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직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련, 염색, 코팅, 커팅, 롤링 등의 후가공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nd more specifically,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fabric to perform the post-processing, such as refining, dyeing, coating, cutting, rolling while transferring the woven fabric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의류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면, 모, 마, 견 등의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를 방적 또는 방사를 통하여 실로 형성하고, 이 실을 제직 또는 제편하여 원단으로 형성한 다음 염색, 가공, 봉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making apparel products is made of yarn by spinning or spinning natural or artificial fibers such as cotton, wool, hemp, and silk, and weaving or knitting them to form a fabric and then dyeing, processing, sewing, etc. Is done through.
일반적으로 제직된 원단은 종류별로 구분되어 정련공정을 수행하는 업체,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업체, 코팅공정을 수행하는 업체 등을 통하여 용도별로 가공된다. 따라서 종래 원단을 가공하는 장치는 각 공정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공정을 수행하는 업체는 어느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구성하여 해당 공정만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장치에 의하면 원단의 가공이 별개의 업체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반복되는 물류, 관리 및 제품 포장 등의 추가 공정에 따른 비용상승을 유발하고, 원단의 후가공시 발생되는 산업폐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없으며, 제품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woven fabrics are classified by type and processed according to use through a company that performs a refining process, a company that performs a dyeing process, and a company that performs a coating process. Therefore, the conventional fabric process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perform only each process, and the company performing each process is configured to perform any one process to perform only the corresponding process.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the processing of the fabric is made by a separate company, causing cost increase due to repeated processes such as logistics, management, and product packaging, and effectively managing industrial wastewater generated during post-processing of the fabric. There is no problem in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not be stably manag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직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련, 염색, 코팅, 커팅, 롤링 등의 후가공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of which is to continuously process a new type of fabric that can continuously perform post-processing such as refining, dyeing, coating, cutting, rolling while transferring the woven fabric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연속가공장치20 : 제어유니트10: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20: control unit
30 : 자동연동유니트40 : 정련유니트30: automatic interlocking unit 40: refining unit
50 : 염색유니트60 : 코팅유니트50: dyeing unit 60: coating unit
70 : 롤링유니트100 : 제직기70: rolling unit 100: weaving machi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어유니트, 자동연동유니트, 정련유니트, 염색유니트, 코팅유니트, 롤링유니트를 구비하여 제직기에서 제조된 원단의 후가공이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어유니트는 제직기로부터 이송되는 원단을 정련, 염색, 코팅, 롤링하는 공정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각 유니트의 공정조건을 제어한다. 자동연동유니트는 상기 제직기에 결합되어 상기 제직기로부터 이송되는 원단의 이송속도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상기 제어유니트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유니트의 이송 제어신호에 의해 원단의 좌우에 압력이 가하도록 하여 이송시킨다. 정련유니트는 상기 자동연동유니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단을 상기 제어유니트의 정련 제어신호에 의해 정련공정을 진행한다. 염색유니트 상기 정련유니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단을 상기 제어유니트의 염색 제어신호에 의해 염색공정을 진행한다. 코팅유니트는 상기 염색유니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단을 상기 제어유니트의 코팅 제어신호에 의해 코팅공정을 진행한다. 롤링유니트는 상기 코팅유니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단을 상기 제어유니트의 커팅 및 롤링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한 규격으로 커팅하고 롤링하는 공정을 진행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n automatic interlocking unit, a refining unit, a dyeing unit, a coating unit, a rolling unit having a post-processing fabric manufactured in the weaving machine This is done continuously in. The control unit allows the process of refining, dyeing, coating, and rolling the fabric conveyed from the weaving machine to be selectively carried out as necessary and controlling the process conditions of each unit. Automatic interlocking unit is coupled to the weaving machine detects the conveying speed of the fabric conveyed from the weaving machin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abric by the transfer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ransfer. The refining unit performs the refining process on the raw material conveyed through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by the refining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Dyeing unit The dye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the dyeing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of the fabric conveyed through the refining unit. The coating unit performs a coating process on the fabric conveyed through the dyeing unit by the coating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rolling unit performs a process of cutting and rolling the fabric, which is transferred through the coating unit, to a predetermined standard by cutting and rolling control signals of the control uni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자동연동유니트, 정련유니트, 염색유니트, 코팅유니트, 롤링유니트는 상기 제어유니트와는 각 유니트를 별개로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개별 제어유니트를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Thus, the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the refining unit, the dyeing unit, the coating unit, the rolling unit is to control each unit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Each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정련유니트는 원단에 세팅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팅유니트 및; 상기 자동연동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원단을 상기 정련유니트 또는 세팅유니트로 이송시키기 위한 선택유니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us, the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or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ining unit is a setting unit for performing a setting process on the fabric; It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raw material conveyed from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to the refining unit or the setting uni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염색유니트는 염색된 원단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유니트 및; 상기 