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안은 전화기의 음향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가 청취하게 되는 음향의 크기가 능동적으로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전화기를 사용하는 중에도 별도로 음향 조정 키를 누를 필요가 없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ctively controlling the sound of the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he volume of the sound that the user listens to through the speaker actively depends on the incoming soun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eceived volume of a mobile phone,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phone more conveniently by not having to press a sound adjustment key separately.
전화기를 조용한 장소에서 사용한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나, 이동 단말기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야외의 개방된 곳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주위의 소음 때문에 통화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If the phone is used in a quiet place, there will be no problem. However, when the user is on the move,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when making a call in an open area outdoors, the call may not be made properly due to the surrounding noise.
이러한 일을 막기 위하여 종래의 전화기에는 음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었는데, 도 1은 종래 전화기의 음향 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ventional telephone is provided with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volume of sound.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coustic control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화기의 음향 조정 장치는 음향의 조정 신호가 조정되도록 하는 음향 조정 키(101)와, 음향 조정 키(101)의 입력을 받아 들여 그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하게 되는 중앙 제어부(102)와, 중앙 제어부(102)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인(Gain)값을 조절하여 음향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음향 앰프(103)와, 상기 음향 앰프(103)의 출력 신호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104)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ound control apparatus for a telephone includes a sound control key 101 for adjusting a sound control signal and a central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 input of the sound control key 101 and emits a control signal thereto. 102, a sound amplifier 103 for adjusting the gain valu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02 to change the sound level, and reproduc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amplifier 103. It consists of a speaker 104.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스피커(104)의 음향 크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전화기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음향 조정 키(101)로 입력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중앙 제어부(102)로 전달하고, 전달된 신호에 따라 중앙 제어부(102)로 부터 다른 제어 신호가 음향 앰프(103)로 전달되어 게인 값이 조절되며, 게인 값에 따라 음향 앰프(103)는 출력 신호를 스피커(104)로 전달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sound level of the speaker 104, the user inputs the input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2 by inputting the sound adjusting key 101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elephone.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02 to the acoustic amplifier 103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gain value is adjusted. The acoustic amplifier 103 outputs the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gain value. Will be sent to.
한편, 상기된 바 있는 음향 조정 키(101)는 전화기의 메뉴 구성에 포함되어 있어 화면 표시부를 통하여 조정하기도 하지만, 메뉴 구성에 음향 조정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중에 음향을 조정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어 주로 전화기의 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도 2는 이러한 예로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ound control key 101 is included in the menu configuration of the phone, and may be adjust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but if the menu configuration includes sound adjustment, the sound is adjusted during a call using the 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and is often provided separately on the side of the phone,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such an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는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 음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 음향의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조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음향 조정 키(201)가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pair of sound adjusting keys 201 are provided at one side of a mobile terminal to adjust a loudness or a small size of the sound at one side to adjust a speaker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음향의 크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다이얼 패드를 사용하여 메뉴를 고칠 필요 없이,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음향 조정 키(201)를 조정하여 음향을 원하는 데로 맞출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sound volume while using the telephone, the user does not need to adjust the menu by using the dial pad separately, but adjusts the pair of sound adjusting keys 20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You can customize the sound to your liking.
그러나, 이와 같은 전화기의 음향 조정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정상적으로 음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전화기의 사용상 지극히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전화기를 쥐고 있는 도중에 실수로나 무의식적인 상황에서 음향 조정 키(201)를 누르게 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았던 효과로서 음향의 증가 또는 감소를 얻게 되므로,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는 중에는 오히려 음향 조정 키로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sound control device of such a phone can have a very good effect on the use of the phone when the user normally adjusts the sound while using the mobile terminal. However, the sound control key is accidentally or unconsciously while holding the phone. When the user 201 is pressed, an increase or decrease of sound is obtained as an unintended effect, so that the user may be uncomfortable with the sound adjusting key while using the phone.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전화기의 일정 위치에 음향 조정 키를 설치할 필요 없이 전화기 내부에서 능동적으로 잡음 수준을 감지하여 적정의 스피커 출력을 내도록 함으로써, 한층 더 편리하게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t is more convenient to provide a proper speaker output by actively detecting the noise level inside the phone without the need of installing a separate sound adjustment key at a certain position of the pho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eception volume of a cellular phone to be used.
