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특히,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동기 시스템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일 경우에도 메시지(데이터)의 원활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IMT-2000) system), particularly when the core network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system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enable a smooth interface.
좀 더 상세하게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무선망에 연결되는 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인 경우,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인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 이하, "UZIM"이라 약칭함),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 이하 "PNLM"이라 약칭함),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s Message : 이하 "SPM"이라 약칭함),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 이하, "EGSRM"이라 약칭함),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 이하, ESPM"이라 약칭함),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 이하, "GSRM"이라 약칭함)를 비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Message)와 같은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전송토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a 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s an overhead message used by the synchronous system. UZIM "),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hereinafter abbreviated as" PNLM "), System Parameters Message (abbreviated as" SPM "),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hereinafter abbreviated as "EGSRM"),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abbreviated as ESPM "),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SRM ") Asynchronous terminal using a message such as System Information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종래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동기 단말과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CDMA-2000 무선망"을 뜻함)이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CN)로 ANSI-41망에 접속한다.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ous terminal and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which means "CDMA-2000 wireless network") of a 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re connected, and are connected to an ANSI-41 network through a core network (CN).
또한, 종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CN)로 GSM-MAP(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Mobile Application Part)망에 접속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ynchronous terminal and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type UTRAN (UMRA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is connected, the core network (C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Mobile Application GSM-MAP Part) Connect to the network.
첨부한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종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a synchronous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도 1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11은 동기 단말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2는 상기 동기 단말(11)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기지국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동기 무선망(CDMA-2000 무선 망)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3은 상기 동기 무선망(12)과 연결되는 동기 코어망으로서, 이는 동기 이동통신 교환기(MSC)(14)와 ANSI-41망(15)을 포함한다.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synchronous terminal, and reference numeral 12 wirelessly interfaces data with the synchronous terminal 11 and includes a base station and a control station.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CDMA-2000 wireless network), and the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synchronous core network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12, which is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witch (MSC) 14 and an ANSI-41 network (15). ).
이러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11)은 주지한 바와 같이 동기 무선망(12)과 접속되고, 그 동기 무선망(12)은 동기 코어망(13)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In the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such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ous terminal 11 i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12, as is well known, and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12 i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core network 13, thereby providing data. Interface.
도 1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21은 비동기 단말을 나타내고, 22는 기지국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을 나타내며, 23은 상기 UTRAN(22)과 연결되는 비동기 이동통신 교환기(MSC)(24)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교환기(24)와 접속되는 GSM-MAP망(25)을 포함하는 비동기 코어망을 나타낸 것이다.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n asynchronous terminal, 22 denotes an UTRAN, which is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base station and a control station, and 23 denotes an UTRAN 22.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including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witch (MSC) 24 to be connected and a GSM-MAP network 25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4 is shown.
이러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과 접속되고, 그 UTRAN(22)은 비동기 코어망(23)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In the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synchronous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UTRAN 22 which is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the UTRAN 22 is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core network 23 to interface data.
첨부한 도면 도 2는 상기와 같은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ocol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synchronous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도 2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30은 동기 단말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동기 무선망을 나타내고, 50은 상기 동기 무선망(40)과 연결되는 동기 코어망을 나타낸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ructure of each part of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synchronous terminal,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50 denotes a synchronou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40. Represents a core network.
상기 동기 단말(30)은 계층3(31), 계층2(34), 계층1(35)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계층3(3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동기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3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동기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33)가 구비된다.The synchronization terminal 30 is divided into a layer 3 (31), a layer 2 (34), a layer 1 (35) and provided with a protocol corresponding to each level, in particular, the layer 3 (31) for call management A call control (CC) 32 and a synchronous mobility management unit (MM) 33 for mobility management are provided.
또한, 동기 무선망(40)은 계층3(41), 계층2(42), 계층1(43)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상기 동기 단말(30)의 각 계층과 동일한 계층이 대응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radio network 40 includes protocols corresponding to the layer 3 (41), the layer 2 (42), and the layer 1 (43), and the same layer as each layer of the sync terminal 30 corresponds.
또한, 동기 코어망(50)은 계층3(51), 계층2(54), 계층1(55)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계층3(5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동기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5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동기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53)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core network 50 is divided into Layer 3 (51), Layer 2 (54), and Layer 1 (55) and provided with a protocol corresponding to each level. In particular, the layer 3 (51) includes call management. A call control (CC) 52 for synchronization and a mobility management unit (MM) 53 for mobility management are provided.
도 2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60은 비동기 단말, 70은 UTRAN, 80은 비동기 코어망을 각각 타나낸다.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ructure of each part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n asynchronous terminal, 70 denotes a UTRAN, and 80 denote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그리고 상기 비동기 단말(60)은 NAS부(61)와, 계층3(64), 계층2(65), 계층1(66)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NAS부(6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비동기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6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63)가 구비된다.The asynchronous terminal 60 is divided into a NAS unit 61, a layer 3 (64), a layer 2 (65), a layer 1 (66), and a protocol corresponding to each level is provided. 61 includes an asynchronous call control (CC) 62 for call management and an asynchronous mobility management unit (MM) 63 for mobility management.
또한, UTRAN(70)은 상기 비동기 단말(60)의 각 계층과 대응되며 비동기 코어망(80)과의 각 계층과도 대응되도록 계층3(71), 계층2(72), 계층1(73)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다.Further, the UTRAN 70 corresponds to each layer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60 and also corresponds to each layer with the asynchronous core network 80. The layer 3 (71), the layer 2 (72), and the layer 1 (73). The corresponding protocol is implemented.
또한, 비동기 코어망(80)은 상기 비동기 단말(60)과 접속하기 위한 비동기 호 제어부(CC)(82),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부(MM)(83)를 구비한 NAS부(81)와, 상기 UTRAN(70)내 각 계층과 연결하기 위한 계층3(84), 계층2(85), 계층1(86)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synchronous core network 80 is a NAS unit 81 having an asynchronous call control unit (CC) 82 for connecting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60, an asynchronous mobility management unit (MM) 83 for mobility management. And a protocol corresponding to Layer 3 (84), Layer 2 (85), and Layer 1 (86) for connecting to each layer in the UTRAN (70).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30)은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40)으로부터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동기 채널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코어망 정보나 동기 무선망 정보를 비롯한 동기 단말이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30 receives a synchronization channel message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from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40 of a 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nnects core network information or synchronization through the synchronization channel message. The synchronous terminal including the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acqui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essing the network.
즉, 동기식 ANSI-41 망의 연동시 상기 이동 단말은 파워(power) 온(on) 후, 시스템 결정상태(System Determination Sub-state), 파일롯 채널 포착상태(Pilot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동기 채널 포착 상태(Sync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동기화 상태(Timing Changing Sub-state)를 통해 시스템(무선망과 코어망) 정보를 얻는다.That is, when the synchronous ANSI-41 network is interworked,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and then, a system determination state, a pilot channel acquisition state,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System (wireless network and core network)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acquisition channel (Sync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and the synchronization state (Timing Changing Sub-state).
첨부한 도면 도 5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상기와 같은 4가지의 상태 천이를 통해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 천이도이다.5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through the four state transitions 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In more detail,
먼저 첫 번째 상태인 시스템 결정 상태(S1)는, 동기 단말이 자신이 통신을 해야 하는 CDMA 시스템을 선택하는 상태이다. 동기 단말은 파워 오프(off)하기 전에 자신의 메모리에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CDMA 채널 번호, CDMA 영역 리스트, SID 리스트, NID 리스트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동기 단말이 파워 온 하면, 자신의 메모리에 있는 정보와 CDMA 시스템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신이 통신할 수 있는 CDMA 시스템을 선택한다. CDMA 시스템 선택 알고리즘은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제공한다. 단말이 CDMA 시스템을 선택한 후, 단말은 파일롯을 얻기 위해 다음 상태인 파일롯 채널 포착 상태(S2)로 천이 한다.First, the system decision state S1, which is 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a synchronous terminal selects a CDMA system with which it should communicate. Before powering off, the 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such as a CDMA channel number, a CDMA region list, an SID list, an NID list, and the like, in its memory. After that, when the synchronous terminal powers on, it selects a CDMA system with which it can communicate using information in its memory and a CDMA system selection algorithm. CDMA system selection algorithms are provided by the handset manufacturer. After the terminal selects the CDMA system, the terminal transitions to the pilot channel acquisition state S2, which is the next state, to obtain a pilot.
상기 파일롯 채널 포착 상태(S2)는, 단말이 파일롯 채널을 얻어서 기지국을 선택하는 상태이다. 단말이 CDMA 시스템을 선택한 후, 단말은 해당 CDMA 시스템과 같은 CDMA 채널 번호, 즉 CDMA 주파수 번호를 이용하여 같은 CDMA 채널 번호를 가진 파일롯을 획득하게 된다. 단말이 파일롯 채널을 획득한 후에는 다음 상태인 동기 채널 포착 상태(S3)로 천이 한다.The pilot channel acquisition state S2 is a state in which a terminal acquires a pilot channel and selects a base station. After the terminal selects the CDMA system, the terminal acquires a pilot having the same CDMA channel number using the same CDMA channel number, that is, the CDMA frequency number. After the UE acquires the pilot channel, the UE transitions to the next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state (S3).
상기 동기 채널 포착 상태(S3)는, 단말이 파일롯 채널 포착을 통하여 선택한 시스템의 정보와 타이밍 정보를 얻는 상태이다. 단말이 파일롯 채널 포착 상태에서 선택한 기지국에서 동기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를 통하여 선택한 시스템 정보와 시스템의 타이밍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동기 채널 메시지는 시스템에서 만들어서 동기 채널을 통하여 단말로 전송한다.The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state S3 i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obtains information and timing information of a system selected by pilot channel acquisition. The terminal acquires selected system information and tim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message transmitted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at a base station selected in a pilot channel acquisition state. Such a sync channel message is generated by the system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sync channel.
