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고안은 직립모다발과 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금니나 사랑니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칫솔로는 닦기 어려운 곳도 용이하게 닦을 수 있으며, 치아가 자라면서 옆으로 조금 벌어져 둔각으로 형성된 각도만큼 칫솔모도 둔각으로 형성하여 세로로 양치를 하는 종마법으로 칫솔질을 할 때 치면의 치아결 및 치간의 방향과 일치하게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치아표면과 치간부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 효과를 높인 새로운 형태의 직립모다발과 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n upright tuft and a chewing gum bundl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wipe a toothbrush which is difficult to be wiped with a general shape toothbrush such as a molar tooth or a wisdom tooth, The bristles are formed in an obtuse angle by an angle formed by the angle formed by the tooth surface and the teeth, so that brush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eeth of the tooth surface when brushing is performed with the spatul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 floss structure of a new type of upright hair bundle and a chelate hair bundle.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치면이나 어금니, 사랑니 그리고 치아와 치아 사이인 치간부 등의 모든 부위에까지 칫솔이 도달하여 효과적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져야 하며, 치아가 성장하면서 형성된 치아의 각도와 치면의 치아결 그리고 치간의 각도에 맞추어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칫솔모를 형성한 칫솔을 사용하여야 가장 효율적으로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다. 즉, 구강구조 상 어금니나 사랑니가 있는 안쪽부분은 좁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칫솔헤드에 식모된 칫솔모다발이 다른 형태를 가져야 하며, 또한 치아가 성장하면서 둔각으로 치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치간부의 각도와 치면의 결이 형성되므로 이에 맞추어 칫솔모다발의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Effective removal of plaq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maintain healthy teeth.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the plaque, the toothbrush must reach the tooth surface, the molar teeth, the wisdom teeth, and all the parts such as the teeth between the tooth and the teeth, so that the toothbrush must be effectively performed. The tooth angle formed by the growth of teeth, The bristles formed with the bristles may be used most effectively to remove the plaque. In other words, since the inner part with the molar or wisdom tooth is narrow in the oral structure, the bundle of bristles implanted in the head of the toothbrush must have a different shape, and the tooth is formed with the obtuse angle as the tooth grows, So that the shape of the bristles must be formed.
그러나 종래 칫솔의 대부분은 칫솔헤드 모다발이 직립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강구조상 치면의 결 및 치아의 형성 각도와 칫솔의 식모구조가 일치하지 않아 치면 및 치간부의 프라그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또한 어금니 구석까지 칫솔모가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적인 칫솔질이 되지 못한다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However, most toothbrushes of the prior art consist only of the teeth of the toothbrush head. Therefore, the teeth structure and the tooth structure of the toothbrush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The brush bristles can not reach the bristles and the above-mentioned effective brushing can not be achieved.
그리하여 이와 같은 어금니 양치 시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만든 칫솔이 한국 특허등록 제592089호에 의해 제안되고 있는바 칫솔 식모부의 전단부가 칫솔대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칫솔모 형상을 만들어주어 어금니 양치 시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만든 칫솔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칫솔은 어금니 위쪽 양치시에는 효과적이나 큰어금니와 작은어금니 사이의 치간부의 양치시에는 양치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어금니 치간부의 프라그를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A toothbrush which has been proposed b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592089 to make it act effectively when brushing teeth like this is proposed. The toothbrush which made the front end of the toothbrush bristle portion to make a bristle shape at an incl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toothbrush, Developed. However, such a toothbrush is effective when brushing the upper molar teeth. However, when tooth brushing between the large molar and the small molar tooth is performed, the toothbrush is not easily performed, which is not effective in removing the plaque of the molar tooth.
