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30091461A -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461A
KR20030091461AKR1020020029517AKR20020029517AKR20030091461AKR 20030091461 AKR20030091461 AKR 20030091461AKR 1020020029517 AKR1020020029517 AKR 1020020029517AKR 20020029517 AKR20020029517 AKR 20020029517AKR 20030091461 AKR20030091461 AKR 20030091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hitening
glucoside
ascorbic acid
upper lim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이강태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filedCritical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20029517ApriorityCriticalpatent/KR20030091461A/ko
Publication of KR2003009146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30091461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 성분으로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glucoside, AA-2G) 및 상지 (Ramulus mori)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 물질인 상지 추출물이나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를 각각 포함한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높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다.

Description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Comprising Ascorbic Acid 2-glucoside and Ramulus Mori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 성분으로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glucoside, AA-2G) 및 상지 (Ramulus mori)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요인에는 피부의 혈류량, 카로티노이드 및 멜라닌과 같은 피부 색소, 각질층의 두께 등이 있다. 이 중 멜라닌 색소는 피부색을 나타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피부색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멜라닌 색소는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등 피부 보호 역할을 하는 반면, 외부 요인에 의해 과생산되면 기미나 주근깨 생성의 원인이 된다.
멜라닌 합성은 피부 표피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좀에서 일어난다. 멜라닌 생성 신호는 주로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적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멜라노사이트의 특이적인 수용체로 전달된후 일련의 신호 전달 과정을 거치면서 멜라닌 생성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게 된다.
멜라노사이트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라는 효소는 멜라닌 합성에 관여한다.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노솜에 위치하는 막에 삽입되어있는 효소로 활성 부위에 구리 이온을 가지며 일련의 멜라닌 합성에 있어서 주요한 속도 한계 효소 (rate limiting enzyme)이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몇몇 다른 효소가 알려져 있는데, TRP 1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및 TRP 2 (tyrosinase related protein 2)가 그것이다 (Cohen, T.,etal.NucleicAcidsRes.18:2807-2808(1990));Jackson,I.J.,etal.,EMBOJ.,11:327-535(1992)).
TRPs는구조적으로티로시나아제와관련되어있고이들의유전자는구조기능에서중요한구리결합자리시스테인-풍부도메인(cysteine-richdomains)을모두갖는다(Hearing,V.J.andKing,R.A.,PigmentationandPigmentaryDisorders,Levine,N.,(ed.),CRCPress,BocaRaton.Fla.,3-32(1993)).상기 TRPs의 상세한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티로시나아제, TRP 1 및 TRP 2는인 비보에서 상호 작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들 복합체 내에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감소되며, 따라서 상기 TRPs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자로 작용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Orlow, S. J., et al.,J. Invest. Dermatol., 103:196-201(1994)).
멜라닌은 티로시나아제, TRP 1 및 TRP 2에 의해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으로부터 도파 (DOPA), 도파퀴논 (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 반응을 거쳐 생합성 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솜을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고, 상기 케라티노사이트에서 28일간의 각화 과정 (keratinization)을 거쳐 피부 표면으로 나온다.
그러나 각화 과정에서 멜라닌이 어떤 요인에 의해 과량 생성되고, 각화에 의해 멜라닌 색소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색소 침착 (pigmentation)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미백화장품에사용되는미백제는 여러 기작으로 작용한다.
첫째, 광산란제나 광차단제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둘째, 멜라닌 생성 신호 전달 과정의 저해를 통한 관련 단백질 생성의 억제, 셋째,티로시나아제의 효소 활성 저해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도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들은 가장 보편적인 미백제로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화합물,예컨대L-아스코르브산(L-ascorbicacid)이의유도체,코직산이의유도체,알부틴,그리고감초,상백피등에서추출한다양한추출물들이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 미백 또는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에 사용되어 왔으나,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이 좋지 않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그 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 문헌 및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 문헌 및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백 물질이 갖는 문제점, 즉 조성물 내에서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능이 뛰어난 미백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이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여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제형 내 안정성이 뛰어나며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음을 발견함으로써, 본발명을완성하였다.
