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10037322A -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322A
KR20010037322AKR1019990044765AKR19990044765AKR20010037322AKR 20010037322 AKR20010037322 AKR 20010037322AKR 1019990044765 AKR1019990044765 AKR 1019990044765AKR 19990044765 AKR19990044765 AKR 19990044765AKR 20010037322 AKR20010037322 AKR 20010037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nitride film
film
mask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4765ApriorityCriticalpatent/KR20010037322A/ko
Publication of KR2001003732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10037322A/ko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소자의 전기적 분리를 위한 얕은 트렌치 격리 형성에 있어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의 덴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및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이 트렌치 필링 단계에서 서로 분리되어 후속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제거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이 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렌치 필링 단계는 제 1 절연막 증착, 상기 제 1 절연막의 일부 제거 그리고 제 2 절연막 증착으로 이루어 지며, 제 2 절연막 증착전에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 제거 공정이 진행되어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및 라이너 질화막이 분리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A METHOD OF FORMING A TRENCH ISOLA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트렌치 내의 라이너 질화막의 덴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 트렌치 격리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키는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소자의 격리를 위한 기술은 소자 구성의 가장 기본이 되는 트랜지스터 특성이나 소자의 신뢰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소자 격리 기술의 필요성은 소자의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이 두각 되어 지고 있다. 소자 격리가 적절치 못하면 누설 전류를 야기하며 이는 반도체 칩에 공급되는 전원(power)의 막대한 소실로 나타난다. 또한, 래치업(latch-up)을 상승시켜 반도체 기능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상을 초래한다. 더 나아가서, 노이즈 마진(noise margin)의 열화(degradation), 전압 이동(voltage shift), 또는 누화(crosstalk)로 이어진다.
반도체 기판의 소자 영역을 격리 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국부적 실리콘 산화(local oxidation of silicon 이하 ″LOCOS″라 한다) 방법이 사용되었다. 전형적인 LOCOS 구조는 패턴화된 실리콘 질화막과 패드 산화막(상기 실리콘 질화막에 의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을 사용하여 하부의 상기 활성 역을 마스크 하여 격리 영역에 이온 주입을 하고, 그리고 나서 두꺼운 필드 산화막을 국부적으로 형성하므로써 구현된다.
상술한 LOCOS 구조에서는 그 구현 과정에 따른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실리콘 질화막 마스크 하부의 실리콘의 측면방향으로의 산화는 필드 산화막의 에지(edge) 부분이 새의 부리 형상을 갖게 하고(소위 bird's beak), 채널 정지 도펀트(channel stop dopants)의 측면 확산은 상기 도펀트가 상기 활성 소자 영역을 잠식하게 하며, 그 결과 소정의 채널 폭보다 좁은 물리적 채널(physical channel)을 형성하게 한다. 상기 두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감소된 채널 부분은 초고집적 반도체(VLSI)를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 더욱더 상황을 어렵게 한다. 즉,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을 증가시키고,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current driving capability)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LOCOS법이 여러 가지 단점을 야기함에 따라, 얕은 트렌치를 사용하여 소자를 분리하는 방법이 발전되었다. 이른바, 얕은 트렌치 격리(이하 ″STI″라 한다)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TI법에 의한 소자의 격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질화막 마스크를 사용하여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소자 격리막인 CVD막으로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단계; 상기 CVD막을 평탄화 식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질화막 마스크를 스트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STI법에서는, 트렌치 내부에 채워지는 소자 격리 물질에 의한 스트레스가 트렌치 내벽에 가해진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트렌치 측벽 또는 활성영역에 얕은 구멍(shallow pit)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반도체 기판의 활성 영역에서 누설 전류 증가를 야기하며, 이는 트렌치 격리의 절연 특성을 저하시킨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의 스트레스는 CVD막 증착 과정 또는 그것의 어닐링 과정에 의한 열적 부담(heat budget)에 의해 생기거나, 또는 후속 산화공정시 산소의 확산에 의한 부피 팽창에 의해 야기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후속 산화 공정에 의한 스트레스 증가를 막아주기 위해 트렌치 측벽 산화막과 트렌치 절연 물질막 사이에 산소 확산 장벽막으로 질화막을 형성해주는 공정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화방지 질화막의 도입으로 스트레스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즉 산화방지 라이너 질화막을 사용할 경우 최종 소자 격리 프로파일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18로 표시된 바와같이 활성영역과 소자 격리 경계를 따라 움푹 패인 골(이하에서 덴트(dent)라 한다)이 발생한다. 이러한 덴트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트렌치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막질과 산화방지 트렌치 라이너가 동일 막질인 질화막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트렌치 절연 물질에 대한 평탄화 공정후 균일도(uniformity) 불량에 따른 잔존하는 질화막의 두께 산포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즉 트렌치 절연 물질에 대한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후 마스크 질화막 제거를 위한 스트립 공정은 균일도 불량을 인해 충분한 과식각을 필요로 하는데, 이로 인해 잔존하는 질화막의 두께가 더 낮은 곳에서는 마스크 질화막과 연결된 라이너 질화막이 트렌치 측벽을 따라 같이 제거되어 측벽 산화막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산화막은 후속 습식 세정 공정등에서 소모되어 덴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덴트 발생은 게이트 문턱전압 저하와 게이트 산화막 열화 등 디바이스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트렌치 내의 산화 방지용 질화막이 리세스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스트레스 특성을 향상시키는 트렌치 격리의 절연특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절실히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트렌치 내의 산화 방지 질화막이 리세스 되는 것을 방지하는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에 있어서 발생되는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의 덴트 현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의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120 : 패드 산화막