도 1은 종래 전화기 음향 조정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telephone sound control device.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reception volume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음향 조정 키 102 : 중앙 제어부 103 : 음향 앰프101: sound control key 102: central control unit 103: sound amplifier
104 : 스피커 301 : 마이크 302 : 노이즈 감지부104: speaker 301: microphone 302: noise detector
303 : 노이즈 변환기 304 : 비교기 305 : 중앙 제어부303: noise converter 304: comparator 305: central control
306 : 메모리부 307 : 음향 앰프 308 : 스피커306: memory 307: acoustic amplifier 308: speaker
309 : 수신음 변환기309: reception sound convert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 중에서 노이즈 신호를 감지하는 노이즈 감지부와, 상기 노이즈 감지부에서 감지된 노이즈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노이즈 변환기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수신음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수신음 변환기와, 상기 노이즈 변환기와 상기 수신음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를 통하여 비교된 비교값으로부터 게인 값을 산출하는 중앙 제어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게인 값에 따라 수신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음향 앰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ception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ise detector for detecting a noise signal from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a microphone, and the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is an electrical signal. A noise converter for converting, a reception sou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received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noise converter and the reception sound converter, and a comparison value compared through the comparator And a sound amplifier for amplifying a received sound signal according to a gain value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ler.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변의 노이즈 레벨을 감지하여 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스피커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an ambient noise level and actively control the output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received volum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received volum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전화기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301)와 마이크(301)를 통하여 외부에서 들려오는 잡음을 측정하는 노이즈 감지부(302)와, 상기 노이즈 감지부(302)를 통하여 들려온 노이즈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노이즈 변환기(303)와, 스피커(308)를 통하여 출력되는 수신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음 변환기(309)와, 상기 노이즈 변환기(303)와 수신음 변환기(309)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비교기(304)와, 상기 비교기(304)에서 출력되는 비교값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305)와, 상기 중앙 제어부(305)의 출력 신호에 따른 게인(Gain) 값으로 음향이 증폭되도록 하기 위한 음향 앰프(307)와, 상기 음향 앰프(307)의 전기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게 되는 스피커(308)와, 상기 중앙 제어부(305)를 통하여 계산된 비교값이 저장되도록 하는 메모리부(306)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ise detector 302 for measuring noise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a microphone 301 and a microphone 30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hone, and the noise detector 302. A noise converter 303 for converting the noise heard through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reception sound converter 309 for converting the received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308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noise converter 303 ) And a comparator 304 for comparing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through the reception sound converter 309 and outputting a comparison value, and a central controller 305 for issu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value output from the comparator 304. And a sound amplifier 307 for amplifying sound with a gain valu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ler 305,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of the sound amplifier 307 ( 308) , It consists of a memory unit 306 that is a comparison value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305 to be stored.
한편, 상기 마이크(301)는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가 변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마이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전화기의 일정 위치에 별도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기존의 마이크가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신호가 걸러질 수 있도록 노이즈 감지부(302)가 구성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301 may be a conventional microphone used to allow the user to change his voice,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hone, if the existing microphone is used as it is The noise detector 302 should be configured to filter signals related to voices.
또한, 상기 메모리부(306)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비교값이 저장되도록 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전화기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비교값을 설정하는 경우에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306 may not only allow the comparison value to be stored as described above, but also may store the comparison value when the user sets the comparison value to be used in the phone in advanc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30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노이즈만 별도로 분리되어 감지하기 위한 노이즈 감지부(309)에서 감지되고, 노이즈 감지부(309)에서의 출력은 노이즈 변환기(303)에서 노이즈의 물리적인 측정값이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변환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01 is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309 for detecting only the noise separately, the output from the noise detector 309 The noise transducer 303 converts the physical measurement of noise into an electrical signal value.
한편, 상기 스피커(308)를 통하여 재생된 음향도 수신음 변환기(309)를 통하여 물리적인 측정값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308 is also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physical measurement value through the receiving sound converter 309.
그리고, 노이즈 변환기(303)와 수신은 변환기(309)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노이즈와 수신음의 전기적인 신호값은 비교기(304)를 통하여 비교되어 비교값이 출력되고, 상기 비교값은 중앙 제어부(305)로 전달되어 비교값이 메모리부(306)에 저장되도록 하는 동시에 비교값에 따라 수신음이 보상되도록 게인 값을 설정하여 음향 앰프(307)로 송출하며, 음향 앰프(307)는 게인 값에 따른 음향을 스피커(308)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noise converter 303 and the reception ar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converter 309 and the electrical signal values of the received sound are compared through the comparator 304 to output a comparison value, and the comparison value is centered. The gai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5 so that the comparison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306, and the gain value is set to be compensated f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value to the sound amplifier 307, and the sound amplifier 307 receives the gain value. Sound is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308.
