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단말기를 통해 현재 자신의 위치에 근접해 있는 관공서, 은행, 현금자동인출기, 주유소, 음식점 등의 위치나 연락처와 같은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or contact information of a government office, a bank, an ATM, a gas station, a restaurant, etc., which are close to their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at can enhance the convenience of a mobile terminal user.
근자에 이동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셀룰러(Cellular), 개인휴대통신(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단말기, 페이저(Pager) 등의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또한, 페이저(삐삐)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송신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문자 서비스의 범위도 넓어지는 추세에 있다.In recent years, a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become popular, users using mobile terminals such as cellular,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terminals, and pagers are rapidly spreading. In addition, pagers (beep beeps) also have a transmiss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receiving data, and the range of text service is also increasing.
도 1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의 개요를 간략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is shown for briefly explaining an outline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는 셀룰러,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페이저 등 이동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기지국(10:Base Station)과 기지국 제어기(20:Base Station Controller)를 경유하여 이동 통신 교환기(30)와 연결된다.The mobile terminal 100 refers to all types of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can be used while moving, such as cellular,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agers. Generally,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se station 10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20. 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30 via.
기지국(10)은 이동 단말기(100)와의 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동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20)는 기지국(10)과 교환기(30) 사이에 위치하여, 교환기(30)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교환기(3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해당 기지국(10)과의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10 is a device for performing a wireless access f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0 is located between the base station 10 and the switchboard 30 to transfer messages to or receive messages from the switchboard 30, and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with the base station 10. Do this.
이 때, 교환기(30)는 가입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40: Home Location Register), 및 위치 등록을 위한 이동성 제어 로직을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50:Visitor Location Register)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the exchange 30 is connected to a home location register (40)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ubscriber and a visitor location register (50) for performing mobility control logic for location registration. Is common.
한편, 이동 통신 서비스가 확산되는 추세에 따라 문자 서비스뿐 아니라 증권거래 서비스나 운동경기 안내 서비스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liferating, a variety of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ot only text services but also stock trading services and sports game guide services are appearing.
그러나, 이동 단말기는 그 서비스의 특성상 현재의 위치가 파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넓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However, even though the mobile terminal is aware of the current lo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the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is not widely available.
한 예로서 낯선 곳에 있는 사용자가 자신이 찾아가려는 관공서, 은행, 현금자동인출기, 주유소, 음식점 등의 위치를 찾는데 이동 통신 서비스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사용자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n example, a user who is not in an unfamiliar place has not been help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find a location such as a public office, a bank, an ATM, a gas station, or a restaurant that he or she wants to visi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higher quality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를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해 있는 관공서, 은행, 현금자동인출기, 주유소, 음식점 등 특정 장소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such as a public office, a bank,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 gas station, a restaurant, and the like, which are located close to a user's loc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which can enhance convenience of a terminal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특정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장소들 중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 내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여, 그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station among the specific places requested by the user. And search for plac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nd inform the mobile termi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them.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소정의 위치정보들을 제공해주도록 구성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되,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서비스 요구단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장소들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분류항목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분류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 분류항목 중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정보선택단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단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관한 특정 장소들 중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규정된 거리 내에 있는 장소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위치정보를 찾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검색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전송한 위치정보가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되어 출력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is made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nfig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b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he user is the mobile terminal Service request step of request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mprises: an information classific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item consisting of specific places to the mobile terminal; An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the user selecting a desired item among the loc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item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is a location determining step of identifying a plac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searches a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nd locates at least one of location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mong specific locations of the item selected by the user.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of find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 output step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is received and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이 때, 상기 위치파악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항목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는 제공되는 항목들을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관한 정보들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tion determin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item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the mobile terminal; Inputting, by the user, information regarding a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provided items; And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user by referring to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그러나,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는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구성하면 보다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서로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However, if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detected, a more convenient service is possible,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
도 1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의 개요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무선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wireless data;
도 4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wireless Interne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의 한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기지국20: 기지국 제어기10: base station 20: base station controller
30: 이동 통신 교환기100: 이동 단말기30: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00: mobile terminal
200: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10: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200: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10: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300,300-1,300-2: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300-1,300-2: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10: 무선 데이터 서비스 서버320,340: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10: wireless data service server 320, 340: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30: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의 개요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한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는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으로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를 받고, 검색한 위치정보 응답을 보내주게 된다. 이러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300)과의 접속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entity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wirelessly. Upo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arched location information response is sent.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a connection metho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300.
