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40025151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151A
KR20040025151AKR1020020056989AKR20020056989AKR20040025151AKR 20040025151 AKR20040025151 AKR 20040025151AKR 1020020056989 AKR1020020056989 AKR 1020020056989AKR 20020056989 AKR20020056989 AKR 20020056989AKR 20040025151 AKR20040025151 AKR 2004002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radio terminal
ring
mobile radio
c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989ApriorityCriticalpatent/KR20040025151A/ko
Publication of KR2004002515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40025151A/ko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의 호 설정요구에 따라 이동교환국이 페이징요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요구에 응답하는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얼러팅신호 및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링 타임 정보를 페이징 응답 메세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페이징 응답 메세지를 이동교환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페이징 응답 메세지를 수신함에 따라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간의 채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링 타임 정보에 의거해서 링 타이머의 링 타임값을 재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재설정된 링 타임값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로 얼러팅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 일예도이고,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호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등의 이동 무선단말기들과, 기지국(104)과, 기지국 제어기(106), 이동교환국(110), 홈 위치 등록기(112), 가입자 정보 처리기(114)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센터(108), 일반 공중전화망(116)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무선단말기는 고유한 번호(전화번호)를 가지며 가입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 장치이다. 기지국(104)은 무선국으로, 이동 무선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무선통신 구간에서 이동 무선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이동 무선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06)는 이동교환국(110)과 기지국(104) 사이에서 기지국(104)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기지국(104) 및 기지국 제어기(106) 사이에서 핸드 오프(hand-off)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10)은 이동 무선단말기의 위치 및 서비스 프로화일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교환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이다. 홈 위치 등록기(112)는 가입자의 이동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가입자 정보처리기(114)는 대용량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가입자에게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음성 사서함 서비스 센터(108)는 전화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기록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입자에게 남겨진 음성 메시지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호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의 20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이동교환국(110)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이다. 도 2의 20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통화를 하기 위해 이동교환국(110)에 착신점유요구 메시지를 보내면, 도 2의 204 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은 홈 위치 등록기(112)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고 도 2의 20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해당 위치영역에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08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 받아 도 2의 21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점유되었음을 전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1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통화로 설정을 위한 무선 트래픽 채널을 할당한다. 무선 트래픽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14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게 착신호 설정을 요구한다. 또한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16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18단계에서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응답대기상태에서 이동교환국(110)은 얼러팅(Alerting)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착신응답이 있을 때까지 링 타이머를 기동시킨다. 이 때 이동교환국(110)의 링 타이머의 링 타임값은 사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예컨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타임 값은 전화가 걸려온 후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기까지 일정 시간으로써 T1이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20단계에서 링 타임 아웃을 판단한다. 만약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28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사서함 서비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 때 이동교환국(110)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실패되었음을 전달하고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 대해서 정상적인 해제처리를 수행한 후,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를 음성사서함 서비스 센터로 접속시킨다. 한편,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이동교환국(110)은 도 2의 22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사용자의 통화키 입력에 의한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도 2의 230단계로 이동한다. 도 2의 230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 사이의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가 응답대기상태에서 링 타임 아웃이 되지 않았을 경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를 수신하면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과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호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호처리 방법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 착신벨이 울린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음성사서함으로 자동 연결된다. 전화가 걸려온 후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기까지 일정 시간은 응답대기시간 즉, 링 타임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가 결정하는 것으로 사용자 개인이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이동통신 사업자가결정한 링 타임동안 착신벨이 계속해서 울리므로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전화를 끊어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화를 받고자 할 때 이동통신 사업자가 결정한 링 타임이 경과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무선단말기의 링 타임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링 타임 설정에 따른 호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링 타임 지속 요구에 따른 호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의 호 설정요구에 따라 이동교환국이 페이징요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요구에 응답하는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얼러팅신호 및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링 타임 정보를 페이징 응답 메세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페이징 응답 메세지를 이동교환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페이징 응답 메세지를 수신함에 따라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간의 채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링 타임 정보에 의거해서 링 타이머의 링 타임값을 재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재설정된 