상기 동기 채널 메시지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가 기록된다.The following information element is recorded in the sync channel message.
a) 프로토콜 개정 레벨(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a) Protocol Revision Level (8 bits)
b) 최소 프로토콜 개정 레벨(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b) 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8 bits)
c)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cation : 15비트)c) System Identification (15 bits)
d) 망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 16비트)d) Network Identification (16 bits)
e) 파일롯 PN 시퀀스 오프셋 인덱스(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 9비트)e) 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9 bits)
f) 롱 코드 상태(Long Code State : 42비트)f) Long Code State (42 bit)
g) 시스템 시간(System Time : 36비트)g) System time (36 bit)
h) The number of Leap second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start of system Time : 8비트)h) The number of Leap second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start of system Time: 8 bits)
i) Offset of local time from System Time(6비트)i) Offset of local time from System Time (6 bits)
j) Daylight savings time indicator(1비트)j) Daylight savings time indicator (1 bit)
k) 페이징 채널 데이터 레이트(Paging Channel data rate : 2비트)k) Paging Channel data rate (2 bits)
l) 주파수 할당 정보(Frequency assignment : 11비트)l) Frequency assignment information (Frequency assignment: 11 bits)
m) 확장 주파수 할당 정보(Extended frequency assignment : 11비트)m) Extended frequency assignment information (Extended frequency assignment: 11 bits)
n) 직교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 2비트)n) 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information (2 bits)
동기 단말은 수신한 동기 채널 메시지중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를 메모리에 저장한다.The sync terminal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elements in the received sync channel message in a memory.
a) 프로토콜 개정 레벨(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a) Protocol Revision Level (8 bits)
b) 최소 프로토콜 개정 레벨(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b) 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8 bits)
c)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cation : 15비트)c) System Identification (15 bits)
d) 망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 16비트)d) Network Identification (16 bits)
e) 파일롯 PN 시퀀스 오프셋 인덱스(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 9비트)e) 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9 bits)
f) 롱 코드 상태 정보(Long Code State : 42비트)f) Long code state information (42 bits)
g) 시스템 시간(System Time : 36비트)g) System time (36 bit)
h) 페이징 채널 데이터 레이트(Paging Channel data rate : 2비트)h) Paging Channel data rate (2 bits)
i) 직교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 2비트)i) 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information (2 bits)
이러한 과정이 완료된 후 동기 단말은 동기화 상태(S4)로 천이 한다.After this process is completed,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transitions to the synchronization state (S4).
상기 동기화 상태(S4)는 단말이 선택한 CDMA 시스템과의 동기를 일치시키는 상태이다. 단말이 동기 채널 포착 상태에서 수신한 동기 채널 메시지의 정보 요소 중에서 저장하고 있는 정보 요소를 이용하여 단말이 선택한 시스템과의 동기를 일치시킨다. 이 상태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 단말은 대기 모드(S5)로 동작한다.The synchronization state S4 is a state in which synchronization with the CDMA system selected by the terminal is synchronized. The information element stored in the sync channel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in the sync channel acquisition state is used to synchronize synchronization with the system selected by the terminal. After the operation in this state is completed,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S5).
상기 대기 모드에서 단말은 선택한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 한다. 즉, 대기 모드에서 단말은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 Access Channel Messag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등)를 수신한다.In the standby mode, the terminal monitors the paging channel of the selected system. That is, in the standby mode, the terminal receives a message (System Parameter Message, Access Channel Messag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etc.) transmitted from the system to the paging channel.
아울러 비동기 단말(60)은 UTRAN(7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Message)를 수신하며,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해 코어망 정보나 UTRAN 정보를 비롯한 비동기 단말이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synchronous terminal 60 receives a system information message (System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UTRAN 70 through a 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through which the asynchronous terminal including core network information or UTRAN inform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ess to the network is obtained.
한편, IMT-2000 시스템의 동기/비동기 방식의 경우, 1999년 5월 OHG 요구 사항 결정에 따라 코어망으로 비동기식에서 사용중인 GSM-MAP 망이나, 동기식에서 사용중인 ANSI-41망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ynchronous / asynchronous method of the IMT-2000 system, a GSM-MAP network that is used asynchronously or an ANSI-41 network that is used synchronously may be used as a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May 1999 OHG requirement decision.
즉,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은 네 가지 방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IMT-2000 system may have the following four interwork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첫 번째로, 동기 단말,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그리고 ANSI-41망 연동 구조이며, 두 번째로, 동기 단말,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그리고 GSM-MAP망 연동 구조이고, 세 번째로, 비동기 단말,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그리고 ANSI-41망 연동 구조이며, 네 번째로, 비동기 단말,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그리고 GSM-MAP망 연동 구조이다.Firstly, it is a synchronous terminal, a synchronous communication type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Secondly, a synchronous terminal, a synchronous communication type wireless network and a GSM-MAP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 Asynchronous communication type wireless network and ANSI-41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Fourth, asynchronous terminal, asynchronous communication wireless network and GSM-MAP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도 3은 OHG 회의 결과에 따른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OHG meeting.
먼저, 도 3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 코어망 연동 구조도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동기 단말, 110은 동기 무선망, 120은 동기 코어망을 각각 나타낸다.First, FIG. 3A is a synchronous ANSI-41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in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synchronous terminal, 110 denotes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120 denotes a synchronous core network.
그리고 도 3b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이 비동기 코어망일 경우 연동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참조부호 100은 동기 단말, 110은 동기 무선망, 130은 비동기 코어망을 각각 나타내며, 상기 비동기 코어망(130)은 GSM-MAP망을 포함한다.3B illustrates an interworking structure when a core network connected in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synchronous terminal, 110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130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130 includes a GSM-MAP network.
다음으로, 도 3c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식 GSM-MAP 코어망 연동 구조도로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에 접속되는 코어망으로서, 비동기식 GSM-MAP망을 포함한다.Next, FIG. 3C is an asynchronous GSM-MAP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reference numeral 210 is an asynchronous terminal, 220 is UTRAN which is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230 is connected to UTRAN 220 which is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s the core network, it includes an asynchronous GSM-MAP network.
또한, 도 3d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 코어망 연동 구조도로서, 참조부호 210은 상기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4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에 접속되는 코어망으로서, 동기식 ANSI-41망을 포함한다.3D is a synchronous ANSI-41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 reference numeral 210 is the asynchronous terminal, 220 is UTRAN which is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240 is connected to the UTRAN 220 which is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Core networks include synchronous ANSI-41 networks.
이와 같은 네 가지의 구조에 적응적으로 동작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동기 단말 및 비동기 단말은, 종래의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기 단말 및 비동기 단말과는 달리, 프로토콜 스택 구조의 계층3에 GSM-MAP 코어망 서비스용 CC(Call Control), MM(Mobility Management) 프로토콜 엔티티와 ANSI-41 코어망 서비스용 CC 및 MM 프로토콜 엔티티를 모두 가진다.In order to be able to operate adaptively to these four structures, the synchronous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terminal are different from the synchronous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terminal used in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has both CC (Call Control) and MM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entities for GSM-MAP core network services and CC and MM protocol entities for ANSI-41 core network services.
도 4는 종래 동기/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다.4 is a protocol hierarchy structure diagram of a conventional synchronous / asynchronous terminal.
먼저, 도 4a는 ANSI-41 코어망과 연동 하는 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로서, 참조부호 100은 동기 단말이고, 110은 동기 무선망이며, 120은 상기 동기 무선망(110)에 접속되는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 코어망이다.First, FIG. 4A is a protocol hierarchy structure diagram of a 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ANSI-41 core network, where reference numeral 100 is a synchronous terminal, 110 is a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120 is a synchronous core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110. An ANSI-41 core network.
이러한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100)은, 계층3(101), 계층2(106), 계층1(107)로 구분되고, 계층3(101)은 동기 CC(102), 동기 MM(103), 비동기 CC(104), 비동기 MM(105)을 모두 구비하고, 망 구분자(망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CC/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100 is divided into a layer 3 (101), a layer 2 (106), a layer 1 (107), and the layer 3 (101) is a sync CC (102), a sync MM (103), Both asynchronous CC 104 and asynchronous MM 105 are provided, and the protocol of the CC / MM is selectively activated according to the network identifier (a code for identifying the type of network).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ANSI-41 코어망(120)이므로, 동기 CC(102) 및 동기 MM(103)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ANSI-41 코어망(12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For example, since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the ANSI-41 core network 120, the protocols of the synchronous CC 102 and the synchronous MM 103 are activated to interface the message with the ANSI-41 core network 120.
다음으로, 동기 무선망(110)은 계층3(111), 계층2(112), 계층1(113)로 이루어져, 동기 단말(100)의 각 계층과 ANSI-41 코어망(120)의 각 계층과 대응적으로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Next,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110 is composed of layer 3 (111), layer 2 (112), layer 1 (113), each layer of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100 and each layer of the ANSI-41 core network 120 Corresponds to the message by activating the protocol.
또한, 상기 ANSI-41 코어망(120)은, 계층3(121), 계층2(124), 계층1(125)로 구분되고, 계층3(121)은 동기 CC(122), 동기 MM(123)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NSI-41 core network 120 is divided into layer 3 (121), layer 2 (124), and layer 1 (125), and layer 3 (121) is a synchronous CC (122) and a synchronous MM (123). ).