한편, 주유소(110)나 시청(120) 같은 특정 장소를 찾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한다는 것과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어떤 장소를 찾고자 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한다. 한 예로서 사용자가 지금 자신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주유소(110)를 찾고자 한다면, 자신의 현재위치와 주유소를 찾고자 한다는 것을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한다.Meanwhile,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o wants to find a specific place such as the gas station 110 or the city hall 120 moves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his current location, and what place he wants to find. Input through the terminal 100. As an example, if a user wants to find a gas station 110 that is closest to him now, he inputs to his mobile terminal 100 that he wants to find his current location and gas station.
이 신호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전해지는데, 만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이 서로 연결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관문(Gateway)역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210)를 거쳐 서로 접속한다.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which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connect to each other via a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10 which performs a gateway role.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위치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주체로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장소들 중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 내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한다. 이 때, 바람직한 한 실시예로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장소를 찾도록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is a service entity that performs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of the specific loca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provided. Search for places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is located. 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to find a place of the nearest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즉, 사용자가 주유소(110)의 검색을 요구한 경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유소(110)를 찾아낼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복수개의 주유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유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user requests the search for the gas station 11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will find the gas station 110 closest to the current user's location. Of course, it is also desirabl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gas st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find the desired gas station.
그리고,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검색된 특정 장소(예:주유소)의 위치정보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해주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알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성능이나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의 서비스 내용에 따라 메시지, 음성, 약도 등을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specific place (for example, a gas st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nd the user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You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ace you want.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essage, a voice, a map, etc.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service content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의 구성예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Now, in order to describ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rst.
도 3은 무선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 경우의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1)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서버(310)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20)로 이루어지는데,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1)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무선인터넷 프로토콜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wireless data.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1 includes a wireless data service server 310 and a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2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1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It is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internet protocol.
이 때,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게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refer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특정 장소(관공서, 은행, 현금자동인출기, 주유소, 음식점 등)의 위치정보를 저장해두는 구성요소로서, 각 위치정보들은 검색을 위하여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검색된 특정 장소에 대한 안내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데, 안내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로 송출할 신호의 형식에 따라 음성, 문자 메시지, 약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20 is a component that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public offices, banks, ATMs, gas stations, restaurants, etc.), each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postal code,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for searching It includes. In addition, there is a guide data for a specific place searched, the guide data may be made of a voice, a text message, a map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무선 데이터 서비스 서버(31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320)를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찾아낸 후, 일정 형식에 따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wireless data service server 310 is loca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20 and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Whe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search the database 320 to fi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performs a role to sen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도 4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로서, 이 경우의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2)은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40)로 이루어지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위치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예로서 도시한 것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wireless Internet.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2 is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30 and a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40. It is shown as a configuration example for perform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via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는 사용자와의 정보 교류를 담당하는 인터넷 웹 서버로서,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210)와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찾아낸 후, 일정 형식에 따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30 is an internet web server that is in charge of information exchange with a user, and connects to and receives data from the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10 through the Internet.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30 is loca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40 and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When receiving a signal,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40 is searched for and find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then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여기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도 3에 보인 것(3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4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at shown in FIG.
한편,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210)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과는 무선인터넷 프로토콜로 접속하고,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2)과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한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210)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인터넷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에 전송하고, 또한 그 반대의 작업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이다.Meanwhile, the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10 is loca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30. The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using a wireless internet protoco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provided. The system 300-2 is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protocol. The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10 convert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protocol to the internet protocol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30, and vice versa. Gateway serv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의 한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3과 도 4에 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체화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s a process of embod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shown in FIGS. 3 and 4.
먼저, 서비스 요구 단계(S510)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에게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한다.First, in the service request step (S510), the user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이 때, 도 3에 도시한 시스템을 통해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메뉴를 통해 위치정보 서비스 항목을 선택한다. 즉, 이동 단말기(100) 상에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하기 위한 항목으로 규정된 기능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절차이다. 이 신호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서버(310)로 전해지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provided through the system shown in FIG. 3, the user se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tem through the servic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at is, a procedure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by operating a function defined as an item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data service server 31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200.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시스템을 통해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위의 경우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규정된 항목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으나,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의 주소(IP 또는 URL)를 이동 단말기(100)에 직접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연결메뉴를 선택함으로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에 접속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다.However, i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provided through the system shown in FIG. 4,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ay be requested using the items defin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configured to ac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erver 330 by directly inputting the address (IP or URL) of the 330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by selecting a connection menu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More preferably.
