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고안의 실시예는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독립공간, 실내주차구역 및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건물 및 상기 건물들이 군집된 단지의 출입통제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an indoor parking area and an elevator, ≪ / RTI >
최근에는 보안 상의 이유로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단지 등에는 출입문 마다 비밀번호 또는 지문 등을 입력하여 설정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출입통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In recent years, an access control system has been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a commercial complex in an apartment complex or a commercial complex for unlocking a door when a password or a fingerprint is inputted for each door to match the setting information.
그러나, 건물 또는 단지로 출입이 잦은 인력에 대해서는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다. 이는 현재와 같이 편의성을 추구하는 환경에서 출입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However, the process of unlocking a door can be quite cumbersome for people with frequent access to buildings or complexes. This can be a factor that increases the inconvenience of the passengers in the convenience-oriented environment.
본 고안은 보안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출입 및 건물 내 부대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rs to access and facilities in a building while maintaining secur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독립공간, 실내주차구역 및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건물 및 상기 건물들이 군집된 단지의 출입통제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으로, 휴대단말기; 및 상기 건물 및 상기 단지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무선 제어에 따라 상기 건물 및 상기 단지의 출입문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독립공간의 출입문에 대한 잠금상태정보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각각 제공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단지의 출입문 잠금 해제용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버튼부; 상기 건물의 출입문 잠금 해제용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버튼부; 상기 독립공간의 출입문 잠금 해제용 제3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버튼부; 상기 실내주차구역 내에서 상기 관리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4 버튼부; 상기 건물 내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위치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5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5 버튼부; 상기 독립공간의 출입문 잠금상태와 상기 위치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관리부로 전송하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관리부로 전송하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부로부터 상기 잠금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제4 신호를 상기 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리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5 신호를 상기 관리부로 전송하는 제5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a building including an indoor parking area and an elevator, A mobile terminal; And lock and unlock doors and doors of the building and the complex according to the wireless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complex, and provide lock state information on the doors of the independent spac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And a management unit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first button unit for generating a first signal for unlocking a door of the complex; A second button unit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for unlocking a door of the building; A third button for generating a third signal for unlocking the door of the independent space; A fourth button for generating a fourth signal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anagement unit in the indoor parking zone and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 fifth button for generating a fifth signal for moving the elevator to a floor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buil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oor lock stat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dependent space, respectively; A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management unit; A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management unit; A thir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third signal to the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lock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and transmits the lock status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A four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ourth signal to the management unit and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anagement unit in response to the fourth signal; And a fif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fth signal to the management unit.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our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제4 버튼부는 버튼조작패턴에 따라 상기 제4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4 신호가 발생되면 기저장된 정보가 삭제되고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fourth button unit may generate the fourth signal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pattern or instruct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memory unit may store the pre-stored information when the fourth signal is generated It can be deleted and new information can be stored.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단지의 출입문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지의 출입문 잠금을 해제하는 단지 출입관리부; 상기 건물의 출입문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건물의 출입문 잠금을 해제하는 건물 출입관리부; 상기 독립공간의 출입문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독립공간의 출입문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독립공간의 출입문의 잠금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독립공간 출입관리부; 상기 실내주차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주차 위치정보 관리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측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부는,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 중 가장 큰 강도의 신호가 수신된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가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한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가 설치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Also, the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n access management unit installed at an access door side of the complex, the access control unit receiving the first signal and releasing the door lock of the complex; A building access control unit installed on an entrance side of the building for receiving the second signal and unlocking a door of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of the independent space to release the door lock of the independent space by receiving the third signal and automatically inform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of the independent space, Management; A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nstalled in the indoor parking zone, receiving the fourth signal,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fourth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four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n elevator managemen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vator unit management units installed on the doorway side of the elevator, wherein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signal of the highest intensity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 unit management units, Signal, and can move the elevator to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unit management unit receiving the fifth signal is installed.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관리부는 지그비(Zigbee)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Als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anagement unit can communicate using Zigbee o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본 고안에 따른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은 출입구의 잠금 해제와 엘리베이터 호출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입구 잠금 해제를 위해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엘리베이터 호출을 위해 직접 엘리베이터 입구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수고를 줄여줌으로써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건물 내 출입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access control can control the unlocking of the doorway and the elevator call wireless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and trouble required to directly enter the password for unlocking the doorway or to move directly to the elevator door for the elevator cal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accessing the building while maintaining the security.
