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010017212A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212A
KR20010017212AKR1019990032599AKR19990032599AKR20010017212AKR 20010017212 AKR20010017212 AKR 20010017212AKR 1019990032599 AKR1019990032599 AKR 1019990032599AKR 19990032599 AKR19990032599 AKR 19990032599AKR 20010017212 AKR20010017212 AKR 2001001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io
capacitor
semiconductor device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604B1 (ko
Inventor
김경민
박기선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filedCritical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32599ApriorityCriticalpatent/KR1006716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21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10017212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60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671604B1/ko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Ta2O5막과 TiO2막의 이중막 구조를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적용함에 있어, TiO2막의 증착 공정을 개선하여 우수한 유전체막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술된다. 종래에는 Ta2O5막상에 Ti막을 증착한 후, 500℃이상의 온도 및 O2분위기에서 급속 열처리하여 TiO2막을 형성하였는데, 고온 급속 열처리 동안 Ta2O5막의 O2가 Ti막과 반응하여 결국 Ta2O5막과 TiO2막과의 계면에 Ta가 존재하게 되므로 인하여 유전체막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Ta2O5막상에 제 1 Ti막을 증착한 후, 500℃이하의 온도에서 O2가스 또는 NO2가스에 플라즈마를 여기시켜 제 1 Ti막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1 TiO2막을 형성하고, 제 1 TiO2막상에 제 2 Ti막을 형성한 후, 동일한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여 제 2 TiO2막을 형성하므로, Ta2O5막의 O2가 Ti막과 반응하는 것이 억제되어 Ta2O5막과 TiO2막과의 계면에 Ta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Ta2O5막과 TiO2막의 이중막 구조를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적용함에 있어, TiO2막의 증착 공정을 개선하여 우수한 유전체막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 및 소형화되어감에 따라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 또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캐패시터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자의 동작에 필요한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확보되어야 한다. 정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 전극을 3차원 구조로 형성하여 유효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이 방법 역시 한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의 고집적 반도체 소자에는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정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사용하여 캐패시터를 제조하는 것이다.
유전율 상수값이 25 내지 27이면서 7MV/cm2이상의 높은 절연파괴 전압 특성을 갖는 Ta2O5를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 및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Ta2O5유전체막이 갖는 유전율로는 충분한 정전 용량을 확보할 수 없어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실현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Ta2O5보다 유전율 상수값이 큰 물질을 사용해야만 한다. Ta2O5보다 유전율 상수값이 큰 물질로 유전율 상수값이 40 내지 60으로 매우 큰 TiO2가 있는데, TiO2는 높은 유전율 상수값을 갖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누설 전류 특성이 매우 열악하여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유전율 상수값을 Ta2O5보다 크게하면서 TiO2의 누설 전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Ta2O5막과 TiO2막의 이중막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Ta2O5막과 TiO2막의 이중막 구조를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적용하는 종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11)상에 저압화학기상증착법(LPCVD)으로 Ta2O5막(12)을 형성하고, Ta2O5막(12)상에 스퍼터(sputter)법으로 Ti막(13)을 증착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500℃이상의 온도 및 O2분위기에서 Ti막(13)을 급속 열처리하여 TiO2막(13a)을 형성하고, 이로 인하여 Ta2O5/TiO2막유전체막(123)이 형성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Ta2O5/TiO2유전체막(123)상에 상부 전극(14)을 형성하여 캐패시터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한 종래 방법에서, Ti막(13)을 충분히 산화시켜 TiO2막(13a)으로 만들기 위한 고온 급속 열처리 동안 Ta2O5막(12)의 O2가 Ti막(13)으로 확산되어 Ti막(13)의 Ti와 반응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Ta2O5막(12)과 TiO2막(13a)과의 계면에 환원된 금속계의 Ta가 존재하게 되어 높은 누설 전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Ta2O5/TiO2유전체막(123)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Ta2O5막과 TiO2막의 이중막 구조를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적용함에 있어, TiO2막의 증착 공정을 개선하여 우수한 유전체막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기판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한 후, Ta성분 화학증기와 반응 가스를 반응로에 공급하여 Ta2O5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Ta2O5막을 어닐링한 후, 제 1 Ti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Ti막을 제 1 저온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1 TiO2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TiO2막상에 제 2 Ti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2 Ti막을 제 2 저온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2 TiO2막을 형성시키고, 이로 인하여 Ta2O5막/TiO2유전체막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Ta2O5막/TiO2유전체막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부 전극12: Ta2O5
