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안은 머리띠로도 사용함과 동시에 헤드폰과 마이크를 구비한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머리띠로 착용하면서 전화 또는 카셋트플레이어 등을 간편하게 통화하거나 듣도록 하는 머리띠 겸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having a headphone and a microphone at the same time as a head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set with a headband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talk or listen to a telephone or a cassette player while wearing it as a headband.
일반적인 헤드셋(headset)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scription of the general headset is as follows.
먼저, 양측귀부분에 듣도록 하는 스피커부와, 일측으로 돌출되어져 말하여서 되는 스피커부, 그리고 일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구비된 플럭을 휴대용 플레이어기기 등에 연결하여서 듣거나 각종 유무선전화장치에 연결하여서 듣거나 말하도록 것이다.First, the speaker unit for listening to both ears, the speaker unit protruding to one side, and the flocks extended at one end are connected to a portable player device, or connected to various wired / wireless telephone devices. Or to speak.
또는, 단순히 듣도록 하여서 되는 이어폰(earphone)과 헤드폰(headphone)으로도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Or it is also used as an earphone (headphone) and headphones (headphone) to simply listen to.
그리고, 머리띠는 머리가 길어 얼굴의 전면부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상·배면부로 쓸어 넘겨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And, the headband is to be fixed by swiping the hair to the upper and rear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front of the face is long because the head is long.
이때, 상기 단순히 듣도록 하는 이어폰의 일측에 머리띠를 함께 사용토록 한 종래 선출원 되어진 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 1995-8182호: 머리띠 겸용 무선이어폰)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re is a conventional prior applic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tice No. 1995-8182: headband combined wireless earphone) to use the headban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earphone to simply listen to thi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통상의 무선이어폰 수신장치에 있어서, 홀더와 인장스프링 및 움직로울러에 의한 와이어길이 조정장치와, 인출구내의 탄성편에 의해 작동되도록 이어폰의 목부위에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이어폰 인입 시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wireless earphone receiver, the wire length adjusting device by the holder, the tension spring and the moving roller, and the limit switch is provided on the neck of the earphone so as to be operated by the elastic piece in the outlet. To be blocked.
따라서, 일상생활에서는 머리띠로 사용하며, 사용 시 상기 이어폰을 머리띠에서 인출하여서 사용하는 것이다.Therefore, in everyday life it is used as a headband, and when using the earphone is withdrawn from the headband to use.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무선이어폰은 음향기기의 음만을 청취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wireless earphone has a disadvantage in that only the sound of the acoustic device can be heard.
그리고, 머리띠로서 착용한 채로 조리 등을 하거나 물기가 있는 작업을 하는 중일 때는 상기 이어폰을 작동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earphone when cooking or performing work with water while being worn as a headband.
또한, 유·무선 전화기 등에 사용 할 수 없는 문제점과 함께, 이를 해결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발신장치를 더 마련하여야만 하는 문제점과 휴대 시 앞부분으로 돌출된 마이크부에 의해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이 또한 전화를 받고자 할 때에는 별도 부착된 스위치 등을 작동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wired and wireless phones, etc., to solve this problem has to provide a separate transmission device and a cumbersome problem due to the microphone portion protruding to the front when carrying, When you want to answer the phone is a inconvenience that must operate a separate attached switch.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머리띠로 착용하며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 시에는 별도로 조작하여서 되는 스위치의 작동없이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머리띠 겸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band combined headset that can be easily talked without the operation of a switch that is normally worn as a headband and separately operated when receiv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또한, 전면부에 돌출 되어진 마이크를 절첩하여서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하는 머리띠 겸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with a headband that does not become cumbersome by folding a microphone projecting from the front side.
도1은 본 고안의 분해 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도2b는 본 고안의 마이크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발취 사용상태도.Figure 2a, Figure 2b is a state using the main portion extrac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icrophon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 도3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a,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ubject innova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머리띠부 11-연장부 20-헤드폰부10-headband 11-extension 20-headphone
21-접전부 22-힌지부 30-마이크부21-Contact 22-Hinge 30-Microphone
31-마이크 32-도전부 40-플럭31-microphone 32-conductor 40-flock
50-유·무선전화기 51-젝50-wireless cordless telephone 51-jet
따라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머리카락을 고정토록 하는 머리띠부(10)와,Headband part 10 to fix hair,
상기 머리띠부(10)의 양측끝부분에 입설하여서 된 연장부(11)에 연결되어져 듣도록 하는 헤드폰부(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eadphone portion 20 to b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both ends of the headband portion 10 to hear.
상기 헤드폰부(20)의 일측에는 일측끝부분이 마이크(31)를 이루어 통화하도록 하며, 상기 머리띠(10)의 외주면으로 감싸도록 회전하는 마이크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headphone unit 20 is one end portion to make a microphone 31 to make a cal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unit 30 to rotate to wrap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band (10).
이때, 상기 머이크부(3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microphone 3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헤드폰부(20)의 일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단락되어진 접선부(21)와,One side of the headphone unit 20 and the tangential portion 21 is short-circui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22)의 회전으로 상기 접선부(21)와 통전하여서 되는 도전부(32)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ortion 32 which is energized with the tangential portion 21 is provided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22 provided on one side.