한편,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도 3b와 같이 비동기 코어망일 경우, 도 4b와 같은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re network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as shown in Fig. 3b, it has the protocol structure as shown in Fig. 4b.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동기 단말이고, 참조부호 110은 동기 무선망이며, 참조부호 130은 비동기 코어망이다.Her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synchronous terminal,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synchronous radio network, and 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이러한 연동 구조에서 상기 동기 단말(100)은, 계층3(101), 계층2(106), 계층1(107)로 구분되고, 계층3(101)은 동기 CC(102), 동기 MM(103), 비동기 CC(104), 비동기 MM(105)을 모두 구비하고, 망 구분자(망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CC/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100 is divided into a layer 3 (101), a layer 2 (106), and a layer 1 (107), and the layer 3 (101) is a sync CC (102) and a sync MM (103). And asynchronous CC 104 and asynchronous MM 105, all of which selectively activate the protocol of the CC / MM according to the network identifier (a code for identifying the type of network).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GSM-MAP 코어망(130)이므로, 비동기 CC(104) 및 비동기 MM(105)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GSM-MAP 코어망(13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For example, since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the GSM-MAP core network 130, the protocol of the asynchronous CC 104 and the asynchronous MM 105 is activated to interface the message with the GSM-MAP core network 130.
다음으로, 동기 무선망(110)은 계층3(111), 계층2(112), 계층1(113)로 이루어져, 동기 단말(100)의 각 계층과 GSM-MAP 코어망(130)의 각 계층과 대응적으로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Next, the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110 is composed of layer 3 (111), layer 2 (112), layer 1 (113), each layer of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100 and each layer of the GSM-MAP core network 130 Corresponds to the message by activating the protocol.
또한, 상기 GSM-MAP 코어망(130)은, NAS부(131), 계층3(134), 계층2(135), 계층1(136)로 구분되고, 상기 NAS부(131)는 비동기 CC(132), 비동기 MM(133)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GSM-MAP core network 130 is divided into a NAS unit 131, a layer 3 134, a layer 2 135, and a layer 1 136, and the NAS unit 131 is an asynchronous CC ( 132, an asynchronous MM 133.
그리고 도 4c는 ANSI-41 코어망과 연동 하는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과 접속되는 ANSI-41 코어망이다.4C is a protocol hierarchy diagram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ANSI-41 core network, where reference numeral 210 is an asynchronous terminal, 220 is an UTRAN which is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230 is connected to the UTRAN 220 which is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이러한 프로토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0)은 동기 CC(211), 동기 MM(212), 비동기 CC(213), 비동기 MM(214)을 모두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동기 CC/MM 또는 비동기 CC/MM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In this protocol structure, the asynchronous terminal 210 includes all of the synchronous CC 211, the synchronous MM 212, the asynchronous CC 213, the asynchronous MM 214, and optionally the synchronous CC / MM or asynchronous CC / MM protocol Activate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ANSI-41 코어망(230)이므로, 동기 CC(211) 및 동기 MM(212)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ANSI-41 코어망(23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For example, since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the ANSI-41 core network 230, the protocols of the synchronous CC 211 and the synchronous MM 212 are activated to interface the message with the ANSI-41 core network 230.
다음으로, 도 4d는 GSM-MAP 코어망과 연동 하는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를 보인 것이다.Next, FIG. 4D shows a protocol hierarchy diagram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a GSM-MAP core network.
여기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4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과 접속되는 GSM-MAP 코어망이다.Here,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n asynchronous terminal, 220 denotes UTRAN which is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240 denote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the UTRAN 220 which is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이러한 프로토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0)은 동기 CC(211), 동기 MM(212), 비동기 CC(213), 비동기 MM(214)을 모두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동기 CC/MM 또는 비동기 CC/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In this protocol structure, the asynchronous terminal 210 includes all of the synchronous CC 211, the synchronous MM 212, the asynchronous CC 213, and the asynchronous MM 214, and optionally the synchronous CC / MM or the asynchronous CC / MM. Activate the protocol.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GSM-MAP 코어망(240)이므로, 비동기 CC(213) 및 비동기 MM(214)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GSM-MAP 코어망(24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For example, since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the GSM-MAP core network 240, the protocols of the asynchronous CC 213 and the asynchronous MM 214 are activated to interface the message with the GSM-MAP core network 240.
한편, 주지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단말이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메시지를 오버헤드 메시지라고 하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Meanwhile, in a well-known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ssage received by a 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paging channel is called an overhead message, and the types thereof are as follows.
1) System Parameters Message1) System Parameters Message
2) Access Parameters Message2) Access Parameters Message
3) Neighbor List Message3) Neighbor List Message
4) CDMA Channel List Message4) CDMA Channel List Message
5)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5)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6) 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6) 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
7)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7)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8) General Neighbor List Message8) General Neighbor List Message
9) 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9) 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10)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10)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11)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11)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12) Extended CDMA Channel List Message12) Extended CDMA Channel List Message
이러한 오버헤드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단말에게 전송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This overhead message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provides the following information.
a) 단말에게 시스템의 세부적인 정보(시스템의 위치, 시스템식별자,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핸드오프 동작 정보),a)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ystem to the terminal (system location, system identifier, operating frequency of the system, handoff operation information),
b) 주위 시스템의 세부적인 정보,b)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system,
c) 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채널 정보,c) channel information used by the current system,
d) 단말의 등록(Registration) 영역 정보,d) registration are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 셀층 서비스(Tiered Service)를 위한 사용자 영역 정보,e) user area information for Tiered Service,
f) 단말이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f)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needs to access the system.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위에서 기술한 정보들을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된 정보는 단말이 시스템으로 호 설정을 요구하는 등의 호 제어와 관련된 메시지 전송 시 참조되며, 또한 단말의 위치 등록, 핸드오프 등의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 전송시 참조하게 된다.The terminal receiving the overhead message stores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n the CC, MM protocol entit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s referred to when the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related to call control such as requesting a call setup to the system, and is also referred to when transmitting a message related to mobility management such as location registration and handoff of the terminal. .
전술한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UZIM)는 셀층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여기서 셀층 메시지라는 것은 단말의 위치를 기본으로 하여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들이나 특별한 서비스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셀층 서비스는 사용자 영역이라는 개념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사용자 영역은 단말이 요구한 서비스나 특별한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지리적인 영역과 이러한 서비스로 구성된다.Among the aforementioned overhead messages,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UZIM) is a message used for cell layer service. Here, the cell layer message refers to a service that provides the terminal with services requested by the terminal or a special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se cell layer services basically use the concept of user domain. The user area consists of a geographical area that can provide the terminal with a service or a special service requested by the terminal and these services.
그리고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는 셀층 서비스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사용자 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llowing user areas for cell layer services.
1) 시스템이 가지는 사용자 영역들의 개수,1) the number of user domains the system has,
2) 시스템이 가지는 사용자 영역들의 ID,2) IDs of the user areas the system has
3) 시스템이 가지는 사용자 영역 갱신 정정 번호(User Zone Update Revision Number),3) User Zone Update Revision Number that the system has,
4) 사용자 영역에서 빠져 나올 수 있는 파라미터.4) A parameter can be exited from the user area.
동기 단말이 아이들 핸드오프 또는 다른 이유 등이 발생하여 셀층 서비스를 원할 때, 단말은 셀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영역의 수와 사용자 영역 ID를 알고, 셀층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영역을 선택하며, 이러한 정보들은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로 전송된다.When the synchronous terminal desires cell layer service due to idle handoff or other reasons, the terminal knows the number of user regions and user area IDs currently supported by the system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region providing the cell layer service, and the cell layer. Select a user area for the service, and this information is sent in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에 있는 정보들은 도 6과 같다.Information in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is shown in FIG. 6.
한편,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주지한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 그리고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ANSI-41 코어망과 같은 방식, 즉,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된다.Meanwhile, the IMT-2000 system may have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n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a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The same way as the core network, ie the synchronous CC, MM protocol entity is oper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무선 자원은 비동기 방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 정보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되고,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radio resource uses an asynchronous radio resource, and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system receives a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used.
따라서 이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셀층 서비스를 원할 경우, 셀층 서비스에 필요한 사용자 영역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알고 있어야 한다.Therefore, 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whe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desire cell layer services, the system needs to know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a user area required for cell layer services.
그러나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에는 이러한 셀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있는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으로 셀층 서비스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cannot normally perform the cell layer service because the message use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does not have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for supporting such a cell layer service. .
또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중에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Private Neighbor List Message)는, 셀층 서비스를 위하여 주지한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와 더불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In the overhead message,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is a message used together with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that is well known for cell layer services.
주지한 바와 같이 셀층 서비스는 단말의 위치를 기본으로 하여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들과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셀층 서비스는 사용자 영역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단말이 셀층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셀층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용자 영역에 등록을 해야한다. 그러나 사용자 영역에 등록이 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도 셀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is well known, the cell layer service provides services required by the terminal and special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ell layer services use the concept of user space. Basically, in order for a UE to perform a cell layer service, the terminal needs to register in a user area supporting the cell layer service. However, even in a system that is not registered in the user area, cell layer services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는, 현재 시스템의 이웃 리스트 중에서 셀층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이 셀층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영역에 등록은 하지 않았지만, 셀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웃 시스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is a message that provides a cell layer service among neighbor lists of the current system and provides information of a neighbor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ell layer service although the terminal has not registered in the user area for cell layer service. . This message provides the following information:
1) 셀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시스템의 개수,1) number of neighboring systems providing cell layer services,
2) 셀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시스템의 SID, NID 정보,2) SID and NID information of neighboring systems that provide cell layer services;
3) 셀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시스템의 밴드 클래스(Band Class)와 주파수 정보,3) Band class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neighboring system providing cell layer service,
4) 셀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시스템의 사용자 영역 정보.4) User area information of a neighbor system that provides cell layer services.
동기 단말은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셀층 서비스를 받고 있는 현재 시스템의 사용자 영역에서 이웃 시스템의 사용자 영역으로 등록을 하여 이웃 시스템으로부터 셀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the synchronous terminal registers from the user area of the current system receiving the cell layer service to the user area of the neighboring system to receive the cell layer service from the neighboring system.
상기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들은 첨부한 도면 도 7과 같다.Information elements in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are shown in FIG. 7.