13: Ti막13a: TiO2
123: Ta2O5/TiO2유전체막14: 상부 전극
21: 하부 전극22: 질화막
23: Ta2O5막24: 제 1 Ti막
24a: 제 1 TiO2막25: 제 2 Ti막
25a: 제 2 TiO2막345: Ta2O5/TiO2유전체막
26: 상부 전극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 기판이 제공되고, 제공된 기판상에 하부 전극(21)을 형성한다. HF 나 BOE(Buffer Oxide Etchant) 용액을 사용한 세정 공정으로 하부 전극(21)의 표면에 생성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한다. 하부 전극(21)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 내지 5slm의 NH3가스 분위기에서 800 내지 950℃ 온도로 급속 열 질화(RTN: Rapid Thermal Nitridation) 처리하여 표면에 질화막(22)을 형성한다. Ta성분 화학증기와 반응 가스인 O2가스를 반응로에 공급하여 질화막(22)상에 Ta2O5막(23)을 증착한 후, Ta2O5막(23) 내에 존재하는 탄소화합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3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N2O 플라즈마 어닐링을 실시한다. Ta2O5막(23)상에 CVD법 또는 스퍼터(Sputter)법으로 제 1 Ti막(24)을 증착한다.
상기에서, 하부 전극(21)은 LP-CVD법, PE-CVD법, RF-마그네틱 스퍼터링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프트 폴리실리콘(doped polysilicon), TiN, TiAlN, TaN, W, WN, WSi, Ru, RuO2, Ir, IrO2, Pt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을 사용하여 간단한 스택 구조(simple stacked structure), 원통형 구조(cylinder structure), 이들 이외에도 여러가지 3차원 구조로 형성한다.
Ta성분 화학증기는 Ta(OC2H5)5나 Ta(N(CH3)2))5와 같은 금속유기화합물 용액을 170 내지 190℃ 온도 범위로 유지되고 있는 기화기(vaporizer)에서 증발시켜 생성되며, 이렇게 생성된 Ta성분 화학증기를 10 내지 1000sccm의 O2가스와 함께 반응로에 공급하여 LP-CVD법이나 PE-CVD법에 의해 Ta2O5막(23)이 형성된다. Ta2O5막(23)을 LP-CVD법으로 증착할 경우, 반응로 내의 압력을 0.1 내지 10 torr 로 유지시키고, 웨이퍼의 온도를 350 내지 450℃로 유지시킨다. Ta2O5막(23)을 PE-CVD법으로 증착할 경우, RF 전력을 50 내지 500W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O2가스 또는 NO2가스에 플라즈마를 여기시켜 제 1 Ti막(24)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1 TiO2막(24a)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플라즈마 처리 공정은 반응로 내의 압력을 0.1 내지 10 Torr로 유지하고, 서브 히터(SUB HEATER)의 온도를 300 내지 500℃로 유지하며, RF 전력을 10 내지 500W로 인가하고, RF 전력 인가시 서브 히터를 그라운드(GROUND)로 하고 샤워 헤드(Shower head)를 전극(Electrode)으로 하며, 이러한 상태의 반응로에 20 내지 1000sccm의 O2가스 또는 N2O 가스를 공급하여 10sec 내지 1min 동안 실시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1 TiO2막(24a)상에 제 1 Ti막(24)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 2 Ti막(25)을 형성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 1 Ti막(24)을 제 1 TiO2막(24a)으로 만드는 플라즈마 처리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 2 Ti막(25)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2 TiO2막(25a)을 형성하고, 이로 인하여 이중 구조의 Ta2O5/TiO2유전체막(34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TiO2막(24a) 및 제 2 TiO2막(25a)은 인-시튜(In-situ)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Ta2O5/TiO2유전체막(345)상에 상부 전극(26)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캐패시터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상부 전극(26)은 LP-CVD법, PE-CVD법, RF-마그네틱 스퍼터링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프트 폴리실리콘(doped polysilicon), TiN, TiAlN, TaN, W, WN, WSi, Ru, RuO2, Ir, IrO2, Pt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a2O5/TiO2유전체막(345)은 Ta2O5막(23)상에 제 1 Ti막(24)을 증착한 후, 500℃이하의 온도에서 O2가스 또는 NO2가스에 플라즈마를 여기시켜 제 1 Ti막(24)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1 TiO2막(24a)을 형성하고, 제 1 TiO2막(24a)상에 제 2 Ti막(25)을 형성한 후, 동일한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여 제 2 TiO2막(25a)을 형성하여 완성된다. 이와 같이 Ta2O5막상에 TiO2막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 고온 급속 열처리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저온 플라즈마 처리 방법을 적어도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므로 Ta2O5막의 O2가 Ti막과 반응하는 것이 억제되어 Ta2O5막과 TiO2막과의 계면에 Ta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a2O5막을 형성한 후에 적어도 2단계의 저온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 TiO2막을 형성하므로, Ta2O5막과 TiO2막과의 계면에 환원된 금속계의 Ta가 존재하지 않는 Ta2O5/TiO2유전체막을 얻을 수 있어, 소자의 집적화에 따른 캐패시터의 정전용량과 낮은 누설 전류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KR1019990032599A1999-08-091999-08-09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Expired - Fee RelatedKR100671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19990032599AKR100671604B1 (ko)1999-08-091999-08-09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19990032599AKR100671604B1 (ko)1999-08-091999-08-09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10017212Atrue KR20010017212A (ko)2001-03-05
