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O--glucoside)는 제형 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비타민 유도체로 (Biochem. Pharmacol 44(11):2119-2197(1992) ; 및 J Nutr Sci Vitaminol 44:345-359(1998))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상지 추출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 추출물로, 본 발명자들의 특허 출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47258 호)에서 그 미백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와 상지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상승적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가 월등히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상지 추출물"은 뽕나무의 어린 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통칭하여 나타낸다. 상기 상지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천궁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천궁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지추출물"의 범위에는 상지로부터 추출되어 가공된 "멜버린" 및 기타 상지의 가공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상지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5 중량% 및 0.0001-10 중량%이며,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미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상 및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각각 0.01-3 중량% 및 0.001-3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시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AA-2G는 하야시바라 (Hayashibara, 일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지는 바이오랜드 (Bioland,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상지의 추출물 제조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상지 1 ㎏을 70% 에탄올 5 ℓ에 첨가하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하였다. 이것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60-7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상지 분말을 얻었다.
실험예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 측정
티로시나아제는버섯에서분리및정제된것으로Sigma사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기질로서L-티로신(Sigma)은0.05M인산나트륨완충용액(pH6.8)에용해하여0.1㎎/㎖용액으로만들어사용하였다.상지추출물및AA-2G는0.05M 인산나트륨완충용액(pH6.8)에적당한농도로조절하여용해한후사용하였다.L-티로신용액0.5㎖을시험관에넣고여기에상지 추출물시료액, AA-2G 시료액, 그리고 상지 추출물 및 AA-2G를 모두 포함하는시료액0.5㎖을각각가하고37℃항온기에서10분간방치하였다.그후각시료액에200unit/㎖티로시나아제0.5㎖을첨가하고37℃에서10분간반응시켰다.이반응액이든시험관을얼음위에놓아급냉시켜반응을중지시킨후분광광도계로파장475 ㎚에서의흡광도를측정하였다.대조군으로는 상기 시료 대신 완충용액 0.5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시료의티로시나아제활성저해율은하기수학식1에 따라 계산하였다.
효소활성저해율(%)=100-[(비교군흡광도/대조군흡광도)×100]
실험결과는하기표1 및 표 2에나타나있다.
상지 추출물 농도 (㎍/㎖) | 효소 활성 저해율 (%) |
1 | 5.4 |
2 | 11.6 |
5 | 23.5 |
10 | 42.8 |
20 | 65.1 |
50 | 75.8 |
AA-2G 농도 (㎍/㎖) | 효소 활성 저해율 (%) |
10 | 8.6 |
30 | 17.8 |
50 | 51.4 |
100 | 73.2 |
상지 추출물 농도 (㎍/㎖) | AA-2G 농도 (㎍/㎖) | 효소 활성 저해율 (%) |
0 | 30 | 17.8 |
1 | 30 | 40.2 |
2 | 30 | 65.3 |
5 | 30 | 84.2 |
10 | 30 | 94.7 |
20 | 30 | 98.6 |
50 | 30 | 98.8 |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 및 AA-2G는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 및 AA-2G를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효소 활성 저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하,본발명의제형예로서유연화장수,수렴화장수,영양화장수,영양크림,마사지크림,에센스및팩을예시하고있으나,본발명의화장료 조성물의제형은이에제한되는것은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0.5 |
상지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6.0 |
1,3-부틸렌글리콜 | 3.0 |
PEG 1500 | 1.0 |
알란토인 | 0.1 |
DL-판테놀 | 0.3 |
EDTA-2Na | 0.02 |
벤조페논-9 | 0.04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5.0 |
에탄올 | 10.0 |
옥틱도데세스-16 | 0.2 |
폴리솔베이트 20 | 0.2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0.5 |
상지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2.0 |
1,3-부틸렌글리콜 | 2.0 |
알란토인 | 0.2 |
DL-판테놀 | 0.2 |
EDTA-2Na | 0.02 |
벤조페논-9 | 0.04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3.0 |
에탄올 | 15.0 |
폴리솔베이트 20 | 0.3 |
위치하젤 추출물 | 2.0 |
구연산 | 미량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3: 영양 화장수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1.0 |
상지 추출물 | 1.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 1.5 |
스테아릴 알코올 | 1.5 |
라놀린 | 1.5 |
폴리솔베이트 | 1.3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5 |
경화식물유 | 1.0 |
광물유 | 5.0 |
스쿠알란 | 3.0 |
트리옥타노인 | 2.0 |
디메치콘 | 0.8 |
초산 토코페롤 | 0.5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12 |
글리세린 | 5.0 |
1,3-부틸렌글리콜 | 3.0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5.0 |
트리에탄올아민 | 0.12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4: 영양 크림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1.0 |
상지 추출물 | 1.5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 2.0 |
세테아릴 알코올 | 2.2 |
스테아린산 | 1.5 |
밀납 | 1.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6 |
경화식물유 | 1.0 |
스쿠알란 | 3.0 |
광물유 | 5.0 |
트리옥타노인 | 5.0 |
디메치콘 | 1.0 |
글리세린 | 5.0 |
베타인 | 3.0 |
트리에탄올아민 | 1.0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4.0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5: 마사지 크림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1.0 |
상지 추출물 | 1.5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5 |
스테아릴 알코올 | 1.5 |
스테아린산 | 1.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6 |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 5.0 |
스쿠알란 | 5.0 |
광물유 | 35.0 |
디메치콘 | 0.5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 0.12 |
글리세린 | 6.0 |
트리에탄올아민 | 0.7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6: 에센스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1.0 |
상지 추출물 | 1.5 |
글리세린 | 10.0 |
베타인 | 5.0 |
PEG 1500 | 2.0 |
알란토인 | 0.1 |
DL-판테놀 | 0.3 |
EDTA-2Na | 0.02 |
벤조페논-9 | 0.04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 0.1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8.0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18 |
옥틸도데칸올 | 0.3 |
옥틸도데세스-16 | 0.4 |
에탄올 | 6.0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7: 팩
성분 | 함량 (중량%) |
AA-2G | 1.0 |
상지 추출물 | 1.5 |
폴리비닐 알코올 | 15.0 |
셀룰로오스 검 | 0.15 |
글리세린 | 3.0 |
PEG 1500 | 2.0 |
시이크데스트린 | 0.15 |
DL-판테놀 | 0.4 |
알란토인 | 0.1 |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 0.3 |
니코틴아미드 | 0.5 |
에탄올 | 6.0 |
PEG 40 경화피마자유 | 0.3 |
방부제, 향, 색소 | 미량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실험예 2: 미백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AA-2G 및 상지 추출물을 각각 1.0%, 1.5% 함유하고 있는 제형예 4의 영양 크림과, 비교예로서 제형예 4에서 상지추출물 및 AA-2G를 정제수로 대체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건강한 30-40세 한국 여성 실험 대상자 50명을 무작위로 2개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 제형예 4의 영양 크림 및 비교예의 영양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안면 좌측 부위와 안면 우측 부위에 적당량을 2개월간 연속적으로도포하게하였다.미백효과는시험종료후안면의개선정도를관찰하여효과가나타난실험대상자의인원수로써개선효과를평가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는표11에나타나있다.
구분 | 유효 (명) | 약간 유효 (명) | 무효 (명) | 유효율 (%) |
제형예 4의 크림 | 39 | 8 | 3 | 94.0 |
비교예의 크림 | 3 | 6 | 41 | 18.0 |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발명의화장료조성물은비교예의조성물에비하여높은미백효과를보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이 상지 추출물 및 AA-2G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미백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본발명의조성물을피부에도포한피검자들에게서피부자극을관찰할수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