140 : 마스크 질화막160 : 마스크 산화막
180 : 트렌치200 : 열산화막
220 : 라이너 질화막240 :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
260 : 제 2 트렌치 필링 절연막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의 소자 격리를 위한 얕은 트렌치 격리 공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패드 산화막,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의 양측벽 및 바닥 상에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를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질화막에 대해 선택적인 인산 스트립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과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2 트렌치 필링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의 상부가 나타날 때 까지 평탄화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 상에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의 상부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보다 높게 되도록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 보다 약 200 옹그스트롬 내지 400 옹그스트롬 정도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인 인산 스트립 공정은, 최소한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 절연막 상부 가장자리에서 측벽을 따라 형성된 상기 트렌치 라이너 및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열산화막 및 상기 패드 산화막을 노출시키는 리세스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 및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을 분리하되, 상기 식각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의 상부는 최소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에 따르면, 트렌치 필링 단계는 제 1 절연막 증착, 상기 제 1 절연막의 일부 제거 그리고 제 2 절연막 증착으로 이루어 지며, 제 2 절연막 증착전에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 제거 공정이 진행되어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및 라이너 질화막이 분리된다. 즉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및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이 트렌치 필링 단계에서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후속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제거시 트렌치 라인 질화막이 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2a 내지 도2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은, 먼저, 반도체 기판(1000) 상에 패드 산화막(120), 마스크 질화막(140) 그리고 마스크 산화막(160)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 산화막(120)은 약 110 옹그스트롬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은 약 1,000 옹그스트롬 내지 1,500 옹그스트롬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은 실리콘 질화막(silicon nitride layer-Si3N4), 실리콘 산화 질화막(silicon oxynitride layer-SiOXNY:X와 Y는 각각 자연수)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스크 산화막(160)은 고온산화막(HTO: high temperature oxide)으로 약 1,000 옹그스트롬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진 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해, 상기 마스크 산화막(160), 마스크 질화막(140) 및 상기 패드 산화막(120)이 식각되어 트렌치 영역이 정의된 트렌치 마스크(170)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트렌치 마스크(170)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이 식각되어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렌치(18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트렌치 양측의 반도체 기판은 활성영역이 된다. 상기 트렌치(180)는 약 2,300 옹그스트롬 내지 2,700 옹그스트롬의 범위 내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180) 형성을 위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식각 공정에서 발생된 손상을 제거하기 위해 열적 산화 공정에 의해 열산화막(200)이 상기 트렌치(180)의 바닥 및 양측벽 상에 형성된다. 상기 열산화막(20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으로서 약 110 옹그스트롬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 스트레스에의한 결정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렌치 마스크(170)를 포함하여 상기 열산화막(200) 상에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이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 질화막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은 상기 트렌치(180) 내벽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후속 산화 공정에서 상기 트렌치(180) 내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충하는 버퍼막으로서 기능을 한다.
다음 공정은 소자 격리를 위해 상기 트렌치(180)를 절연막으로 채우는 공정으로 도 2d 내지 도 2g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렌치(180)는 두 단계의 절연막 증착공정으로 진행되며, 상기 두 단계 증착 공정 사이에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140a)과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을 분리하기 위한 식각 공정이 진행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필링(filling) 특성이 좋은 제 1 트렌치 필링막이 상기 트렌치 라이너(220) 상에 증착되고 부분적으로 식각되어 도 2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각된 상부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도록 제 1 트렌치 필링막(240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약 200 옹그스트롬 내지 400 옹그스트롬 정도 높게 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막으로 예를 들면, 고밀도플라즈마 산화막(HDP oxide:high density plasma oxide), 도핑되지 않은 산화막(USG:undoped silicate glass) 등이 증착된다.