수분제거유니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 1 건조유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팅유니트는 코팅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 2 건조유니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us, the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or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yeing unit is a moisture removal unit for removing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dyed fabric; Further comprising a first drying unit for proceeding to dry the fabric conveyed through the water removal unit, the co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ying unit for proceeding to dry the fabric is completed coating process can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롤링유니트와 접속되어 코팅된 원단에 직접 인쇄하는 인쇄유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유니트는 인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유니트로 인쇄속도를 송출함으로써 원단의 이송속도가 조절되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Thus, the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or 2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inting unit connected directly to the rolling unit to print on the coated fabric, the printing unit is a printing speed It is provided with an encoder that can be sensed by sending the print speed to the control unit can be adjusted to convey the feed speed of the fabric.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직된 원단의 정련, 염색, 기타 가공을 단일의 연속가공장치에서 연속으로 공정을 수행하여 완제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자동으로 연동이 가능하여 제직과 동시에 모든 종류의 원단을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에 의한 제품생산이 가능하여 관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구축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process of refining, dyeing, and other processing of the woven fabric in a single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to be a finished product. According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locked automatically and weaving and processing all kinds of fabric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such a devic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by a multi-product small quantity production system, thereby establishing a high added value of related products.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가공장치(10)는 섬유원단 가공을 제직기(100)에 접속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연속가공장치(10)가 연결되는 제직기(100)에는 섬유를 제직하는 에어제트, 워터제트 등이 있고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제직기(100)에서 제직된 원단은 연속가공장치(10)에 투입되어자동연동유니트(30)를 통해 원단 종류별로 가공된다. 자동연동유니트(30)에 의해 이송속도 및 좌우위치가 조절되어 이송된다. 자동연동유니트(3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은 정련유니트(40)에서 각종 가공 약재를 투입하여 제직시 첨가된 호제나 기타 약재 등이 제거되는데, 이때 제직된 원단의 종류에 따라 세팅유니트(도시않음)를 착탈가능하게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정련공정이 완료된 원단은 염색유니트(50)에서 염색처리된다. 이때 염색유니트(50)에는 수분제거유니트(도시않음)를 설치하여 원단의 종류에 따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원단 표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이 수분제거유니트는 별도의 전기 기계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염색유니트(50)에는 제 1 건조유니트(도시않음)를 설치하여 원단을 건조할 수 있는데 이 제 1 건조유니트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열풍건조, 직열건조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색공정이 완료된 원단은 코팅유니트(60)에서 원단의 종류, 가공방법, 사용약재 등에 따라 폼코팅, 나이프 코팅, 스프레 코팅 등의 코팅공정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코팅유니트(60)는 원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임의로 착탈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코팅유니트(60)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약재공급을 위한 압력을 자동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코팅유니트(60)는 제 2 건조유니트(도시않음)를 별도로 설치하여 코팅된 원단을 건조하도록 한다. 제 2 건조유니트에 적용되는 건조방법에는 열풍, 직열, 간접열 등이 있고 사용약재, 원단 종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한 건조조건으로 제어되는데, 이때 제어온도는 100도 내지 180도이고 건조속도는 1분당 30 내지 100cm정도로 한다. 코팅공정이 완료된 원단은 롤링유니트(70)에서 자동으로 롤링되고 필요할 경우에는 원단 좌우 변사부분을 세팅된 폭으로 자동 커팅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by connecting the fiber fabric processing to the weaving machine (100). The weaving machine 100 to which the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is connected includes an air jet, a water jet, and the like for weaving fibers, and the type thereof is not limited. Fabrics woven in the weaving machine 100 are put into the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and processed by fabric type through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The feed speed and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re adjusted by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and are fed. The fabric conveyed by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is added to the various processing chemicals from the refining unit 40 to remove the additives or other chemicals added during weaving, in which case the setting unit (not shown) ) Can be detachably configured separately. The fabric in which the refining process is completed is dyed in the dyeing unit 50. At this time, the dyeing unit 50 may be installed to remove the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by adjusting the s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by installing a moisture removal unit (not shown), this moisture removal unit can be configured by a separate electric machine device Can be. In addition, the dyeing unit 50 may be installed to dry the fabric by installing a first drying unit (not shown), the first drying unit may be applied to a method such as hot air drying, direct heat dry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abric. In this way, the dye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oating unit 60 is subjected to a coating process, such as foam coating, knife coating, spray coating, depending on the type of fabric, processing method, drug used, and the like. Such coating unit 6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type and use of the fabric. The coating unit 6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pressure for supplying a separate medicine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Meanwhile, the coating unit 60 may separately install a second drying unit (not shown) to dry the coated fabric. Drying methods applied to the second drying unit include hot air, direct heat, indirect heat, and the like, and are controlled under appropriate drying conditions depending on the chemicals used, the type of fabric, the thickness, and the like. It should be about 30-100 cm. The fabric of the coating process is completed is automatically rolled in the rolling unit 70 and, if necessary, automatically cu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bric to the set width.
