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수신 확인을 위한 부품이 스피커와 음성신호를 재생시키는 리시버를 하나로 제작하여 각 부품내의 불필요한 공간을 줄여 경박 단소를 실현하고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부품 및 완제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유니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uni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part for acknowledg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by one receiver for reproducing a speaker and a voice signal, thereby reducing the unnecessary space in each part and realizing a thin and short place. It is to provide a receiving uni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parts and finished products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통신장비의 착신기능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멜로디나 벨과 같은 발음기능에 주로 사용되는 발음체인 부저의 경우, 알람이나 단선율의 재생만이 가능하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많은 부분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The sounding chain buzzer, which is mainly used for sounding functions such as melody and bell, which are mainly used as the reception func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can reproduce only alarm or disconnection rate, and it shows a limit to many part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
이에 대한 대안이면서 IMT-2000 서비스와 같은 화상통신을 위해서 적당한 거리에서도 청취가 가능한 초소형의 마이크로 스피커 사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스피커의 발음 원리 및 구조 특성상 부저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소형화, 박형화에 어렵다.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use of ultra-small micro speakers that can be listened at a suitable distance for video communication such as IMT-2000 service has been attempted, but it takes up more space than the buzzer due to the speaker's pronunciation principle and structure characteristics. it's difficult.
스피커와 리시버는 기계적, 전자기적 구조에는 차이는 없으며, 이들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Speakers and receivers have no difference in mechanical or electromagnetic structure, and they are converted into mechanical energy by voice coils between the air gaps by the "Fleming's Left Hand Law" that currents are energized if the conductor is in it. To convert.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수신유니트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통상적으로 수신 유니트는 스피커와 리시버로 이루어지며 모두 도 1과 같이 프레임(1)과 프로텍터(2)로 형성되는 공간(3)내에 기능부를 지닌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ing unit used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In general,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speaker and a receiver, and the space 3 is formed of a frame 1 and a protector 2 as shown in FIG. It has a functional part in it.
프레임(1)의 중앙부에는 영구자석(4)이 부착되고, 영구자석(4)의 상단에는 자로를 형성하는 탑플레이트(5)가 조립된다.The permanent magnet 4 is attach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1, and the top plate 5 forming the magnetic path is assembled at the upper end of the permanent magnet 4.
프레임(1)과 탑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진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보이스코일(6)이 위치하고, 보이스코일(6)의 상측에는 다이어프램(7)이 부착된다. 이 다이어프램(7)은 프레임(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그 상단은 프로텍터(2)로 보호된다. 도면중 부호 1a는 프레임(1)에 형성되는 통기공, 2a는 프로텍터(2)에 형성되는 방음구, 9는 요크를 도시한 것이다.A voice coil 6 for generating a vibration force is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1 and the top plate 5, and a diaphragm 7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voice coil 6. This diaphragm 7 is fixed to the edge of the frame 1, the upper end of which is protected by a protector 2.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a denotes an air vent formed in the frame 1, 2a denotes a soundproof opening formed in the protector 2, and 9 denotes a yoke.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수신유니트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가 P.C.B(8)를 통해 보이스코일(6)에 인가되면 보이스코일(6)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은 영구자석(4)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으로 다이어프램(7)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한다.In the conventional reception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6 through the PCB 8,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voice coil 6, and the magnetic field is mutually associated with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4. In operation, the diaphragm 7 is vibrated to generate sound.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착신 확인용으로 사용되므로 출력음이 커서 부품 치수가 크고, 리시버는 음성 전달용으로 사용되므로 스피커 대비 출력이 작고 부품 치수도 작다.In general, the loudspeaker is used to check the incoming call, so the output sound is large, so the part size is large, and the receiver is used for voice transmission.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에 수신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바, 이를 살펴보면;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ception unit has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the following;
현재 단말기 제조 경향은 소형화, 박형화와 경량화를 지향하여 부품 제조업체 또한 이에 적합한 부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Currently, the trend of handset manufacturing is aimed at miniaturization, thinness and light weight, so that parts manufacturers need to develop suitable parts.
