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40090577A -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577A
KR20040090577AKR1020030024455AKR20030024455AKR20040090577AKR 20040090577 AKR20040090577 AKR 20040090577AKR 1020030024455 AKR1020030024455 AKR 1020030024455AKR 20030024455 AKR20030024455 AKR 20030024455AKR 20040090577 AKR20040090577 AKR 2004009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trobe
strobo
microphone se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호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filedCritical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24455ApriorityCriticalpatent/KR20040090577A/ko
Priority to US10/749,788prioritypatent/US7643815B2/en
Publication of KR2004009057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40090577A/ko
Priority to US12/625,191prioritypatent/US8374572B2/en
Priority to US13/746,125prioritypatent/US8699987B2/en
Priority to US14/196,273prioritypatent/US9178982B2/en
Priority to US14/929,965prioritypatent/US9729699B2/en
Priority to US15/672,018prioritypatent/US10158752B2/en
Priority to US16/184,560prioritypatent/US10701201B2/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가 내장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스트로보가 접속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디지탈 카메라 사용시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인 옵션을 설정하지 않고, 스트로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이어잭과 스트로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에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 수단의 감지에 따라,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의 레벨 정보를 체크하여 중앙 처리 수단으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화 시작과 통화 종료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센드/엔드 제어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으로부터의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충전제어신호 및 셧신호를 전송받아 스트로보를 제어하기위한 스트로보 제어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으로부터의 레벨 정보와 상기 센드/엔드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통화 시작과 통화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 수단과 음성 입출력 수단간의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에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센드/엔드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의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스트로보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중앙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to Sensing Strobo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탈 카메라가 내장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스트로보가 접속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디지탈 카메라 사용시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인 옵션을 설정하지 않고, 스트로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최근 들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가 칼라화되면서 그에 따른 많은 부가기능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칼라화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분야가 영상분야이기 때문에, 디지탈 카메라가 내장된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인기를 많이 얻고 있는게 사실이다.
지금까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업체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받았던 여러가지 부가기능들을 단순히 이용만했던 사용자들은 이제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디지탈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장면을 녹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모습을 찍어 전송할 수 있다는 매력에 많은 흥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디지탈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주변환경의 휘도 상태가 촬영 동작을 실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필요한 장치가 바로 스트로보라는 장치인데, 현재 출시되고 있는 디지탈 카메라가 내장된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스트로보 장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 중의 하나가 카메라 촬영 기능을 즐기는 일에 앞서, 우선 무선통신 단말기의 부피가 커지면 결코 시장성이 없다는 예측이 앞서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현재 외장형 스트로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다. 여기서, 그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이어잭의 원래 목적이 이어폰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장치이므로, 우선 무선통신 단말기에 스트로보의 사용에 대한 옵션을 설정한 후, 스트로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스트로보를 사용하기 위해 매번 무선통신 단말기의 옵션을 새롭게 지정하는 것은 많은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폰/마이크 셋을 이어잭 포트에 연결한 상태에서 실수로 스트로보 사용을 위한 옵션을 선택하면 순간적인 플래시 충방전 전류에 의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디지탈 카메라가내장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스트로보가 접속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디지탈 카메라 사용시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인 옵션을 설정하지 않고, 스트로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접속 가능한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접속 가능한 스트로보 플러그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 32: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부
33: 센드/엔드 제어부 34: 스트로보 제어부
35: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부 36: 이동국 모뎀(MS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이어잭과 스트로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에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 수단의 감지에 따라,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의 레벨 정보를 체크하여 중앙 처리 수단으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통화 시작과 통화 종료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센드/엔드 제어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으로부터의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충전제어신호 및 셧신호를 전송받아 스트로보를 제어하기 위한 스트로보 제어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으로부터의 레벨 정보와 상기 센드/엔드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통화 시작과 통화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 수단과 음성 입출력 수단간의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 수단;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에 이어폰/마이크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센드/엔드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 