또한 본 발명은 인쇄유니트(80)를 롤링유니트(70) 다음에 접속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인쇄유니트(80)에는 인코더를 설치하여 인쇄속도를 시스템의 제어유니트(20)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인 공정 유니트들에서 이루어지는 원단의 이송속도를 연동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can be comprised by connecting the printing unit 80 to the rolling unit 70 next. The print unit 80 is provided with an encoder so as to send the print speed to the control unit 20 of the system so as to interlock the conveying speed of the fabric made in the overall process unit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n this ca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FIGS. 1 and 2.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장치(10)는 제어유니트(20), 자동연동유니트(30), 정련유니트(40), 염색유니트(50), 코팅유니트(60), 롤링유니트(70), 인쇄유니트(80)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 연속가공장치(10)는 각 공정유니트(30,40,50,60,70,80)에 개별 제어유니트(도시않음)를 각각 설치하여 모든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20)와는 별개로 각 유니트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련유니트(40)에는 세팅유니트와 선택유니트를 부가하여 원단에 세팅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자동연동유니트(3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을 정련유니트 또는 세팅유니트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염색유니트(50)에 수분제거유니트와 제 1 건조유니트를 부가하여 염색된 원단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을 진행하도록 하고, 코팅유니트(60)에 제 2 건조유니트를 부가하여 코팅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건조시키도록 한다.1 and 2, the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20,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refining unit 40, dyeing unit 50, coating It consists of the unit 60, the rolling unit 70, and the printing unit 80. On the other hand, this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all units by installing individual control units (not shown) in each process unit (30, 40, 50, 60, 70, 80).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by each unit. In addition, the refining unit 40 may be configured to add a setting unit and a selection unit to perform the setting process on the fabric, and to convey the fabric conveyed from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to the refining unit or the setting unit. In addition, the moisture removal unit and the first drying unit is added to the dyeing unit 50 to remove the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dyed fabric, and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second drying unit is added to the coating unit 60 to coat the coating. Allow the fabric to dry o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장치(10)에서 제어유니트(20)는 전기, 전자 제어시스템에 의해 작업자가 원하는 모든 기능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제어유니트(20)에는 MPU 제어에 의한 기능설정 및 MMI 기능에 의한 제어기능이 제공되고, 제직 원단과의 상호 호환을 위한 자동연동 기능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속가공장치(10)에는 전체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유니트(20)외에도 각 유니트에 별도의 개별 제어유니트를 설치하여 각 유니트의 공정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공정을 별개로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한다.In the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to set and control all functions desired by the operator by the electric and electronic control system. The control unit 2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setting by the MPU control and a control function by the MMI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enable automatic linking function setting for mutual compatibility with the woven fabric. 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10, in addition to the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entire process, a separate individual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each unit so that the process of each unit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It can also be controlled.
자동연동유니트(30)는 제직기(100)에서 제직된 원단을 정련하거나 세팅하기 위한 정련유니트(40)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 자동연동유니트(30)는 제직기(100)로부터 투입되는 원단을 연속가공할 수 있도록 원단의 좌우 밸런싱(Balancing)을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기계 및 전기적인 조작기능을 부여한다. 이 자동연동유니트(30)에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좌우 변사부분의 이탈방지와 다음 공정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핀이나 이송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to the refining unit 40 for refining or setting the fabric woven in the weaving machine 100.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provides a mechanical and electrical operation function to automatically maintain the left and right balancing of the fabric so that the fabric fed from the weaving machine 100 can be continuously processed. The automatic interlocking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in or a transfer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left and right toilet parts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and to facilitate the movement to the next process.
