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1 to 6 relates to a bottl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병 뚜껑을 손잡이가 눕혀진 상태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cap lying down.
도 2는 병 뚜껑을 손잡이를 세운 상태로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cap with the handle upright.
도 3는 병 뚜껑을 뒤집어 놓은 상태로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le cap in an inverted state;
도 4 및 도 5는 병 뚜껑을 병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le cap coupled to the bottle.
도 6은 손잡이의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and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병 뚜껑 몸체13 : 힌지홈11: bottle cap body 13: hinge groove
20 : 손잡이22 : 보강테20: handle 22: reinforcement frame
20 : 손잡이21 : 근저부20: handle 21: the bottom
23 : 보강리브24 : 통공23: reinforcing rib 24: through hole
25 : 힌지핀30 : 걸이부25: hinge pin 30: hook portion
31 : 걸이공31: Hanger
본 고안은 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의 근저부의 양면에 복수의 후육형 횡방향 보강리브를 양단부가 상기 보강테에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이 증가되고, 상기 손잡이의 근저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수분, 기타 이물질이 손잡이의 보강테 내측 근저부에 축적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병 뚜껑 몸체의 내면에 내용물에 녹여 먹기 위한 식품을 매달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어 녹차 등의 식품 재료를 병의 내부에 매달아 효과적으로 우려낼 수 있도록 한 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cap,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thick transverse reinforcing rib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andle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frame is increased rigidity, a plurality of the bottom of the handle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prevent moisture and other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on the inner bottom of the reinforcement frame of the handle, and a hook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le cap body to suspend the food for eating. It relates to a bottle cap that can be hung on the inside of a bottle to effectively brew.
종래에도 병 뚜껑에 손잡이가 힌지 결합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손잡이의 강성이 부족하여 손잡이를 사용함에 따라 뒤틀리는 등 변형이 되어 병 뚜껑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병 뚜껑의 크기가 클수록 이러한 현상이 심하였다.Conventionally, it is known that the handle is hinged to the bottle cap, but the rigidity of the handle is in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eformed from the bottle cap body, such as twisted by using the hand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bottle cap such a phenomenon It was.
이러한 손잡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손잡이의 테두리를 박육형의 근저부보다 두껍게 후육형으로 형성한 예가 있으나, 강성 보강에 한계가 있었고, 손잡이가 뒤틀려 이탈되는 형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하였다.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handle,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the edge of the handle is formed thicker than the bottom of the thin type, but there is a limit in rigidity reinforcement, and the handle is no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shape from being distorted.
또한 상기 손잡이에 박육형 근저부보다 두꺼운 후육형 보강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가 병 뚜껑 몸체에 눕혀진 상태에서 수분 또는 기타 이물질이 보강테의 내측 근저부에 축적되는 경우 불순물로 작용하여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formed of a thick reinforcement frame thicker than the thin bottom portion, when the handle is laid on the bottle cap body, water or other foreign matter accumulates on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frame, which is not sanitary due to impurities. There was a problem.
한편 종래의 병 뚜껑은 물, 술 기타의 음료수를 병에 담고 단순히 밀폐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상기 병 내부의 음료수와 과일, 차, 기 타의 고형 또는 반고형의 식품 재료를 우려내어 희석시키거나, 숙성시키는 등의 이유로 함께 보관할 경우, 이러한 식품 재료가 병의 아래로 가라 앉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희석 및 숙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bottle cap is generally used for the purpose of simply sealing the water, liquor and other beverages in the bottle, and dilutes the beverage and fruit, tea, and other solid or semi-solid food ingredients inside the bottle. When stored together for reasons such as, or ag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se food ingredients are not effectively diluted and aged because they sink down the bottl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손잡이의 근저부의 양면에 복수의 후육형 횡방향 보강리브를 양단부가 상기 보강테에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이 증가되는 병 뚜껑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efects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ick transverse reinforcing rib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andle integrally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frame to increase the rigid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ottle cap.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손잡이의 근저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수분, 기타 이물질이 손잡이의 보강테 내측 근저부에 축적됨을 방지할 수 있는 병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le cap that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andl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prevent moisture, other foreign matter accumulate on the inner bottom of the reinforcing frame of the handl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병 뚜껑 몸체의 내면에 내용물에 녹여 먹기 위한 식품을 매달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어 녹차 등의 식품 재료를 병의 내부에 매달아 효과적으로 우려낼 수 있게 되는 병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le cap tha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le cap body to hang the food for dissolving the contents so that the food material such as green tea can be suspended effectively inside the bottle will b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병 뚜껑은 병 뚜껑 몸체의 양측 힌지홈의 호형 손잡이의 양단 힌지핀이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는 박육형 근저부의 주연부에 후육형 보강테가 I빔형 단면으로 일체로 형성된 병 뚜껑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근저부의 양면에 복수의 후육형 횡방향 보강리브를 양단부가 상기 보강테에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ttl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hinge pins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arc-shaped handles of the hing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bottle cap body. In the bottle cap formed of, a plurality of thick transverse reinforcing rib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andle is formed integrally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frame.
