminal enters the coverage area, it sends a greeting message (eg, "Hallelujah, the Lord loves you"), and when a non-registered terminal enters the coverage area, a welcome message (eg, "Hallelujah, bless the meeting with the Lord. After the worship, please gather to the new believer's room"). Here, the short message may be implemented to be transmitted uniformly according to whether the visited terminal is registered or not, but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analyzed to be individually transmitted to a specific class (eg, by individual, gender, age, and interest). Of course.
불특정 존[예컨대, 대규모 상가(백화점, 쇼핑몰), 공연 장소, 대학로 등]에 방문한 단말기의 경우,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화점의 경우, 임의의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각종 정보 메시지(예컨대, 바겐세일 정보, 이벤트 정보, 광고 정보 등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는 방문한 단말기에 따라 일률적으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지만,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부류별(예컨대, 개인별, 성별, 나이별, 관심분야별)로 개별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a terminal visited to an unspecified zone (eg, a large shopping mall (department store, shopping mall), a performance place, a university road, etc.),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regardless of regist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epartment store, when an arbitrary terminal enters a coverage area, various information messages (eg, bargai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dvertisement information, etc.) may be transmitted. Here, the short message may be implemented to be uniform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visited terminal, but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analyzed and implemented to be individually transmitted by a specific class (eg, by individual, gender, age, or interest). to be.
다음에, 상기 단계(S445)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원하지 않거나 상기 단계(S450) 이후에는 변경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여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갱신한다(S455). 따라서, 방문시간, 방문횟수 등의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추후의 부가 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 정보의 방문시간 및 방문횟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특정 단문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도록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특정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영역에 진입되었음을 인지하고 난 뒤, 주기적으로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영역을 이탈하였다고 인지한다.Next, in step S445, the additional service is not provided or after the step S450, the changed visited terminal information is identified to update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S455). Therefore, the terminal can be use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later based on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visit time and number of visits.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be operated to individually transmit a specific short message based on visit time and visit frequency data of the termi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receive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from a specific mobile terminal and recognizes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entered its area, and then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even after the elapsed time,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left its are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특정 이동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예컨대, 매너모드 절체 기능, 카메라폰 차단 기능 등)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감찰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출결 확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다양하게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영화, 공연, 종교 활동(예컨대, 예배, 미사 등)시 특정 시간동안 이동 단말기를 매너 모드(즉, 진동 모드)로 자동 절체하거나 절체하도록 권유하는 단문 메시지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비밀 유지 또는 카메라 촬영이 금지되는 영역(예컨대, 목욕탕, 군사시설구역 등)에서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폰 기능에 대한 활성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거나 카메라폰 사용을 억제하도록 권유하는 단문 메시지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예컨대, 범죄자, 블랙리스트 등)에 대한 특정 지역(예컨대, 공항, 항만 등)으로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학원 또는 학교 강의에 대한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의 출결 상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 단말기 가입자와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동의 여부를 설정하는 사전 계약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사전 동의 없이 특정 이동 단말기에 대한 특정 지역 방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특정 기능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특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same, in the case of trying to control a specific function of a specific mobile terminal (eg, silent mode switching function, camera phone blocking function, etc.)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to the case of performing an inspection function for a terminal holder or performing an attendance check function for a specific mobile terminal holder.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send a short message inviting an automatic transfer or transfer of a mobile terminal to a silent mode (ie, vibration mode) for a specific time during a movie, performance, or religious activity (eg, worship, mass). In this case, the user wants to send a short message inviting the user to forcibly block the activation of the camera phon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o suppress the use of the camera phone in an area where confidentiality or camera photography is prohibited (e.g., bathhouse, military facility area, etc.). In the case of a visit to a specific area (eg, an airport, a port, etc.) for a specific mobile terminal holder (eg, criminal, blacklist, etc.), the attendance status of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school or school lecture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check.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 a prior agreement for setting agreement with the mobile terminal subscriber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is required. However, it can of course be operated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visit to a specific region for a specific mobile terminal without prior consent.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when a certain time elapses or leaves a specific region,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o transmit a guide message indicating the fact to the mobile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특정 지역에 설치하고, 해당 지역으로 진입되는 단말기에서 송출된 특정 신호(예컨대, 위치등록신호)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해당 지역을 방문한 단말기를 인지하고, 인지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signal receiving device synchronized with a competent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and a specific signal transmitted from a terminal entering the corresponding area (for example, , By receiving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by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to recognize the terminal visited the corresponding area, and confirms the visit of the terminal holder based on the recognized termi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통해 확인된 단말기 소지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원하는 특정인에게 특정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광고, 이벤트 설명 등)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particular additional service (eg, SMS service, advertising, event description, etc.) to a specific person desired by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terminal holder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영역에 진입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더 이상 위치등록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영역을 이탈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osition registration signal is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entering the area of the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the position registration signal is no longer det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s itself.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cognized that the deviation of the ar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 서비스도이고,2 is a service diagram illustrating a coverage area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sitor recognition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방문자 인지 시스템110: 이동 단말기100: visitor recognition system 110: mobile terminal