정보분류 제공 단계(S520)에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특정 장소들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분류항목을 이동 단말기로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해당 지역에서 찾고자 하는 장소가 어떤 장소인지를 알기 위하여 특정 장소들로 이루어진 분류항목을 제공하는 절차이다. 한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은행", "학교", "주유소", "시청" 등의 항목이 순서대로 나타날 것이다.In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providing step S52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item composed of specific places to the mobile terminal. In other words, this is a procedure for providing a category of specific places in order to know what place the user wants to find in the area. As an example, items such as "bank", "school", "gas station", and "viewing" will appear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order.
정보 선택 단계(S530)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정보분류 제공 단계(S520)에서 제공된 위치정보 분류항목 중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다.In the information selection step (S530), the user selects a desired item of the loc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items provided in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providing step (S520) via the mobile terminal 100.
즉, 현재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주유소를 찾는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 상에 나타나는 분류항목들 중에서 "주유소" 항목을 선택한다.That is, when the current user finds the gas station closest to his or her location, the user selects a “gas station” item from among the category items appearing on the mobile terminal 100.
위치 파악 단계(S540)에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서비스 요구 단계 (S510)에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구체적으로는 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한다.In the location determining step S54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grasps the location of the user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the service request step S510.
이 때,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may be a variety of way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service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desirable to identify automatically.
또한, 위치 파악의 정밀도는 높을수록 정확한 서비스가 가능해지므로, GPS와 같이 위성을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보다 낮은 정확도의 위치확인 시스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positioning, the more accurate service is possibl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positioning system using satellites such as GPS, but a lower accuracy positioning system may be preferably used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service.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다른 예로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의 단말기 추적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의 동의가 필요하겠지만 자동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해진다.As another exampl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terminal tracking system may be used. In this case, although the cons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may be require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This enables more convenient service for the user.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직접 입력받아 이동 단말기 (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서버(310) 혹은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30)가 이동 단말기(100)로 현재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다.However, a method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used by directly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is case is to provide a menu for the wireless data service server 310 or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30 to input the current lo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즉, 이동 단말기 화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시/도, 군/구, 읍/면/동을 차례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제공하거나, 자신이 위치한 곳의 주소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혹은 현재 위치의 우편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위치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screen, a selection menu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select a city / province, a county / gu, an eup / myeon / dong, or input an address of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or Enter the postal code of the loc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disposition, he may be able to input his location in the way he / she wants.
위치정보 검색단계(S550)에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은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관한 특정 장소들 중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규정된 거리 내에 있는 장소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위치정보를 찾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해 준다.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55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searches for a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nd is defined from a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among specific places related to an item selected by the user. Find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the places in the street to the mobile terminal (100).
이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는 방법으로는 주소에 의한 검색, 우편번호에 의한 검색, 전화번호를 이용한 검색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같은 주소에 있는 장소, 혹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우편번호와 같은 우편번호를 가지는 장소를 찾아가도록 한다.At this time, a method of searching for a plac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may be a search by address, a search by zip code, a search method using a phone number. That is, the user may search for a place at the same address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r a place having a postal code such as the postal code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그러나, 우편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접한 타 우편번호 지역에 사용자가 찾는 특정 장소(예:주유소)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동일 우편번호 지역내의 주유소를 안내하게 되어 불합리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postal code, even though there is a specific place (eg, a gas station) that the user is looking for in another adjacent postal code area, it may be unreasonable to guide the gas station in the same postal code area farther away.
그러므로 보다 바람직한 실시를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GPS 등의 위치확인 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하도록 하고, 또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20,340)에는 각 장소들의 위치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어야 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와 특정 장소간의 거리 계산이 정밀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올바로 전해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a more preferable implementation in conjunction with a positioning system, such as GPS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place must be accurately ente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320, 340) . Then, since the distance calcul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pecific place can be precise, the user can correctly convey the desired information.
이제, 마지막으로 출력단계(S560)에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300)이 전송한 위치정보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신되어 출력된다.Now, the last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300 in the output step (S560)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output.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숙지하거나 위치정보의 일부로서 제공된 특정 장소(예:주유소)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그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The user may acquire and be awar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check the location by calling a phone number of a specific place (eg, a gas station) provided as par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하여 설명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사례들을 설명한 것일 뿐이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not describ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특정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장소들 중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 내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여, 그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위치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을 의미한다.That is, whe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from a mobile terminal, it searches for places within a prescribed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mong specific places requested by the user, and searches for one or more of them.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is configured to notify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을 사용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주변에 있는 관공서, 학교, 은행, 현금자동인출기, 주유소, 음식점 등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상 편의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query the information about the government office, school, bank, ATM, gas station, restaurant, etc. in the vicinity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can greatly enhance the convenience of use.