따라서,발명의목적은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미백효과가개선된미백화장료조성물을제공하는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O--glucoside)는 제형 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비타민 유도체로 (Biochem. Pharmacol 44(11):2119-2197(1992) ; 및 J Nutr Sci Vitaminol 44:345-359(1998))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상지 추출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 추출물로, 본 발명자들의 특허 출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47258 호)에서 그 미백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와 상지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상승적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가 월등히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상지 추출물"은 뽕나무의 어린 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통칭하여 나타낸다. 상기 상지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천궁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천궁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지추출물"의 범위에는 상지로부터 추출되어 가공된 "멜버린" 및 기타 상지의 가공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상지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5 중량% 및 0.0001-10 중량%이며,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미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상 및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각각 0.01-3 중량% 및 0.001-3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시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AA-2G는 하야시바라 (Hayashibara, 일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지는 바이오랜드 (Bioland,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상지의 추출물 제조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상지 1 ㎏을 70% 에탄올 5 ℓ에 첨가하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하였다. 이것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60-7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상지 분말을 얻었다.
실험예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 측정
티로시나아제는버섯에서분리정제된것으로Sigma사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기질로서L-티로신(Sigma)은0.05M인산나트륨완충용액(pH6.8)에용해하여0.1㎎/㎖용액으로만들어사용하였다.상지추출물AA-2G는0.05M 인산나트륨완충용액(pH6.8)에적당한농도로조절하여용해한사용하였다.L-티로신용액0.5㎖을시험관에넣고여기에상지 추출물시료액, AA-2G 시료액, 그리고 상지 추출물 및 AA-2G를 모두 포함하는시료액0.5㎖을각각가하고37℃항온기에서10분간방치하였다.시료액에200unit/㎖티로시나아제0.5㎖을첨가하고37℃에서10분간반응시켰다.반응액이시험관을얼음위에놓아급냉시켜반응을중지시킨분광광도계로파장475 ㎚에서의흡광도를측정하였다.대조군으로는 상기 시료 대신 완충용액 0.5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시료의티로시나아제활성저해율은하기수학식1에 따라 계산하였다.
효소활성저해율(%)=100-[(비교군흡광도/대조군흡광도)×100]
실험결과는하기1 및 표 2에나타나있다.
상지 추출물 농도 (㎍/㎖)효소 활성 저해율 (%)
15.4
211.6
523.5
1042.8
2065.1
5075.8
AA-2G 농도 (㎍/㎖)효소 활성 저해율 (%)
108.6
3017.8
5051.4
10073.2
상지 추출물 농도 (㎍/㎖)AA-2G 농도 (㎍/㎖)효소 활성 저해율 (%)
03017.8
13040.2
23065.3
53084.2
103094.7
203098.6
503098.8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 및 AA-2G는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 및 AA-2G를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효소 활성 저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하,발명의제형예로서유연화장수,수렴화장수,영양화장수,영양크림,마사지크림,에센스팩을예시하고있으나,발명의화장료 조성물의제형은이에제한되는것은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성분함량 (중량%)
AA-2G0.5
상지 추출물1.0
글리세린6.0
1,3-부틸렌글리콜3.0
PEG 15001.0
알란토인0.1
DL-판테놀0.3
EDTA-2Na0.02
벤조페논-9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5.0
에탄올10.0
옥틱도데세스-160.2
폴리솔베이트 200.2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성분함량 (중량%)
AA-2G0.5
상지 추출물1.0
글리세린2.0
1,3-부틸렌글리콜2.0
알란토인0.2
DL-판테놀0.2
EDTA-2Na0.02
벤조페논-9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3.0
에탄올15.0
폴리솔베이트 200.3
위치하젤 추출물2.0
구연산미량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제형예 3: 영양 화장수
성분함량 (중량%)
AA-2G1.0
상지 추출물1.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1.5
스테아릴 알코올1.5
라놀린1.5
폴리솔베이트1.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0.5
경화식물유1.0
광물유5.0
스쿠알란3.0
트리옥타노인2.0
디메치콘0.8
초산 토코페롤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12
글리세린5.0
1,3-부틸렌글리콜3.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5.0
트리에탄올아민0.12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제형예 4: 영양 크림
성분함량 (중량%)
AA-2G1.0
상지 추출물1.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2.0
세테아릴 알코올2.2
스테아린산1.5
밀납1.0
폴리솔베이트 60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0.6
경화식물유1.0
스쿠알란3.0
광물유5.0
트리옥타노인5.0
디메치콘1.0
글리세린5.0
베타인3.0
트리에탄올아민1.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4.0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제형예 5: 마사지 크림
성분함량 (중량%)
AA-2G1.0
상지 추출물1.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1.5
스테아릴 알코올1.5
스테아린산1.0
폴리솔베이트 60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5.0
스쿠알란5.0
광물유35.0
디메치콘0.5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0.12
글리세린6.0
트리에탄올아민0.7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제형예 6: 에센스
성분함량 (중량%)
AA-2G1.0
상지 추출물1.5
글리세린10.0
베타인5.0
PEG 15002.0
알란토인0.1
DL-판테놀0.3
EDTA-2Na0.02
벤조페논-9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2
트리에탄올아민0.18
옥틸도데칸올0.3
옥틸도데세스-160.4
에탄올6.0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제형예 7: 팩
성분함량 (중량%)
AA-2G1.0
상지 추출물1.5
폴리비닐 알코올15.0
셀룰로오스 검0.15
글리세린3.0
PEG 15002.0
시이크데스트린0.15
DL-판테놀0.4
알란토인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0.3
니코틴아미드0.5
에탄올6.0
PEG 40 경화피마자유0.3
방부제, 향, 색소미량
증류수잔량
합계100
실험예 2: 미백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AA-2G 및 상지 추출물을 각각 1.0%, 1.5% 함유하고 있는 제형예 4의 영양 크림과, 비교예로서 제형예 4에서 상지추출물 및 AA-2G를 정제수로 대체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건강한 30-40세 한국 여성 실험 대상자 50명을 무작위로 2개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 제형예 4의 영양 크림 및 비교예의 영양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안면 좌측 부위와 안면 우측 부위에 적당량을 2개월간 연속적으로도포하게하였다.미백효과는시험종료안면의개선정도를관찰하여효과가나타난실험대상자의인원수로써개선효과를평가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는11에나타나있다.
구분유효 (명)약간 유효 (명)무효 (명)유효율 (%)
제형예 4의 크림398394.0
비교예의 크림364118.0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발명의화장료조성물은비교예의조성물에비하여높은미백효과를보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이 상지 추출물 및 AA-2G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미백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발명의조성물을피부에도포한피검자들에게서피부자극을관찰할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 물질인 상지 추출물이나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를 각각 포함한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높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다.

