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시트에 부착된 헤드레스트를 상하방향의 높이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of an automobi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he headrest attached to the front seat can be mov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of an automobile seat configured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프론트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 및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의 내측 패널에는 프론트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한쪽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아암레스트(armrest)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시트의 경우에는 시트백의 중앙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이식 아암레스트가 장착되어 있어,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Generally, the front seat and the rear seat are installed in the floor of a vehicle, and the front seat mainly adopts a separate type, while the rear seat adopts a bench type in which two seats are integrally combined. These seats are provided with seat belts to prevent occupants from falling off the seats and causing injuries in the event of a crash. In particular, the front seat can adjust the seat back angle and the seat cushion height according to the occupant's body shape. In addition, the inner panel of the front door is equipped with an armrest that allows the occupant sitting on the front seat to place one arm. The rear seat is equipped with a foldable armres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atback. To provide passengers with convenienc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이것의 구성을 보면,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12)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백(10)의 상부에는 차량의 후방 충돌이나 급발진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 rest)(14)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front sea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ncludes a seat cushion 12 which is a part where a passenger sits and a seat back 10 which is a part that leans back. The upper part of the seatback 10 is provided with a head rest 14 which can rest against the head while at the same time protecting the passenger's neck from the impact of a rear collision or sudden start of the vehicle.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머리를 기대고 운전하기가 힘들며,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에는 목부분에 무리를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방 추돌사고시에는 머리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짐으로써, 목을 다칠 우려가 있다.The headrest of the conventional car sea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not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fit the body of the occupant, it is difficult to lean head driving, there is a problem in the neck portion when driving for a long time. In the rear collision accident, the head is flipped back momentarily, which may hurt the neck.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is to provide a headrest of the car seat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by configuring to move the headrest back and forth to fit the body of the occupant.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front seat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ron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탄성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시트백22:수납홈20: Seat back 22: Storage groove
24:시트쿠션26:헤드쿠션24: Seat cushion 26: Head cushion
28:상부로드28a:걸림홈28: upper load 28a: locking groove
30:하우징32:가이드홈30: housing 32: guide groove
34:삽입홈36:힌지홀34: insertion groove 36: hinge hole
38:클립40:하부로드38: Clip 40: Lower load
42:힌지44:탄성볼42: hinge 44: elastic ball
46:스프링46: Sprin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수납홈을 지닌 시트백과, 수납홈에 수납되며, 내부에 가이드홈을 지닌 것으로, 하부에는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힌지에 의해 하우징의 힌지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로드와, 하단에는 탄성수단에 의해 하부로드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로드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쿠션과, 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부로드의 이동을 제지하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sit on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the receiving groov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re is a guide groove therein, a lower hinge hole is formed in the upper insertion groove A head cushion having a housing formed thereon, a lower rod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hole of the housing by a hinge, an upper rod attached to the lower rod releasably mounted to the lower rod by elastic means, and a housing insertion. It is achieved by the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ip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upper rod.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운행시에 헤드레스트를 앞으로 젖힌 상태에서 머리를 기대고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추돌 사고시에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rest can be driven while the headrest is folded forward during a long time driving, so that the fatigue of the neck can be reduced, and the neck portion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rear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탄성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ron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fron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먼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는 개략적으로,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24)과, 시트쿠션(24)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20)으로 구성된다. 시트백(20)에는 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홈(22)내에는 하우징(30)이 수납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능케 한다.First, the fron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roughly composed of a seat cushion 24, which is a part where a passenger sits, and a seat back 20, which is a part that sits on the seat cushion 24 and leans back. An accommodation groove 22 is formed in the seatback 20, and the housing 3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22, thereby enabl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headrest.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보면, 시트백(20)에 형성된 수납홈(22)에 수납되며, 내부에 가이드홈(32)을 지닌 것으로, 하부에는 힌지홀(3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0)과, 힌지(42)에 의해 하우징(30)의 힌지홀(3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로드(40)와, 하단에는 탄성수단에 의해 하부로드(40)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로드(28)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쿠션(26)과, 하우징(30)의 삽입홈(34)에 삽입되어 상부로드(28)의 이동을 제지하는 클립(38)으로 이루어져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2 formed in the seatback 20, having a guide groove 32 t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hole 36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A housing 30 in which the grooves 34 are formed, a lower rod 40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hole 36 of the housing 30 by the hinge 42, and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0 by the elastic means. The head cushion 26 to which the upper rod 28 attached to the rod 40 removably is attached, and the clip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4 of the housing 3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upper rod 28. It consists of 38.