특히, 낯선 곳에 있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원하는 장소를 쉽게 찾아갈 수 있게 되어 이동 단말기의 실생활에서의 효용성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도 사업범위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an unfamiliar place can easily find the desired plac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in the real lif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us has a business scope in the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gnifie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47882AKR20000006760A (en) | 1999-11-01 | 1999-11-01 | Method to provide portable terminal users with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47882AKR20000006760A (en) | 1999-11-01 | 1999-11-01 | Method to provide portable terminal users with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06760Atrue KR20000006760A (en) | 2000-02-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47882ACeasedKR20000006760A (en) | 1999-11-01 | 1999-11-01 | Method to provide portable terminal users with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s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00006760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37311A (en)* | 2002-04-12 | 2002-05-18 | 인태환 | A geometr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a pair of wireless terminals and its method |
| KR20030009028A (en)* | 2001-11-14 | 2003-01-29 | 문익주 | Method for telephone number advertisement in handy phone |
| KR100402535B1 (en)* | 2000-11-13 | 2003-10-30 | 주식회사 위닉스정보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local information |
| KR100446741B1 (en)* | 2001-11-21 | 200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rea information service method of terminal |
| KR100547214B1 (en)* | 2001-07-10 | 2006-01-26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
| US7209756B2 (en) | 2000-11-27 | 2007-04-24 | Ntt Docomo, Inc. |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relay center |
| KR100767660B1 (en)* | 2000-12-14 | 2007-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786489B1 (en)* | 2000-06-30 | 2007-12-18 | 주식회사 케이티 | Location-dependent person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spatial retrieval techniq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0807318B1 (en)* | 2006-05-18 | 2008-02-2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Automatic Financial Equipment Using Telematics Terminal |
| US7340217B2 (en) | 2000-09-08 | 2008-03-04 | Ntt Docomo, Inc. |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6489B1 (en)* | 2000-06-30 | 2007-12-18 | 주식회사 케이티 | Location-dependent person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spatial retrieval techniq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7340217B2 (en) | 2000-09-08 | 2008-03-04 | Ntt Docomo, Inc. |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KR100402535B1 (en)* | 2000-11-13 | 2003-10-30 | 주식회사 위닉스정보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local information |
| US7209756B2 (en) | 2000-11-27 | 2007-04-24 | Ntt Docomo, Inc. |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relay center |
| KR100767660B1 (en)* | 2000-12-14 | 2007-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547214B1 (en)* | 2001-07-10 | 2006-01-26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
| KR20030009028A (en)* | 2001-11-14 | 2003-01-29 | 문익주 | Method for telephone number advertisement in handy phone |
| KR100446741B1 (en)* | 2001-11-21 | 200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rea information service method of terminal |
| KR20020037311A (en)* | 2002-04-12 | 2002-05-18 | 인태환 | A geometr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a pair of wireless terminals and its method |
| KR100807318B1 (en)* | 2006-05-18 | 2008-02-2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Automatic Financial Equipment Using Telematics Terminal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245926B2 (en) | Multimedia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quiry download service | |
| JP420202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sition dependent information | |
| US897186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local information from a wireless browser to a web server | |
| EP0976254B1 (en) |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 |
| US6944447B2 (en) | Location-based services | |
| US681673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cation-based services | |
| US6862454B1 (en) |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passive devices | |
| JP2004287717A (en) | Vehicle dispatch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 |
| KR20020014897A (en) | Contents service method and system by lo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 KR20030026446A (en) | The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phone location based ad contents service | |
| KR20000006760A (en) | Method to provide portable terminal users with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s | |
| CN101331485A (en) | Improving location-based searches by measuring location-based clickthrough measurements using implicit location | |
| US7093014B2 (en) | Access method and system with restricted number of address indentifiers in domain areas for identifying server addresses | |
| KR100578147B1 (en) | Loc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location tracking | |
| KR20000050088A (en) | Method for servicing a bulletin-board management using internet | |
| KR20060081570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contents using wireless internet | |
| KR100513998B1 (en) | System for providing nfomations related a location using keyword name and method thereof | |
| JP2003303148A (en) | Information delivery metho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system control program | |
| KR20030035646A (en) | Telephone number guid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 |
| KR20050019694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sition detection informations using a member's identification and a mobile node | |
| JP2005521957A (en) | Information server hav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location and telephone for accessing and querying the database from a remote location | |
| TW490950B (en)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d displaying area information | |
| WO2001084267A2 (en) | Method for enabling internet/intranet location specific directory of services and/or application options for wap-enabled devices | |
| KR10040253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local information | |
| KR20000050054A (en) | Method for servicing the weather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199911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1083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020429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01083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