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고안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다른 책상 또는 파티션 등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that can easily be mounted on a desk or a partition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to mount the mobile device.
현대인에게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물건이 되었다.For modern peopl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ave become a thing that users always carry.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는 책상, 차량 등에 고정한 후, 상단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책상 등에 고정하기 위해 집게 형태의 고정부가 설치된다.Conventionally,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is fixed to a desk, a vehicle, etc., and then a mobile device is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그런데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배치된 고정부는 책상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운 경우, 책상의 상판을 물을 수가 없고, 지나치게 얇은 경우 집게 형태의 고정부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이 약해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device, when the thickness of the desk is excessively thick, the fixing part disposed on the mobile device can not water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when the desk is too thin,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clamp- .
본 고안은 두께가 다른 책상 또는 파티션 등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which can easily be mounted on a desk or a partition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to mount the mobile device.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운트모듈(10); 상기 마운트모듈(10)에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가 거치되는 헤드모듈(30); 상기 마운트모듈(10) 및 헤드모듈(30)을 연결시키는 커넥트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모듈(30)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와 접촉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60)가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를 제공한다.A mount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ount module (10) secured to a structure; A head module (30) connected to the mount module (10) and on which the mobile device (1) is mounted; And a
상기 마운트모듈(10)은 상기 커넥트모듈(20)의 단측에 고정된 제 1 마운트(40); 상기 제 1 마운트(4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마운트(40)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 1 마운트 또는 상기 커넥트모듈(2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마운트(50); 상기 제 1, 2 마운트(40)(50)에 형성되고,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 1 마운트(40) 및 제 2 마운트(50)를 상대이동시키는 나사결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 module (10) includes a first mount (40) fixed to the end side of the connect module (20); A second mount (50) coupled to the first mount (4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 (40) and moved along the first mount or the connect module (20); And a threaded
상기 제 1 마운트(40)는 상기 커넥트모듈(20)에 고정된 제 1 가이드부(42); 상기 제 1 가이드부(42)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2)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 1 지지부(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운트(50)는 상기 제 1 가이드부(42)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42)의 외주측에서 상대 회전되는 제 2 가이드부(52); 상기 제 2 가이드부(52)에 연결되어 조립되고, 상기 구조물(2)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52)와 상대 회전되는 제 2 지지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42)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결합부(15)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결합부(15)의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unt (40) includes a first guide part (42) fixed to the connect module (20); And a
상기 슬립방지부재(6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헤드모듈(30)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헤드모듈(30)의 내측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The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제 1 고정부(32); 상기 제 1 고정부(32)와 조립되어 집게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고정부(3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제 2 고정부(34); 상기 제 1, 2 고정부(32)(3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고정부(32)(3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6);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부(32)에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고정부(34)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가 거치될 때 마찰력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림방지부재(60);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first fixing part (32); A second fixing part (34) assembl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32) to form a clamping shape and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part (32); An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는 제 1, 2 마운트(40)(50)가 상대 이동되면서 구조물에 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의 두께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는 탄성부재에 의해 조여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헤드모듈(30)에 슬립방지부재(60)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헤드모듈(30) 내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슬립되거나 분리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for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도 1은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헤드모듈이 도시된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모듈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헤드모듈의 작동예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마운팅모듈의 확대 정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module of Figure 1,
Fig.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head module shown in Fig. 2
