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부 광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light assembly of a direct type for improving the central brightness of the effective display area.
최근 들어, 기술 개발의 결과로써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속화되면서 지금까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할 새로운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CRT는 성능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현대 사회의 새로운 요구인 소형화, 경량화 및 휴대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정보 처리기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s a result of technology development, as the size and weight of products are accelerated, new means for replacing the Cathode Ray Tube (CRT), which is widely used in information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CRT has many advantages in terms of performance and price, but it does not meet the new requirements of modern society, such as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portability. In contrast, liquid crystal displays have advantages such as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low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and are currently installed in almost al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requiring display devices.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 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 액정셀에 의한 광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converts the optical properties such as birefringence, photoreactivity, dichroism, and light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a liquid crystal cell to which voltage is applied to a specific molecular array of liquid crystal to convert it into another molecular array and emits light by the molecular array. Is a display device using modulation of light by a liquid crystal cell.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적으로 광을 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부에 구비된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액정 패널을 조명하여 영상을 제공한다. 액정 패널의 광 투과율은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조절되며, 이에 대응되어 정지된 화상이나 움직이는 화상이 액정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된다.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lluminated by using a backlight provided therein to provide an image.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pplied electrical signal, and correspondingly,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현재 상기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냉음극형광램프는 발광 소재와 원리에 있어 일반적인 형광램프와 큰 차이가 없으면서 저전류 동작이 가능하고 발열량이 적으며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갖는다. 냉음극형광램프는 그 내벽에 형광체가 도포된 유리관과 관의 양단에 부착된 전극을 포함한다. 유리관은 아르곤과 같은 희박 가스와 정량의 수은으로 봉입된다.Currently, the backlight for providing light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e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s a light sourc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s have the advantages of low current operation, low heat generation, and long lifespan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eneral fluorescent lamps in light emitting materials and principles.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includes a glass tube coated with a phosphor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an electrod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tube. The glass tube is encapsulated with a lean gas such as argon and a certain amount of mercury.
상기한 전극들 간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자들이 방출되어 유리관 내의 가스를 이온화시킨다. 이온과 전자의 이온화 및 재결합에 의해 253.7nm의 방전이 개시되며, 이러한 방전은 수은을 여기시켜 254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자외선은 관벽에 도포된 형광체를 자극시켜 가시광선을 방출시킨다.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electrons are released to ionize the gas in the glass tube. The ionization and recombination of ions and electrons initiates a discharge of 253.7 nm, which excites mercury to generate 254 nm ultraviolet. Ultraviolet rays stimulate the phosphors applied to the tube walls to emit visible light.
도 1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로서, 특히 반사판에 다수개의 램프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backlight assembly, in particular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 backlight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lamp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reflecting plat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110)와, 램프(110)로부터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20)과, 램프(110) 및 반사판(1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이를 확산시켜 균일한 광휘도 분포를 갖는 광을 출사시키는 확산판(130) 및 이들을 수납하는 수납용기(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general backlight assembly 100 may include a lamp 110 generating light, a reflecting plate 120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amp 110, and a lamp 110 and a reflecting plate 120. And a diffuser plate 130 that receives incident light and diffuses the emitted light to emit light having a uniform luminance distribution, and a storage container 140 accommodating them.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램프(110)는 일반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램프(110)는 반사판(120)상에 일정한 제1 간격(a)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고, 확산판(130)은 램프(110)들로부터 일정한 제2 간격(b) 만큼 이격되어 구비된다.In the direct backlight method 100, a plurality of lamps 110 are generally provided, the lamps 110 are arranged on the reflecting plate 120 with a constant first spacing a, 130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lamps 110 by a second constant interval b.
수납용기(140)는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납용기(140)의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의 내부면을 따라 반사판(120)이 구비되고, 확산판(130)이 안착된다.The storage container 140 has a hexahedr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ed,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40, and a reflecting plate 120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and the diffusion plate 130 is provided. Is seated.
램프(110)는 확산판(130) 측에 광을 공급한다. 이때 확산판(130)에서 출사되는 광은 미도시된 액정 표시 패널에 입사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확산판(130)에서 출사되는 광은 확산판(130) 전면에 걸쳐 균일한 광휘도를 갖아야 되며, 램프(110)와 램프(110) 사이의 위치에서 어두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The lamp 110 supplies light to the diffusion plate 130 side. In this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plate 130 is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to display an image.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er plate 130 should have a uniform brightnes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130, and the dark portion at the position between the lamp 110 and the lamp 110 should not occur.