링 타임값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로 얼러팅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 일예도,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호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링 타임 설정 흐름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링 타임 설정 및 저장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무선부(10)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음성처리부(12)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무선부(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16)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14)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1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2)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무선부(10)로부터 수신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스피커(16)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착신벨의 형식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2)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로 출력한다. 표시부(24)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표시부(24)창상에 각종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20)는 이동 무선단말기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링 타임 입력 및 저장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요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동 무선단말기에 원하는 링 타임을 입력 및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무선단말기는 전화가 오면 사용자가 입력 및 저장해 놓은 링 타임 정보를 이동교환국(110)으로 전송한다. 이동교환국(110)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링 타임 정보 대신 이동 무선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새로운 링 타임 정보에 따라 링 타임을 재설정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 및 이동 무선단말기는 재설정된 링 타임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관련된 도면은 도 1, 도 3 내지 도 4, 그리고 도 5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링 타임 입력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22)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링 타임 입력 요구를 하면 도 4의 400단계에서 제어부(18)는 이를 판단하고 도 4의 402단계로 진행한다.제어부(18)는 도 4의 402단계에서 표시부(23)를 통해 링 타임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그 후 제어부(18)는 도 4의 404단계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링 타임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키 입력부(22)의 숫자키들을 이용하여 예컨대 10초, 30초, 또는 1분 등으로 원하는 링 타임을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22)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한 링 타임에 대해 저장 요구를 하면 제어부(18)는 도 4의 406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도 4의 4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8)는 도 4의 408단계에서 메모리부(20)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링 타임 내용 저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무선단말기에 원하는 링 타임을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링 타임 입력 및 저장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50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이동교환국(110)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이다. 도 5의 50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통화를 하기 위해 이동교환국(110)에 착신점유요구 메시지를 보내면, 도 5의 504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은 홈 위치 등록기(112)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고 도 5의 50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해당 위치영역에 페이징을 수행한다. 한편,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는 도 5의 508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링 타임 정보를 페이징 응답 메세지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착신측 이동 무선 단말기(102)는 페이징 요구를 수신받은 후 도 5의 510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링 타임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 응답을 보낸다. 이동교환국(110)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받으면 도 5의 51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점유되었음을 전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14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통화로 설정을 위한 채널 할당 및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링 타임 정보에 따라서 링 타이머의 링 타임값 재설정을 한다. 이때 이동교환국(110)은 미리 설정된 링 타임 값을 가진다. 예컨대, 이동교환국(110)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링 타임값이 20초였을 때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링 타임 정보응답 신호에 따른 링 타임값이 30초라면 이동교환국(110)은 링 타임을 30초로 설정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재설정된 링 타임 값에 따라 도 5의 516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한다. 또한 이동교환국(110)은 재설정된 링 타임 값에 따라 도 5의 518단계에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게 착신호 설정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0단계에서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이동교환국(110)은 응답대기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된 링 타임 값에 따라 링 타이머를 가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설정된 링 타임값은 T2이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2단계에서 링 타임 아웃을 판단한다. 만약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즉,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된 링 타입값을 경과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8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사서함 서비스 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실패되었음을 전달하고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 대해서 정상적인 해제처리를 수행한 후,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를 음성사서함 서비스 센터로 접속시킨다. 한편,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2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도 5의 530단계로 이동한다. 이때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는 도 5의 52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키 입력에 의해 통화 연결 요구를 이동교환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530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 사이의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은 응답대기상태에서 링 타임 아웃이 되지 않았을 경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를 수신하면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과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호연결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요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무선단말기는 링 타임 지속요구에 대응하는 키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동 무선단말기에 전화가 오면 사용자는 링 타임 지속요구에 대응하는 키를 눌러 이동교환국(110)으로 링 타임 지속요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교환국(110)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링 타임 정보 대신 이동 무선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새로운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라 링 타이머를 지속 가동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 및 이동 무선단말기는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관련된 도면은 도 1, 도 3, 그리고 도 6이다.