그러나 극단적인 소형화의 결과 대부분은 부품은 제품 자체의 소형화는 한계점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제조업체에서는 유사 부품들 간의 일체화를 통하여다기능(Multi-function) 제품 개발로 공간 활용의 극대화를 추진하고 있다.However, as a result of extreme miniaturization, most of the parts have reached the limit of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itself, and manufacturers are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by developing multi-function products through integration among similar parts.
대표적인 예로, 기존에 상용화된 일체형의 경우 스피커와 리시버간의 작동원리가 동일함을 이용한 듀얼 모드 형태를 들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ly integrated one-piece type, a dual mode type using the same operating principl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receiver may be used.
이는 하나의 제품이 인가 신호에 따라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취한다. 그러나 주파수 영역과 음압 레벨의 차이를 가지는 두 제품을 하나의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한 2가지 특성을 만족시키기는 어려우며, 점차 주파수 특성이 우수한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는 발음체의 기술 동향을 고려할 때 듀얼 모드 형태는 성능 개선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This takes the structure that one product plays two roles depending on the authorization signal.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two characteristics to realize two products with different frequency range and sound pressure level as one product, and considering the technology trend of the speaker which is gradually in favor of products with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 dual mode Form has its limitations in improving performance.
또한, 이러한 제품은 단말기의 이상 작동시 우려되는 청각 손상의 우려로 인해 일부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se products are used in some limited due to the fear of hearing damage that occurs dur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terminal.
이에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를 제공하되, 하나의 영구자석과 리시버, 스피커의 자기회로를 공유하는 요크를 사용하여 기존의 리시버와 스피커를 하나의 통합 자기회로를 사용하여 일체화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iving uni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yoke that shares a magnetic circuit of one permanent magnet, a receiver and a speaker, and integrates an existing receiver and a speaker by using an integrated magnetic circuit.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자기계는 하나로 통합하였으나 음압에 직접 연관되는 다이어프램의 이원화를 통해 음향계의 독립성을 유지하여 전면은 스피커로 사용하고 후면은 리시버부로 사용하는 양방향형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듀얼 모드 형태와는 작동 방식과 구조면에서 확연한 차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The magnetic field that generates the excitation force is integrated into one, but the duality of the diaphragm directly related to the sound pressure keeps the independence of the acoustic system so that the front side is used as a speaker and the rear side is used as a recei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receiving uni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operation and structure.
도 1은 종래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수신유니트를 보인 단면구성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eiving unit used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용 수신유니트를 보인 단면구성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eiving unit for a termina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용 수신유니트의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Figure 3 use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receiving unit for the termina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여 산출한 자속선도Magnetic flux diagram calculated by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extrac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main part of drawing ■
(종래)(Conventional)
1:프레임1a:통기공1: Frame 1a: Ventilation
2:프로텍터2a:방음구2: protector 2a: sound insulation
3:공간4:영구자석3: space 4: permanent magnets
5:탑플레이트6:보이스코일5: Top plate 6: Boy coil
7:다이어프램8:P.C.B7: Diaphragm 8: P.C.B
9:요크9: York
(본 발명)(Invention)
10:수신 유니트11:스피커부10: Receive Unit 11: Speaker
12:리시버부13:프레임12: Receiver unit 13: frame
13a:P.C.B안착부13b:돌기13a: P.C.B seating part 13b: protrusion
14:탑플레이트15:영구자석14: top plate 15: permanent magnet
16:요크17:지지단16: York 17: support
18:통기공19:방음구18: vent 19: soundproof
20:프로텍터21:다이어프램20: protector 21: diaphragm
22:보이스코일23:P.C.B22: Boy coil 23: P.C.B
24:방음구25:프로텍터24: Soundproof mouth 25: Protector