한편,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주지한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 그리고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ANSI-41 코어망과 같은 방식, 즉,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된다.Meanwhile, the IMT-2000 system may have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n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a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The same way as the core network, ie the synchronous CC, MM protocol entity is oper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무선 자원은 비동기 방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 정보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되고,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radio resource uses an asynchronous radio resource, and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system receives a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used.
따라서 이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셀층 서비스를 위해서 현재 시스템의 사용자 영역뿐만 아니라 이웃 시스템의 사용자 영역 정보, 이웃 시스템의 주파수 정보, SID정보, NID 정보 등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이 정보들을 기본으로 하여 비동기 단말은 현재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셀층 서비스를 이웃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함이다.Therefore, 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the asynchronous terminal needs to know not only the user area of the current system but also the user area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system,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system, the SID information, the NID information, etc. for the cell layer servic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ell layer service which is not supported by the current system from the neighbor system.
그러나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에는 이러한 셀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있는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으로 셀층 서비스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However, the message use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does not have a message such as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having information to support such a cell layer service, so that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cannot normally perform the cell layer service. Occurred.
또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 중에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단말에게 시스템의 세부적인 정보, 즉 시스템의 SID와 NID, 그리고 시스템의 안테나 각도, 시스템 식별자,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핸드오프 동작 정보 등을 제공하며, 오버헤드 메시지 중에서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 Neighbor List Message, 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Neighbor List Messag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Extended CDMA Channel List Message 등의 전송 유무를 알려준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정보요소들은 첨부한 도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of the overhead message, the terminal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ystem, that is, the system's SID and NID, the system's antenna angle, the system identifier,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system, handoff operation information, etc. Among the overhead messages, whether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 Neighbor List Message, 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Neighbor List Messag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Extended CDMA Channel List Message, etc. is transmitted.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having this function are as shown in FIG. 8.
한편,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주지한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 그리고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ANSI-41 코어망과 같은 방식, 즉,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된다.Meanwhile, the IMT-2000 system may have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n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NSI-41 core network, as known in accordance with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41 core network, that is,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oper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무선 자원은 비동기 방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 정보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되고,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radio resource uses an asynchronous radio resource, and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system receives a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used.
따라서 이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인 호 제어(호 설정, 호 해제 등), 이동성 관리(핸드오프, 위치등록 등)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가 수신되어야 한다.Therefore, 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are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to perform normal call control (call setup, call release, etc.), mobility management (handoff, location registration, etc.). A system parameter message must be received in the head message.
그러나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에는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와 같은 정보, 즉 동기 정보를 가진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으로 호 제어, 이동성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 message use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does not have the same information as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that is, the message with the synchronous informatio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normally perform functions such as call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An unavoidable problem occurred.
또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중에서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는 단말에게 현재 시스템의 동작 모드 또는 밴드 클래스가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이 다른 시스템을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메시지이다. 현재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이 현재 시스템의 동작 모드 또는 밴드 클래스를 지원할 수 없을 경우, 단말은 시스템으로 Mobile Station Reject Order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시스템은 단말이 가지는 Protocol Revision Number(이것은 단말과 망이 가지는 CC, MM의 프로토콜 리비전 번호이다)에 따라 동작 가능한 시스템의 정보(시스템의 SID, 시스템의 NID, 시스템의 밴드 클래스, 시스템의 채널 정보 등)를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로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의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시스템의 정보를 제거한다.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선택하는 동작을 한다.In addition, th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is a message for providing the terminal with information of a system having a different operating mode or band class of the current system so that the terminal selects and operates another system. . If the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current system cannot support the operation mode or the band class of the current system, the terminal transmits a Mobile Station Reject Order message to the system. The system receiving this message is the information of the system (system SID, system NID, system band class, system) that can operate according to the protocol revision number of the terminal (this is the CC and MM protocol revision number of the terminal and network). Channel information of the system, etc.)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s an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pon receiving this message, the terminal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new system and removes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system. Then, the new system is selected by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는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와 같은 기능을 하는 메시지이다. 그러나 두 메시지는 사용 방법이 다르다.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는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가 6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단말에게 서비스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는 상기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가 6과 같거나 그 보다 큰 값을 가지는 단말에게 서비스 변경 서비스를 제공한다.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is a message that functions like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But the two messages are different. The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provides service change service to a terminal having a protocol revision number less than 6, and th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changes service to a terminal having a protocol revision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6. Provide service.
상기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is as follows.
1) 글로벌 서비스 변경 관련 구성 메시지 시퀀스 번호(Configuration Message Sequence Number),1) Configuration Message Sequence Number related to global service change,
2) 새로운 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세스 오버로드 클래스(Access Overload Class) 정보,2) Access Overload Class information used in the new system,
3) 새로운 시스템의 SID, NID, 밴드 클래스 및 CDMA 채널 정보,3) SID, NID, band class and CDMA channel information of the new system,
4)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를 이용하여 서비스 변경을 할 수 잇는 단말의 최대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Protocol Revision Number),4) Maximum Protocol Revision Number of UE that can change service using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5)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를 이용하여 서비스 변경을 할 수 있는 단말의 최소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5) Minimum protocol revision number of a terminal that can change service using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단말은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결정한다.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에 있는 정보 요소들은 첨부한 도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The terminal determines the new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are as shown in FIG. 9.
한편,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주지한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 그리고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ANSI-41 코어망과 같은 방식, 즉,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된다.Meanwhile, the IMT-2000 system may have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n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NSI-41 core network, as known in accordance with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41 core network, that is,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oper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무선 자원은 비동기 방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 정보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되고,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radio resource uses an asynchronous radio resource, and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system receives a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used.
이러한 연동구조를 가지는 IMT-2000 시스템은 기존의 동기 통신 방식의 IMT-2000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가 6과 같거나 그 보다 큰 값을 가지는 단말에게 서비스 변경과 같은 서비스도 이 연동 구조에서 지원이 되어야 한다.The IMT-2000 system having such an interworking structure should basically provide a service supported by the exist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type IMT-2000 system. Therefore, services such as service change to a terminal having a protocol revision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6 should also be supported 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그러나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에는 상기 서비스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있는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가 6과 같거나 그 보다 큰 값을 갖는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으로 서비스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re is no message with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service change in the message use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having a protocol revision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6 There was a problem that service change could not be performed normally.
또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중에서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는 시스템에서 IMSI 또는 TIMS를 사용하여 단말을 구분하는 식별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메시지로써, 이 메시지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in the overhead message is a message that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using IMSI or TIMS in the system,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essage.
1) 단말 식별 타입(Type),1) terminal identification type (Type),
2) 단말이 사용해야 하는TMSI 정보 및 IMSI정보,2) TMSI information and IMSI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should use,
3) 단말과 시스템 사이의 CC, MM 프로토콜 엔티티 프로토콜 리비전 정보,3) CC, MM protocol entity protocol revision inform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ystem,
4) 패킷 데이터 전송시 사용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영역 식별자(Packet Data Service Zone Identifier),4) Packet Data Service Zone Identifier used for packet data transmission,
5) 단말이 요구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 정보,5)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that may be requested by the terminal;
6) 액세스 핸드오프 관련 정보.6) Access handoff related information.
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은 시스템과 메시지를 상호 교환함으로써 통신을 하게 된다. 즉, 단말이 시스템으로 어떤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때에는 시스템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단말 식별 타입 정보와 IMSI 및 TMSI 정보, 프로토콜 리비전 정보 등을 메시지에 포함시켜 시스템 단말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만약, 이러한 정보가 없다면 시스템은 단말을 인식할 수 없고, 단말이 요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Using this information, the terminal communicates by exchanging messages with the system. That is, when a terminal wants to send a message to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type information in the system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IMSI and TMSI information, protocol revi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the message so as to distinguish the system terminal. If there is no such information, the system cannot recognize the terminal and cannot provide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terminal.
또한, 단말이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가능한 범위내의 부가 서비스를 요구함으로써, 신뢰 있는 서비스를 할 수 있고,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도 패킷 데이터 영역 식별자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requests an additional service within a range possible for the system by using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 reliable service can be provided, and the packe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cket data area identifier even when packet data is transmitted. Recognize the area where data service is available.
결과적으로, 오버헤드 메시지중에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가 시스템의 구체적인 정보, 즉 시스템의 위치, 시스템 식별자,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핸드오프 동작 정보 등과 오버헤드 메시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실제적으로 단말과 시스템이 통신하는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 및 시스템이 부가적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이다.As a result, among the overhead messages,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serves to control the overhead message such as specific information of the system, that is, system location, system identifier, operating frequency of the system, handoff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with which the system actually communicates and types of services that the system can additionally serve. This message provides the information needed to perform the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smoothly.
상기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들은 첨부한 도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다.Information elements in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shown in FIG. 10.
한편,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주지한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 그리고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ANSI-41 코어망과 같은 방식, 즉,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된다.Meanwhile, the IMT-2000 system may have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n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NSI-41 core network, as known in accordance with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41 core network, that is,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oper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무선 자원은 비동기 방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 정보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되고,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radio resource uses an asynchronous radio resource, and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system receives a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used.
따라서 이러한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인 호 제어(호 설정, 호 해제 등), 이동성 관리(핸드오프, 위치등록 등)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가 수신되어야 한다.Therefore, 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are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to perform normal call control (call setup, call release, etc.), mobility management (handoff, location registration, etc.). An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should be received in the head message.
그러나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에는 상기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으로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a message such as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does not exist in the message use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cannot normally perform functions such as call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It was.