정련유니트(40)는 원단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정련이나 세팅공정으로 선택하여 처리하고 가공방법에 따라 필요한 약재 등을 투여한다. 이 정련유니트(40)에서 수행되는 정련공정에 사용되는 약재에는 원단별로 불순물 오염의 성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주로 수산화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암모니아수, 수산화칼륨 등의 알카리성 무기화합물과 음이온, 비이온계 등의 계면활성제가 있고, 금속이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EDTA, NTA등의 금속이온 봉쇄제를 사용할 수있다. 이와 같은 정련유니트(40)는 밀폐된 공간에 구성되고, 원단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2대 또는 3개의 롤러(Roller)를 설치하여 구동모터로 제어한다. 한편 이 정련유니트(40)는 제직공정에서 사용된 각종 호제를 제거하는데 약재를 투입하거나 히팅기구를 설치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조절되는 온도의 범위는 50도 내지 200도로 원단의 종류와 가공방법 등에 따라 작업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fining unit 40 classifies the fabrics by type and selects and processes them by refining or setting process and administers necessary medicine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The chemicals used in the refining process performed in the refining unit 40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impurity contamination by fabric, but mainly alkaline inorganic compounds and anions such as sod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ammonia water and potassium hydroxide. And surfactants such as nonionics, and metal ion sequestering agents such as EDTA and NTA can be used when they can be affected by metal ions. Such a refining unit 40 is configured in a closed space, and installed by two or three rollers (Roll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abric smoothly controlled by a drive motor. On the other hand, the refining unit 40 can proceed to the process by adding a medicine or installing a heating mechanism to remove various arcs used in the weaving process. At this time, the range of temperature to be adjusted to allow the operator to specify according to the type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fabric 50 to 200 degrees.
염색유니트(50)는 원단의 종류, 가공조건 및 방법 등에 따라 해당 약재를 투입하고, 필요할 경우 염색을 위한 컬러(Color)처리도 할 수 있다. 이 염색유니트(50)에는 가공 또는 염색된 원단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유니트(진공펌핑 또는 망글)를 설치하고, 제 1 건조유니트를 설치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가공된 원단을 열풍, 직열 또는 간접열를 이용하여 건조를 한다. 이때 건조공정시의 온도는 원단의 종류 등에 따라 70도 내지 200도 범위를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속도는 제직기의 속도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염색유니트(50)는 가공 및 염색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설치되고, 작업자는 투입된 원단의 종류에 따라 가공과 염색의 기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가공장치로의 이송은 좌우 변사부분의 압력을 조정하여 일정량으로 자동유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염색유니트(50)에서 가공 및 염색된 원단의 표면은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되는데 진공펌핑과 같은 수분제거유니트에서 원단표면의 수분 중 약 10 내지 20%정도를 제거한다. 한편 망글은 원단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기계적인 힘에 의해 가공 및 염색된 원단의 수분을 제거하는데 망글 진공펌핑의 선택은 원단의 종류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한다. 또한 염색유니트(50)에는 원단표면에 가공약재가 충분히 점착이 될 수 있는 믹서를 외부구동기구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수분제거유니트에서 1차적으로 수분이 제거된 원단은 건조유니트에서 100% 수분을 제거하는데 원단의 종류에 따라 설정온도를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Dyeing unit 50 may be added to the corresponding medicine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processing conditions and methods, if necessary, can also be color (Color) for dyeing. The dyeing unit 50 is provided with a water removal unit (vacuum pumping or mang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surface of the processed or dyed fabric, and a first drying unit is installed to remove moisture to hot air, direct heat. Or dry using indirect heat.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during the drying process to allow the operator to control the range of 70 to 200 degre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abric and the speed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speed of the weaving machine. Such dyeing unit 50 is installed to have a separate closed space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processing and dyeing, the operator can arbitrarily set the function of processing and dyeing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put into the processing device, The feed of is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toilet parts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maintained in a certain amount. The surface of the fabric processed and