26:다이어프램27:보이스코일26: Diaphragm 27: Boy coil
28:탑플레이트29:통기공28: top plate 29: vent
30:링30: Ring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 2내지 도 5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를 구성하는바,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nstitutes a receiving uni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2 to 5,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의 단면 구성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10)는 일측에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11)와, 타측에는 통화음을 발생시키는 리시버부(12)와, 상기 스피커부(11)와 리시버부(12)를 포함하는 프레임(13)과 상하 탑플레이트(14,28)가 접착된 반지형 영구자석(15)과, 상기 영구자석(15) 내부에 위치하는 요크(16)와, 상기 요크(16)를 고정하기 위한 링형 지지단(17)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하는 일체형 스피커 리시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 2, the reception unit 1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unit 11 for generating a ringing sound on one side and a receiver unit 12 for generating a call sound on the other side; And a ring-shaped permanent magnet 15 to which the frame 13 including the speaker unit 11 and the receiver unit 12 and the top and bottom top plates 14 and 28 are bonded, and located inside the permanent magnet 15.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integrated speaker receiver having a form including a yoke 16 and a ring-shaped support end 17 for fixing the yoke 16.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3)은 상기 스피커부(11) 및 리시버부(12)를 수용하고, 일정 원주상에 통기공(18)이 형성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3 accommodates the speaker portion 11 and the receiver portion 12, and the vent hole 18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circumference.
또한 상기 프레임(13)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리시버부(12)가 수용되는 하부에서 외경이 축소되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In addition, the frame 13 is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form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in the lower portion in which the receiver part 12 is accommodated.
상기 스피커부(11)는 다수의 방음구(19)가 형성된 프로텍터(20)와, 진동에 의하여 음압을 발생하는 다이어프램(21)과 인가되는 입력전류에 의하여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코일(22)과, 상기 보이스 코일(22)에 입력전류를 인가하는 P.C.B(23)와, 보이스코일(22) 외측에 영구자석(15)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환형의탑플레이트(14)와, 공극에서 정자기장을 발생하는 환형의 영구자석(15)과 이들을 고정시키는 프레임(13)과, 상기 영구자석(15)의 내측에 리시버부(12)와 자기회로를 공유할 수 있는 요크(16)와, 상기 요크(16)를 고정시키는 지지단(17)으로 이루어진다.The speaker unit 11 includes a protector 20 having a plurality of soundproof openings 19 formed therein, a diaphragm 21 for generating sound pressure due to vibration, and a voice coil 22 for generating excitation force by an input current applied thereto. PCB 23 for applying an input current to the voice coil 22, an annular top plate 14 bonded to the permanent magnet 15 by an adhesive on the outside of the voice coil 22, and a static magnetic field in the air gap. A ring-shaped permanent magnet 15 to be generated, a frame 13 for fixing them, a yoke 16 that can share a magnetic circuit with the receiver unit 12 inside the permanent magnet 15, and the yoke ( It consists of a support end 17 for fixing 16).
또한 상기 리시버부(12)는 다수의 방음구(24)가 형성된 프로텍터(25)와, 진동에 의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다이어프램(26)과 인가되는 입력 전류에 의하여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코일(27)과, 상기 보이스코일(27)에 입력전류를 인가하는 P.C.B(23)와 보이스코일(27) 외측에 영구자석(15)에 접착된 탑플레이트(28)와 공극에서 정자기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15)과 이들을 고정시키는 프레임(13)과, 스피커부(11)와 자기회로를 공유할 수 있는 요크(16)와, 상기 요크(16)를 탑플레이트(28)에 접착시키는 지지단(17)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eceiver 12 includes a protector 25 having a plurality of soundproof openings 24, a diaphragm 26 for generating sound pressure by vibration, and a voice coil 27 for generating excitation force by an input current applied thereto. And a top plate 28 bonded to the permanent magnet 15 outside the PCB 23 and the voice coil 27 to apply an input current to the voice coil 27 and a permanent magnet 15 generating a static magnetic field in the air gap. ), A frame 13 fixing them, a yoke 16 capable of sharing a magnetic circuit with the speaker unit 11, and a support end 17 for adhering the yoke 16 to the top plate 28. Is done.