또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중에서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는 단말에게 현재 시스템의 동작 모드 또는 밴드 클래스가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이 다른 시스템을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메시지이다. 현재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이 현재 시스템의 동작 모드 또는 밴드 클래스를 지원할 수 없을 경우, 단말은 시스템으로 Mobile Protocol Reject Order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시스템은 단말이 가지는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이것은 단말과 망이 가지는 CC, MM의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이다)에 따라 동작 가능한 시스템의 정보(시스템의 SID, 시스템의 NID, 시스템의 밴드 클래스, 시스템의 채널 정보 등)를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로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의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시스템의 정보를 제거한다.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선택하는 동작을 한다.In addition, the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in the overhead message is a message for the terminal to select and operate a different system by providing information of a system having a different operation mode or band class of the current system to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current system cannot support the operation mode or the band class of the current system, the terminal transmits a Mobile Protocol Reject Order message to the system. The system receiving this message is the information of the system (system SID, system NID, system's band class, Channel information of the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s a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pon receiving this message, the terminal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new system and removes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system. Then, the new system is selected by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여기서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Information provided by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is as follows.
1) 글로벌 서비스 변경 관련 구성 메시지 시퀀스 넘버(Configuration Message Sequence Number),1) Configuration message sequence number related to global service change,
2) 새로운 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세스 오버로드 클래스 정보,2) access overload class information used in the new system,
3) 서비스 변경 타입 정보,3) service change type information,
4) 새로운 시스템의 SID, NID, 밴드 클래스, 및 CDMA 채널 정보.4) SID, NID, band class, and CDMA channel information of the new system.
단말은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결정한다.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에 있는 정보 요소들은 첨부한 도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다.The terminal determines the new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are as shown in FIG. 11.
한편,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주지한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 그리고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은 ANSI-41 코어망과 같은 방식, 즉,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된다.Meanwhile, the IMT-2000 system may have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of an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NSI-41 core network, as known in accordance with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41 core network, that is,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oper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무선 자원은 비동기 방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 정보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되고,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radio resource uses an asynchronous radio resource, and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system receives a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are used.
따라서 이러한 연동 구조에서 IMT-2000 시스템은 기존의 동기 통신 방식의 IMT-2000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서비스 변경과 같은 서비스도 이 연동 구조에서 지원이 되어야 한다.Therefore, in such an interworking structure, the IMT-2000 system should basically provide a service supported by the IMT-2000 system of the exist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services such as service change should be supported in this interworking structure.
그러나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에는 서비스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정상적으로 서비스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re is no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to support the service change in the message use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cannot perform the service change normal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망으로 동기식 코어망이 접속된 경우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ing when the synchronous core network is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in the conventional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 시스템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일 경우에도 메시지(데이터)의 원활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a smooth interface of a message (data) even when a core network connected to an asynchronous system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좀 더 상세하게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무선망에 연결되는 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인 경우,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인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 이하, "UZIM"이라 약칭함),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 이하 "PNLM"이라 약칭함),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s Message : 이하 "SPM"이라 약칭함),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 이하, "EGSRM"이라 약칭함),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 이하, ESPM"이라 약칭함),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 이하, "GSRM"이라 약칭함)를 비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Message)와 같은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전송토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a 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s an overhead message used by the synchronous system. UZIM "),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hereinafter abbreviated as" PNLM "), System Parameters Message (abbreviated as" SPM "),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hereinafter abbreviated as "EGSRM"),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abbreviated as ESPM "),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SRM ") Asynchronous terminal using a message such as System Information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syst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비동기 단말에게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BCCH채널을 이용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안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BCCH 채널을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방송한다. 이러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하고, 새롭게 제시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information elements in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among overhead messages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is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by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ed through a BCCH channel.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BCCH channel. In order to use such a system guide message, a new system guide block having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information elements in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among overhead messages used in a synchronization system is defined, and the newly presented system guide block is asynchronous. The system 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비동기 단말에게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BCCH채널을 이용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안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BCCH 채널을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방송한다. 이러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하고, 새롭게 제시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ed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BCCH channel. In order to use such a system guide message, a new system guide block having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used in the synchronization system is defined, and the newly presented system guide block is asynchronous. The system 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비동기 단말에게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BCCH채널을 이용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안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BCCH 채널을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방송한다. 이러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하고, 새롭게 제시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information elements in a system parameter message of an overhea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is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ed using a BCCH channel.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BCCH channel. In order to use such a system guide message, a new system guide block having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information elements in a system parameter message among overhead messages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is defined, and the newly presented system guide block is an asynchronous system.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프로토콜 리비전 넘버가 6과 같거나 그 보다 큰 값을 가지는 비동기 단말에게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글로발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BCCH채널을 이용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안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BCCH 채널을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방송한다. 이러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글로발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하고, 새롭게 제시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The BCCH channel is used to broadcast an information element in the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having a protocol revision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6 using the BCCH channel. It is transmitted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BCCH channel. In order to use such a system guide message, a new system guide block having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used in the synchronization system is defined. In the asynchronous system,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ed on the BCCH chan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비동기 단말에게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BCCH채널을 이용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안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BCCH 채널을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방송한다. 이러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하고, 새롭게 제시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included in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ed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BCCH channel. In order to use such a system guide message, a new system guide block having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used in the synchronization system is defined, and the newly presented system guide block is asynchronous. The system 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정상적인 서비스 변경 제공을 목적으로, 비동기 단말에게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BCCH채널을 이용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안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BCCH 채널을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로 방송한다. 이러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있는 정보 요소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하고, 새롭게 제시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normal service change, a system guide message is broadcast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BCCH channel for information elements in the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that are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To transmit.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BCCH channel. In order to use such a system guide message, a new system guide block having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mong information elements in a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among overhead messages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is defined, and the newly presented system guide block is asynchronous. The system 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도 1은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ynchronous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도 2는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2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rotocol layer structure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rotocol layer structure of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rotocol layer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the drawing shown,
도 3은 OHG 회의 결과에 따른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3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 3b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식 GSM-MAP 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 3c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식 GSM-MAP 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 3d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 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according to a result of an OHG meeting, FIG. 3a is a synchronous ANSI-41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in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IG. 3b is asynchronous GSM-MAP core network interworking in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c is an asynchronous GSM-MAP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 3d is a synchronous ANSI-41 core network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4는 종래 동기/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로서, 도 4a는 ANSI-41 코어망과 연동 하는 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고, 도 4b는 GSM-MAP 코어망과 연동 하는 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며, 도 4c는 ANSI-41 코어망과 연동 하는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고, 도 4d는 GSM-MAP 코어망과 연동 하는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며,4 is a protocol hierarchy diagram of a conventional synchronous / asynchronous terminal. FIG. 4A is a protocol hierarchy diagram of a 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ANSI-41 core network. FIG. 4B is a protocol hierarchy diagram of a 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a GSM-MAP core network. 4C is a protocol layer structure diagram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ANSI-41 core network, and FIG. 4D is a protocol layer structure diagram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GSM-MAP core network.
도 5는 종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단말의 상태 천이도이고,5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of a synchronization terminal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6은 종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 구조도이고,6 is a structure diagram of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used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7은 종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 구조도이고,7 is a structure diagram of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used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8은 종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구조도이고,8 is a structure diagram of a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9는 종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구조도이고,9 is a structure diagram of an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used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0은 종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구조도이고,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structure used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1은 종래 동기 방식에서 사용되는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 구조도이고,11 is a structure diagram of a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method.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를 무선 관련 정보요소와 비무선 관련 정보 요소로 분류한 것을 보인 도면이고,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assification of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into a 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 non-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in FIG.
도 13은 본 발명에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ystem guide block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formatted in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BCCH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는 시스템 측에서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 방법을 보인 것이고,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 system side,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를 무선 관련 정보요소와 비무선 관련 정보 요소로 분류한 것을 보인 도면이고,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classifying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into a 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 non-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도 17은 본 발명에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ystem guide block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formatted in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BCCH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무선 관련 정보요소와 비무선 관련 정보 요소로 분류한 것을 보인 도면이고,FIG. 19 is a view showing classification of a system parameter message into a 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 non-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2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ystem guide block (system parameter message) formatted in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BCCH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서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무선 관련 정보요소와 비무선 관련 정보 요소로 분류한 것을 보인 도면이고,FIG. 22 is a view showing classification of an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into a 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 non-wireless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ystem guide block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formatted in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BCCH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에서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무선 관련 정보요소와 비무선 관련 정보 요소로 분류한 것을 보인 도면이고,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classification of an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into a 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 non-wireless related information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에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ystem guide block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formatted in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BCCH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2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fth embodiment of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에서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무선 관련 정보요소와 비무선 관련 정보 요소로 분류한 것을 보인 도면이고,FIG. 28 is a view showing classification of a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into a 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 non-radio related information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에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2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ystem guide block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formatted in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to an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a BCCH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메시지 처리방법의 제 6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3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xth embodiment of a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n asynchronous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210 : 비동기 단말210: asynchronous terminal
220 : 비동기 무선망(UTRAN)220: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UTRAN)
230 : ANSI-41 코어망230: ANSI-41 core network
211 : 동기 CC(211)211: synchronous CC (211)
212 : 동기 MM212: synchronous MM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as described above.
<실시예1><Example 1>
먼저 IMT-2000 시스템이 망 전개 상황에 따라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갖는 경우(도4C참조), 비동기 단말에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하게 되고,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사이에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며,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한다.First, when the IMT-2000 system has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see FIG. 4C),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perate on the asynchronous terminal. Resource-related information elements use an asynchronous method. All messages exchanged between an asynchronous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 an asynchronous messag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use a synchronous method.
이를 위해서 비동기 단말에 동기 시스템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 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을 첨부한 도면 도 12와 같이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로 분류한다.To this end, in order to transmit information elements of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 of the synchronous system, which are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are attach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도 12에서 Non-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의 정보 요소에는 무선 자원과 관련 있는 정보 요소는 없다.In FIG. 12, non-RRC information elements represent information elements that are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and there are no information elements related to radio resources in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상기와 같이 분류된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BCCH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13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new system guide block as shown in FIG. 13.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기존에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대치되며, 새롭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단말의 휴지 모드(Idle Mode)나 접속 모드(Connected Mode)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13에서 Range Bound에 기록된 용어중 MaxSysInfoBlockcount는 다른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기준이 되는 최대 번호이다.The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replaced with a system guide block that is forma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ystem guide message. The newly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an idle mode or a connected mod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re sent periodically. In terms of Range Bound in FIG. 13, MaxSysInfoBlockcount is a maximum number which is a reference for other system guide blocks.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무선망은,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 도 1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기식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shown in FIG. 4C transmits a synchronous messag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즉, 단계 S101에서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인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 연동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기존과 같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That is,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SI-41, and if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 GSM-MAP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Send to the terminal.