dyed in the dyeing unit 50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removes about 10 to 20% of the water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in a water removal unit such as vacuum pumping. On the other hand, the mangle applies a certain pressure to the fabric to remove moisture from the fabric processed and dyed by mechanical force. Mangle vacuum pumping is selected by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In addition, the dyeing unit 50 is installed to control the mixer that can be sufficiently adhered to the processing agent on the fabric surface by an external drive mechanism. The fabric that has been firstly removed from the moisture removal unit removes 100% moisture from the drying unit, allowing the operator to adjust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코팅유니트(60)는 1차 가공 및 건조된 원단을 종류에 따라 코팅하거나 재가공을 한다. 코팅유니트(60)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은 흡수성을 갖는 무기화합물과 이 무기화합물이 고착되도록 하는 바인더 그리고 잉크가 고착되도록 하는 고착제가 포함된 것이다. 원단은 코팅유니트(60)에서 나이프, 폼,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코팅된 원단을 제 2 건조유니트로 투입할 때 제 1 건조유니트와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텐션, 코팅두께 및 속도, 변사처짐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제 2 건조유니트에서의 건조방법은 1차 건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한다. 이 코팅유니트(60)는 염색되어 1차 건조된 원단의 표면을 코팅액으로 도포를 하는데, 도포방법은 나이프를 이용하여 표면에 일정의 두께로 도포하거나 별도의 분사노즐에 의해 원단표면을 도포할 수 있다. 나이프 코팅의 경우 원단표면의 텐션(Tension)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조정하고 분사노즐은 전자밸브에 의해 분사량과 거리 등을 조정한다.The coating unit 60 may coat or reprocess the primary processed and dried fabric according to the type. The coating liquid used in the coating unit 60 includes an absorbent inorganic compound, a binder for fixing the inorganic compound, and a fixing agent for fixing the ink. The fabric may be coated in a desired form by a knife, foam, spray method in the coating unit 60.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configure the coating fabric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first drying unit when the second drying unit is introduced, so that the tension, coating thickness and speed, and deflection may be effectively controlled. The drying method in this second drying unit is based on the same method as the primary drying. The coating unit 6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dyed and primary dried fabric with a coating liquid, the coating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using a knife or the surface of the fabric by a separate spray nozzle. have. In the case of knife coating, the tension of the fabric surface is selec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and the injection nozzle is adjusted by the solenoid valve.
롤링유니트(70)는 2차 건조된 원단이나 합성지를 원하는 규격으로 좌우 변사 부분을 커팅하고 롤링한다. 원단의 커팅은 히팅 나이프 또는 열풍 나이프에 의해 이루어져서 지정된 규격으로 롤링된다. 한편 롤링유니트(70) 또는 코팅유니트(60)에 접합유니트를 설치하여 2종류의 서로 다른 제품(종이+원단, 원단+원단, 원단+PVC)을 합성할 있다.The rolling unit 70 cuts and rolls the left and right toilet parts to a desired size of a secondary dried fabric or synthetic paper. The cutting of the fabric is made by a heating knife or hot air knife and rolled to a specified specification. Meanwhile, the bond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rolling unit 70 or the coating unit 60 to synthesize two different products (paper + fabric, fabric + fabric, fabric + PVC).
인쇄유니트(80)는 가공공정이 완료된 원단에 필요에 따른 인쇄공정을 진행한다. 이 인쇄유니트(80)는 프린터 또는 플로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인쇄유니트(80)는 롤링유니트(70)와 접속되어 코팅된 원단에 직접 인쇄하는데, 이 인쇄유니트(80)는 인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제어유니트(20)로 인쇄속도를 송출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원단이송 속도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롤링유니트(70)에서 원단의 이송속도가 조절되어 이송되도록 한다.The printing unit 80 performs a printing process as needed for the finished fabrication process. This print unit 80 may be a printer or a plotter. The printing unit 80 is connected to the rolling unit 70 and directly printed on the coated fabric, the printing unit 80 is provided with an encoder that can detect the printing speed to control the printing speed to the control unit 20 By discharging, the feed rate of the whole fabric of the system is linked to each other, or the feed rate of the fabric is adjusted and transferred from the rolling unit 7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the fabri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art.