조립시에는 하부로드(40)의 하단에 부착된 힌지(42)를 하우징(30)의 힌지홀(36)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30)을 시트백(20)에 형성된 수납홈(22)에 끼운다. 다음에, 하부로드(40)에 상부로드(28)를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로드(28)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탄성수단을 채용하였다.At the time of assembly, in the state in which the hinge 42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rod 40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36 of the housing 30, the housing groove 22 formed in the seat back 20 is formed. Insert in. Next, the upper rod 28 is inserted into the lower rod 40 to be assembled.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rod 28, an elastic means as shown in FIG. 3 is employed.
도 3을 보면, 하부로드(40)에는 요홈(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42a)에는 탄성볼(44)을 삽입한 다음, 스프링(46)을 끼워 탄성 가압한다. 그러므로, 탄성볼(44)은 상부로드(28)에 형성된 걸림홈(28a)에 걸어맞춤되어 헤드쿠션(26)의 높이가 임의로 변화되는 것을 막는다.3, the lower rod 40 is formed with a recess 42a, and the elastic ball 44 is inserted into the recess 42a, and then the spring 46 is fitted to press the elastically. Therefore, the elastic ball 4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8a formed in the upper rod 28 to prevent the height of the head cushion 26 from being arbitrarily changed.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가 조립되어 있는 시트를 도시한 도면으로, 하우징(30)에 형성된 삽입홈(34)에는 클립(38)이 끼워져 있어, 상부로드(28)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지한다.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립(38)을 삽입홈(34)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상부로드(28)가 끼워져 있는 하부로드(40)는 힌지(4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헤드쿠션(26)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하우징(30)에 형성된 삽입홈(34)에 클립(38)을 끼운다. 그러므로, 헤드쿠션(26)의 이동은 제지되며,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쿠션(26)을 앞으로 당겨 목부분을 기대는 것이 가능하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eat in which the head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the clip 3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4 formed in the housing 30 to restrain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upper rod 28. do. In order for the occupa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to suit his / her body, first, the clip 38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34. At this time, the lower rod 40 to which the upper rod 28 is inserted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about the hinge 42. When the position of the head cushion 26 is properly adjusted, the clip 3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4 formed in the housing 30.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head cushion 26 is restrained, and it is possible to pull the head cushion 26 forward and lean on the neck portion in accordance with its body shape.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운행시에 헤드레스트를 앞으로 젖힌 상태에서 머리를 기대고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추돌 사고시에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drest can be driven while the headrest is folded forward during a long time driving, the fatigue of the neck can be reduced, and the neck portion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rear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tective effec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70010195AKR19980074403A (en) | 1997-03-25 | 1997-03-25 | Headrests for Car Seat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70010195AKR19980074403A (en) | 1997-03-25 | 1997-03-25 | Headrests for Car Seat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74403Atrue KR19980074403A (en) | 1998-11-0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70010195AWithdrawnKR19980074403A (en) | 1997-03-25 | 1997-03-25 | Headrests for Car Seat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9980074403A (e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GB2415616A (en) |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 |
| KR19980074403A (en) | Headrests for Car Seats | |
| KR0134235Y1 (en) | Headrest of a car | |
| KR0138731Y1 (en) | A car seat | |
| KR100499779B1 (en) | safety seat of an automobile | |
| KR0173591B1 (en) |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 |
| KR100292865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cushion of rear seat in vehicle | |
| KR19990024739U (en) | Child Protection Car Seat | |
| KR19990034168A (en) | Shock-absorbing structure of car front seat rail | |
| KR19980054287A (en) | Headrest of car | |
| KR200147093Y1 (en) | Rear Collision Shock Absorber Using Headrest | |
| KR0152191B1 (en) | Headrest device of automobile having dual structure | |
| KR0130281Y1 (en) | Structure of car seat | |
| KR0152201B1 (en) | Lumber support device of a seat back for a car | |
| KR0136144Y1 (en) | Car rear seat center headrest mounting structure | |
| KR0166546B1 (en) | Coin box in the rear seat for a vehicle | |
| KR0124366Y1 (en) | Rear seat cushion folding structure for automobile | |
| KR19980074404A (en) | Car front seat | |
| KR19990021288U (en) | Child Seats in Vehicles | |
| KR19980046634U (en) | Lumbar support structure of car seatback | |
| KR19990035662A (en) | Built-in rear center headrest | |
| KR19990033812A (en) | Headrest protrusion of the vehicle | |
| KR20070035633A (en) | Resilient installation structure of car rear armrest | |
| KR19980037896U (en) | Headrest Structures for Vehicle Seats | |
| KR19980048118U (en) | Car sea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1997032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