이와는 달리 상기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은 전송할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In contrast,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to form a new system guide block. Here, the content of the new system guide block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새롭게 형성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하고, 단계 S105에서 BCCH 채널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Next, in step S104, the newly formed system guide block is formatted into a system guide message, and in step S105, the system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BCCH channel.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단말은,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에서 전송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 안내 블록에 기록된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동작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C receives a system guid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by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and extracts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recorded in the system guide block from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t works.
첨부한 도면 도 15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를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동기 단말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processing process of an asynchronous terminal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of an overhea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먼저, 단계 S111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무선망으로부터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수신한다.First, in step S111, the asynchronous terminal receives the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단계 S112에서는 상기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중, PLMN ID가 비동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MN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S113으로 이동하고, PLMN ID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S112,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it is checked whether the PLMN ID matches the PLMN ID stor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if there is a match, it moves to the next step S113, and the PLMN ID does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f so, discard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return to the first step.
상기 단계 S113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코어망의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114로 이동한다.In step S113, the type of the core network is checked among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type of core network i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the flow moves to step S114.
상기 단계 S114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S114, the a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115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S115,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다음으로, 단계 S116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117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Next, in step S116,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117,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단계 S118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SIB)인가를 확인하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단계 S116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단계 S119로 이동한다.In step S118,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SIB) that should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If the system guide block is not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s discarded. In contrast, if the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otherwise go to step S119.
상기 단계 S119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RRC 프로토콜이 저장하고, 무선 자원과 관련이 없는 정보는 비동기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저장한다. 그런 후에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119,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RRC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a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한편, 상기 단계 S113에서 코어망 종류를 분석한 결과, 비동기 무선망에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코어망일 경우, 단계 S120으로 이동을 하며, 상기 단계 S120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network type in step S113, if the core network link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moves to step S120, and in step S120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Stores information about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asynchronous terminals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121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정보를 저장한다.Next, in step S121,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which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122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123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In step S122,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123,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124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단계 S122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단계 S125로 이동한다.Next, in step S124,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not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received system guide block is discarded and returned to step S122. Otherwise, if it is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process moves to step S125. .
단계 S125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영역 식별 관련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 경우에는 단계 S126으로 이동한다.In step S125,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the process moves to step S126.
그리고 단계 S126에서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있는 모든 정보 요소를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126, all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system guide block are stored i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아울러 상기 단계 S125에서 확인한 결과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영역 식별 관련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27로 이동하며, 상기 단계 S127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를 RRC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not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user region identification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127. In step S127, the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moved to the RRC protocol entity. Store in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실시예2><Example 2>
IMT-2000 시스템이 망 전개 상황에 따라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갖는 경우(도4C참조), 비동기 단말에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하게 되고,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사이에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며,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한다.If the IMT-2000 system has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see FIG. 4C),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perate on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the radio resource The related information element uses an asynchronous method. All messages exchanged between an asynchronous terminal and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e an asynchronous message, and an information element irrelevant to a radio resource uses a synchronous method.
이를 위해서 비동기 단말에 동기 시스템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Private Neighbor List Message)의 정보 요소들 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을 첨부한 도면 도 16과 같이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로 분류한다.To this end,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are attached to transmit information elements of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which i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among the information messages of the overhead message of the synchronous system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As shown in FIG. 16,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radio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도 16에서 Non-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며, 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이다.In FIG. 16,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Non-RRC represents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RRC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상기와 같이 분류된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BCCH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17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new system guide block as shown in FIG.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기존에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대치되며, 새롭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단말의 휴지 모드(Idle Mode)나 접속 모드(Connected Mode)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17에서 Range Bound에 기록된 용어중 MaxSysInfoBlockcount는 다른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기준이 되는 최대 번호이다.The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replaced with a system guide block that is forma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ystem guide message. The newly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an idle mode or a connected mod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re sent periodically. In FIG. 17, MaxSysInfoBlockcount among terms recorded in Range Bound is a maximum number that is a reference for other system guide blocks.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무선망은,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 도 1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기식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shown in FIG. 4C transmits a synchronous messag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즉, 단계 S101에서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인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 연동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기존과 같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That is,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SI-41, and if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 GSM-MAP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Send to the terminal.
이와는 달리 상기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은 전송할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In contrast,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to form a new system guide block. Here, the content of the new system guide block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새롭게 형성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하고, 단계 S105에서 BCCH 채널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Next, in step S104, the newly formed system guide block is formatted into a system guide message, and in step S105, the system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BCCH channel.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단말은,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에서 전송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 안내 블록에 기록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동작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C receives a system announce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and extracts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recorded in the system guidance block from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t works.
첨부한 도면 도 18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를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동기 단말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processing process of an asynchronous terminal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of an overhea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먼저, 단계 S211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무선망으로부터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수신한다.First, in step S211, the asynchronous terminal receives the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단계 S212에서는 상기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중, PLMN ID가 비동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MN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S213으로 이동하고, PLMN ID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S212,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it is checked whether the PLMN ID matches the PLMN ID stor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if there is a match, it moves to the next step S213, and the PLMN ID does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f so, discard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return to the first step.
상기 단계 S213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코어망의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214로 이동한다.In step S213, the type of the core network is checked among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type of core network i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the flow moves to step S214.
상기 단계 S214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S214, the a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215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S215,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다음으로, 단계 S216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117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Next,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in step S216, and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n step S117.
단계 S218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SIB)인가를 확인하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단계 S216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단계 S219로 이동한다.In step S218,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SIB)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the system guide block is not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s discard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otherwise, the process moves to the next step, step S219.
상기 단계 S219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RRC 프로토콜이 저장하고, 무선 자원과 관련이 없는 정보는 비동기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저장한다. 그런 후에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219,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RRC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a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한편, 상기 단계 S213에서 코어망 종류를 분석한 결과, 비동기 무선망에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코어망일 경우, 단계 S220으로 이동을 하며, 상기 단계 S220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network type in step S213, if the core network link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moves to step S220, and in step S220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Stores information about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asynchronous terminals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221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정보를 저장한다.Next, in step S221,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222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223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In step S222,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223,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224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단계 S222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단계 S225로 이동한다.Next, in step S224,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which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not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received system guide block is discarded and returned to step S222. Otherwise, if the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is moved to step S225. .
단계 S225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 경우에는 단계 S226으로 이동한다.In step S225,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manner. 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226.
그리고 단계 S226에서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있는 모든 정보 요소를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operation S226, all information elements in the system guide block are stored i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아울러 상기 단계 S225에서 확인한 결과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227로 이동하며, 상기 단계 S227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를 RRC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not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227. In step S227, the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transferred to the RRC protocol entity. Save it.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실시예3><Example 3>
IMT-2000 시스템이 망 전개 상황에 따라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갖는 경우(도4C참조), 비동기 단말에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하게 되고,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사이에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며,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한다.If the IMT-2000 system has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see FIG. 4C),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perate on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the radio resource The related information element uses an asynchronous method. All messages exchanged between an asynchronous terminal and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e an asynchronous message, and an information element irrelevant to a radio resource uses a synchronous method.
이를 위해서 비동기 단말에 동기 시스템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s Message)의 정보 요소들 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을 첨부한 도면 도 19와 같이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로 분류한다.To this end,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attached to transmit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system parameters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of the synchronous system. Likewise,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radio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도 19에서 Non-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며, 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이다.In FIG. 19,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Non-RRC represents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RRC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상기와 같이 분류된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BCCH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20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new system guide block as shown in FIG.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기존에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대치되며, 새롭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단말의 휴지 모드(Idle Mode)나 접속 모드(Connected Mode)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20에서 Range Bound에 기록된 용어중 MaxSysInfoBlockcount는 다른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기준이 되는 최대 번호이다.The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replaced with a system guide block that is forma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ystem guide message. The newly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an idle mode or a connected mod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re sent periodically. MaxSysInfoBlockcount among terms recorded in Range Bound in FIG. 20 is the maximum number that is a reference for other system guide blocks.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무선망은,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 도 1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기식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shown in FIG. 4C transmits a synchronous messag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즉, 단계 S101에서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인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 연동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기존과 같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That is,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SI-41, and if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 GSM-MAP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Send to the terminal.
이와는 달리 상기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은 전송할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In contrast,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to form a new system guide block. Here, the content of the new system guide block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새롭게 형성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하고, 단계 S105에서 BCCH 채널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Next, in step S104, the newly formed system guide block is formatted into a system guide message, and in step S105, the system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BCCH channel.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단말은,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에서 전송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 안내 블록에 기록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동작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C receives a system announce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and extracts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recorded in the system guidance block from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t works.
첨부한 도면 도 21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동기 단말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processing process of an asynchronous terminal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 system parameter message of an overhea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먼저, 단계 S311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무선망으로부터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수신한다.First, in step S311 the asynchronous terminal receives the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단계 S312에서는 상기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중, PLMN ID가 비동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MN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S313으로 이동하고, PLMN ID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S312, it is checked whether the PLMN ID matches the PLMN ID stored in the asynchronous terminal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if there is a match, it moves to the next step S313, and the PLMN ID does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f so, discard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return to the first step.
상기 단계 S313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코어망의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314로 이동한다.In step S313, the type of the core network is checked among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type of core network i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the flow proceeds to step S314.
상기 단계 S314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S314, the a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315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S315,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다음으로, 단계 S316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317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Next, in step S316,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317,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단계 S318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SIB)인가를 확인하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단계 S316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단계 S319로 이동한다.In step S318,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SIB)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the system guide block is not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s discard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otherwise, the process moves to the next step, S319.