한편, 본 출원인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06545호에 의해 제안한 것과 같이 칫솔모다발을 삼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식모한 칫솔은 치간부의 프라그 제거에 도움을 주고 있으나 칫솔모다발이 직립하여 식모되어 있어서 사람의 구강구조상 치아의 형성각도에 맞추어지지 않아 치면 및 치간부의 프라그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더우기 칫솔질을 할 때 치솔모다발의 진행방향이 치면의 결에 맞추어지지 않아 오랜기간 칫솔질을 할 경우에는 치면의 사기질이 마모되어 치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as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6545 by the present applicant, a toothbrush having a triangular or rhombic shape of a bundle of bristles has helped to remove plaque in the teeth, but the bundle of bristles stands upright, It is not effective to remove the plaque on the tooth surface and the tibial part. Moreover, when the toothbrushing is performed, the direction of the progress of the dental prosthesis is not aligned with the tooth surface. In case of brush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becomes weak.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어금니 치간부의 칫솔질이 효과적으로 되도록 칫솔헤드의 전단부 모다발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동시에 여러 개로 나누어 구성하며, 치아가 성장하면서 둔각을 이루며 형성된 각도만큼 칫솔모도 둔각으로 식모하여 세로로 양치를 하는 종마법으로 칫솔질을 할 때 치면의 치아결 및 치간의 방향과 일치하게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치면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치면과 치간부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칫솔모다발의 배치 각도와 형상을 설정한 새로운 형태의 직립모다발과 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head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a front end of a toothbrush head is inclined forward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eeth, Brush bristles brushing in the direction of the teeth tooth and teeth when brushing with bristle brushing with vertical bristle brushing with an obtuse angle as much as angle, minimizing the wear of the tooth surface and facilitating the plaque of the tooth surface and tee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having a flap structure of a pair of upright tufts and a pair of cheeks in which the angle and shape of the bundle of bristles are set so that the tufts can be rem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식모면에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다발이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in which various types of bristle tufts are worn on the wrist surface,
상기 식모면의 전단부(1)에는 식모면에 내린 수직선에 대하여 5~10도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여러 개로 나누어진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전방경사모다발(11)과;A front beveled bundle (11) which is inclined forward by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drawn down on a wicking surface and which has a bundle of bristles on a plurality of divided bellows holes;
상기 전단부(1)의 후방에 위치한 중앙부(2)에는 칫솔의 길이방향인 x축과 칫솔헤드의 전단으로부터 2/3 지점의 y축이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점(o)으로 한 제1원호(21) 상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직립하여 식모한 직립모다발(212)과;A
상기 중앙부(2) 제1원호(21) 외측의 원호(22)들 상에 형성된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하되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1도 내지 3도 경사지게 식모한 경사모다발(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uft of bristles is placed on a
또한, 상기 전단부(1)의 전방경사모다발(11)은 상기 중앙부(2)의 경사모다발(222)보다 일정길이(f)만큼 더 길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0.5mm~1.5mm만큼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ward warp
또한, 상기 중앙부(2)의 후방에는 후단부(3)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후단부(3)에는 2~3개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하되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1도 내지 3도 경사지게 식모한 경사모다발(31, 3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ar end portion 3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단부에 여러 개로 나누어지고 전방으로 기우러진 전방경사모다발을 형성함으로서 어금니 치간부의 칫솔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brushing the molar teeth by dividing the front part into a plurality of forwardly inclined forwardly inclined hair bundles,