또한, 차량의 주차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건물 내 부대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ful when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can not be memorized,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build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주차구역 내에서 사용자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무선으로 호출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vehicle in an indoor parking zon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wirelessly calling an elevato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applicant will now describe in detail the construc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1000)은 휴대단말기(100)와 관리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access control integrated
상기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1000)은 다수의 독립공간, 실내주차구역 및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건물 및 상기 건물들이 군집된 단지의 출입통제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상기 건물은 아파트 건물을 의미하고, 상기 단지는 아파트 단지를 의미하며, 상기 독립공간은 아파트 건물 내 독립된 주거구역 또는 주거공간으로 정의되는 주택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1000)을 상술한 바와 같이 아파트에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업용 건물이 군집된 단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1000)을 아파트 단지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access control integrated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및 상기 조작에 의한 정보 표시가 가능한 단말부(110), 상기 관리부(200)와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20), 및 상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100)는 자동차용 스마트 키 또는 리모컨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he
상기 단말부(110)는 제1 내지 제5 버튼부(111, 112, 113, 114, 115)와 표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말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 설정될 경우,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추가 버튼부(117),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팩(118) 그리고, 충전 케이블(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118)에 전기적 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포트(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버튼부(111)는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1 무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아파트 단지의 출입문은 출입차단기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출입차단기와 연동하여 상기 출입차단기와 근접한 입구부분에서 상기 제1 버튼부(111)를 누름으로써 상기 출입차단기를 오픈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2 버튼부(112)는 아파트 건물의 공동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2 무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공동현관 출입문에는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도어락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락과 근접한 공동현관 입구부분에서 상기 제2 버튼부(112)를 누름으로써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3 버튼부(113)는 아파트 건물 내 개별주택의 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3 무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별주택의 출입문에는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와 근접한 위치(예를 들어 집 안이나 현관 바깥쪽)에서 각각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무선신호는 도어락 장치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무선신호는 주택 별로 고유한 신호정보를 가져야 한다. 즉, 서로 다른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제3 무선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정보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The
상기 제4 버튼부(114)는 아파트 건물의 실내주차구역에 설치된 상기 관리부(200)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무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버튼부(114)는 상기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표시부(116)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 버튼부(114)는 버튼조작패턴에 따라 상기 제4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버튼부(114)를 한 번 누르면 상기 제4 무선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제4 버튼부(114)를 두 번 누르면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표시부(116)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버튼부(114)를 짧게 한 번 누르면 상기 제4 무선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제4 버튼부(114)를 길게 누르면(약 2-3초),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표시부(116)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4 버튼부(114)의 버튼조작패턴에 따라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버튼부(114)는 현재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구역 내에서 어디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제5 버튼부(115)는 아파트 건물 내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5 무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파트 건물의 엘리베이터 출입문 마다 엘리베이터 관리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The
상기 표시부(116)는 개별주택의 현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현관 출입문의 잠금상태정보와 상기 제4 버튼부(114)의 조작에 의한 주차위치정보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잠금상태정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6)의 하단에 “OPEN” 또는 “CLOSE”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 출입문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 “OPEN”에 점등이 되고, 현관 출입문이 잠긴 경우 “CLOSE”에 점등이 될 수 있다.The
상기 무선통신부(120)는 제1 내지 제5 근거리무선통신부(121, 122, 123, 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21)는 상기 제1 버튼부(111)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상기 관리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관리부(200)는 아파트 단지의 출입 차단기에 설치되어 차단기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short range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122)는 상기 제2 버튼부(112)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상기 관리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관리부(200)는 아파트 공동현관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short range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123)는 상기 제3 버튼부(113)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3 무선신호를 상기 관리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부(200)로부터 개별주택 현관 출입문의 잠금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16)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200)는 아파트 개별주택의 현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third short range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124)는 상기 제4 버튼부(114)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4 무선신호를 상기 관리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4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관리부(200)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버튼부(114)는 상기 제4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패턴과 상이한 조작패턴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상기 표시부(116)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fourth short range