이하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처리 방법을 도 1과 도3,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60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이동교환국(110)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이다. 도 6의 60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통화를 하기 위해 이동교환국(110)에 착신점유요구 메시지를 보내면, 도 6의 604단계에서 이동교환국(110)은 홈 위치 등록기(112)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고 도 6의 60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해당 위치영역에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08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 받아 도 6의 61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점유되었음을 전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1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통화로 설정을 위한 무선 트래픽 채널을 할당한다. 무선 트래픽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14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통화연결음을 송출한다. 또한 이동교환국(110)은 도 5의 616단계에서 얼러팅(Alerting)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게 착신호 설정을 요구한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18단계에서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응답대기상태에서 이동교환국(110)은 미리 설정된 링 타임값에 따라 링 타이머를 가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링 타임 값은 T1이다. 한편,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0단계에서 링 타임 아웃을 판단한다. 만약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즉 링 타임이 미리 설정된 링 타임값 T1을 경과하면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6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사서함 서비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교환국(110)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에 착신이 실패되었음을 전달하고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에 대해서 정상적인 해제처리를 수행한 후,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를 음성사서함 서비스 센터로 접속시킨다. 그러나 링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4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링 타임 지속요구가 있으면 도 6의 628단계로 이동한다. 이때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링 타임 지속요구는 사용자로부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키입력부(22)에 구비된 링 타임 지속요구키 입력에 의해 이동교환국(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28단계에서 링 타이머를 지속 가동시킨다. 그리고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3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로 착신점유 안내 메세지를 제공한다. 이 때 착신점유 안내 메시지는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착신 점유를 유지하라는 내용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잠시후 전화를 받겠습니다. 전화를 끊지 마십시오" 와 같은 내용이 될 수 있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34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도 6의 636단계로 이동한다. 한편,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는 도 6의 63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키 입력에 의한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이를 판단하고 이동교환국(110)으로 통화연결요구를 전달한다. 이동교환국(110)은 도 6의 63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와 발신측이동 무선단말기(100) 사이의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국(110)은 응답대기상태에서 링 타임 아웃이 되지 않았을 경우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링 타임 지속요구를 수신하면 링 타이머를 지속 가동시킨다. 그 후 이동교환국(110)은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로부터 통화연결요구가 있으면 착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0)와 발신측 이동 무선단말기(102)사이에 호연결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 링 타임 지속요구는 예컨대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즉,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될 때까지 발신측 사용자에게 기다려달라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통화요청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무선단말기의 링 타임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호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링 타임 지속 요구에 따른 호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화가 왔을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링 타임 또는 사용자의 링 타임 지속요구에 따라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링 타임을 길게 설정하거나 링 타임 지속요구를 하면 전화를 받고자 할 때 이동통신 사업자가 결정한 링 타임이 경과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5)

KR1020020056989A2002-09-182002-09-18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WithdrawnKR20040025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20056989AKR20040025151A (ko)2002-09-182002-09-18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20056989AKR20040025151A (ko)2002-09-182002-09-18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40025151Atrue KR20040025151A (ko)2004-03-24

Family

ID=3732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20056989AWithdrawnKR20040025151A (ko)2002-09-182002-09-18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040025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071407B1 (ko)*2018-12-272020-01-30이재훈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071407B1 (ko)*2018-12-272020-01-30이재훈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 방법
WO2020138966A1 (ko)*2018-12-272020-07-02이재훈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RU2140723C1 (ru)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JPH1042365A (ja)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40015848A (ko)통화 연결 상태를 알려주는 이동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0713338B1 (ko)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040025151A (ko)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KR100350248B1 (ko)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KR100800763B1 (ko)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20010048639A (ko)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JP3365035B2 (ja)留守番電話装置
KR100606018B1 (ko)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JP3562430B2 (ja)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その携帯電話機への着信通知方法
KR100565837B1 (ko)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621679B1 (ko)발신측 요구에 따른 착신측 음성 사서함 연결방법
JP3267041B2 (ja)無線電話親機
JP2000050326A (ja)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の固定電話加入者ユニット及びその発番号表示情報の送信方法
KR100605832B1 (ko)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JP3043703B2 (ja)キャッチホン(登録商標)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WO2012031470A1 (zh)移动终端
JP3355499B2 (ja)無線電話装置
KR20020057682A (ko)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100253794B1 (ko)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의 이동국, 기지국간 호처리 방법
KR20010019273A (ko)휴대폰에서 예약통화방법
KR20040042226A (ko)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KR20010037171A (ko)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721870B1 (ko)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메세지를 이용한 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20918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