상기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램프(110)간의 제1 간격(a)이 램프(110)와 확산판(130)과의 제2 간격(b) 보다 1.8배 이하여야 한다.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 the first interval a between the lamps 110 should be 1.8 times less than the second interval b between the lamp 110 and the diffusion plate 130.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간격(a)은 상기 제2 간격(b) 보다 1.8배 이하로 배열되어, 확산판(130)에서는 휘선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확산판(130)에서 출사되는 광은 균일한 광휘도를 갖는다.In the general backlight assembly 100,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interval a is arranged to be 1.8 times or less than the second interval b, and the diffusion plate 130 does not generate bright lines and diffuses the diffusion. Light emitted from the plate 130 has a uniform brightness.
그러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제품의 성능 평가의 한 수단으로서 중앙부의 광휘도를 측정하여, 광휘도가 일정한 값 이상일 것을 요한다. 따라서, 제품의 광휘도가 화면 전체적으로 균일하다 하더라도, 화면 중앙부에 수요자가 요구하는 광휘도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rightness of the central part is measured as a means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onsumer, so that the brightness is required to be above a certain value. Therefore, even if the brightness of the product is uniform throughout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eet the brightness required by the consumer in the center screen.
또한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의 시선은 화면, 특히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부에 주로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부가 다른 부분보다 높은 광휘도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using the product, the user's eyes are mainly focused on the screen, particularly the center of the effective display area.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the effective display area with higher brightness than other parts.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부 광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assembly for improving the central brightness of the effective display area.
도 1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backlight assemb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한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backlight assembly of FIG. 2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휘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 백라이트 어셈블리110, 210 : 램프100, 200: backlight assembly 110, 210: lamp
120, 220 : 반사판130, 230 : 확산판120, 220: reflector 130, 230: diffuser
140, 240 : 몰드 프레임140, 240: mold fram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램프; 상기 램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을 입사받아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복수의 램프와 상기 확산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판의 아래에 배열되는 램프 간격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light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lamps generating light; A diffusion plate provided on an upperside of the lamp and configured to receive and diffuse the light; And a storag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lamps and the diffuser plate, wherein the lamp intervals arranged below the diffuser plate are sequentially reduced from the edge to the center portion.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확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쪽으로 갈수록 램프간의 간격을 좁게 배열하여 확산판 중앙부에 광의 공급을 증가시켜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부 광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cklight assembly, the distance between the lamps is narrower from the edge of the diffuser plate toward the center to increase the supply of light in the center of the diffuser plate, thereby improving the central brightness of the effective display area.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로서, 특히 램프간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하여 중앙부 광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제1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램프(210)들과, 램프(210)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제1 광을 반사시켜 제2 광으로 출사시키는 반사판(220)과, 램프(210) 및 반사판(220)의 제1 광 및 제2 광을 입사받아 이를 확산시켜 제3 광을 출사시키는 확산판(230) 및 이들을 수납하는 수납용기(24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backlight assembl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a plurality of lamps 210 generating first light and first light generated from each of the lamps 210. Reflector 220 for emitting 2 light, the diffusion plate 230 for receiving the first light and the second light of the lamp 210 and the reflecting plate 220 and diffused to emit the third light and the housing for storing them It consists of a container 240.
보다 상세하게는,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에서, 램프(210)는 일반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램프(210)들은 미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램프(2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아 방사상으로 제1 광을 출사시킨다.In more detail, in the direct backlight assembly 200, a plurality of lamps 210 are generally provided, and the lamps 210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not shown to power the lamp 210. Is supplied to radiate the first light radially.
반사판(220)은 램프(210)의 하측에 구비되고, 램프(210)로부터 출사되는 제1광을 반사시켜 확산판(230)측으로 제2 광을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사판은 백라이트의 광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현하지 않더라도 수납용기(240)의 바닥면에 일정 코팅 처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reflecting plate 220 is provided below the lamp 210, and reflects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lamp 210 to emit the second light toward the diffuser plate 230. Such a reflector is to enhance the light efficiency of the backlight and may be made through a predetermined coating treatm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40 even if not implemented in a separate plate type.
확산판(230)은 아크릴 수지(PMMA)로 이루어지고, 램프(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램프(210) 및 반사판(230)으로부터 제1 광 및 제2 광을 입사받아 이를 확산시켜 제3 광을 출사시킨다. 물론 도면상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확산판(230)의 상부에는 각종 광학 시트류가 안착되는데, 예를 들어, 확산시트와, 확산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프리즘 시트, 그리고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시트 등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diffusion plate 230 is made of acrylic resin (PMMA)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mp 210 to receive the first light and the second light from the lamp 210 and the reflecting plate 230 to diffuse the third light. Eject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various optical sheets ar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ffusion plate 230.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rism sheets and the prism shee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ffusion sheet may be disposed. 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sheet for blocking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수납용기(240)는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납용기(240)의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의 내부면을 따라 반사판(230)이 구비되고, 반사판(230) 위로는 램프(210)들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확산판(230)의 중앙부에서 확산판(23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램프 간격이 넓어지는 배열을 갖는다.The storage container 240 has a hexahedron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240, and a reflecting plate 230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and above the reflecting plate 230. Lamps 210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different spacing. Preferably, it has an arrangement in which the lamp interval is wider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ion plate 230 to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230.