상기 제5 근거리무선통신부(125)는 상기 제5 버튼부(115)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5 무선신호를 상기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fth short range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제4 버튼부(114)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4 무선신호가 발생되면 이전에 저장된 위치정보는 삭제되고 새롭게 수신된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상기 관리부(200)는 아파트 건물 및 단지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무선 제어에 따라 아파트 건물 및 단지의 출입문 잠금을 해제하고, 아파트 개별주택의 현관 출입문에 대한 잠금상태정보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각각 제공하며, 아파트 건물 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상기 관리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출입관리부(210), 건물 출입관리부(220), 독립공간 출입관리부(230), 주차위치정보 관리부(240)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상기 단지 출입관리부(210)는 아파트 단지의 출입 차단기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버튼부(111)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출입 차단기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출입 차단기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을 가지고 아파트 단지 안으로 진입하고자 할 때, 출입 차단기 앞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1 버튼부(111)를 누르면 상기 단지 출입관리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출입 차단기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아파트 단지 출입구 앞에서 차량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상기 건물 출입관리부(220)는 아파트 건물의 공동현관 출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버튼부(112)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공동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공동현관 출입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아파트 건물의 공동현관 출입구 앞에서 아파트 건물 내부로 들어가고자 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2 버튼부(112)를 누르면 상기 건물 출입관리부(22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공동현관 출입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동현관 출입문을 열기 위해 공동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building
상기 독립공간 출입관리부(230)는 개별주택의 현관 출입문 측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제3 버튼부(113)에 의해 발생되는 제3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3 무선신호는 도어락 장치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독립공간 출입관리부(230)는 상기 제3 무선신호가 입력되면 기 등록된 비밀번호 일치 여부와 관계 없이 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주택 내부로 들어가거나 주택 내에서 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키고자 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3 버튼부(113)를 누르면 상기 독립공간 출입관리부(23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신신호를 인식하여 출입문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The independent space
한편, 상기 독립공간 출입관리부(230)는 현관 출입문의 잠금상태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독립공간 출입관리부(230)는 현관 출입문의 잠금상태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현관 출입문의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상태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16)를 통해 현관 출입문의 현재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dependent space
상기 주차 위치정보 관리부(240)는 실내주차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4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4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이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124)로 전송할 수 있다.The parking position
도 2에는 실내주차구역(10) 내에서 사용자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 위치정보 관리부(240)는 주차구역(A-1~A-3, B-1~B-3, C-1~C-3) 별로 다수의 주차 위치정보 단위관리부(a11~a14, a21~a24, a31~a34, b11~b14, b21~b24, b31~ab4, c11~c14, c21~c24, c31~c34)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후 그 차량이 어느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기록하고자 할 때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4 버튼부(114)를 한 번 누르면(또는 약 1초 정도 짧게 누름),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4 무신신호가 출력되고, 현재 휴대단말기(100)와 가장 가까이 위치되어 있는 주차 위치정보 단위관리부(b24)가 상기 제4 무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무선신호를 수신한 주차 위치정보 단위관리부(b24)는 수신된 제4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주차구역에 대한 위치정보(B-2)를 상기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주차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130)는 기존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고 새롭게 입력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2 shows a method of receiving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in the
이후 사용자는 차량 운행을 위해 주차구역(10)으로 들어왔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4 버튼부(114)를 두 번 누르면(또는 약 2-3초 길게 누름), 현재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주차위치정보(B-2)를 읽어와 상기 표시부(116)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주차위치정보는 상기 표시부(116)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enters the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부(250)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3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무선으로 호출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부(250)는 제1 내지 제N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250_1, 250_2, 250_3, 250_4, 250_5, 250_6, … 250_N)를 포함할 수 있다.FIG. 3 illustrates a method of wirelessly calling an elevator using the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5 버튼부(115)를 누르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5 무선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부(250)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250_1, 250_2, 250_3, 250_4, 250_5, 250_6, … 250_N)를 통해 상기 제5 무선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는데, 이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가 상기 제5 무선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가 설치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5층에 위치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와의 직선 거리가 가장 짧은 5층에 설치된 제5 엘리베이터 단위관리부(250_5)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가장 크므로,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부(250)는 이를 판단하여 엘리베이터(20)를 5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파트 건물 내 현재 위치(특히 집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입구까지 이동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여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When the user holding the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관리부(200)는 지그비(Zigbee)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상용되는 모든 근거리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본 고안에 따르면 출입구의 잠금 해제와 엘리베이터 호출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입구 잠금 해제를 위해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엘리베이터 호출을 위해 직접 엘리베이터 입구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수고를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외부인의 주택 내 출입 허용을 위해 현관 출입문까지 이동할 필요 없이 집안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현관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locking of the doorway and the elevator call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reducing the time and labor required for directly entering the password for unlocking the doorway or moving the elevator door directly to the elevator call . In particular, since the user can unlock the doorway door through the simple operation of the
