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링 타임 설정 및 저장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무선부(10)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음성처리부(12)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무선부(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16)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14)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1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2)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무선부(10)로부터 수신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스피커(16)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착신벨의 형식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2)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로 출력한다. 표시부(24)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표시부(24)창상에 각종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20)는 이동 무선단말기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링 타임 입력 및 저장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요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동 무선단말기에 원하는 링 타임을 입력 및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무선단말기는 전화가 오면 사용자가 입력 및 저장해 놓은 링 타임 정보를 이동교환국(110)으로 전송한다. 이동교환국(110)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링 타임 정보 대신 이동 무선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새로운 링 타임 정보에 따라 링 타임을 재설정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 및 이동 무선단말기는 재설정된 링 타임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관련된 도면은 도 1, 도 3 내지 도 4, 그리고 도 5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링 타임 입력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22)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링 타임 입력 요구를 하면 도 4의 400단계에서 제어부(18)는 이를 판단하고 도 4의 402단계로 진행한다.제어부(18)는 도 4의 402단계에서 표시부(23)를 통해 링 타임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그 후 제어부(18)는 도 4의 404단계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링 타임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키 입력부(22)의 숫자키들을 이용하여 예컨대 10초, 30초, 또는 1분 등으로 원하는 링 타임을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22)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한 링 타임에 대해 저장 요구를 하면 제어부(18)는 도 4의 406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도 4의 4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8)는 도 4의 408단계에서 메모리부(20)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링 타임 내용 저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무선단말기에 원하는 링 타임을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링 타임 입력 및 저장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50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이동교환국(110)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이다. 도 5의 50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통화를 하기 위해 이동교환국(110)에 착신점유요구 메시지를 보내면, 도 5의 504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은 홈 위치 등록기(112)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고 도 5의 50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해당 위치영역에 페이징을 수행한다. 한편,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는 도 5의 508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링 타임 정보를 페이징 응답 메세지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착신측 이동 무선 단말기(102)는 페이징 요구를 수신받은 후 도 5의 510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링 타임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 응답을 보낸다. 이동교환국(110)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받으면 도 5의 51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점유되었음을 전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14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통화로 설정을 위한 채널 할당 및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링 타임 정보에 따라서 링 타이머의 링 타임값 재설정을 한다. 이때 이동교환국(110)은 미리 설정된 링 타임 값을 가진다. 예컨대, 이동교환국(110)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링 타임값이 20초였을 때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링 타임 정보응답 신호에 따른 링 타임값이 30초라면 이동교환국(110)은 링 타임을 30초로 설정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재설정된 링 타임 값에 따라 도 5의 516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한다. 또한 이동교환국(110)은 재설정된 링 타임 값에 따라 도 5의 518단계에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게 착신호 설정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0단계에서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이동교환국(110)은 응답대기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된 링 타임 값에 따라 링 타이머를 가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설정된 링 타임값은 T2이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2단계에서 링 타임 아웃을 판단한다. 만약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즉,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된 링 타입값을 경과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8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사서함 서비스 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실패되었음을 전달하고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 대해서 정상적인 해제처리를 수행한 후,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를 음성사서함 서비스 센터로 접속시킨다. 한편,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도 5의 530단계로 이동한다. 이때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는 도 5의 52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키 입력에 의해 통화 연결 요구를 이동교환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30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 사이의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은 응답대기상태에서 링 타임 아웃이 되지 않았을 경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를 수신하면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과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호연결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요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무선단말기는 링 타임 지속요구에 대응하는 키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동 무선단말기에 전화가 오면 사용자는 링 타임 지속요구에 대응하는 키를 눌러 이동교환국(110)으로 링 타임 지속요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교환국(110)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링 타임 정보 대신 이동 무선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새로운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라 링 타이머를 지속 가동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 및 이동 무선단말기는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관련된 도면은 도 1, 도 3, 그리고 도 6이다.
이하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도 1과 도3,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60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이동교환국(110)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이다. 도 6의 60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통화를 하기 위해 이동교환국(110)에 착신점유요구 메시지를 보내면, 도 6의 604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은 홈 위치 등록기(112)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고 도 6의 60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해당 위치영역에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08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 받아 도 6의 61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점유되었음을 전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1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통화로 설정을 위한 무선 트래픽 채널을 할당한다. 무선 트래픽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14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한다. 또한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616단계에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게 착신호 설정을 요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18단계에서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응답대기상태에서 이동교환국(110)은 미리 설정된 링 타임값에 따라 링 타이머를 가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링 타임 값은 T1이다. 한편,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0단계에서 링 타임 아웃을 판단한다. 만약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즉 링 타임이 미리 설정된 링 타임값 T1을 경과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6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사서함 서비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교환국(110)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실패되었음을 전달하고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 대해서 정상적인 해제처리를 수행한 후,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를 음성사서함 서비스 센터로 접속시킨다. 그러나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4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링 타임 지속요구가 있으면 도 6의 628단계로 이동한다. 이때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링 타임 지속요구는 사용자로부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키입력부(22)에 구비된 링 타임 지속요구키 입력에 의해 이동교환국(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8단계에서 링 타이머를 지속 가동시킨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3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착신점유 안내 메세지를 제공한다. 이 때 착신점유 안내 메시지는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착신 점유를 유지하라는 내용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잠시후 전화를 받겠습니다. 전화를 끊지 마십시오" 와 같은 내용이 될 수 있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34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도 6의 636단계로 이동한다. 한편,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는 도 6의 63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키 입력에 의한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이를 판단하고 이동교환국(110)으로 통화연결요구를 전달한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3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발신측이동 무선단말기(100) 사이의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은 응답대기상태에서 링 타임 아웃이 되지 않았을 경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링 타임 지속요구를 수신하면 링 타이머를 지속 가동시킨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호연결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 링 타임 지속요구는 예컨대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즉,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될 때까지 발신측 사용자에게 기다려달라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통화요청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