120: 기지국130: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20: base station 130: terminal signal receiver
140: 관리장치150: 단말기 정보 관리 DB140: management device 150: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B
160: 통신망170: 이동통신 고객 DB160: communication network 170: mobile communication customer DB
180: SMS 서버180: SMS serv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30055547AKR100532676B1 (en) | 2003-08-11 | 2003-08-11 | 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30055547AKR100532676B1 (en) | 2003-08-11 | 2003-08-11 | 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17256Atrue KR20050017256A (en) | 2005-02-22 |
| KR100532676B1 KR100532676B1 (en) | 2005-12-0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030055547AExpired - Fee RelatedKR100532676B1 (en) | 2003-08-11 | 2003-08-11 | 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3267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76725B1 (en)* | 2003-12-26 | 2006-05-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Location Policy Management Method and Location Policy Management Device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 KR100645173B1 (en)* | 2005-07-25 | 2006-11-10 | (주) 엘지텔레콤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vouch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KR100689513B1 (en)* | 2005-09-30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0869663B1 (en)* | 2006-10-12 | 2008-11-21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WO2010080156A1 (en)* | 2009-01-09 | 2010-07-15 | Mobile Traffic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KR100971679B1 (en)* | 2008-04-16 | 2010-07-22 |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 Parking guidance service system using mobile phone number monitoring |
| KR101067326B1 (en)* | 2009-05-14 | 2011-09-23 | 이원석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8099113B2 (en) | 2008-01-08 | 2012-01-17 | Global Alert Network, Inc. | Passive traffic alert and communication system |
| US8126479B2 (en) | 2008-01-08 | 2012-02-28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126480B2 (en) | 2008-01-08 | 2012-02-28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301112B2 (en) | 2008-01-08 | 2012-10-30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KR101335012B1 (en)* | 2009-10-08 | 2013-11-2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erver for location regist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zone base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US8832199B2 (en) | 2011-05-04 | 2014-09-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
| KR20230029085A (en)* | 2021-08-23 | 2023-03-03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2P message to a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area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76725B1 (en)* | 2003-12-26 | 2006-05-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Location Policy Management Method and Location Policy Management Device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 KR100645173B1 (en)* | 2005-07-25 | 2006-11-10 | (주) 엘지텔레콤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vouch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KR100689513B1 (en)* | 2005-09-30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0869663B1 (en)* | 2006-10-12 | 2008-11-21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US8306555B2 (en) | 2008-01-08 | 2012-11-06 | Global Alert Network, Inc. | Passive traffic alert and communication system |
| US8306503B2 (en) | 2008-01-08 | 2012-11-06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594707B2 (en) | 2008-01-08 | 2013-11-26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099113B2 (en) | 2008-01-08 | 2012-01-17 | Global Alert Network, Inc. | Passive traffic alert and communication system |
| US8126479B2 (en) | 2008-01-08 | 2012-02-28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126480B2 (en) | 2008-01-08 | 2012-02-28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301112B2 (en) | 2008-01-08 | 2012-10-30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US8423048B2 (en) | 2008-01-08 | 2013-04-16 | Global Alert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KR100971679B1 (en)* | 2008-04-16 | 2010-07-22 |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 Parking guidance service system using mobile phone number monitoring |
| WO2010080156A1 (en)* | 2009-01-09 | 2010-07-15 | Mobile Traffic Network, Inc. | Mobile alerting network |
| KR101067326B1 (en)* | 2009-05-14 | 2011-09-23 | 이원석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1335012B1 (en)* | 2009-10-08 | 2013-11-2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erver for location regist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zone base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US8832199B2 (en) | 2011-05-04 | 2014-09-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
| KR20230029085A (en)* | 2021-08-23 | 2023-03-03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2P message to a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area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532676B1 (en) | 2005-12-01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32676B1 (en) | 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 |
| US8244241B2 (en) | WLAN network information caching | |
| KR100492970B1 (en) | A wireless network system capable of track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and a method for tracking a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 |
| CN101189891B (en) | Advanced triggers for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s in Wireless Location Systems | |
| JP4202599B2 (en) | Changing the mobile subscriber service profile | |
| US20150181549A1 (en) | Mobile device locating using long term evolution signals | |
| US20040242240A1 (en) | Location assisted communications mode switching | |
| DK1119211T3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specific services to GSM / PCS subscribers | |
| US8929912B1 (en) | Address validation for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 |
| HUP0000250A2 (en) | Address retrieval system | |
| CN103493456A (en) | A method of and a support node for requesting registration of stationary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 |
| CN101170612A (en) |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a designated call to a cellular telephone | |
| KR20090112359A (en) | Location based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
| JP2024161222A (en) |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server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location identification method used therein | |
| KR100784288B1 (en) | Location based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
| US2008012514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ring setting reminders to mobile device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 |
| ES235467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local marketing at the point of sale | |
| KR101715928B1 (en) | Method, system and server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temporary location | |
| KR20060134023A (en) | Location awareness system and method | |
| US2009002972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resence information with regard to people visiting an area of interest | |
| KR10053267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visitors recognition | |
| CN108076033A (en) | Bus information inquir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 US20060058044A1 (en) | Mobile station repaging method and apparatus | |
| ES2516646T3 (en) | Control of use of services in communication networks | |
| KR20070073150A (en) |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21101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1101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51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511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