그리고, 스피커(308)를 통하여 출력된 수신음은 다시금 상기 수신음 변환기(309)와 비교기(304)를 통하며 외부의 노이즈와 비교됨으로써 결국은 그때 그때의 적정한 수신음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received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308 is again compared with the external noise through the received sound converter 309 and the comparator 304, so that it is possible to finally measure the appropriate volume of the received sound at that time.
한편, 위에서 소개된 바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서 사용하는 도중에 음향 조정 키를 건드리기가 쉬운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면 그 효과가 지대하다고 할 것이나, 다만 이러한 본 고안의 사용 범위가 이에 제한된다고는 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reception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phone as introduced above will be said to have a great effect when used in a mobile terminal that is easy to touch the sound control key while the user is holding it in his hand. The scope of use is not limited to this.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된다고는 할 수 없고, 본 고안을 제대로 이해하는 당업자는 필요한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변형이나 추가, 삭제, 취사 선택 등으로 인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such a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ope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another embodiment due to the modification or addition, deletion, cooking, etc. of the components within the required range It is easy to pay.
상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이용하는 도중에 건드리기가 쉬운 음향 조정 키를 없애고, 그에 대신하여 제안된 바와 같은 능동적 음향 제어 장치가 사용됨으로써, 전화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자동으로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되는 음향이 적정 수준의 크기로 재생되도록 하여 전화기의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receiving volume automatic adjustment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liminates the sound adjustment key that is easy to touch while the user is using the phone, and instead, the active sound control device as proposed is used, so that During the use, the sound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is automatically reproduced at an appropriate level, so that the user of the telephone can use the telephone more conveniently.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00036354UKR200226155Y1 (en) | 2000-12-26 | 2000-12-26 |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pt volume automatically for mobile phon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00036354UKR200226155Y1 (en) | 2000-12-26 | 2000-12-26 |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pt volume automatically for mobile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26155Y1true KR200226155Y1 (en) | 2001-06-0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00036354UExpired - LifetimeKR200226155Y1 (en) | 2000-12-26 | 2000-12-26 |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pt volume automatically for mobile phon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26155Y1 (e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727431B2 (en) | Transmitter, telephone using it | |
| JP3699018B2 (en) |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for telephone | |
| KR20050000240A (en) | A method and a device of voice signal level automatic controlling for mobile phone | |
| KR100608820B1 (en) | How to adjust volume of mobile terminal | |
| JPH05183621A (en) | Telephone set | |
| KR200226155Y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pt volume automatically for mobile phone | |
| JP2002223268A (en) | Voice control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 |
| JP2500467B2 (en) | Earpiece volume adjustment device | |
| JPH0294954A (en) | Dial confirmation sound output circuit | |
| NL1038762C2 (en) | Voice immersion smartphone application or headset for reduction of mobile annoyance. | |
| KR10034996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ling bell volume by detecting surroundings noise in handphone | |
| JPH1070600A (en) | Telephone | |
| KR0114677Y1 (en) | Arrival signal voice auto control device of a telephone | |
| KR19990037914A (en) | A bell volume servomechanis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or | |
| JPH10290282A (en) | Hands-free control circuit | |
| KR100561774B1 (en) | How to adjust volume automatically using ringtone | |
| JPH07231276A (en) | Portable wireless telephone device | |
| KR200351967Y1 (en) | Telephone transmission volume control device | |
| KR20000026419A (en) | Automatic alert mode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 |
| KR10024241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in a telephone terminal | |
| KR20030038261A (en) | Volume adjustment circui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 JPH01232864A (en) | Loudspeaker telephone set | |
| KR100662427B1 (en) | Mobile terminal providing improved sound quality | |
| JPH04352545A (en) | Telephone device with speaker horn | |
| JPH06291815A (en) | Telephone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A01011R08D Patent event date:20001226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20010323 Patent event code:UR07011E01D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1 End annual number:1 Payment date:20001227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11220 Start annual number:2 End annual number:3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31230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41227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51229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70221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80102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90105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091230 Year of fee payment:1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91230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201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