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859011B1 - 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59011B1
KR102859011B1KR1020220108463AKR20220108463AKR102859011B1KR 102859011 B1KR102859011 B1KR 102859011B1KR 1020220108463 AKR1020220108463 AKR 1020220108463AKR 20220108463 AKR20220108463 AKR 20220108463AKR 102859011 B1KR102859011 B1KR 10285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latform
content
foreign
provi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30001A (en
Inventor
김남규
Original Assignee
김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규filedCritical김남규
Priority to KR1020220108463ApriorityCriticalpatent/KR102859011B1/en
Publication of KR2024003000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030001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59011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859011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은, 플랫폼 제공서버의 사용자 관리부가, 외국인 근로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a)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조회하는 (b)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있으며, 동일 국적이면서 동일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c)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종사하고 있는 산업의 용어 관련 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step in which a user management unit of a platform providing server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first user terminal used by a foreign worke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 a step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searches for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a foreign worker who has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the first user terminal; (c) a step in which a content providing unit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provides,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searched in step (b),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and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foreign workers of the same nationality and engaged in the same industry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d) a step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searched in step (b), content related to terms of the industry in which the foreign worker is engag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Providing a Management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본 발명은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관리 및 언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함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and educating foreign work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and educating foreign workers, which improv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foreign workers and facilitates collaboration by providing various contents for managing and educating foreign workers.

최근에는 국내 총 인구가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생산력이 있는 나이대의 노동 인구 역시 감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the total domestic population has been declining, and consequently, the working-age population of productive age is also decreasing. Consequently, various industries are actively hiring foreign workers to supplement the labor shortage.

이에 국가 차원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처우 개선 및 복지 증진을 꾀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내국인이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 역시 점차 개선되고 있다.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systems to improve the treatment and welfare of foreign workers, and over time, the perception of foreign workers held by Koreans is also gradually improving.

다만,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아직 외국인 근로자의 근무 여건이 명백하게 개선되었다고만은 할 수 없으며, 이는 언어의 장벽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와 고용자 간의 소통 부재와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work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have clearly improved in actual industrial settings, and one of the biggest reasons for this is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foreign workers and employers due to the language barrier.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제도가 시행되고는 있으며, 그 중에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언어 교육 강좌 등도 다수 개설되어 있으나, 근로 과정에서 공부할 여건이 부족한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As mentioned above, various support systems are currently in place for foreign workers, including many language training courses for foreign workers. However, these are burdensome for foreign workers who lack the opportunity to study while working.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지원 제도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실효성이 없는 경우가 많다.As a result, these various support systems are often ineffective in actual industrial setting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452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4525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외국인 근로자, 고용자, 컨텐츠 제작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호 교류가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함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that improv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foreign workers and facilitates collaboration by providing various contents that enable mutual exchange through user terminals owned by foreign workers, employers, and content creato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은, 플랫폼 제공서버의 사용자 관리부가, 외국인 근로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a)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조회하는 (b)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있으며, 동일 국적이면서 동일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c)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종사하고 있는 산업의 용어 관련 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comprises: (a) a step in which a user management unit of a platform providing server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first user terminal used by a foreign worke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 a step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searches for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a foreign worker who has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the first user terminal; (c) a step in which a content providing unit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provides,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searched in the step (b),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and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foreign workers of the same nationality and engaged in the same industry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d) a step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searched in the step (b), content related to terms of the industry in which the foreign worker is engag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등록된 다른 외국인 근로자 중 동일 국적정보를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의 리스트를 검색하는 (c-1)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1)단계에서 검색된 다른 외국인 근로자의 리스트 중 동일 종사산업정보를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의 리스트를 재검색하는 (c-2)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c-2)단계에 의해 최종 검색된 외국인 근로자가 소유한 다른 제1사용자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c-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c) may include a step (c-1)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searches for a list of foreign workers having the same nationality information among other foreign workers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section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 step (c-2)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re-searches a list of foreign workers having the same industry information among the list of foreign workers searched in the step (c-1) based on the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step (c-3)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access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to another first user terminal owned by the foreign worker who was finally searched in the step (c-2).

그리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용어 관련 컨텐츠 중 동일 종사산업에 해당하는 현장 용어 문서를 검색하는 (d-1)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d-1)단계에서 검색된 현장 용어 문서 중 동일 국적의 언어에 해당하는 현장 용어 문서를 재검색하는 (d-2)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d-2)단계에 의해 최종 검색된 현장 용어 문서를 제공하는 (d-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tep (d) may include a step (d-1)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searches for an on-site terminology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industry among a plurality of terminology-related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based on the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 step (d-2)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re-searches an on-site terminology document corresponding to a language of the same nationality among the on-site terminology documents searched in step (d-1)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step (d-3)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on-site terminology document finally searched by step (d-2)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한편 상기 (a)단계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고용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m1)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플랫폼 초대 링크 전송을 요청받는 (m2)단계 및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플랫폼 초대 링크를 전송하는 (m3)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prior to the above step (a), the user management unit may further perform a step (m1) of performing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an employe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 step (m2) of receiving a request for transmitting a platform invit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via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step (m3) of transmitting a platform invit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by the user management unit.