중앙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제1원호상에 직립모다발을 형성하고, 상기 제1원호 밖의 원호들에는 치아가 성장하면서 둔각을 이루며 형성된 각도만큼 칫솔모다발도 둔각으로 식모하여 칫솔질을 할 때 치면의 치아결 및 치간의 방향과 일치하게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치면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치면과 치간부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herein the brushes are formed in an obtuse angle by forming an obtuse angle at an obtuse angle while the teeth are growing in the arcs outside the first arcuate, So that brush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he interdental space, thereby minimizing the wear of the tooth surface and facilitating removal of the plaque on the tooth surface and the teeth.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bristle casting structure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bristles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ide view of a bristle casting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referred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bristle-type bristle structur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은 식모면에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다발이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은 크게 전단부(1)와 상기 전단부(1)의 뒤쪽으로 중앙부(2)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2)의 뒤쪽으로는 후단부(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various types of bristles bundled on a wicking surface, the wicking surface comprising a front portion 1 and a rear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1 and a
상기 식모면의 전단부(1)에는 식모면에 내린 수직선에 대하여 5도 내지 10도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여러 개로 나누어진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전방경사모다발(11)을 형성한다.A front
상기 전방경사모다발(11)은 5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중 7도 내지 8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5도 내지 10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모다발을 형성하면 어금니 뒤쪽까지 용이하게 칫솔모가 닿아 어금니 프라그 제거에 효과적이다. 만일 5도 미만인 경우에는 어금니 뒤쪽 구석까지 칫솔모가 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1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경사모다발(11)이 어금니에 대해 지나치게 기울어져 닿기 때문에 마찰력이 약해져서 칫솔모가 어금니의 프라그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rward inclined
또한 상기 전방경사모다발(11)은 여러 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줄로 형성하되 앞줄에는 2개의 전방경사모다발(11)을 형성하고 두번째줄에는 3개의 전방경사모다발(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2줄로 칫솔모다발을 형성하면 어금니의 앞뒤좌우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wardly
상기 전방경사모다발(11)은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형, 사다리꼴형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식모한 사다리꼴로 된 전방경사모다발(11)이 어금니 치간부 세정에 가장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사다리꼴로 된 칫솔모다발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전방경사모다발(11)을 사다리꼴 형태로 식모하였을 때에는 상기 각 전방경사모다발(11)의 모서리(112)가 쐐기 역할을 하여 어금니 치간부를 파고들면서 어금니 치간부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The forwardly
더우기 상기 전방경사모다발(11)은 중앙부(2)의 경사모다발(222)보다 일정길이(f)만큼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5mm 더 길게 형성되어 어금니 구석 구석에 칫솔모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The forwardly
상기 전단부(1)의 후방에 위치한 중앙부(2)에는 칫솔의 길이방향인 x축과 칫솔헤드의 전단으로부터 2/3 지점의 y축이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점(o)으로 한 제1원호(21) 상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직립하여 식모한 직립모다발을 형성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원호(21)와 x축 및 y축이 만나는 지점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직립하여 직립모다발(212)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A
상기 중앙부(2) 제1원호(21) 외측의 여러 원호(22) 상에 형성된 식모구멍들에는 칫솔모다발을 식모하되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1도 내지 3도 경사지게 경사모다발(222)을 형성한다.The bristle tufts formed on the
이와 같이 중앙부(2)의 칫솔모다발들은 제1원호(21) 상의 직립모다발(212)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1도 내지 3도 벌어지도록 경사모다발(222)을 형성함으로서 마치 새 칫솔을 몇일동안 사용하여 칫솔모가 벌어지기 시작할 때의 형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다.The bundles of bristles of the
칫솔모를 직립되도록 식모한 종래의 칫솔을 몇일동안 사용하다 보면 칫솔헤드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칫솔모들이 1도 내지 3도씩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구강구조상 치아가 1도 내지 3도가량 둔각으로 벌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칫솔질을 하다 보면 칫솔모다발은 치아와의 마찰에 의한 힘을 받게 되므로 치아의 형태대로 칫솔모다발이 휘어지게 되는 것이며 치아의 형성 각도와 칫솔모 형성 각도가 일치할 때 가장 칫솔질이 잘 되는 것이다.When a conventional toothbrush bristled with bristles upright is used for several days, it can be seen that the bristles are spread outwardly from one to three degrees around the center of the toothbrush head. This is because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are formed at an obtuse angle of 1 degree to 3 degrees. Therefore, when brushing is performed, the bundle of bristles is subjected to the force due to friction with the teeth, so that the bundle of bristles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eth. Brushing is best when the bristle forming angles match.