상기 단계 S319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RRC 프로토콜이 저장하고, 무선 자원과 관련이 없는 정보는 비동기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저장한다. 그런 후에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319,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RRC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a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한편, 상기 단계 S313에서 코어망 종류를 분석한 결과, 비동기 무선망에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코어망일 경우, 단계 S320로 이동을 하며, 상기 단계 S320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network type in step S313, if the core network link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moves to step S320, and in step S320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Stores information about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asynchronous terminals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321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정보를 저장한다.Next, in step S321,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그리고 단계 S322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323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In step S322,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323,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324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단계 S322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단계 S325로 이동한다.Next, in step S324,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the result of the check is not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block is discarded and returned to step S322. Otherwise, if the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moved to step S325. .
단계 S325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 경우에는 단계 S326으로 이동한다.In step S325,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synchronous operation, and if it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synchronous operation, the flow moves to step S326.
그리고 단계 S326에서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있는 모든 정보 요소를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operation S326, all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system guide block are stored i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아울러 상기 단계 S325에서 확인한 결과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327로 이동하며, 상기 단계 S327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를 RRC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not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327. In step S327, the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in the RRC protocol entity. d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실시예4><Example 4>
IMT-2000 시스템이 망 전개 상황에 따라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갖는 경우(도4C참조), 비동기 단말에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하게 되고,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사이에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며,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한다.If the IMT-2000 system has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see FIG. 4C),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perate on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the radio resource The related information element uses an asynchronous method. All messages exchanged between an asynchronous terminal and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e an asynchronous message, and an information element irrelevant to a radio resource uses a synchronous method.
이를 위해서 비동기 단말에 동기 시스템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의 정보 요소들 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을 첨부한 도면 도 22와 같이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로 분류한다.To this end,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attached to transmit information elements of the extended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of the synchronous system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22,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radio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도 22에서 Non-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며, 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이다.In FIG. 22,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Non-RRC represents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RRC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상기와 같이 분류된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BCCH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23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new system guide block as shown in FIG.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기존에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대치되며, 새롭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단말의 휴지 모드(Idle Mode)나 접속 모드(Connected Mode)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23에서 Range Bound에 기록된 용어중 MaxSysInfoBlockcount는 다른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기준이 되는 최대 번호이다.The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replaced with a system guide block that is forma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ystem guide message. The newly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an idle mode or a connected mod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re sent periodically. In terms of Range Bound in FIG. 23, MaxSysInfoBlockcount is a maximum number which is a reference for other system guide blocks.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무선망은,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 도 1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기식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shown in FIG. 4C transmits a synchronous messag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즉, 단계 S101에서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인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 연동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기존과 같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That is,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SI-41, and if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 GSM-MAP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Send to the terminal.
이와는 달리 상기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은 전송할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In contrast,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to form a new system guide block. Here, the content of the new system guide block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새롭게 형성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하고, 단계 S105에서 BCCH 채널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Next, in step S104, the newly formed system guide block is formatted into a system guide message, and in step S105, the system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BCCH channel.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단말은,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에서 전송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 안내 블록에 기록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동작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C receives a system announce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and extracts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recorded in the system guidance block from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t works.
첨부한 도면 도 24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동기 단말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processing process of an asynchronous terminal receiving and processing an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among overhead messages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먼저, 단계 S411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무선망으로부터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수신한다.First, in step S411, the asynchronous terminal receives the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단계 S412에서는 상기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중, PLMN ID가 비동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MN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S413으로 이동하고, PLMN ID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S412,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it is checked whether the PLMN ID matches the PLMN ID stor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if there is a match, it moves to the next step S413, and the PLMN ID does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f so, discard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return to the first step.
상기 단계 S413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코어망의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414로 이동한다.In step S413, the type of the core network is checked among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type of core network i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the flow moves to step S414.
상기 단계 S414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S414, the a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415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S415,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다음으로, 단계 S416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417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Next, in step S416,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417,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단계 S418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SIB)인가를 확인하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단계 S416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단계 S419로 이동한다.In step S418,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SIB)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the system guide block is not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s discard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process moves to step S419.
상기 단계 S419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RRC 프로토콜이 저장하고, 무선 자원과 관련이 없는 정보는 비동기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저장한다. 그런 후에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419,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RRC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a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한편, 상기 단계 S413에서 코어망 종류를 분석한 결과, 비동기 무선망에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코어망일 경우, 단계 S420로 이동을 하며, 상기 단계 S420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network type in step S413, if the core network link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moves to step S420, and in step S420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Stores information about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asynchronous terminals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421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정보를 저장한다.Next, in step S421 stores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422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423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In step S422,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423,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424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단계 S422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단계 S425로 이동한다.Next, in step S424,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not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received system guide block is discarded and returned to step S422. Otherwise, if it is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process moves to step S425. .
단계 S425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 경우에는 단계 S426으로 이동한다.In step S425,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and if it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the flow moves to step S426.
그리고 단계 S426에서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있는 모든 정보 요소(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정보)를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426, all information elements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the system guide block are stored i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아울러 상기 단계 S425에서 확인한 결과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427로 이동하며, 상기 단계 S427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를 RRC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not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427. In step S427, the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transferred to the RRC protocol entity. Store in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실시예5><Example 5>
IMT-2000 시스템이 망 전개 상황에 따라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갖는 경우(도4C참조), 비동기 단말에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하게 되고,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사이에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며,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한다.If the IMT-2000 system has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see FIG. 4C),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perate on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the radio resource The related information element uses an asynchronous method. All messages exchanged between an asynchronous terminal and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e an asynchronous message, and an information element irrelevant to a radio resource uses a synchronous method.
이를 위해서 비동기 단말에 동기 시스템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의 정보 요소들 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을 첨부한 도면 도 25와 같이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로 분류한다.To this end,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attached to transmit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of the synchronous system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As shown in FIG. 25,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radio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도 25에서 Non-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며, 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이다.In FIG. 25,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Non-RRC represents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RRC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상기와 같이 분류된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BCCH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26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new system guide block as shown in FIG.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기존에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대치되며, 새롭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단말의 휴지 모드(Idle Mode)나 접속 모드(Connected Mode)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26에서 Range Bound에 기록된 용어중 MaxSysInfoBlockcount는 다른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기준이 되는 최대 번호이다.The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replaced with a system guide block that is forma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ystem guide message. The newly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an idle mode or a connected mod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re sent periodically. In terms of Range Bound in FIG. 26, MaxSysInfoBlockcount is a maximum number which is a reference for other system guide blocks.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무선망은,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 도 1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기식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shown in FIG. 4C transmits a synchronous messag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즉, 단계 S101에서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인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 연동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기존과 같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That is,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SI-41, and if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 GSM-MAP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Send to the terminal.
이와는 달리 상기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은 전송할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In contrast,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to form a new system guide block. Here, the content of the new system guide block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새롭게 형성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하고, 단계 S105에서 BCCH 채널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Next, in step S104, the newly formed system guide block is formatted into a system guide message, and in step S105, the system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BCCH channel.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단말은,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에서 전송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 안내 블록에 기록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동작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C receives a system announce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and extracts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recorded in the system guidance block from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t works.
첨부한 도면 도 27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동기 단말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processing process of an asynchronous terminal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n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of an overhea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먼저, 단계 S511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무선망으로부터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수신한다.First, in step S511 the asynchronous terminal receives the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단계 S512에서는 상기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중, PLMN ID가 비동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MN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S513으로 이동하고, PLMN ID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S512,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it is checked whether the PLMN ID matches the PLMN ID stor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if there is a match, it moves to the next step S513, and the PLMN ID does not match each other. If so, discard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return to the first step.
상기 단계 S513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코어망의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514로 이동한다.In step S513, the type of the core network is checked among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type of core network i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the flow moves to step S514.
상기 단계 S514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S514, the a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515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S515,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다음으로, 단계 S516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517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Next,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in step S516, and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n step S517.
단계 S518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SIB)인가를 확인하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단계 S516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단계 S519로 이동한다.In step S518,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SIB)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not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s discarded. Otherwise, if the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go to step S519.
상기 단계 S519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RRC 프로토콜이 저장하고, 무선 자원과 관련이 없는 정보는 비동기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저장한다. 그런 후에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519,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RRC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a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한편, 상기 단계 S513에서 코어망 종류를 분석한 결과, 비동기 무선망에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코어망일 경우, 단계 S520로 이동을 하며, 상기 단계 S520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network type in step S513, if the core network link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moves to step S520, and in step S520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Stores information about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asynchronous terminals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521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정보를 저장한다.Next, in step S521,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which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522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523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In step S522,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523,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524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단계 S522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단계 S525로 이동한다.Next, in step S524,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which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not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received system guide block is discarded and returned to step S522. Otherwise, if it is a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process moves to step S525. .
단계 S525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 경우에는 단계 S526으로 이동한다.In step S525,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and if it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the flow moves to step S526.
그리고 단계 S526에서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있는 모든 정보 요소(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526, all information elements (extended system parameter information) in the system guide block are stored i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아울러 상기 단계 S525에서 확인한 결과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527로 이동하며, 상기 단계 S527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를 RRC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addition, if the system guide block extracted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525 is not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527, and in step S527, the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transferred to the RRC protocol entity. Save it.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실시예6><Example 6>
IMT-2000 시스템이 망 전개 상황에 따라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 ANSI-41 코어망의 연동 구조를 갖는 경우(도4C참조), 비동기 단말에는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동작하게 되고,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사이에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며,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한다.If the IMT-2000 system has an interworking structur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and an ANSI-41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deployment situation (see FIG. 4C),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perate on the asynchronous terminal, and the radio resource The related information element uses an asynchronous method. All messages exchanged between an asynchronous terminal and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e an asynchronous message, and an information element irrelevant to a radio resource uses a synchronous method.