Claims (5)

KR1020020029517A2002-05-282002-05-28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easedKR20030091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20029517AKR20030091461A (ko)2002-05-282002-05-28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20029517AKR20030091461A (ko)2002-05-282002-05-28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30091461Atrue KR20030091461A (ko)2003-12-03

Family

ID=3238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20029517ACeasedKR20030091461A (ko)2002-05-282002-05-28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030091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10034832A (ko)*2019-09-232021-03-31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병아리난초와 씀바귀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92328A (ja)*1997-09-251999-04-06Shiseido Co Ltd皮膚外用製剤
JPH11246424A (ja)*1998-02-251999-09-14Maruzen Seiyaku Kkチロシナ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製造法
KR19990086660A (ko)*1998-05-291999-12-15서경배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0119156A (ja)*1998-10-142000-04-25Kose Corp皮膚外用剤
KR20000074101A (ko)*1999-05-182000-12-05유상옥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92328A (ja)*1997-09-251999-04-06Shiseido Co Ltd皮膚外用製剤
JPH11246424A (ja)*1998-02-251999-09-14Maruzen Seiyaku Kkチロシナ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製造法
KR19990086660A (ko)*1998-05-291999-12-15서경배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0119156A (ja)*1998-10-142000-04-25Kose Corp皮膚外用剤
KR20000074101A (ko)*1999-05-182000-12-05유상옥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10034832A (ko)*2019-09-232021-03-31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병아리난초와 씀바귀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0504408B1 (ko)생큐노라이드 a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4B1 (ko)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530669B1 (ko)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414390B1 (ko)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90117364A (ko)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40087644A (ko)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61722B1 (ko)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119340A (ko)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29718B1 (ko)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604085B1 (ko)상지 추출물과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02684B1 (ko)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515125B1 (ko)상지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30091461A (ko)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95956B1 (ko)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0B1 (ko)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6341B1 (ko)명당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449345B1 (ko)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40060157A (ko)트라넥사믹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5951B1 (ko)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8541A (ko)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0869A (ko)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20528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4083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504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05081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5042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Patent event date:20040831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