또한, 상기 스피커부(11)와 리시버부(12)는 영구자석(15)과 요크(16)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통합가지회로 형태이며, 요크(16)의 내측에는 스피커부(11)와 리시버부(12)를 연결하는 통기공(29)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peaker unit 11 and the receiver unit 12 is a form of an integrated branch circuit using the permanent magnet 15 and the yoke 16 in common, and the speaker unit 11 and the receiver inside the yoke 16. The vent hole 29 connecting the part 12 is formed.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체형 스피커-리시버를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산출한 자속선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환형의 영구자석(15)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은 스피커부(11)와 리시버부(12)의 공극을 중앙에 통기공(29)이 형성된 요크(16)를 통하여 공통으로 사용하는 통합 자기회로가 형성된다.FIG. 3 shows a magnetic flux diagram of the integrated speaker-receiv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wherein the magnetic flux generated from the annular permanent magnet 15 is the speaker portion 11 and the receiver portion 12. An integrated magnetic circuit is commonly used through the yoke 16 having the air gap 29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요크(16)는 중앙에 통기공(29)을 가지며 황동,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 재료를 사용하는 환형의 지지단(17)을 이용하여 리시버부(12)의 탑플레이트(28)에 고정할 수 있다.The yoke 16 is fixed to the top plate 28 of the receiver portion 12 by using an annular support end 17 having a vent 29 at the center and using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brass or plastic. Can be.
외부의 P.C.B(23)로부터 환형의 보이스 코일(22,27)에 전류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다이어프램(21,26)은 상하로 진동을 하게 되어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annular voice coils 22 and 27 from the external P.C.B 23, the diaphragms 21 and 26 vibrat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leming's left-hand law, which generates sound pressure.
이와 같이 프레임(13)의 외주면 및 요크(16)의 중앙부에 통기공(29)을 두어 내외부의 공기가 자유로이 유통 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프레임(13)의 통기공(18)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요크(16)의 중앙에 구성된 중앙의 통기공(29)을 통해 아래쪽 공간으로 유입되고, 프레임(13) 내부의 공기는 역순으로 유출되면서 양측 다이어프램(21,26)의 원활한 진동과 발생하는 음의 방사에 도움을 주게 된다. 특히 요크(1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기공(29)은 이러한 기능을 증진한다.In this way, the vent hole 29 is provid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3 and the center of the yoke 16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side and outside can freely flow. That i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18 of the frame 13 flows into the lower space through the central vent hole 2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yoke 16, and the air inside the frame 13 is reversed. As it flows out, both vibrations of the diaphragms 21 and 26 are assisted in the radiation of the generated sound. In particular, the vent 29 formed in the center of the yoke 16 promotes this function.
도 4는 프레임(13) 외부면에 위치하는 통기공(1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이어프램(21,26)의 진동량은 자속밀도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프레임(13) 외주면에 형성되는 전기한 도 2의 통기공(18)을 제거하고 영구자석(15)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4와 같은 부피가 커진 영구자석(15)으로 대치한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vent 18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3. Since the vibration amounts of the diaphragms 21 and 26 ar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lux density, the diaphragm 21 and 26 may be used to remove the vent hole 18 of FIG. The configuration replaced by the bulky permanent magnet 15 as shown in FIG.