또한, 본 고안의 병 뚜껑은 상기 손잡이의 근저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ottl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the bottom of the handle.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병 뚜껑은 병 뚜껑 몸체의 내면에 내용물에 녹여 먹기 위한 식품을 매달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And, the bottl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a hook portion for hanging food for dissolving the contents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le cap body.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병 뚜껑을 손잡이가 눕혀진 상태로 사시도, 도 2에는 병 뚜껑을 손잡이를 세운 상태로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3에는 병 뚜껑을 뒤집어 놓은 상태로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병 뚜껑을 병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6에는 손잡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to 6 are related to the bottl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cap with the handle laid dow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le cap with the handle up, respectively, Figure 3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cap upside down, and Figs. 4 and 5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le cap coupled to the bottle, respectively, and Fig. 6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It is.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 뚜껑 몸체(11)의 양측 힌지홈(13)의 호형 손잡이(20)의 양단 힌지핀(25)이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20)는 박육형 근저부(21)의 주연부에 후육형 보강테(22)가 I빔형 단면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은 병 뚜껑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해 상기 손잡이(20)의 근저부(21)의 양면에는 복수의 후육형 횡방향 보강리브(23)가 형성되어 손잡이(20)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손잡이(20)가 사용중 비틀려져 병 뚜껑 몸체(11)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된다.In the bottle cap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ick
상기 손잡이(20)의 횡방향 보강리브(23)는 보강테(22)에 양단부가 이어지도 록 일체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손잡이(20)의 근저부(21)에는 병 뚜껑 몸체(11)에 눕혀진 상태에서 수분 또는 기타 이물질이 흘러내려 축적되지 않도록 복수의 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20)의 근저부(21)에는 장타원형 통공(24)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보강리브(23)가 각 통공(24)마다 두개씩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a long elliptical through-
상기 횡방향 보강리브(23)는 호형 손잡이(20)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verse reinforcing
본 고안은 또한 통상의 병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 뚜껑 몸체(11)의 내면에 내용물에 녹여 먹기 위한 식품을 매달기 위한 걸이부(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ommon bottle cap, the
상기 걸이부(30)는 예를 들어 병 뚜껑 몸체(11)의 내면에 돌출 형성한 돌기부에 걸이공(31)을 형성하여, 병(1)의 내부에 녹차 봉지(2)를 넣을 때에 끈(3)을 걸이부(30)의 걸이공(31)에 묶어 매달아 두도록 구성된다.The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병 뚜껑을 보인 것이고, 12는 병 뚜껑 몸체(11)의 돌출부를 보인 것이며, 14는 손잡이(20)를 세울 때 접촉되는 멈춤면을 보인 것이다.In the drawings,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병 뚜껑 몸체(11)의 양측면 힌지홈(13)에 호형 손잡이(20)가 양단의 힌지핀(25)으로 힌지 결합된 병 뚜껑에 있어서 손잡이(20)의 근저부(21) 양면에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23)를 형성하여 손잡이(20)의 강성이 증가 되었고, 이에 의해 손잡이(20)를 반복하여 움직임에 따라 뒤틀어져 병 뚜껑 몸체(11)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해소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e
그리고 손잡이(20)의 근저부(21)에 복수의 통공(24)이 형성되어 있어 도 1과 같이 손잡이(20)가 눕혀진 상태에서 보강테(22)의 내측 근저부(21)에 있게 되는 수분 또는 기타 이물질이 통공(24)을 통하여 흘러 내림으로써 근저부(21)에 축적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해소되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또한, 도 5와 같이 병(1)의 내부에 녹차 봉지(2) 등을 넣어 녹차를 우려내어 음용하려는 경우에 녹차 봉지(2)의 끈(3)을 병 뚜껑(10)에 구비된 걸이부(30)의 걸이공(31)에 묶어 매달아 둠으로써 병(1)에 담긴 물 등의 내용물에 녹차를 보다 잘 우려낼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put the green tea bag (2), etc. in the inside of the bottle (1) in the case of drinking green tea to drink the hook (3) of the green tea bag (2) hook portion provided with the bottle cap (10) By being tied to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병 뚜껑은 손잡이의 근저부의 양면에 복수의 후육형 횡방향 보강리브를 양단부가 상기 보강테에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이 증가됨으로써 사용중 뒤틀려 병 뚜껑 몸체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le cap has a plurality of thick transverse reinforcing rib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andl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frame so that the rigidity is increased, so that the bottle cap is not twisted during use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bottle cap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reliably.