또한 상기 (a)단계 이후에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고용자와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고용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m4)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above step (a), the above content provider may further perform a step (m4) of providing employ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mployer and other foreign workers to the second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m4)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채팅 서비스 개설을 요청받는 (m4-1)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제2사용자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m4-2)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채팅 참가 링크 전송을 요청받는 (m4-3)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채팅 참가 링크를 전송하는 (m4-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above step (m4) may include a step (m4-1)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receives a request for opening a chat service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a step (m4-2)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a step (m4-3)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tting a chat particip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step (m4-4)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transmits a chat particip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더불어 상기 (m4-1)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는 채팅 서비스 개설 요청과 함께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유지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step (m4-1),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set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chat service according to the work type of the foreign worker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along with the request for opening the chat service.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환경은 번역 툴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진 메시지 입력에 대한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includes a translation tool and can perform translation of messages input by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한편 상기 (a)단계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컨텐츠 제작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3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p1)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용어 관련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받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p2)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prior to the above step (a), the user management unit may further perform a step (p1) of performing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third-party user terminal used by a content creato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tep (p2) of the content providing unit uploading terminology-related content created by a content creator through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and storing the uploaded content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더불어 상기 (a)단계 이후에는,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결산처리부가,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따른 수익비용 배분을 위한 비용정산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3)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소유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실시간 교육을 수행하는 실시간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4)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above step (a), a step (p3)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provides cost settlement content for distributing revenue and expen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s of term-related content to the third user terminal, and a step (p4)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real-time education content for performing real-time education on foreign workers who own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third user terminal may be further performed.

이때 상기 (p3)단계는, 상기 결산처리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를 기산하는 (p3-1)단계, 상기 결산처리부가 상기 (p3-1)단계에서 기산된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기반하여 수익비용을 산출하는 (p3-2)단계 및 상기 결산처리부가 상기 (p3-2)단계에서 산출된 수익비용을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3-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p3) may include a step (p3-1)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uses of the term-related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a step (p3-2)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calculates revenue costs based on the number of uses of the term-related content calculated in the step (p3-1), and a step (p3-3)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revenue costs calculated in the step (p3-2) to the third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p4)단계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컨텐츠 제작자의 교육 자격 취득 여부를 확인하는 (p4-1)단계, 상기 (p4-1)단계에 의해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컨텐츠 제작자가 교육 자격을 취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외국인 근로자 간의 소통을 위한 상기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고용자와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고용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 환경에서, 교육 자격을 취득한 컨텐츠 제작자가 소유한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 교육을 요청할 수 있는 교육 요청 링크를 함께 제공하는 (p4-2)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고용자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진 상기 교육 요청 링크의 입력을 확인하는 (p4-3)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 측에 상기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p4-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tep (p4) may include a step (p4-1)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checks whether the content creato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third user terminal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a step (p4-2)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in a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in the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foreign workers and the employ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rs and other foreign workers, an education request link that allows the content creator who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to request real-time education to the third user terminal owned by the content creator, if the step (p4-1) determines that the content creato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third user terminal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a step (p4-3)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confirms input of the education request link mad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the employer, and a step (p4-4)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third user terminal.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은, 외국인 근로자 간, 또는 외국인 근로자와 고용자 간에 원활한 소통 및 상호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며, 외국인 근로자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근로를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근무 환경 및 처우를 개선하고, 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foreign workers working in Korea and facilitating collaboration, as it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foreign workers or between foreign workers and employers, and provides various contents that can provide quality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foreign workers.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컨텐츠의 자료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수익 창출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보다 양질의 자료를 제작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couraging creative motivation and encouraging the production of higher quality content by guaranteeing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revenue generation opportunities for content creators who produce various types of cont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외국인 근로자가 사용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c)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d)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 단말기 측에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고용자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m4)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작자가 사용하는 제3사용자 단말기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p3)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p4)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each process provided to a first user terminal used by a foreign worker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c)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visibly provided on a first user terminal sid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each process provided to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an employer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m4)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rawing showing each process provided to a third-party user terminal used by a content creator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rawing showing the detailed process of step (p3)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p4)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ortion, etc.) is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directly disposed/connected/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dentical drawing numbers indicate identical components. Furthermore,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proportion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illustrating the technical content.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associated constructs that can be defin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Whi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sol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depicted in the drawings. Thes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described based on the direc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Furthermor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relevant technical context, and unless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they are explicitly defined herein.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not to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플랫폼 제공서버 및 각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플랫폼 제공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rough a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each user terminal in which a program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stored in a storage medium is installed, and can be driven by the processor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모듈 등 영상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서버의 단말기, 외국인 근로자, 고용자, 컨텐츠 제작자가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시각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education can be output through a video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module, and can provide visible information through a visualized graphical user interface on terminals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mobile terminals owned by foreign workers, employers, and content creators.