외부의 공기와 유통은 프레임(13) 스피커부(11)의 상부 일부분을 다이어프램(21)이 접착되는 프레임(13)의 아래 부분까지 소정의 각도로 절개하고 스피커부(11)의 탑플레이트(14) 외측은 프레임(13) 절개부분과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개한다. 이때 다이어프램(21)은 프레임(13)의 상부에 접착된 링(30)에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The outside air and flow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3 to which the diaphragm 21 is bo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eaker part 11 of the frame 13 and the top plate 14 of the speaker part 11. ) The outer side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rame 13 can be coincident with the center of the cutout. At this time, the diaphragm 21 is bonded to the ring 30 bo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3 to be fix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커부(11) 및 리시버부(1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상기 프레임(13)의 내외부를 연통하여 P.C.B(23)가 설치된다.The P.C.B 23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rame 13 to apply power to the speaker unit 11 and the receiver unit 12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전원 단자용 P.C.B(23)를 프레임(13)에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조립 구조상 도시한 바와 같이 P.C.B(23) 부착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수직방향 조립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앙이 천공된 P.C.B(23)를 프레임(13)의 P.C.B안착부(13a)의 돌기(13b)에 고정되어 조립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수직 방향의 외부하중에 P.C.B(23)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5 shows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PCB 23 is mounted on the frame 13, and as shown in the assembly structure, the assembly strength is increa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ause it is vulnerable to the vertical impact ac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PCB 23 attachment dire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ssembly, the centered perforated PCB 23 is fixed to the protrusions 13b of the PCB seating portion 13a of the frame 13 to be assembled to effectively protect the PCB 23 against external loa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기본 형상은 종래의 스피커와 리시버를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프레임(13)과 영구자석(15)을 두개의 부품(스피커, 리시버)이 공유하므로 부품 수를 줄여서 좀 더 염가의 제품을 제공 할 수 있다.The basic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ntional speaker and a receiver, but since two parts (speakers and receivers) share one frame 13 and a permanent magnet 15, a more inexpensive product is provided. can do.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유니트(10)는 통합 자기회로를 통해 자기회로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2개의 발음체를 하나로 일체화시킬 수 있어서 크기와 중량의 저감이 가능하며,As described above, the reception unit 1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agnetic circuit through an integrated magnetic circuit, and can reduce the size and weight by integrating two sounding bodies into one. Is possible,
본 발명에서 제시한 양방향 형태는 음향-진동계의 독립성을 보장하여 보다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bidirectional typ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acoustic-vibration system to obtain better frequency characteristics.
또한, 향후 무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하여 대형의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소형 경량화에 유리한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폴더형 이동 통신단말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공간 마련이 어려운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trend of mounting a larg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wireless video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mall size and light weight will be maintained continuously.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relatively difficult space product such as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pected effect is a great inven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75524AKR20020003169A (en) | 2001-11-30 | 2001-11-30 | Receiving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75524AKR20020003169A (en) | 2001-11-30 | 2001-11-30 | Receiving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03169Atrue KR20020003169A (en) | 2002-01-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75524ACeasedKR20020003169A (en) | 2001-11-30 | 2001-11-30 | Receiving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0003169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24186A (en)* | 2002-01-31 | 2002-03-29 | 황상문 | Receiving unit for the mobile phone |
| KR20030083774A (en)* | 2002-04-22 | 2003-11-01 | 남언욱 | Unilateral/Bilateral Electric-Sound Converter Having Fixed Coil Structure Using Magnetization Film and Method Thereof |