수단의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스트로보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중앙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스트로보 자동 감지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 스위치 단자의 오픈에 따라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를 파악하는 제 2 단계; 상기 파악된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에 접속된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스트로보인 경우 스트로보 제어부를 구동시키고, 이어폰/마이크 셋인 경우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접속 가능한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접속 가능한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는, 디지탈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무선통신 단말기 이어잭 포트의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에 접속되어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 단자(11), 무선통신 단말기 이어잭 포트의 스피커/셧 단자에 접속되어 음성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스피커 단자(12), 무선통신 단말기 이어잭 포트의 접지측에 접속되는 접지단자(13)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접속 가능한 스트로보 플러그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접속 가능한 스트로보 플러그는, 무선통신 단말기 이어잭 포트의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에 접속되어 충전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충전제어 신호단자(21), 무선통신 단말기 이어잭 포트의 스피커/셧 단자에 접속되어 이동국 모뎀(MSM : Mobil Station Modem)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 신호단자(21)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방전시키는 셧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셧(shot)단자(22), 무선통신 단말기 이어잭 포트의 접지측에 접속되는 접지단자(23)를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는,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11)와 스트로보 플러그의 충전제어 신호단자(21)에 접속되는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의 스피커 단자(12)와 스트로보 플러그의 셧 단자(22)에 접속되는 스피커/셧단자, 상기 스피커/셧 단자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오픈(Open)과 클로즈드(closed) 역할을 하는 스위치 단자,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의 접지단자(13)와 스트로보 플러그의 접지단자(23)에 접속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는 이어폰/마이크 셋 플러그와 스트로보 플러그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는, 상기 스위치 단자의 오픈(open)과 클로즈드(closed)에 따라,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에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감지하여 이동국 모뎀(36)으로 이를 알리기 위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부(32),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부(32)의 감지 여부에 따라,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를 체크하여 이동국 모뎀(36)으로 전송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통화 시작과 통화 종료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센드/엔드 제어부(33), 상기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에 따라, 이동국 모뎀(36)으로부터 충전제어신호 및 셧신호를 전송받아 스트로보를 제어하기 위한 스트로보 제어부(34), 상기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센드/엔드 제어부(33)로부터 통화 시작과 통화 종료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은 이동국 모뎀(36)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이어폰/마이크 셋의 스피커 단자(12)로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마이크 셋의 마이크 단자(11)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국 모뎀(36)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부(35), 상기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부(32)로부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에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은 후, 센드/엔드 제어부(33)로부터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를 전송받아, 스트로보 제어부(34) 또는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부(35)를 구동시키기 위한 이동국 모뎀(36)을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부(32)는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의 스위치 단자가 오픈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401). 확인결과, 오픈되어 있지 않으면 이어폰/마이크 셋이나 스트로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오픈되기를 기다린다. 반면, 오픈되어 있으면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감지부(32)는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에 이어폰/마이크 셋 또는 스트로보가 접속되어 있음을 이동국 모뎀(36)에게 알린다(402).
이후, 센드/엔드 제어부(33)는 상기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의 마이크/충전제어 신호단자의 레벨 정보(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를 이동국 모뎀(36)으로 전송한다(403). 그러면, 상기 이동국 모뎀(36)은 상기 센드/엔드 제어부(33)로부터 전송받은 레벨 정보에 따라, 접속된 장치가 이어폰/마이크 셋인지 스트로보인지를 판단한다(404).
상기 판단결과, 스트로보가 접속되어 있으면 이동국 모뎀(36)은 스트로보 제어부(34)를 구동시켜 상기 스트로보를 제어하고, 반면에 이어폰/마이크 셋이 접속되어 있으면 이동국 모뎀(36)은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부(35)를 구동시켜 상기 이어폰/마이크 셋을 제어한다(405).
여기서, 상기 이동국 모뎀(36)의 판단(404) 방식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에 스트로보가 접속되면 스트로보가 가지고 있는 내부 충전회로의 임피던스 특성에 의하여 0.5V의 로우(Low)레벨을 나타내는 반면, 이어폰/마이크 셋이 접속되면 하이(High)레벨(직류전압 2.7V - 3.0V)을 나타내는 특성을 이용하여 접속된 장치가 이어폰/마이크 셋인지 스트로보인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에 접속된 장치가 이어폰/마이크 셋임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센드/엔드 제어부(33)를 동작시켰을 경우, 즉 이동국 모뎀(36)으로 로우레벨의 정보를 전송했을 경우, 상기 이동국 모뎀(36)은 이미 이어폰-마이크셋/스트로보 연결부(31)에 이어폰/마이크 셋이 접속되어 있음을 알고 있기 때문에, 로우레벨 신호를 수신하였다하더라도 스트로보 제어부(34)를 구동시키지 않고, 이어폰/마이크 셋 제어부(35)의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이어폰/마이크 셋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는 물론, 이어폰/마이크 셋을 이용한 통화, 그리고 스트로보의 사용이 모두 원할히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내장하고 있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이어폰/마이크 셋을 이용한 통화와 관련되어 상호 문제없이 스트로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사용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수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포트에 이어폰/마이크 셋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메뉴 설정에서 스트로보 옵션 설정을 하게 되었을 때 무선통신 단말기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KR1020030024455A2003-04-172003-04-17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CeasedKR20040090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30024455AKR20040090577A (ko)2003-04-172003-04-17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10/749,788US7643815B2 (en)2003-04-172003-12-30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strobo in mobile terminal