특히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는 이동식 디스크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플랫폼 제공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은 플랫폼 제공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적 수단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a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an be installed on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user terminals using a removable disk or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rogram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a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an enable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user terminals to be operated by various functional means.

즉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alizes information processing by software through hardware.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에 할당된 부호는 본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FIG. 1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component are based on this draw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의해 다양한 컨텐츠가 외국인 근로자(E)가 소유한 제1사용자 단말기(10), 고용자(M)가 소유한 제2사용자 단말기(20) 및 컨텐츠 제작자(C)가 소유한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in this embodiment can provide various contents to a first user terminal (10) owned by a foreign worker (E), a second user terminal (20) owned by an employer (M), and a third user terminal (30) owned by a content creator (C) by a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그리고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사용자 관리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 제2사용자 단말기(20) 및 제3사용자 단말기(3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것을 인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각 사용자 단말기(10~3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다양한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nd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performs the role of recognizing and processing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the third user terminal (30) have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and can also stor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about users using each user terminal (10 to 30).

컨텐츠 제공부(110)는 외국인 근로자(E)가 소유한 제1사용자 단말기(10), 고용자(M)가 소유한 제2사용자 단말기(20) 및 컨텐츠 제작자(C)가 소유한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해당 컨텐츠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10~30)에 송신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r (11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to a first user terminal (10) owned by a foreign worker (E), a second user terminal (20) owned by an employer (M), and a third user terminal (30) owned by a content creator (C), and can transmit the contents to each user terminal (10 to 30) by implementing the contents in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또한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업로드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컨텐츠 제작자(C)는 자신이 제작한 컨텐츠를 직접 컨텐츠 제공부(110)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110) can be directly uploaded by an administrator, but in addition, a content creator (C) can also directly upload content he or she has created to the content provider (110). In this way,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110) can be stored in a database (111).

그리고 결산처리부(130)는 컨텐츠 제작자(C)가 제작하여 업로드 후 소비된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따른 수익비용 배분을 위한 비용정산 컨텐츠를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And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130) is equipped to provide cost settlement content for distributing revenue and cos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content is used after being produced and uploaded by the content creator (C) to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3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사용자 단말기(10), 제2사용자 단말기(20) 및 제3사용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That is, a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to at least one of a first user terminal (10), a second user terminal (20), and a third user terminal (3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외국인 근로자(E)가 사용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10)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rawing showing each process provided to a first user terminal (10) used by a foreign worker (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인 근로자(E)가 사용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10)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은 (a)단계 내지 (d)단계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each process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used by the foreign worker (E) includes steps (a) to (d).

먼저 (a)단계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사용자 관리부(120)가, 외국인 근로자(E)가 사용하며,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다.First, step (a)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the first user terminal (10) used by a foreign worker (E)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즉 본 단계에서는 외국인 근로자(E)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되며,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사용자 관리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접속을 인식하여 접속 허가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과정에서는 외국인 근로자(E)에 대한 로그인 인증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step, a foreign worker (E) attempts to connect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can recognize the connec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process the connection permission process. For example, a logi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foreign worker (E)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b)단계는 사용자 관리부(12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E)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이다.Step (b)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department (120) searches for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a foreign worker (E) who has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즉 (a)단계에 의해 제1사용자 단말기(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관리부(120)는 해당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소유한 외국인 근로자(E)가 설정한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로딩하여 조회한다.That is,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step (a),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loads and searches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set by the foreign worker (E) who owns the first user terminal (10).

여기서 국적정보는 해당 외국인 근로자(E)의 국적을 나타내며, 종사산업정보는 해당 외국인 근로자(E)가 근무하고 있는 업종 분류를 나타낸다.Here, the nationality information indicates the nationality of the foreign worker (E), and the industry information indicates the industry classification in which the foreign worker (E) is working.

(c)단계에서는,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In step (c), a process of providing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is performed.