또한, 수납용기(240)에는 램프(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확산판(230)이 안착된다.In addition, the diffusion container 23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amp 210 is mounted on the storage container 240.
상기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에서 램프(210)들이 서로 다른 간격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 및 제3 간격(W3)을 가지고 반사판(220)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램프(210)들은 확산판(230)과 간격 T 만큼 이격되어있다.As shown in FIG. 2, in the backlight assembly 200, the lamps 210 have a first gap W1, a second gap W2, and a third gap W3 at different distances from each other. ) And the lamps 210 are spaced apart from the diffuser plate 230 by a distance T.
다시 말해, 반사판(220)의 중앙부에는 램프(210)들이 작은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고,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램프(210)들이 큰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중앙부의 제1 간격(W1)은 제2 간격(W2) 보다 작고, 또한 제2 간격(W2)은 가장자리의 제3 간격(W3) 보다 작다.In other words, the lamps 210 ar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reflector 220 at small intervals, and the lamps 210 are arranged at the center from the center to the edges. The first interval W1 of the central port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 interval W2, and the second interval W2 is smaller than the third interval W3 of the edge.
동일한 수의 램프를 사용하면서 상기와 같이 램프를 배열하게 되면 상기한 도 1에 도시된 램프간의 간격(a)보다 제1 간격(W1)이 더 조밀해지고, 제3 간격(W3)은 더 넓어지게 된다.When the lamps are arranged as above while using the same number of lamps, the first interval W1 becomes denser than the interval a between the lamps shown in FIG. 1, and the third interval W3 becomes wider. do.
램프간의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 및 제3 간격(W3)은 램프(210)와 확산판(220)의 간격 T보다 1.8배 이하의 크기를 갖아야 된다. 램프간의 제1 간격(W1), 제2 간격(W2) 및 제3 간격(W3)이 T보다 1.8배 이상인 경우 확산판(230)상에 휘선이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first spacing W1, the second spacing W2, and the third spacing W3 between the lamps should have a size 1.8 times or less than the spacing T between the lamp 210 and the diffusion plate 220. This is because bright lines are generated on the diffusion plate 230 when the first interval W1, the second interval W2, and the third interval W3 between the lamps are 1.8 times or more than T.
도 3은 상기한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로서, 특히, 광휘도의 균일도(Uniformity) 측정을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backlight assembly of FIG. 2, in particular, a plan view of the backlight assembly for measuring uniformity of light intensity.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확산판(230)상에 A 내지 M의 13개 부위가 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irteen portions A through M are displayed on the diffusion plate 230 of the backlight assembly 200.
확산판(230)상의 A 내지 M 부위 중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서 A 내지 E 부위의 5 군데 부위의 광휘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A 및 F 내지 M 부위의 9 군데 부위의 광휘도를 측정하여 광휘도 균일도를 조사한다. 여기서, 광휘도 균일도(Uniformity)는 측정된 부위의 광휘도 중 최저 광휘도를 최고 광휘도로 나눈 퍼센트(%) 값이다.Luminance of the five sites of the A to E sites or the brightness of the nine sites of the A and F to M sites are measur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onsumer among the A to M sites on the diffusion plate 230. Examine the uniformity. Here, the luminance uniformity (Uniformity) is a percentage (%) value of the lowest luminance divided by the highest luminance among the luminance of the measured area.
상기한 광휘도 균일도는 수요자의 제품의 성능에 대한 요구에 따라 일정한 값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일 것을 요한다. 만일 광휘도 균일도가 80% 미만의 경우 최고 광휘도를 갖는 부위와 최저 광휘도를 갖는 부위가 사용자의 눈에 인식될 정도로 나타나게 된다.The brightness uniformity described above should be a certain value or more, preferably 80% or more, depending on the demand for the performance of the consumer's product. If the brightness uniformity is less than 80%, the area having the highest brightness and the area having the lowest brightness are displayed to the extent that the eyes of the user are recognized.
또한, 광휘도 균일도 이외에 수요자의 제품 평가 기준의 하나로써 중앙에 있는 A 부위의 광휘도를 측정한다. 다시 말해 광휘도 균일도가 80% 이상인 경우라도 A 부위의 광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수요자의 제품의 성능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brightness uniformity, as one of the product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nsumer, the brightness of the central portion A is measur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luminance uniformity is 80% or more, the luminance of the A portion must be at least a certain level to satisfy the demand for the performance of the consumer's produc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확산판(230)의 광휘도 균일도를 수요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충족시키면서 가능한 중앙부의 광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cklight assembly 200,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luminance of the central portion as much as possible while satisfying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diffuser plate 230 to suit the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따라서, 확산판의 광휘도 균일도를 충족시키는 한도 내 즉, 광휘도 균일도가 80% 이상을 유지하면서 확산판의 중앙부에 램프를 조밀하게 배열함으로서 확산판 중앙부의 광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bright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can be improved by densely arranging the lamp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while keep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of the diffuser plate, that is, the luminance uniformity is 80% or mor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휘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확산판 가장자리의 광휘도를 기준으로 하여 확산판상의 광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uminance distribution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particular, illustrates a luminance distribution on a diffuser plate based on the luminance of edges of a diffuser plate.