KR100671604B1 KR100671604B1 (ko)2007-01-18

Family

ID=1960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19990032599AExpired - Fee RelatedKR100671604B1 (ko)1999-08-091999-08-09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6716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418580B1 (ko)*2001-06-122004-02-21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40073B1 (ko)*2001-12-102004-07-14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US6995071B2 (en)2003-05-092006-02-07Samsung Electronics Co., Ltd.Methods of forming MIM type capacitor structures using low temperature plasma processing
US7314806B2 (en)2004-04-122008-01-01Samsung Electronics Co., Ltd.Methods of forming metal-insulator-metal (MIM) capacitors with separate seed
EP2365494A1 (en)*2010-03-092011-09-14TDK Corporation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102673451B1 (ko)*2023-02-062024-06-11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극박막 산화하프늄(HfO2) 유전층 기반 금속-강유전체-실리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0144405B1 (ko)*1994-07-181998-07-01김주용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418580B1 (ko)*2001-06-122004-02-21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40073B1 (ko)*2001-12-102004-07-14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US6995071B2 (en)2003-05-092006-02-07Samsung Electronics Co., Ltd.Methods of forming MIM type capacitor structures using low temperature plasma processing
US7314806B2 (en)2004-04-122008-01-01Samsung Electronics Co., Ltd.Methods of forming metal-insulator-metal (MIM) capacitors with separate seed
EP2365494A1 (en)*2010-03-092011-09-14TDK Corporation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102673451B1 (ko)*2023-02-062024-06-11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극박막 산화하프늄(HfO2) 유전층 기반 금속-강유전체-실리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0671604B1 (ko)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0422565B1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17855B1 (ko)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05397B1 (ko)반도체메모리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KR100671604B1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20020137274A1 (en)Capaci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18684B1 (ko)티에이오엔 유전체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그 제조방법
JP4223248B2 (ja)半導体素子の誘電膜形成方法
US6329237B1 (en)Method of manufactur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high dielectric tantalum oxide or barium strontium titanate material that is treated in an ozone plasma
KR100342873B1 (ko)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624904B1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925028B1 (ko)유전막 및 그 형성방법,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US6306666B1 (en)Method for fabricating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100353540B1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670671B1 (ko)반도체 소자의 하프늄 산화막 형성방법
KR100604664B1 (ko)이중 유전막을 구비한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390837B1 (ko)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504434B1 (ko)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611386B1 (ko)탄탈륨산화막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20040059783A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JP4106513B2 (ja)半導体素子のキャパシタ製造方法
KR100440777B1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40060416A (ko)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80269B1 (ko)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34701B1 (ko)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404481B1 (ko)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AMNDAmendment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J201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3-3-V10-V11-apl-PJ0201

AMNDAmendment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B0901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A-6-3-E10-E12-rex-PB0901

B701Decision to grant
PB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B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7-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01224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201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20113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