구체적으로 본 단계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컨텐츠 제공부(110)가,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E)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관리부(120)에 등록되어 있으며, 동일 국적이면서 동일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다른 외국인 근로자(E)와의 소통을 위한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Specifically, in this step, the content provider (110) of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provides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foreign workers (E) of the same nationality and industry engaged in,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engaged in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E) retrieved in step (b),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즉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동일 국적 및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E) 간의 원활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is intended to facilitate smooth exchange between foreign workers (E) of the same nationality and working in the same industr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c)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c)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단계는 세부적으로 (c-1)단계 내지 (c-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step (c) may include steps (c-1) to (c-3) in detail.

(c-1)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E)의 국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관리부(120)에 등록된 다른 외국인 근로자(E) 중 동일 국적정보를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E)의 리스트를 검색하는 과정이다.Step (c-1)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searches for a list of foreign workers (E) with the same nationality information among other foreign workers (E)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E) who has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그리고 (c-2)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E)의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c-1)단계에서 검색된 다른 외국인 근로자(E)의 리스트 중 동일 종사산업정보를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E)의 리스트를 재검색하는 과정이다.And step (c-2)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re-searches the list of foreign workers (E) having the same industry information among the list of other foreign workers (E) searched in step (c-1), based on the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E)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즉 (c-2)단계에서는 (c-1)단계에서 동일 국적정보로 필터링된 외국인 근로자(E)의 리스트 내에서 재검색을 수행하여, 동일 종사산업정보로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in step (c-2), a re-search is performed within the list of foreign workers (E) filtered with the same nationality information in step (c-1), and filtering is performed with the same industry information.

(c-3)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10)와, (c-2)단계에 의해 최종 검색된 외국인 근로자(E)가 소유한 다른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이다.Step (c-3)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and another first user terminal (10) owned by a foreign worker (E) who was finally searched in step (c-2).

본 과정에 의해 동일 국적 및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E)는 서로 간의 채팅 과정을 통해 교류를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foreign workers (E) of the same nationality and working in the same industr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hat process.

다음으로, (d)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E)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종사하고 있는 산업의 용어 관련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하는 과정이다.Next, step (d)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content related to terms of the industry in which the foreign worker (E) is engag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E) retrieved in step (b).

여기서 용어 관련 컨텐츠는 해당 외국인 근로자(E)가 종사하고 있는 업종에서 사용하는 현장 용어, 교육 자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Here, the terminology-related content includes field terminology, educational materials, etc. used in the industry in which the foreign worker (E) is engag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d)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단계는 세부적으로 (d-1)단계 내지 (d-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step (d) may include steps (d-1) to (d-3) in detail.

(d-1)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E)의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복수의 용어 관련 컨텐츠 중 동일 종사산업에 해당하는 현장 용어 문서를 검색하는 과정이다.Step (d-1)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searches for a field terminology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industry among multiple terminology-related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111) of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based on the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E)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그리고 (d-2)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E)의 국적정보를 기반으로, (d-1)단계에서 검색된 현장 용어 문서 중 동일 국적의 언어에 해당하는 현장 용어 문서를 재검색하는 과정이다.And step (d-2)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re-searches field terminolog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language of the same nationality among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s searched in step (d-1)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E)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즉 (d-2)단계에서는 (d-1)단계에서 종사산업정보로 필터링된 현장 용어 문서 중에서 재검색을 수행하여, 국적정보로 필터링을 수행함에 따라 해당 외국인 근로자(E)에게 맞춤형의 문서를 도출하게 된다.That is, in step (d-2), a re-search is performed among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s filtered by industry information in step (d-1), and filtering is performed by nationality information to derive a document tailored to the foreign worker (E).

(d-3)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d-2)단계에 의해 최종 검색된 현장 용어 문서를 제공하는 과정이다.Step (d-3)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 finally searched in step (d-2)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한편 현장 용어 문서는 한글 이루어진 것을 각 국적의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 may be provided by translating the Korean text into the language of each country.

이를 위해 관리자는 다양한 현장용어 데이터를 확보해서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하고, 이를 외부 번역 툴(예컨대, 구글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사의 번역 API 등)을 사용하여 번역하되, 번역에 의해 나타난 결과와 그 의미가 다른 용어는 실제 현장 실무를 반영하여 현장용어와 의미가 상통하는 적합한 용어로 지정하여 변환하거나, 또는 인공지능 학습 과정을 통한 맞춤형 번역 시스템 등을 구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dministrator can secure various field terminology data, store it in a database (111), and translate it using an external translation tool (e.g., translation APIs of various service providers such as Google). However, terms whose meanings differ from those shown in the translation can be converted to appropriate terms that are similar in meaning to field terms by reflecting actual field practices, or a customized translation system can be built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process.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맞춤형 번역 시스템을 구축하면 지정해야 할 용어가 많아질 경우에도 건설 분야/제조 분야/무역 분야 등 분야 별 번역 툴 또는 현장용어(줄임말, 전문용어 포함)를 반영한 전 산업 분야 통합 번역 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Building a customized translation system using AI learning will allow for the easy creation of field-specific translation tools, such as construction/manufacturing/trade, or an integrated translation tool across all industries that reflects field terminology (including abbreviations and technical terms), even when the number of terms to be specified increases.