| KR100534154B1 (en)* | 2002-10-02 | 2005-12-06 | 주식회사 이엠텍 | The inside combination structure of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97531B1 (en)* | 2004-10-11 | 2007-03-20 | 양호준 | Headphones and Earphones with Two Resonators |
| KR100740003B1 (en)* | 2004-11-19 | 2007-07-16 | 양호준 | speaker |
| KR100764852B1 (en)* | 2005-11-15 | 2007-10-09 | 에스텍 주식회사 | Speakers for mobile devices |
| CN101330774A (en)* | 2007-06-21 | 2008-12-24 |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 How to assemble the electromagnetic sounder |
| KR20150104878A (en)* | 2014-03-06 | 2015-09-1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Microspeaker with double layer driver |
| KR101863537B1 (en) | 2017-03-13 | 2018-06-01 | 부전전자 주식회사 | Speaker having multi vibrating plate |
| KR101870261B1 (en) | 2017-04-09 | 2018-06-22 | 부전전자 주식회사 | Micro speaker with coaxial dual-diaphragm |
| KR102260762B1 (en)* | 2020-05-28 | 2021-06-07 | 부전전자 주식회사 | Drum safety filter structure adapted for 2way type microspeaker |
| CN113965847A (en)* | 2021-09-30 | 2022-01-21 | 歌尔股份有限公司 | Tool ji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24186A (en)* | 2002-01-31 | 2002-03-29 | 황상문 | Receiving unit for the mobile phone |
| KR20030083774A (en)* | 2002-04-22 | 2003-11-01 | 남언욱 | Unilateral/Bilateral Electric-Sound Converter Having Fixed Coil Structure Using Magnetization Film and Method Thereof |
| KR100534154B1 (en)* | 2002-10-02 | 2005-12-06 | 주식회사 이엠텍 | The inside combination structure of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97531B1 (en)* | 2004-10-11 | 2007-03-20 | 양호준 | Headphones and Earphones with Two Resonators |
| KR100740003B1 (en)* | 2004-11-19 | 2007-07-16 | 양호준 | speaker |
| KR100764852B1 (en)* | 2005-11-15 | 2007-10-09 | 에스텍 주식회사 | Speakers for mobile devices |
| CN101330774A (en)* | 2007-06-21 | 2008-12-24 |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 How to assemble the electromagnetic sounder |
| CN101330774B (en)* | 2007-06-21 | 2013-03-06 |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 Method for assembling electromagnetic audible device |
| KR20150104878A (en)* | 2014-03-06 | 2015-09-1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Microspeaker with double layer driver |
| KR101863537B1 (en) | 2017-03-13 | 2018-06-01 | 부전전자 주식회사 | Speaker having multi vibrating plate |
| KR101870261B1 (en) | 2017-04-09 | 2018-06-22 | 부전전자 주식회사 | Micro speaker with coaxial dual-diaphragm |
| KR102260762B1 (en)* | 2020-05-28 | 2021-06-07 | 부전전자 주식회사 | Drum safety filter structure adapted for 2way type microspeaker |
| CN113965847A (en)* | 2021-09-30 | 2022-01-21 | 歌尔股份有限公司 | Tool jig |
| CN113965847B (en)* | 2021-09-30 | 2024-04-30 | 歌尔股份有限公司 | Tool fixtur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268060B1 (en) | Multifunctional speaker | |
| JP4215624B2 (en) | Sound equipment | |
| JP2003102093A (en) | Composite speaker | |
| KR20030018766A (en) | Small type speaker for portable phone | |
| KR20020003169A (en) | Receiving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2002058094A (en) | Loudspeaker coupled with receiver | |
| KR100413374B1 (en) | Receiver United in Speaker | |
| JP2004253852A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 KR100401000B1 (en) | Speaker United in Receiver | |
| KR100375125B1 (en) | Receiving Unit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20065419A (en) | Two-way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355849B1 (en) | Vibration speaker | |
| JP2004015574A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 KR200284571Y1 (en) | Unilateral/Bilateral Electric-Sound Converter Having Fixed Coil Structure Using Magnetization Film | |
| KR20030083774A (en) | Unilateral/Bilateral Electric-Sound Converter Having Fixed Coil Structure Using Magnetization Film and Method Thereof | |
| KR100455100B1 (en) | 3-Mode Micro Speaker | |
| CN219834359U (en) | Acoustic device | |
| KR200326984Y1 (en) | Electric-acoustic trnsducer | |
| KR200271674Y1 (en) | Receiver United in Speaker | |
| KR20050021102A (en) | Diaphragm for Micro Speak and Micro Speak using thereof | |
| KR200295324Y1 (en) | Speaker of a different union type | |
| KR200290891Y1 (en) | Speaker Housing | |
| KR20030021288A (en) | Receving unit for terminal | |
| KR20010102901A (en) | Receiving unit having a side sound-proofing device type of terminal | |
| KR20040066064A (en) | Receiver unit for mobile phon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111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308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31224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30828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