그럼,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머리카락을 고정토록 하는 반구형의 탄성체를 이루는 머리띠부(10)와,Headband portion 10 forming a hemispherical elastic body to fix the hair,
상기 머리띠부(10)의 양측끝부분에는 귀의 위치까지 연장하도록 안내하는 연장부(11)와,At both ends of the headband 10, an extension portion 11 for guiding to extend to the position of the ear,
상기 연장부(11)의 끝부분에는 들어서 되는 휴대통신기기가 각각 양측으로 마련하였다.At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1,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o be entered are provided at both sides.
그리고, 상기 헤드폰부(20)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발신하도록 하는 마이크부(30)를 마련하였다.And, any one side of the headphone unit 20 was provided with a microphone unit 30 to transmit.
이때, 상기 마이크부(30)는 헤드폰부(20)의 일측에 마련되어 회전토록 하는 힌지부(22)와,At this time, the microphone unit 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phone unit 20, the hinge portion 22 to rotate, and
일측에는 상기 힌지부(22)에 끼움되어져 회전하며 타측으로 연장되는 끝부분에는 발신하여서 되는 마이크부(31)를 마련하였다.On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portion 31 to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마이크부(31)는 상기 머리띠부와(10) 대응되는 원주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31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column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band portion 10.
그리고, 상기 헤드폰부(20)의 어느 일측에는 유·무선 전화기(50)나 시디·카셋트 플레이어의 일측에 마련된 폰젝(51)에 연결하기 위한 연장하여서 된 전선(42)의 끝부분에 플럭(40)을 더 마련한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전선(42)의 일측에는 상기 헤드폰(20)의 수신음과 상기 마이크(31)의 발신음의 크기를 조절하여서 되는 볼륨조절부(41)를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one side of the headphone section 20, a plug 40 is provided at the end of an extended wire 42 for connecting to the phon jack 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50 or the CD cassette player. In addition, one side of the wire 42 is further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 unit 41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reception sound of the headphone 20 and the transmission sound of the microphone 31. It features.
이때, 상기 헤드셋은 무선으로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headset can be provided by wireless.
그리고, 상기 헤드폰부(20)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50)의 착신음의 확인스위치 및 시디·카셋트 플레이어의 온·오프 스위치의 기능을 하는 스위치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eadphone unit 20 provides a switch functioning as an on / off switch for confirming a ringing tone of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50 and a CD / cassette player.
상기 헤드폰부(20)의 일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단락되어진 접선부(21)와,One side of the headphone unit 20 and the tangential portion 21 is short-circui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마이크(31)부를 사용자의 통화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접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전하여서 되는 도전부(43를 마련한 것이다.When the microphone 31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a user can talk, a conductive part 43 is provided to be energiz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ngential part.
이때, 본 고안의 접선부(21)와 도전부(42)가 통전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2a’, ‘도2b’, ‘도3a’그리고, ‘도3b’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process in which the tangential part 21 and the conductive part 4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erg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Fig. 2b, Fig. 3a, and Fig. 3b.
먼저, ‘도2a’와 ‘도3a’는 상기 마이크부(30)를 사용하지 않을때를 보인 것으로 상기 머리띠와 일치되어지게 상측부로 회전하여서 마련한 것이다.First, 'Fig. 2a' and 'Fig. 3a' show when the microphone unit 30 is not used, and is prepared by rotating the upper part to match the headband.
이때의 접전부(21)와 도전부(32)는 힌지부(22)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 되어져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21 and the conductive portion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hinge portion 22.
이후, ‘도2b’와 ‘도3b’는 유·무선 전화기(50)의 착신음이 들리거나 시디·카셋트 플레이어 등을 온·오프 하고자 할 때 상기 마이크부(30)를 사용자의 안면부로 회전하는 것이다.2b and 3b rotate the microphone unit 30 to the user's face when a ringing tone of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50 is heard or a CD cassette player is turned on or off. .
이때, 상기 마이크부(30)에 마련된 도전부(32)는 상기 접전부(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되어져 통전 되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portion 32 provided in the microphone 30 is se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rtion 21 to be energized.
그리고, 이와같은 고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operation of such a desig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머리띠부(10)는 머리카락이 긴 사용자의 머리를 쓸어넘겨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또한, 상기 머리띠부(10)는 사용자의 머리에 균일하게 고정압력을 줌으로 인해 안정성과 편안함을 주며 이때 상기 헤드폰부(20)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인해 귀에 압박감을 주지않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The headband portion 10 is to act to sweep the user's hair over the long hair. In addition, the headband portion 10 provides stability and comfort by giving a fixed pressure to the user's head uniformly. Since the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headphone unit 20, it does not give pressure to the ear.
그리고, 상기 연장부(11)는 머리카락을 고정한 머리띠부(10)와 헤드폰부(20)의 이격됨을 연장하는 작용과 상기 헤드폰부(20)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11 serves to extend the separation of the headband part 10 and the headphone part 20 where the hair is fixed, and to fix the headphone part 20.