이상과 같이, 플랫폼 제공서버(100)는 외국인 근로자(E)가 사용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10) 측에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용어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provides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and terminology-related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used by the foreign worker (E).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 단말기(10) 측에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visibly provided on the first user terminal (10) sid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컨텐츠 제공부(110)는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용어 관련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10) 측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양한 메뉴를 통해 가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content provision unit (110) of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can visually implement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and terminology-related content through various menus on the interface screen via software installed on the first user terminal (10).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고용자(M)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20)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Next, FIG. 6 is a drawing showing each process provided to a second user terminal (20) used by an employer (M) in a method for providing a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용자(M)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20)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은 전술한 (a)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m1)단계 내지 (m3)단계와, (a)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m4)단계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6, each process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0) used by the employer (M) includes steps (m1) to (m3) performed before step (a) described above, and step (m4) performed after step (a).

(m1)단계는 사용자 관리부(120)가 고용자(M)가 사용하며,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다.Step (m1)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second user terminal (20) used by an employer (M)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즉 본 단계에서는 고용자(M)가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되며,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사용자 관리부(120)는 제2사용자 단말기(20)의 접속을 인식하여 접속 허가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과정에서는 고용자(M)에 대한 로그인 인증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step, the employer (M) attempts to connect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can recognize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process the connection permission process. For example, a logi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employer (M)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m2)단계는 사용자 관리부(120)가,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플랫폼 초대 링크 전송을 요청받는 과정이다.Step (m2)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a platform invit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20).

본 단계에서 고용자(M)는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E)가 소유한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플랫폼 초대 링크를 전송하기를 요청할 수 있다.At this stage, the employer (M) may request that a platform invitation link be s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owned by the foreign worker (E)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20).

그리고 (m3)단계는 사용자 관리부(12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플랫폼 초대 링크를 전송하는 과정이다.And step (m3) is the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sends a platform invit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이에 따라 플랫폼 초대 링크를 전송받은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전술한 (a)단계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at received the platform invitation link connects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step (a) described above.

이후 (m4)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고용자(M)와 다른 외국인 근로자(E)와의 소통을 위한 고용자(M)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In the subsequent step (m4),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employer (M)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mployer (M) and other foreign workers (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0).

즉 고용자(M)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고용자(M)와 외국인 근로자(E) 간의 원활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고용자(M)는 고용자(M)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통해 다양한 교육 컨텐츠를 공유하거나, 당일 작업할 내역, 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등을 공유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mployer (M) communication content is intended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r (M) and foreign workers (E). Employers (M) can share various educational content through employer (M) communication content, or share tasks to be completed on the day, tests to check understanding of the training, etc.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m4)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m4)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4)단계는 세부적으로 (m4-1)단계 내지 (m4-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step (m4) may include steps (m4-1) to (m4-4) in detail.

(m4-1)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채팅 서비스 개설을 요청받는 과정이다.Step (m4-1) is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receives a request to open a chat service through a second user terminal (20).

그리고 (m4-2)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And in step (m4-2),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0)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m4-3)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채팅 참가 링크 전송을 요청받게 되며, (m4-4)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채팅 참가 링크를 전송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In step (m4-3), the content provider (110) receives a request to transmit a chat particip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in step (m4-4), the content provider (110) transmits a chat particip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즉 고용자(M)가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채팅 참가 요청을 입력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부(110)는 제2사용자 단말기(20)가 개설한 채팅 서비스 환경에 제1사용자 단말기(10)가 참가할 수 있도록 채팅 참가 링크를 전송하게 된다.That is, the employer (M) can input a request to participate in a chat for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the content provider (110) transmits a chat participation link so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0) can participate in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open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20).

한편 (m4-1)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20)는 채팅 서비스 개설 요청과 함께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외국인 근로자(E)의 근로 형태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유지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m4-1), the second user terminal (20) can set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chat service according to the work type of the foreign worker (E)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10) along with the request for opening a chat service.

예컨대, 제2사용자 단말기(20)는 채팅 서비스 환경에 참가시키고자 하는 외국인 근로자(E)의 고용 형태가 일용직인지 또는 상근직인지의 여부에 따라 채팅 서비스의 유지 기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user terminal (20) can set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chat servic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employment type of the foreign worker (E) to be included in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is daily or full-time.