Fig. 5 is an operational example of the head module shown in Fig. 4
Fig.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ounting module shown in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t is to be noted that when the portions to be displayed differ, the reference signs do not coincid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헤드모듈이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모듈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헤드모듈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마운팅모듈의 확대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module of Fig. 1, Fig. 5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head module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ounting module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를 위한 거치대는 책상, 차량 등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운트모듈(10)과, 상기 마운트모듈(10)에 연결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가 거치되는 헤드모듈(30)과, 상기 마운트모듈(10) 및 헤드모듈(30)을 연결시키는 커넥트모듈(20)을 포함한다.As shown, the stand for the
상기 마운트모듈(10)은 상기 커넥트모듈(20)의 단측에 고정된 제 1 마운트(40)와, 상기 제 1 마운트(4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마운트(40)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마운트 또는 상기 커넥트모듈(2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마운트(50)와, 상기 제 1, 2 마운트(40)(50)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 마운트(40)(50)를 나사결합시키는 나사결합부(15)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마운트(40)는 상기 커넥트모듈(20)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나사결합부(15)인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1 가이드부(42)와, 상기 제 1 가이드부(42)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책상과 같은 구조물(2)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 1 지지부(44)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 1 가이드부(4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제 1, 2 마운트(40)(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Here, the first and
상기 제 2 마운트(50)는 상기 커넥트모듈(20) 또는 상기 제 1 마운트(40)를 따라 이동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마운트(40)와 나사결합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그래서 상기 제 2 마운트(50)는 상기 제 1 가이드부(42)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가이드부(52)와, 상기 제 2 가이드부(5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2 지지부(54)를 포함한다.Therefore, the
여기서 상기 제 2 가이드부(52)는 상기 제 2 지지부(54)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부(54)가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
즉, 상기 제 2 가이드부(52)가 회전되면 암나사산 및 수나사산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제 2 마운트(5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고, 상기 제 2 마운트(50)의 하강 시 상기 제 1 마운트(40) 측으로 밀착되면서 구조물(2)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특히 상기 제 1, 2 마운트(40)(50)가 상대 이동되어 상기 구조물(2)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2)의 두께와 무관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and
상기 헤드모듈(30)은 결합되어 집게 형태로 형성된 제 1, 2 고정부(32)(34)와, 상기 제 1, 2 고정부(32)(3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고정부(32)(3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6)와,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부(32)에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고정부(34) 내측에 고정된 슬림방지부재(60)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 1, 2 고정부재(32)(34) 및 탄성부재(36)는 조립되어 집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2 고정부(32)(34)가 오므려지도록 회전된다.The first and
여기서 상기 제 1, 2 고정부재(32)(34)는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된다.Here, a stopper (not shown) is formed to prevent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34)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고정 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리브(37)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슬립방지부재(60)는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에 마찰을 제공하여 상기 탄성력이 제공될 때 상기 제 1, 2 고정부재(32)(34)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이를 위해 상기 슬립방지부재(60)의 상단은 상기 제 2 고정부(34)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 1 고정부(32) 내측에 고정된 밴드 형상이다.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상단 및 하단엔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상측걸림부(62) 및 하측걸림부(64)가 각각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upper and
그래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가 제 1, 2 고정부(32)(34)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슬립방지부재(60)의 마찰력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상기 상측걸림부(62) 및 하측걸림부(64)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의 뒷면을 지지하여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when the
특히 상기 슬립방지부재(60)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2 고정부(32)(34) 내측 공간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의 뒷면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상기 커넥트모듈(20)은 사용자가 상기 헤드모듈(30)을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위치시키기 위해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connect
즉, 차량용 거치대인 경우, 상기 헤드모듈(30)을 사용하되, 상기 마운트모듈(10) 대신 공기의 압축력을 이용하거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vehicle mount, the
한편, 상기 헤드모듈(30)에는 LED와 같은 조명 또는 야광부재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LED를 통해 야간에 상기 헤드모듈(3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1 : 모바일 디바이스2 : 구조물
10 : 마운트모듈20 : 커넥트모듈
30 : 헤드모듈32 : 제 1 고정부
34 : 제 2 고정부36 : 탄성부재
40 : 제 1 마운트50 : 제 2 마운트
60 : 슬립방지부재62 : 상측 걸림부
64 : 하측 걸림부1: Mobile device 2: Structure
10: Mount module 20: Connect module
30: head module 32: first fixing part
34: second fixing part 36: elastic member
40: first mount 50: second mount
60: slip prevention member 62:
6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1652UKR200474301Y1 (en) | 2014-03-03 | 2014-03-03 | Holder for mobile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1652UKR200474301Y1 (en) | 2014-03-03 | 2014-03-03 | Holder for mobile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74301Y1true KR200474301Y1 (en) | 2014-09-0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40001652UExpired - LifetimeKR200474301Y1 (en) | 2014-03-03 | 2014-03-03 | Holder for mobile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4301Y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35634B1 (en) | 2014-09-04 | 2017-05-15 | 백종덕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20200028656A (en)* | 2018-09-07 | 2020-03-17 | 용석현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20240001543U (en)* | 2023-03-10 | 2024-09-20 | 소남우 | Rechargeable phone cradle with tightening parts |
| KR20240001577U (en)* | 2023-03-16 | 2024-09-24 | 소남우 | Rechargeable phone cradle having a charge-filled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121575A (en)* | 2011-04-27 | 2012-11-06 | (주)에너브레인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KR20130028847A (en)* | 2011-09-10 | 2013-03-20 | 최세중 |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crad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121575A (en)* | 2011-04-27 | 2012-11-06 | (주)에너브레인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KR20130028847A (en)* | 2011-09-10 | 2013-03-20 | 최세중 |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crad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35634B1 (en) | 2014-09-04 | 2017-05-15 | 백종덕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20200028656A (en)* | 2018-09-07 | 2020-03-17 | 용석현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20240001543U (en)* | 2023-03-10 | 2024-09-20 | 소남우 | Rechargeable phone cradle with tightening parts |
| KR200498884Y1 (en)* | 2023-03-10 | 2025-02-28 | 소남우 | Rechargeable phone cradle with tightening parts |
| KR20240001577U (en)* | 2023-03-16 | 2024-09-24 | 소남우 | Rechargeable phone cradle having a charge-filled structure |
| KR200499494Y1 (en)* | 2023-03-16 | 2025-08-18 | 소남우 | Rechargeable phone cradle having a charge-filled structur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85702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stand thereof | |
| US8201782B2 (en) | Height adjustable stand and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the same | |
| KR200474301Y1 (en) | Holder for mobile device | |
| KR101661686B1 (en) | adhesive type goods cradle | |
| US8720837B2 (en) | Support frame for electronic device | |
| US20160249471A1 (en) | Curvature-adjustable curved display device | |
| WO2016090126A3 (en) | Display mirror assembly | |
| WO2005069992A3 (en) | Universal projector mount | |
| RU2015144108A (en) | ACCESSORIES AND DEVICES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 |
| US20120186499A1 (en) | Object holding table | |
| US9057479B2 (en) | Wall-mounted aiding mechanism and wall-mounted device | |
| EP2444873A3 (en) | Support assembly and computer device having the same | |
| WO2013189366A3 (en) | Front-case and front-case structure of terminal | |
| USD798992S1 (en) | Stealth IV molded tank assembly | |
| US7986512B2 (en) | Electronic device frame with support mechanism | |
| TW201624176A (en) | All-in-one machine | |
| US8491245B2 (en) | Positioning assembly | |
| ATE538695T1 (en) | SUPPORT STRUCTURE FOR DISPLAY DEVICES | |
| US9930964B2 (en) | Shelf | |
| USD599003S1 (en) | Ceiling fan housing | |
| CN204176266U (en) | a kind of clip | |
| JP3175788U (en) | Mobile device case fixing protection structure | |
| USD720383S1 (en) | Speargun camera holder assembly | |
| KR20130071039A (en) | Supporter for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 |
| US8763964B2 (en) | Support bracket for electronic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A01011R08D Patent event date:20140303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40319 Patent event code:UA03012R01D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40303 Patent event code:UA03011R01I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UE09021S01D Patent event date:20140508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20140822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E07011S01D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20140829 Patent event code:UR07011E01D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1 End annual number:3 Payment date:201409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U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UJ02042R01D Patent event date:20150430 Request date:20150430 Appeal kind category: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2015100003027 |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Free format text: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430 Effective date:20150512 | |
| UJ1201 | Withdrawal of trial | Patent event code:UJ12011R01D Patent event date:20150512 Comment text: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2015100003027 Decision date:20150512 Request date:20150430 Appeal kind category:Invalid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830 Year of fee payment: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830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822 Year of fee payment: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0822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828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826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824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830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