본 고안은 칫솔헤드에 칫솔모를 식모하는 처음부터 구강구조에 맞추어 치아의 형성각도와 일치하게 칫솔모다발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칫솔은 중앙부(2)의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한 제1원호(21)상의 직립모다발(212)만 직립되게 형성하고,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원호(21) 밖의 원호(22)들에는 치아가 성장하면서 1도 내지 3도 둔각을 이루며 형성된 각도만큼 칫솔모다발도 1도 내지 3도 둔각으로 식모하여 칫솔질을 할 때 치면의 치아결 및 치간의 방향과 일치하게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치면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치면과 치간부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ristle bundle is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 forming angle of the tooth in accordance with the oral structure from the beginning of brushing the bristles on the toothbrush head. Therefore,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only the
또한, 상기 중앙부(2)의 후방에는 후단부(3)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후단부(3)에는 2~3개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하되 중심점(o)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1도 내지 3도 기울어지도록 경사모다발(31, 3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상기 경사모다발(31, 32) 의 형태를 원형으로 된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형성한 원형의 경사모다발(31)과 사다리꼴로 된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형성한 사다리꼴형의 경사모다발(32)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 rear end portion 3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상기 사다리꼴형의 경사모다발(32)의 경우에는 상기 경사모다발(32)의 각 모서리(322)가 쐐기 역할을 하여 치간부를 파고들면서 치간부에 낀 찌꺼기 및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trapezoidal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에 사용하는 칫솔모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일론(Nylon)이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bristles used in the bristle bristle structure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nylon or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which is generally used.
1: 전단부
2: 중앙부
3: 후단부
11: 전방경사모다발
21: 제1원호
22: 원호
31, 32: 경사모다발
112: 모서리
212: 직립모다발
222: 경사모다발
322: 모서리
o : 중심점1: front end portion
 2: Central part
 3: rear end
 11: a bundle of forward inclination
 21: 1st arc
 22: arc
 31, 32:
 112: corner
 212:
 222: bundle of steep hairs
 322: Corner
 o: center poin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20010354UKR200473102Y1 (en) | 2012-11-13 | 2012-11-13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20010354UKR200473102Y1 (en) | 2012-11-13 | 2012-11-13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03043U KR20140003043U (en) | 2014-05-26 | 
| KR200473102Y1true KR200473102Y1 (en) | 2014-06-1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20010354UExpired - Fee RelatedKR200473102Y1 (en) | 2012-11-13 | 2012-11-13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3102Y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928826A (en)* | 2017-12-01 | 2018-04-20 | 黄彬彬 | A kind of Multifunction health-care electric toothbrush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80035B1 (en)* | 1990-03-29 | 1999-02-01 | 로버어트 시이. 설리반 | Toothbrush | 
| KR20110050693A (en)* | 2008-09-01 | 2011-05-16 | 브라운 게엠베하 | Toothbru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10050700A (en)* | 2008-08-29 | 2011-05-16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80035B1 (en)* | 1990-03-29 | 1999-02-01 | 로버어트 시이. 설리반 | Toothbrush | 
| KR20110050700A (en)* | 2008-08-29 | 2011-05-16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 KR20110050693A (en)* | 2008-09-01 | 2011-05-16 | 브라운 게엠베하 | Toothbru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03043U (en) | 2014-05-2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73116Y1 (en)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 AU2015349915B2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 |
| US10149532B2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 |
| US3939520A (en) | Tooth brush | |
| CN112638206A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kit comprising such a head | |
| US11284707B2 (en) | Filament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 |
| KR200473569Y1 (en)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 US10537169B2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 |
| CA3025876C (en) | Filament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 |
| KR200473102Y1 (en)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 KR200466471Y1 (en) | Toothbrush which has a dental calculus and dental plaque scaling funtion | |
| KR200473108Y1 (en)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
| JP6366920B2 (en) | Improved toothbrush | |
| AU2017275583B2 (en) | Tuft and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 |
| KR200473943Y1 (en) | A toothbrush made up of a trapezium-brush form having patterns of a circle and circular arcs | |
| CN214207525U (en) | Novel all-round integrative toothbrush of picking teeth | |
| JP4749922B2 (en) | Toothbrush | |
| JP3239303U (en) | toothbrush | |
| KR101741444B1 (en) | Toothbrush head | |
| KR101741443B1 (en) | Toothbrush head | |
| JP2014000156A (en) | Toothbrush | |
| KR20110049514A (en) | Toothbrush bristles structure | |
| KR20200091833A (en) | Toothbrush | |
| HK40050256B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 |
| HK40050256A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U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U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UE0701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UG15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1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UR1002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UG16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U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329 Year of fee payment: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4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329 Year of fee payment: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5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325 Year of fee payment: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6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7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202106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UC1903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10604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UC1903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U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