또한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환경은 번역 툴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이루어진 메시지 입력에 대한 번역을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110) may include a translation tool, thereby performing translation on message inputs made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20).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작자(P)가 사용하는 제3사용자 단말기(30)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Next, FIG. 8 is a drawing showing each process provided to a third user terminal (30) used by a content creator (P)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자(P)가 사용하는 제3사용자 단말기(30) 측에 제공되는 각 과정은 전술한 (a)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p1)단계 및 (p2)단계와, (a)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p3) 단계 및 (p4)단계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8, each process provided to the third user terminal (30) used by the content creator (P) includes steps (p1) and (p2) performed before step (a) described above, and steps (p3) and (p4) performed after step (a).

(p1)단계는 사용자 관리부(120)가 컨텐츠 제작자(P)가 사용하며,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다.Step (p1)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third-party user terminal (30) used by a content creator (P)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즉 본 단계에서는 컨텐츠 제작자(P)가 제3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되며,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사용자 관리부(120)는 제3사용자 단말기(30)의 접속을 인식하여 접속 허가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과정에서는 컨텐츠 제작자(P)에 대한 로그인 인증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step, the content creator (P) attempts to connect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a third-party user terminal (30), and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can recognize the connection of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30) and process the connection permission process. For example, a logi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content creator (P)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그리고 (p2)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컨텐츠 제작자(P)가 제작한 용어 관련 컨텐츠를 제3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업로드받아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하는 과정이다.And step (p2)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uploads terminology-relat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creator (P) through a third-party user terminal (3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111) of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100).

이와 같이 저장된 용어 관련 컨텐츠는, 이후 컨텐츠 제공부(110)에 의해 제1사용자 단말기(10) 또는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될 수 있다.The term-related content saved in this way can then be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20) by the content provider (110).

이후 (p3)단계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결산처리부(130)가,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따른 수익비용 배분을 위한 비용정산 컨텐츠를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는 과정이다.The subsequent step (p3) is a process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13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provides cost settlement content for distributing revenue and cos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s of term-related content to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30).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p3)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p3)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3)단계는 세부적으로 (p3-1)단계 내지 (p3-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step (p3) may include steps (p3-1) to (p3-3) in detail.

(p3-1)단계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결산처리부(130)가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를 기산하는 과정이다.Step (p3-1) is a process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130)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calculates the number of uses of term-related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111).

그리고 (p3-2)단계에서는 결산처리부(130)가 (p3-1)단계에서 기산된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기반하여 수익비용을 산출하게 되며, (p3-3)단계에서는 결산처리부(130)가 (p3-2)단계에서 산출된 수익비용을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게 된다.And in step (p3-2),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130) calculates the revenue cost based on the number of uses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term calculated in step (p3-1), and in step (p3-3),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130) provides the revenue cost calculated in step (p3-2) to the third user terminal (30).

이는 다양한 컨텐츠의 자료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자(P)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수익 창출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보다 양질의 자료를 제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encourage creative motivation and produce higher quality content by ensuring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revenue generation opportunities for content creators (P) who produce various types of content.

다음으로 (p4)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소유한 외국인 근로자(E)에 대한 실시간 교육을 수행하는 실시간 교육 컨텐츠를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는 과정이다.Next, step (p4)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real-time training content for real-time training for a foreign worker (E) who owns a first user terminal (10) to a third user terminal (30).

이와 같은 실시간 교육 컨텐츠는 일정 자격을 획득한 컨텐츠 제공부(1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소유한 외국인 근로자(E)를 대상으로 채팅 서비스 환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강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type of real-time educational content allows a content provider (110) who has acquired certain qualifications to conduct real-time lectures, etc. through a chat service environment for a foreign worker (E) who owns a first user terminal (10) connected to a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E)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p4)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drawing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p4) in a method for providing a foreign worker (E)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4)단계는 세부적으로 (p4-1)단계 내지 (p4-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step (p4) may include steps (p4-1) to (p4-4) in detail.

(p4-1)단계는 사용자 관리부(120)가, 제3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컨텐츠 제작자(P)의 교육 자격 취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p4-1) Step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department (120) checks whether a content creator (P) who has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through a third-party user terminal (30)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본 과정에서 컨텐츠 제작자(P)가 교육 자격을 취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이후의 (p4-2)단계 내지 (p4-4)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reator (P) has not acquired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s during this process, the subsequent steps (p4-2) to (p4-4) will not be performed.

다만, (p4-1)단계에 의해 제3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컨텐츠 제작자(P)가 교육 자격을 취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p4-2)단계 내지 (p4-4)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reator (P)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100) through the third user terminal (30) through step (p4-1)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steps (p4-2) to (p4-4) may be performed.