US12/625,191US8374572B2 (en)2003-04-172009-11-24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US13/746,125US8699987B2 (en)2003-04-172013-01-21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US14/196,273US9178982B2 (en)2003-04-172014-03-04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US14/929,965US9729699B2 (en)2003-04-172015-11-02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US15/672,018US10158752B2 (en)2003-04-172017-08-08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US16/184,560US10701201B2 (en)2003-04-172018-11-08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30024455AKR20040090577A (ko)2003-04-172003-04-17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40090577Atrue KR20040090577A (ko)2004-10-26

Family

ID=3315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30024455ACeasedKR20040090577A (ko)2003-04-172003-04-17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US (7)US7643815B2 (ko)
KR (1)KR200400905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7912501B2 (en)2007-01-052011-03-22Apple Inc.Audio I/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KR100827613B1 (ko)*2007-05-042008-05-07삼성전자주식회사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9494975B1 (en)*2011-03-282016-11-15Amazon Technologies, Inc.Accessory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WO2011137870A2 (zh)*2011-07-252011-11-10华为终端有限公司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移动终端
US9584041B2 (en)*2013-08-262017-02-28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devices using a multiple port power supply
CN103795853B (zh)*2013-11-152016-01-20深圳光启智能光子技术有限公司耳机接口适配设备的连接切换方法及终端
WO2016161596A1 (zh)*2015-04-092016-10-13华为技术有限公司音频接头识别方法和便携式电子设备
WO2019050825A1 (en)2017-09-062019-03-14Hubbell Incorporated CABLE CLIPS
CN109788114B (zh)*2019-03-122021-04-02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一种通话处理方法及终端
KR20250002342A (ko)*2022-05-172025-01-07엘지전자 주식회사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4792986A (en)*1985-12-111988-12-20General Electric CompanyPortable radio system with externally programmable universal device connector
US5557653A (en)*1993-07-271996-09-17Spectralink CorporationHeadset for hands-free wireless telephone
KR100206467B1 (ko)*1996-05-221999-07-01윤종용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6212402B1 (en)*1996-11-042001-04-03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System connector
US6594366B1 (en)*1997-12-022003-07-15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s, Inc.Headset/radio auto sensing jack
JPH11275460A (ja)*1998-03-241999-10-08Mitsubishi Electric Corp信号出力回路、信号入力回路、信号入出力回路
EP0999721A3 (en)*1998-11-072003-05-21Samsung Electronics Co., Ltd.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JP2002101156A (ja)*2000-09-222002-04-05Sony Corp携帯電話機及び音声処理方法
EP1199867B1 (en)*2000-10-202012-09-19Sony Deutschland GmbHMobile terminal
JP2003032333A (ja)*2001-07-122003-01-31Toshiba Corp携帯端末装置
EP1276308A3 (en)2001-07-122005-05-04Kabushiki Kaisha Toshiba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camera
US20030104842A1 (en)2001-11-302003-06-05Samsung Electronics Co., Ltd.Hands-free speakerphone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200276068Y1 (ko)2002-01-022002-05-18한보림광원일체형 접속구
US7024230B2 (en)*2002-02-222006-04-04Kyocera-Wireless CorpAccessory interface system
JP2003281028A (ja)2002-03-202003-10-03Fuji Photo Film Co Ltd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
EP1347623A1 (en)2002-03-222003-09-24Nokia CorporationDownloading of application software for an accessory device to a mobile terminal
JP3856221B2 (ja)2002-05-152006-12-13シャープ株式会社携帯電話機
KR20020079717A (ko)2002-10-042002-10-19김환영플래시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장착된 플래시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
US7515208B1 (en)*2004-10-082009-04-07Nvidia Corporation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coupled electrical lo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20040209647A1 (en)2004-10-21
US20190082045A1 (en)2019-03-14
US9178982B2 (en)2015-11-03
US20160057275A1 (en)2016-02-25
US7643815B2 (en)2010-01-05
US10158752B2 (en)2018-12-18
US8699987B2 (en)2014-04-15
US9729699B2 (en)2017-08-08
US10701201B2 (en)2020-06-30
US20130130744A1 (en)2013-05-23
US20140187290A1 (en)2014-07-03
US20100075715A1 (en)2010-03-25
US20170339269A1 (en)2017-11-23
US8374572B2 (en)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0701201B2 (en)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 of external device in mobile terminal
KR100504144B1 (ko)카메라를 가진 로테이션 터치폰에서 폴더의 위치를감지하는 방법
CN108964182B (zh)反向充电设备、反向充电电流的调节方法及装置
CN106712219A (zh)充电保护方法和装置
CN109450023B (zh)充电电路、充电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039150B (zh)充电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7681727B (zh)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577235B (zh)为便携式设备充电的方法、控制充电的方法、装置及系统
CN107329520B (zh)移动终端的usb接口连接方法、设备及系统
CN106972598B (zh)短路的检测方法及装置
CN107124012B (zh)充电方法、装置、充电器、终端和系统
CN103762390A (zh)充电方法及行动电子装置
CN206412603U (zh)Type‑C接头和连接线
CN108494907A (zh)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13922457A (zh)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776424B (zh)接头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CN115441522B (zh)充电控制方法、充电控制装置及存储介质
CN115118805B (zh)一种测试设备、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019681A (zh)移动终端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3824872B (zh)一种对焦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59835A (zh)充电短路的检测方法及装置
CN106711646A (zh)Type‑C接头和连接线
CN115864553A (zh)移动终端充电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706429A (zh)充放电系统、电子设备、电路均衡方法及装置
CN115704854A (zh)主板、终端设备、测试系统、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30417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412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05063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4122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