본 발명에 의하면, 원단의 후가공이 하나의 컴팩트한 장치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완료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물류, 관리 및 제품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장치를 통하여 원단의 후가공이 가능하므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통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고, 동일한 공정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품질이 일정한 제품을 기대할 수 있으며, 원단처리시 발생되는 산업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processing of the fabric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by one compact device to be complet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logistics, management and product packag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ost-process fabrics through a single device, so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products with high added value through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many kinds of products, and because the same process control is made, it is possible to expect products with constant quality and industrial wastewater generated during fabric processing. Can be effectively processe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34805AKR20030097438A (en) | 2002-06-21 | 2002-06-21 |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of a pie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34805AKR20030097438A (en) | 2002-06-21 | 2002-06-21 |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of a pie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97438Atrue KR20030097438A (en) | 2003-12-3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34805ACeasedKR20030097438A (en) | 2002-06-21 | 2002-06-21 |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of a pie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30097438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562509A (en)* | 2015-01-23 | 2015-04-29 | 绍兴金渔纺织新技术有限公司 | Cold pad batch loose fiber dyeing device |
| KR20190000055A (en)* | 2017-06-22 | 2019-01-02 | 김천우 | An automatic weaving device |
| KR102011444B1 (en)* | 2018-11-20 | 2019-10-21 | 대신염직공업(주)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yed fabric |
| KR102011447B1 (en)* | 2018-11-20 | 2019-10-21 | 대신염직공업(주)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yed fabric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990274A (en)* | 1973-11-13 | 1976-11-09 | Teijin Limited |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fabric |
| KR900010284Y1 (en)* | 1988-07-12 | 1990-11-08 | 김치환 | Dyeing finishing m/c using ultrasonic vibrator |
| KR910006103B1 (en)* | 1988-09-06 | 1991-08-13 |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dyeing long fabric materials |
| US5758520A (en)* | 1994-07-07 | 1998-06-02 | Komatsu Seiren Co., Ltd. | Fabric treatment apparatus |
| KR20010067716A (en)* | 2001-03-12 | 2001-07-13 | 김석한 | System for dying pile texti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990274A (en)* | 1973-11-13 | 1976-11-09 | Teijin Limited |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fabric |
| KR900010284Y1 (en)* | 1988-07-12 | 1990-11-08 | 김치환 | Dyeing finishing m/c using ultrasonic vibrator |
| KR910006103B1 (en)* | 1988-09-06 | 1991-08-13 |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dyeing long fabric materials |
| US5758520A (en)* | 1994-07-07 | 1998-06-02 | Komatsu Seiren Co., Ltd. | Fabric treatment apparatus |
| KR20010067716A (en)* | 2001-03-12 | 2001-07-13 | 김석한 | System for dying pile texti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562509A (en)* | 2015-01-23 | 2015-04-29 | 绍兴金渔纺织新技术有限公司 | Cold pad batch loose fiber dyeing device |
| KR20190000055A (en)* | 2017-06-22 | 2019-01-02 | 김천우 | An automatic weaving device |
| KR102011444B1 (en)* | 2018-11-20 | 2019-10-21 | 대신염직공업(주)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yed fabric |
| KR102011447B1 (en)* | 2018-11-20 | 2019-10-21 | 대신염직공업(주)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yed fabric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189488Y1 (en) | An ink-jet printer for digital textiling | |
| US846514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textiles | |
| CN102046382B (en) | Device for cold foil embossing | |
| CN108601414B (en) | Multi-line feeding system | |
| US10189245B2 (en) | Method and an assembly for sublimation transfer printing | |
| US4006609A (en) | Manufacturing of patterned deep pile circular knitted fabric | |
| CN110582409A (en) | rotary screen pattern printing of polyurethane resins on textiles | |
| US2008009594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on-Contact Type Direct Dye-Sublimation Printing | |
| WO2017082193A1 (en) | Sheet manufacturing device and sheet manufacturing method | |
| KR20030097438A (en) |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cessing of a piece | |
| CN102264543B (en) | Operation of cold thin film set with printing mechanism | |
| CN105216445B (en) | A kind of infusion bag membrane material UV continuous printing devices | |
| CN211994729U (en) | Production equipment for digital ink-jet warp-printed hazy flower fabric | |
| EP1533129B1 (en) | Substrate heating assembly | |
| KR101425427B1 (en) | Apparatus for multi-coating texture | |
| JP2015517939A (en) | On-demand operation of flexo coating equipment | |
| EP3887169A2 (en) | Systems and methods of printing on flexible materials | |
| EP3888916B1 (en) | Warp yarn transfer printing machine | |
| JP2007002349A (en) | Wrinkle prevention device of fabric dyeing machine | |
| KR20080108979A (en) | Feeding System for Image Former | |
| US10730711B2 (en) | Paper sheet recycling and print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recycling apparatus | |
| CN105339172A (en) | Production with clock system for cold film transfer | |
| CN202764375U (en) | Automated printing and cutting combined machine | |
| CN101338504A (en) | An apparatus for making patterns to fabrics using air-sandball injection | |
| CN201380636Y (en) | Device for cleaning mackintosh in printing unit of rotary pres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2062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070620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20621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8070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8112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80704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