(p4-2)단계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외국인 근로자(E) 간의 소통을 위한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고용자(M)와 다른 외국인 근로자(E)와의 소통을 위한 관리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 환경에서, 교육 자격을 취득한 컨텐츠 제작자(P)가 소유한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실시간 교육을 요청할 수 있는 교육 요청 링크를 함께 제공하는 과정이다.(p4-2) Step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a training request link that enables a third-party user terminal (30) owned by a content creator (P) who has acquired training qualifications to request real-time training in a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in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foreign workers (E) and manag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rs (M) and other foreign workers (E).

그리고 (p4-3)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 또는 고용자(M)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이루어진 교육 요청 링크의 입력을 확인하게 된다.And in step (p4-3), the content provider (110) confirms the input of the training request link mad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20) used by the employer (M).

즉 고용자(M) 또는 외국인 근로자(E)는 관리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 환경에서 교육 요청 링크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여 교육 자격을 취득한 컨텐츠 제작자(P)가 소유한 제3사용자 단말기(30)에 실시간 교육을 요청할 수 있다.That is, an employer (M) or a foreign worker (E) can request real-time training to a third-party user terminal (30) owned by a content creator (P) who has acquired training qualifications by entering a training request link in a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in the manager communication content.

이에 따라 (p4-4)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부(110)가, 제3사용자 단말기(30) 측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in step (p4-4),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third user terminal (3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부(110)는, 컨텐츠 제작자(P)가 제작한 용어 관련 컨텐츠에 대한 평가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er (110) can additionally provide evaluation content for terminology-relat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creator (P).

이는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부(110)는 소정의 평가 단계 별로 나뉜 평가 시트를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하고,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는 해당 평가 시트에 대한 항목 입력을 수행 후 컨텐츠 제공부(110)에 재업로드하게 된다.This can be done for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an evaluation sheet divided into predetermined evaluation stages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20), and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20) input items for the evaluation sheet and then re-upload it to the content provider (110).

그리고 결산처리부(130)는 이와 같은 평가 시트에 대한 결과를 반영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수익비용을 배분할 수 있다.And the settlement processing department (130) can distribute the revenue and expenses of content creator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such evaluation sheets.

예컨대, 결산처리부(130)는 평가 시트의 작성률, 평가 시트의 긍정 평가 경향, 평가 시트의 업로드 소요기간 등의 다양한 항목을 고려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수익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130) can calculate the revenue cost of a content creator by considering various items such as the completion rate of the evaluation sheet, the positive evaluation tendency of the evaluation sheet, and the upload period of the evaluation sheet.

또한 이 과정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같은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같은 제2사용자 단말기(20) 사이에서도 컨텐츠 이용률, 접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세부적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process, weights for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20) can be set differently, and weights can be set differently in detail between the sam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same second user terminal (20) by taking into account content usage rate, connection time, etc.

더불어 본 실시예의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은 관련 공공기관과 연동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외국인 근로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worker management and language education platform of this embodiment can establish a more systematic foreign worker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with relevant public institutions.

예컨대, 본 실시예의 플랫폼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관리부(120)에 저장된 외국인 근로자의 합법 근무 정보 및 고용 현황 정보 등을 취합하고, 관련 공공기관에 이를 송부하는 동시에 관련 공공기관으로부터 대응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크로스체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llect legal work information and employment status information of foreign workers sto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send the information to relevant public institutions, and simultaneously receiv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relevant public institutions to perform cross-checking.

이외에도 본 실시예의 플랫폼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관리부(120)에 저장된 외국인 근로자의 다양한 정보를 관련 공공기관과 공유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근무 여건 및 처우의 개선을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100) of this embodiment can share various information on foreign workers sto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with relevant public institution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foreign worker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E: 외국인 근로자
10: 제1사용자 단말기
M: 고용자
20: 제2사용자 단말기
P: 컨텐츠 제작자
30: 제3사용자 단말기
100: 플랫폼 제공서버
110: 컨텐츠 제공부
111: 데이터베이스
120: 사용자 관리부
130: 결산처리부
E: Foreign workers
10: First user terminal
M: Employer
20: Second user terminal
P: Content creator
30: Third-party user terminal
100: Platform provider server
110: Content Provider
111: Database
120: User Management Department
130: Settlement Department

Claims (12)