도 4를 참조하면, 확산판 가장자리 광휘도(nitedge)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도 2의 확산판(230)의 광휘도의 분포를 살펴보면, 확산판(230)의 중앙부의 광휘도가 가장자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광휘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diffuser plate 230 of FIG. 2 is set based on the nitedges of the diffuser plate, the bright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230 is an edge.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relatively higher brightness.
상기의 중앙부의 광휘도(nitmax)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요자의 요구값 이상이야 하며, 따라서 확산판의 가장자리 광휘도(nitedge)를 최고 광휘도(nitmax)로 나눈 %값, 즉 광휘도 균일도는 80% 이상이여 한다.The brightness of the center portion (nitmax )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onsumer's requirem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the nitedge of the diffuser plate divided by the maximum brightness (nitmax ), i.e., brightness Uniformity should be at least 80%.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쪽으로 갈수록 램프간의 간격을 좁게 배열하여 확산판 중앙부에 광의 공급을 증가시켜 동일한 수의 램프를 사용하면서 중앙부의 광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amps is narrower from the edge of the diffuser plate toward the center, thereby increasing the supply of light in the center of the diffuser plate, thereby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center part while using the same number of lamps. .
아울러, 확산판의 광휘도 균일도를 수요자의 요구 수준에 충족시키면서, 중앙부에 램프를 조밀하게 배열하여 확산판 중앙부의 광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center of the diffuser plate by densely arranging the lamps in the center, while satisfying the level of brightness uniformity of the diffuser plat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33745AKR100783611B1 (en) | 2002-06-17 | 2002-06-17 | Backlight assembly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33745AKR100783611B1 (en) | 2002-06-17 | 2002-06-17 | Backlight assembl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96737Atrue KR20030096737A (en) | 2003-12-31 |
| KR100783611B1 KR100783611B1 (en) | 2007-12-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33745AExpired - Fee RelatedKR100783611B1 (en) | 2002-06-17 | 2002-06-17 | Backlight assembly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8361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1129B1 (en)* | 2005-09-30 | 2008-05-20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 KR101028926B1 (en)* | 2004-06-30 | 2011-04-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
| KR101325983B1 (en)* | 2006-12-11 | 2013-11-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75216A (en)* | 1992-08-27 | 1994-03-18 | Hitachi Ltd | Liquid crystal display |
| JPH06258639A (en)* | 1993-03-03 | 1994-09-16 | Nec Home Electron Ltd | Back light unit |
| JP2001022285A (en)* | 1999-07-13 | 2001-01-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acklight device |
| JP3642723B2 (en)* | 2000-09-08 | 2005-04-27 | シャープ株式会社 | Backlight device for display pane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28926B1 (en)* | 2004-06-30 | 2011-04-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
| KR100831129B1 (en)* | 2005-09-30 | 2008-05-20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 KR101325983B1 (en)* | 2006-12-11 | 2013-11-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83611B1 (en) | 2007-12-0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327157B2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060133784A (en) | LED array lens and backlight device using same | |
| US7338183B2 (en) | Backlight assembly and LCD using the same | |
| JP2004220980A (en) | Backlight device | |
| KR100790497B1 (en) | Direct type backlight unit | |
| KR100783611B1 (en) | Backlight assembly | |
| KR100727856B1 (en) | Reflector plate structure of direct type backlight using light emitting diode as light source and backlight device using same | |
| KR20060028895A (en) | Backlight unit | |
| KR100565744B1 (en) | Direct type back light unit | |
| KR20070055049A (en) |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 KR100796482B1 (en) | Backligh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610614B1 (en) |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 |
| KR100999009B1 (en) |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 US20070019397A1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 |
| KR101245209B1 (en) |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 KR20060059103A (en) |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 |
| KR20040029231A (en) | Fluorescent Lamp And Baklight Device With The Same | |
| KR101289963B1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KR101274021B1 (en) | Backlight unit | |
| KR20050011901A (en) | back light un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KR20070020614A (en) |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 KR100610613B1 (en) |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 |
| KR20070102902A (en) |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 |
| KR20080037778A (en) | LCD Module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 KR20050068879A (en) | Back light assembl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20080421 Republication note text: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100783611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2007120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11115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21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212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