다음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140a)과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을 분리하기위한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 제거 공정이 진행된다. 이는 후속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140a) 인산 스트립 공정시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a)에 연결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을 따라 인산이 침투하여 식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공정은 인산을 사용하는 습식식각으로 두 질화막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식각량이 결정되어 지며 도 2e의 참조번호 250으로 표시된 원 내부에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질화막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활성영역과 트렌치와의 경계에 리세스 영역이 형성되고 마스크 질화막(140b)과 라이너 질화막(220a)은 서로 분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질화막에 대한 습식 식각으로 상기 트렌치 마스크(140a)는 활성영역 방향으로 식각되어 지며 상기 라이너 질화막(220)은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막(240a)의 측벽을 따라 하부로 식각되어 두 질화막이 분리되어 진다.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막(240a)이 상기 활성영역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상술한 바와 같이 약 200 옹그스트롬 내지 400 옹그스트롬),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에 대한 하부 방향으로의 식각 마진이 충분하게 되며 식각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a)의 상부는 최소한 활성영역 높이 이상이 된다.
상기 리세스 부분은 후속 제 2 트렌치 필링막으로 채워지게 되고 상기 리세스에 의해 노출된 패드 산화막(120a) 및 열산화막(200)과 더불어 후속 질화막(140b) 스트립 공정시 식각용액인 인산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공정은 선택적인 공정으로, 제 2 트렌치 필링막을 증착하기 전에 산화막에 습식 공정을 통해 상기 트렌치 측벽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도 2f). 이는 상기 제 2 트렌치 필링막 증착시 상기 리세스를 따라 보이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보이드 발생의 문제가 없다면 상기 습식 공정은 진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2g를 참조하면, 평탄화를 위한 제 2 트렌치 필링막이 상기 도 2f에 나타난 구조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화학적 기계적 연막(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통해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a)의 상부가 나타날 때 까지 평탄화 되어 도 2g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탄화된 제 2 트렌치 필링막(260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트렌치 필링막(260a)은 산화막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트렌치 필링막과 동일한 막으로 형성된다.
도 2h는 평탄화 공정후,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트렌치 필링막(260b)의 일정량을 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b) 제거를 위한 인산 스트립 공정을 진행한 상태에서의 반도체 기판의 수직 단면이다. 상기 트렌치 필링막(260a)의 습식 식각은 상기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140b)에 대한 스트립 공정 후부터 게이트 폴리 증착 전까지 이루어지는 각종 습식 공정에 의해 소모되는 산화막의 총 식각량을 고려하여 그 식각량을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a)을 상기 트렌치 필링막(260a)이 감싸고 있어서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b) 스트립 공정에 의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220a)의 소모가 젼혀 없다.
도 2i는 상기 마스크 질화막(140b)에 대한 스트립 공정후 게이트 폴리 증착 전까지의 후속 공정이 진행된 상태의 반도체 기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상기 라이너 질화막(220a) 소모에 의한 트렌치 측벽 산화막(열산화막)의 노출이 없어 게이트 폴리 증착전까지의 각종 습식 공정에서 트렌치 측벽 산화막의 소모에 의한 덴트(dent)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후속 공정으로 통상적인 게이트 산화막 성장 및 게이트 폴리 증착 공정 등이 진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다양한 변형 및 비슷한 배열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상기 변형 및 비슷한 배열을 포함할 수 있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소자 격리를 위한 트렌치 형성에 관한 것으로서, 트렌치 필링 단계가 제 1 절연막 증착, 상기 제 1 절연막의 일부 제거 그리고 제 2 절연막 증착으로 이루어 지며, 제 2 절연막 증착전에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 제거 공정이 진행되어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및 라이너 질화막이 분리되기 때문에 후속 트렌치 마스크 질화막 제거시 트렌치 라이너 질화막이 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KR1019990044765A1999-10-151999-10-15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WithdrawnKR20010037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19990044765AKR20010037322A (ko)1999-10-151999-10-15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19990044765AKR20010037322A (ko)1999-10-151999-10-15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10037322Atrue KR20010037322A (ko)2001-05-07

Family

ID=1961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19990044765AWithdrawnKR20010037322A (ko)1999-10-151999-10-15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0100373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820334B1 (ko)*2006-12-292008-04-08주원산기 주식회사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자동세척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820334B1 (ko)*2006-12-292008-04-08주원산기 주식회사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자동세척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6326282B1 (en)Method of forming trench isola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formed thereby
KR100275730B1 (ko)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KR19990084517A (ko)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100567022B1 (ko)반도체소자의 트렌치를 이용한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407567B1 (ko)덴트 없는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100317041B1 (ko)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20010008579A (ko)반도체장치의 sti형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10037322A (ko)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100895824B1 (ko)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277435B1 (ko)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100419754B1 (ko)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40059445A (ko)반도체 소자의 트렌치형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500943B1 (ko)선택적 실리콘 리세스로 모우트를 방지한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KR100558032B1 (ko)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KR100846385B1 (ko)반도체 소자의 트렌치형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00015466A (ko)트렌치 격리의 제조 방법
KR100545211B1 (ko)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70002945A (ko)반도체 소자의 트렌치형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922962B1 (ko)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49361B1 (ko)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034094B1 (ko)디봇 방지를 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10061041A (ko)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431087B1 (ko)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38809B1 (ko)Nf3 hdp 산화막을 이용한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80001340A (ko)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19991015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