또한, 차량의 주차위치를 저장 및 확인시켜 줌으로써 장기간 주차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의 주차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storing and confirming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it is useful when the user can not memoriz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park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ch can increase convenience for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0: 출입통제 통합제어시스템100: 단말부
111: 제1 버튼부112: 제2 버튼부
113: 제3 버튼부114: 제4 버튼부
115: 제5 버튼부116: 표시부
117: 추가 버튼부118: 배터리 팩
119: 충전포트120: 무선통신부
121: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22: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123: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124: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
125: 제5 근거리무선통신부130: 메모리부
200: 관리부210: 단지 출입관리부
220: 건물 출입관리부230: 독립공간 출입관리부
240: 주차 위치정보 관리부250: 엘리베이터 관리부1000: access control integrated control system 100:
111: first button portion 112: second button portion
113: third button portion 114: fourth button portion
115: fifth button portion 116: display portion
117: additional button unit 118: battery pack
119: Charging port 1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3: thir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 four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 fif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emory unit
200: management unit 210:
220: Building access control unit 230: Independent space access control unit
240: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50: elevator management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0208UKR200477007Y1 (en) | 2015-01-12 | 2015-01-12 | Integ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0208UKR200477007Y1 (en) | 2015-01-12 | 2015-01-12 | Integ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77007Y1true KR200477007Y1 (en) | 2015-05-1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50000208UExpired - Fee RelatedKR200477007Y1 (en) | 2015-01-12 | 2015-01-12 | Integ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7007Y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31990B1 (en)* | 2020-06-24 | 2021-03-26 | (주)씨앤에스링크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door using portable terminal |
| KR102334127B1 (en)* | 2021-07-16 | 2021-12-03 | (주)오토게이트 |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breaker using bluetooth |
| KR102334133B1 (en)* | 2021-07-16 | 2021-12-03 | (주)오토게이트 |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breaker using internet or wifi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09298A (en)* | 2002-07-23 | 2004-01-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a parking place of car |
| KR200361322Y1 (en)* | 2004-06-14 | 2004-09-08 | 남효덕 | Door rock control apparatus using mobile phone |
| KR200410121Y1 (en)* | 2005-12-22 | 2006-03-06 | (주) 오알이 | Wireless door opener |
| KR20110072027A (en)* | 2009-12-22 | 2011-06-29 | 엄태준 | Residential complex integrated control system using RFID smart ke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09298A (en)* | 2002-07-23 | 2004-01-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a parking place of car |
| KR200361322Y1 (en)* | 2004-06-14 | 2004-09-08 | 남효덕 | Door rock control apparatus using mobile phone |
| KR200410121Y1 (en)* | 2005-12-22 | 2006-03-06 | (주) 오알이 | Wireless door opener |
| KR20110072027A (en)* | 2009-12-22 | 2011-06-29 | 엄태준 | Residential complex integrated control system using RFID smart ke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31990B1 (en)* | 2020-06-24 | 2021-03-26 | (주)씨앤에스링크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door using portable terminal |
| KR102334127B1 (en)* | 2021-07-16 | 2021-12-03 | (주)오토게이트 |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breaker using bluetooth |
| KR102334133B1 (en)* | 2021-07-16 | 2021-12-03 | (주)오토게이트 |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breaker using internet or wifi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87342B1 (en) | visitors monitoring system in apartment house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 |
| CN100498847C (en) | Method for the exchange of data | |
| US20170332055A1 (en) | Door lock and door security system | |
| US20120305340A1 (en) | Elevator, floor, and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 |
| CN110719883B (en) | Elevator system with visitor working mode | |
| US20020025803A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us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 |
| JP2014202042A (en) | Control device of mechanical parking system equipment, mechanical parking system equipment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mechanical parking system equipment | |
| CN102542641A (en) | Door control system for building | |
| KR101556846B1 (en) | Smart door lock system | |
| KR200477007Y1 (en) | Integ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 |
| KR20190001239A (en) | Room Management System of Hotel by Using Facial Imag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 |
| KR100643564B1 (en) | Parking position reader with emergency cal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of common convenience facilities using the same | |
| KR20180076169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common entrance | |
| CN113678177A (en) | Security enhancement door lock and access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 |
| JP2011063417A (en) | Elevator system | |
| US20120200387A1 (en) | Digital access control system | |
| CN109219682B (en) | Electronic locking systems and electronic locking devices | |
| KR100869293B1 (en) | Integrated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key holder card | |
| KR10254580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push-pull open/close door lock for IoT control of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automatic access | |
| KR101514729B1 (en) | Smart key System for vehicles | |
| KR102101629B1 (en) | Integrated home net management system | |
| KR20210094291A (en) | Control method for iot smart door rock and control system of iot smart door rock for realizing the control method | |
| JP7352669B2 (en) | Automatic lock/unlock system and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 programs for mobile terminals | |
| JP6826405B2 (en) | Automatic door controller | |
| KR20090012800U (en) | Door lock device for reading room access contro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UA0201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201804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8042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