이를 위해서 비동기 단말에 동기 시스템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의 정보 요소들 중,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의 정보 요소들을 첨부한 도면 도 28과 같이 무선 자원 관련 정보 요소,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로 분류한다.To this end,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attached to transmit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radio resources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among the overhead messages of the synchronous system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As shown in 28,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 radio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element and an unrelated radio resource information element.
도 28에서 Non-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며, RRC로 구분된 정보 요소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이다.In FIG. 28,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Non-RRC represents an information element no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classified as RRC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a radio resource.
상기와 같이 분류된 무선 자원과 관련 없는 정보 요소들을 BCCH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29와 같은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정의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elements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using the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through the BCCH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new system guide block as shown in FIG.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기존에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포맷되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대치되며, 새롭게 정의된 시스템 안내 블록은 비동기 단말의 휴지 모드(Idle Mode)나 접속 모드(Connected Mode)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29에서 Range Bound에 기록된 용어중 MaxSysInfoBlockcount는 다른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기준이 되는 최대 번호이다.The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replaced with a system guide block that is forma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ystem guide message. The newly defined system guide block is an idle mode or a connected mode of an asynchronous terminal. Are sent periodically. In terms of Range Bound in FIG. 29, MaxSysInfoBlockcount is a maximum number that is a reference for other system guide blocks.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무선망은,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 도 1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기식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shown in FIG. 4C transmits a synchronous message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즉, 단계 S101에서 연동되는 코어망이 ANSI-41인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 연동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기존과 같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BCCH 채널을 통해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That is, in step S101,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SI-41, and if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 GSM-MAP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Send to the terminal.
이와는 달리 상기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새로운 시스템 안내 블록은 전송할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In contrast, when the interworking core network is an ANSI-41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to form a new system guide block. Here, the content of the new system guide block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새롭게 형성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맷하고, 단계 S105에서 BCCH 채널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한다.Next, in step S104, the newly formed system guide block is formatted into a system guide message, and in step S105, the system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synchronous terminal through the BCCH channel.
한편, 도 4C에 도시된 비동기 단말은,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에서 전송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 안내 블록에 기록된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동작한다.Meanwhi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C receives a system announce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n a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and extracts a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recorded in the system guidance block from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It works.
첨부한 도면 도 30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중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동기 단말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processing process of an asynchronous terminal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of an overhea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stem guide message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먼저, 단계 S611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무선망으로부터 BCCH 채널로 방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수신한다.First, in step S611, the asynchronous terminal receives the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broadcast on the BCCH channel from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단계 S612에서는 상기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중, PLMN ID가 비동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MN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S613으로 이동하고, PLMN ID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S612, whether the PLMN ID matches the PLMN ID stored in the asynchronous terminal among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if it matches, moves to the next step S613, and the PLMN ID does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f so, discard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nd return to the first step.
상기 단계 S613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코어망의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614로 이동한다.In step S613, the type of the core network is checked among information elements of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type of core network is a GSM-MAP core network which is an asynchronous core network, the flow moves to step S614.
상기 단계 S614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S614, the asynchronous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615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S615,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periodically receive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다음으로, 단계 S616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617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Next, in step S616,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617,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단계 S618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SIB)인가를 확인하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단계 S616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단계 S619로 이동한다.In step S618,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SIB) that should be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If the system guide block is not received b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is discard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otherwise, the process moves to the next step, S619.
상기 단계 S619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RRC 프로토콜이 저장하고, 무선 자원과 관련이 없는 정보는 비동기 CC, MM 프로토콜 엔티티가 저장한다. 그런 후에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619,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RRC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stored by the a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y.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한편, 상기 단계 S613에서 코어망 종류를 분석한 결과, 비동기 무선망에 연동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코어망일 경우, 단계 S620으로 이동을 하며, 상기 단계 S620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network type in step S613, if the core network link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is an ANSI-41 core network which is a synchronous core network, the process moves to step S620, and in step S620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Stores information about types of system guide blocks that asynchronous terminals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a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621에서는 수신한 마스터 시스템 안내 블록으로부터 비동기 단말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들의 스케줄링(Scheduling)정보를 저장한다.Next, in step S621,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ystem guide blocks which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periodically through the system guide message is stored from the received master system guide block.
그리고 단계 S622에서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623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안내 블록을 추출한다.In step S622, a system guide message is received, and in step S623, a system guide block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ystem guide message.
다음으로 단계 S624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시스템 안내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시스템 안내 블록을 폐기하고, 단계 S622로 리턴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비동기 단말이 수신해야할 시스템 안내 블록인 경우에는 단계 S625로 이동한다.Next, in step S624,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 system guide block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should recei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synchronous terminal is not the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the received system guide block is discarded and returned to step S622. Otherwise, the system guide block to be received is moved to step S625. .
단계 S625에서는 상기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인 경우에는 단계 S626으로 이동한다.In step S625,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operation, the flow moves to step S626.
그리고 단계 S626에서는 시스템 안내 블록에 있는 모든 정보 요소(글로벌 서비스 변경 정보)를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MM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S626, all information elements (global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the system guide block are stored in the synchronous CC and MM protocol entities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아울러 상기 단계 S625에서 확인한 결과 추출한 시스템 안내 블록이 동기식에서 사용되는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627로 이동하며, 상기 단계 S627에서는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 요소를 RRC 프로토콜 엔티티에 저장한다. 그런 후 비동기 단말은 다음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f the extracted system guide block is not an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anner, the process moves to step S627. In step S627, the information element related to the radio resource is transferred to the RRC protocol entity. Save it. The asynchronous terminal then switches to standby mode waiting for the next system announcement message.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메시지 처리 방법"에 따르면, 코어망이 GSM-MAP망 또는 ANSI-41 망중 어느 망에 접속되더라도 원활한 호 처리 및 핸드오프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nchronous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ore network is connected to any of the GSM-MAP network or ANSI-41 netwo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mooth call processing and handoff processing.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에 의해 비동기식 시스템 가입자가 동기식 ANSI-41망 또는 다른 망의 가입자와 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ynchronous system subscriber can talk to the subscriber of the synchronous ANSI-41 network or other network by the above effects.
또한, 비동기 시스템에 동기식 코어망이 연동된 경우,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영역 식별 메시지, 사설 이웃 리스트 메시지,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확장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글로벌 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 가능하므로, 비동기 단말의 동기식 CC 및 MM이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 셀층 서비스, 서비스 변경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ynchronous core network is interlocked with the asynchronous system, the user area identification message, the private neighbor list message,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the extended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the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nd the global service change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are asynchronous terminals. Since the synchronous CC and the MM of the asynchronous terminal can perform call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cell layer service, and service change service, they can be transmitte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45391AKR20010037724A (en) | 1999-10-19 | 1999-10-19 |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2000319943AJP2001169329A (en) | 1999-10-19 | 2000-10-19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EP00309195AEP1094681A1 (en) | 1999-10-19 | 2000-10-19 |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09/692,065US6952583B1 (en) | 1999-10-19 | 2000-10-19 |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45391AKR20010037724A (en) | 1999-10-19 | 1999-10-19 |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37724Atrue KR20010037724A (en) | 2001-05-1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45391ACeasedKR20010037724A (en) | 1999-10-19 | 1999-10-19 |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10037724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95831B1 (en)* | 1999-10-21 | 2007-03-16 |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8030042A2 (en)* | 1997-01-02 | 1998-07-09 | Nokia Mobile Phones Limited | User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s |
| KR19990038051A (en)* | 1997-11-03 | 1999-06-05 | 정선종 | How to send a message from a high speed parallel computer |
| WO2000035107A1 (en)* | 1998-12-04 | 2000-06-15 | Motorola Inc. |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wake up a mobile station |
| WO2000060895A1 (en)* | 1999-04-06 | 2000-10-1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Generic inter-system handover mechanis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8030042A2 (en)* | 1997-01-02 | 1998-07-09 | Nokia Mobile Phones Limited | User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s |
| KR19990038051A (en)* | 1997-11-03 | 1999-06-05 | 정선종 | How to send a message from a high speed parallel computer |
| WO2000035107A1 (en)* | 1998-12-04 | 2000-06-15 | Motorola Inc. |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wake up a mobile station |
| WO2000060895A1 (en)* | 1999-04-06 | 2000-10-1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Generic inter-system handover mechanis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95831B1 (en)* | 1999-10-21 | 2007-03-16 |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291946B2 (en)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EP2196059B1 (en) | Access control during relocation of a user equipment into a femto base station | |
| JP3630629B2 (en)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EP2144464B1 (en) | Method for handoff during connected mode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in a mixed deployment | |
| KR100735242B1 (en) | Method for providing/notifying interworking inform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therefor system | |
| EP2130400B1 (en) | A method and a device for dynamic frequency use in a cellular network | |
| JP2006135991A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heterogeneous peripheral base station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2010010190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turn on of wlan modem in ue supporting dual mode | |
| KR100602023B1 (en) | Long Cod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JP4625025B2 (en) | Control method of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 |
| US20200404562A1 (en) |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core networks | |
| JP2001169329A (en)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SE521339C2 (en) | Procedure for transferring a remote unit based on start-up times for administration extension information | |
| KR100855290B1 (en) | How to choose a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602026B1 (en) | Handoff Processing Method of Asynchronous Mobile Station from Asynchronous System to Synchronous System | |
| WO2009133764A1 (en) |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 |
| KR20010037724A (en) |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645942B1 (en) | Handoff Processing Method of Asynchronous Mobile Station from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to Synchronous Wireless Network | |
| KR100680073B1 (en) | Core Network Interworking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695831B1 (en) |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20010038857A (en) | Method for interface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602021B1 (en) | System Guide Block Generation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20050071952A (en) |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wcdma network and cdma network having ndss function, and method for location regist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ame | |
| KR100579800B1 (en) | Handover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 |
| CN120129005A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switching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1999101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040116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04043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041019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19991019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6050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61013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6050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