이때, 상기 헤드폰부(20)는 유·무선 전화기(50)나 시디·카셋트플레이어 등의 음향기기의 음을 청취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eadphone unit 20 serves to listen to the sound of an audio device such as a wired / wireless telephone 50 or a CD cassette player.
그리고, 상기 마이크부(30)의 일측에 마련된 마이크(31)는 전화통화 시 사용자의 대화를 발신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그리고, 상기 볼륨조절부(41)는 헤드폰과 마이크의 송·수신 음을 조절하는 것으로 주위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하여 듣거나 말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3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crophone unit 30 serves to transmit a conversation of a user during a phone call. The volume control unit 41 transmits and receives a sound of a headphone and a microphone. By controlling it, the user adjusts to listen or speak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또한, 힌지부(22)는 헤드폰부(20)와 마이크부(30)에 결합·회전하여서 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에 의해 헤드폰부(20)의 접전부(21)와 마이크부(30)의 도전부(32)가 통전되어져 전화기(50)의 착신단자와 헤드셋의 착신단자가 연결되면 본 고안의 헤드셋으로 통화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22 acts by being coupled and rotated to the headphone unit 20 and the microphone unit 30. The engaging portion 21 and the microphone unit 30 of the headphone unit 20 are rotated by the rotation. When the conducting unit 32 is energized so that the incoming terminal of the telephone 50 and the incoming terminal of the headset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with the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유·무선 전화기 대용으로 시디·카셋트 플레이어나 각종 음향청취용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a CD cassette player or a variety of acoustic listening devices in place of the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따라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머리띠로 착용하여 헤드폰부(20)에 의해 가해지는 귀의 압박감을 상기 머리띠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머리로 분산시킴으로 인해 편안한 착용감을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 시에는 별도로 조작하여서 되는 스위치의 작동없이 마이크부를 간편하게 통화가능한 위치로의 내림만으로도 통화할 수 있는 머리띠 겸용 헤드셋을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worn as a headband to disperse the pressure of the ear applied by the headphone unit 20 to the head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headband has the effect of having a comfortable fit, incoming calls of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At the time,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a headset with a headband capable of making a call by simply lowering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where a call can be easily made without the operation of a switch operated separately.
또한, 전면부에 돌출 되어진 마이크를 갖는 마이크부를 상기 머리띠와 대응되어지게 회전으로 포개어지게 절첩하여서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하는 머리띠 겸용 헤드셋을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a head-band combined headset to fold the microphone portion having a microphone protruding in the front portion to be folded in rotation to correspond to the headband so as not to be cumbersom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00020604UKR200208097Y1 (en) | 2000-07-19 | 2000-07-19 | Headset with headban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00020604UKR200208097Y1 (en) | 2000-07-19 | 2000-07-19 | Headset with headban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8097Y1true KR200208097Y1 (en) | 2000-12-1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00020604UExpired - Fee RelatedKR200208097Y1 (en) | 2000-07-19 | 2000-07-19 | Headset with headband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08097Y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6041B1 (en)* | 2003-04-18 | 2010-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arphone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1754032B1 (en)* | 2015-11-25 | 2017-07-07 | 조영숙 | Headband type earse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6041B1 (en)* | 2003-04-18 | 2010-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arphone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1754032B1 (en)* | 2015-11-25 | 2017-07-07 | 조영숙 | Headband type earse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548617B2 (en) | Bluetooth earphone | |
| US20020067825A1 (en) | Integrated headphones for audio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biased microphone boo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 |
| JP2010283873A (en) | Microphone technology | |
| KR100620827B1 (en) | Handset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 |
| WO2002007477A2 (en) | Audio headset | |
| KR200208097Y1 (en) | Headset with headband | |
| CN101309095A (en) | Portable Bluetooth sound amplification device | |
| KR200341662Y1 (en) | A wireless headset for both stereo and mono sound | |
| KR100901361B1 (en) | Mono-stereo wireless earset and earphone | |
| KR101754032B1 (en) | Headband type earset | |
| JP4269019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50096301A (en) | Wireless earphone | |
| JP2005175747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 KR200189577Y1 (en) | Computer case having sound terminal on front face | |
| KR200384767Y1 (en) | Microphone headset | |
| KR200268709Y1 (en) | Radio have a cap | |
| KR200233031Y1 (en) | Head set combined use hand phone | |
| KR200194633Y1 (en) | Earing telephone | |
| KR200302706Y1 (en) | earphone inner sunglass | |
| KR200218654Y1 (en) | Earphone device for portablel radiotelephone | |
| KR200333799Y1 (en) | Earphone supporting member and wireless tramsimitter- receiver device having thereof | |
| KR20020066165A (en) | Head set combined use hand phone | |
| JP3072131U (en) | Portable audio player for mobile phones | |
| JP2000278396A (en) | Microphone/speaker for portable telephone | |
| KR200199056Y1 (en) | Wireless earphone and microphon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UG1601 |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200110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St.27 status event code:A-5-4-M10-M11-oth-UT0701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01101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