또한, 상기 손잡이의 근저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수분, 기타 이물질이 손잡이의 보강테 내측 근저부에 축적됨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andle to prevent moisture and other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on the inner bottom of the reinforcing frame of the handl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used hygienically.
또한, 병 뚜껑 몸체의 내면에 내용물에 녹여 먹기 위한 식품을 매달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어 녹차 등의 식품 재료를 병의 내부에 매달아 둘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 재료가 병의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우려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hook portion for hanging food for dissolving the contents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le cap body to hang food materials such as green tea inside the bottle, thereby preventing the food ingredients from sinking down the bott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re effectively concerne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29284UKR200436053Y1 (en) | 2006-11-08 | 2006-11-08 | Bottle cap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29284UKR200436053Y1 (en) | 2006-11-08 | 2006-11-08 | Bottle cap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36053Y1true KR200436053Y1 (en) | 2007-05-0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29284UCeasedKR200436053Y1 (en) | 2006-11-08 | 2006-11-08 | Bottle caps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36053Y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06294A (en)* | 2014-03-11 | 2015-09-21 | 오제이씨(주) | Packaging container |
| KR20200084605A (en)* | 2019-01-03 | 2020-07-13 | 김종석 | Foldable soft box |
| US20220024657A1 (en)* | 2020-07-24 | 2022-01-27 | Haishan Deng | Container system including lid with improved finger accommodativenes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06294A (en)* | 2014-03-11 | 2015-09-21 | 오제이씨(주) | Packaging container |
| KR102033424B1 (en)* | 2014-03-11 | 2019-11-08 | 오제이씨(주) | Packaging container |
| KR20200084605A (en)* | 2019-01-03 | 2020-07-13 | 김종석 | Foldable soft box |
| KR102144209B1 (en)* | 2019-01-03 | 2020-08-12 | 김종석 | Foldable soft box |
| US20220024657A1 (en)* | 2020-07-24 | 2022-01-27 | Haishan Deng | Container system including lid with improved finger accommodativeness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80006B1 (en) | Container with stopper supported | |
| KR200436053Y1 (en) | Bottle caps | |
| EP2774526A2 (en) | Mop bucket | |
| WO2015005874A1 (en) |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 |
| KR101014806B1 (en) | Overfilled Beverage Container Caps | |
| KR100990795B1 (en) | Compound container with food storage | |
| KR20210157270A (en) | Food Container with Function to Separate Contents | |
| KR20090000674U (en) | Tumbler with sieve container | |
| KR200448621Y1 (en) | Tea packaging container with infuser | |
| KR102336626B1 (en) | the improved cap structure for vessel | |
| KR20110004079U (en) | Strainer of tumbler having upward protrusion | |
| KR200331944Y1 (en) | A teacup having a filter | |
| RU66168U1 (en) | SIEVE STRAINER | |
| JP3146229U (en) | Bottle pinch | |
| JP3113841U (en) | Oil pot | |
| KR200266133Y1 (en) | A basket | |
| JP3043433U (en) | Tea cup | |
| RU2350532C2 (en) | Vessel closure device and its operation mode (versions) | |
| JP2014108342A (en) | Food flow-out preventing basket and bowl | |
| KR200379045Y1 (en) | Water bottle | |
| KR20130051258A (en) | Disposable container having chopsticks | |
| JP3146523U (en) | Bottle pinch type 2 | |
| KR200424649Y1 (en) | Separation structure of food container | |
| KR200467461Y1 (en) | Filter stopper and sap container having the filter stopper | |
| JP3119607U (en) | Injection adapt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U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UG1601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425 Year of fee payment: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425 Year of fee payment:8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U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5-5-V10-V11-apl-UJ020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428 Year of fee payment:9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27 Effective date:20151023 | |
| UJ1301 | Trial decision | St.27 status event code:A-5-5-V10-V15-crt-UJ1301 Decision date:20151023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0436053 Decision identifier:2015100000246 Appellate body name:Patent Examination Board Appeal request date:20150127 Decision authority category:Office appeal board | |
| UC2102 | Extingu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UC210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