Translated fromKorean
플랫폼 제공서버의 사용자 관리부가, 외국인 근로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a)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조회하는 (b)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있으며, 동일 국적이면서 동일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c)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b)단계에서 조회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 및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종사하고 있는 산업의 용어 관련 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d)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고용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m1)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컨텐츠 제작자가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제3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p1)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용어 관련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받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p2)단계;
가 더 수행되고,
상기 (a)단계 이후에는,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결산처리부가,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따른 수익비용 배분을 위한 비용정산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3)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소유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실시간 교육을 수행하는 실시간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4)단계;
가 더 수행되며,
상기 (p3)단계는,
상기 결산처리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를 기산하는 (p3-1)단계;
상기 결산처리부가 상기 (p3-1)단계에서 기산된 용어 관련 컨텐츠의 사용 횟수에 기반하여 수익비용을 산출하는 (p3-2)단계; 및
상기 결산처리부가 상기 (p3-2)단계에서 산출된 수익비용을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3-3)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대상으로,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용어 관련 컨텐츠에 대한 평가 컨텐츠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소정의 평가 단계 별로 나뉜 평가 시트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평가 시트에 대한 항목 입력을 수행 후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 재업로드하며,
상기 결산처리부는 상기 평가 시트의 작성률, 상기 평가 시트의 긍정 평가 경향 및 상기 평가 시트의 업로드 소요기간 항목들을 고려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수익비용을 산출하되,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 각각에 대해, 컨텐츠 이용률 및 접속시간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a) step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section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the first user terminal used by a foreign worke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 step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department searches for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foreign workers who have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c) step, the content provider of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provides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foreign workers of the same nationality and working industry,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departm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working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searched in the step (b); and
Step (d)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content related to terms of the industry in which the foreign worker is engag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and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searched in step (b);
Includes,
Before step (a) above,
(m1) step in which the above user management unit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an employe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1) step in which the above user management unit performs connection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third-party user terminal used by a content creator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p2) step of the above content provider uploading terminology-relat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producer through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is performed more,
After step (a) above,
(p3) step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of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provides cost settlement content for distributing revenue and expen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s of term-related content to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and
(p4) step where the above content provider provides real-time training content for performing real-time training on foreign workers who own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third user terminal;
is performed further,
The above step (p3) is,
(p3-1) step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uses of the term-related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Step (p3-2)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calculates revenue and cost based on the number of uses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term calculated in step (p3-1); and
Step (p3-3)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revenue and expenses calculated in step (p3-2) to the third user terminal;
Including,
The above content provider further provides evaluation content for terminology-relat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creator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above content provider provides an evaluation sheet divided into predetermined evaluation stages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perform item input for the evaluation sheet and then re-upload it to the content provider.
The above settlement processing department calculates the content creator's revenue cost by considering the completion rate of the evaluation sheet, the positive evaluation tendency of the evaluation sheet, and the upload period of the evaluation sheet.
For each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different weights are set in consideration of content usage rate and access time.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등록된 다른 외국인 근로자 중 동일 국적정보를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의 리스트를 검색하는 (c-1)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1)단계에서 검색된 다른 외국인 근로자의 리스트 중 동일 종사산업정보를 가지는 외국인 근로자의 리스트를 재검색하는 (c-2)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c-2)단계에 의해 최종 검색된 외국인 근로자가 소유한 다른 제1사용자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c-3)단계;
를 포함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Step (c) above,
Step (c-1)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searches for a list of foreign workers with the same nationality information among other foreign workers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department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Step (c-2)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re-searches the list of foreign workers with the same industry information among the list of other foreign workers searched in step (c-1) based on the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Step (c-3) in which the above content provider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another first user terminal owned by a foreign worker who was finally searched in step (c-2);
including,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종사산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용어 관련 컨텐츠 중 동일 종사산업에 해당하는 현장 용어 문서를 검색하는 (d-1)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d-1)단계에서 검색된 현장 용어 문서 중 동일 국적의 언어에 해당하는 현장 용어 문서를 재검색하는 (d-2)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d-2)단계에 의해 최종 검색된 현장 용어 문서를 제공하는 (d-3)단계;
를 포함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Step (d) above,
Step (d-1)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searches for field terminolog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industry among multiple terminology-related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based on the industr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er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bove content provider, based on the nationality information of the foreign worke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performs a (d-2) step of re-searching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language of the same nationality among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s searched in the (d-1) step; and
Step (d-3) in which the abov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field terminology document finally searched by step (d-2) to the first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including,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플랫폼 초대 링크 전송을 요청받는 (m2)단계; 및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플랫폼 초대 링크를 전송하는 (m3)단계;
가 더 수행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Before step (a) above,
(m2) step in which the user management unit requests transmission of a platform invit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m3) step of the above user management unit sending a platform invit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is performed more,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에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고용자와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고용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m4)단계가 더 수행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paragraph 4,
After step (a) above,
The above content provider further performs the step (m4) of providing employ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rs and other foreign workers to the second user terminal.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4)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채팅 서비스 개설을 요청받는 (m4-1)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제2사용자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m4-2)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채팅 참가 링크 전송을 요청받는 (m4-3)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채팅 참가 링크를 전송하는 (m4-4)단계;
를 포함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paragraph 5,
The above step (m4) is,
Step (m4-1) where the above content provider requests the opening of a chat service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m4-2) step in which the above content provider provides a chat service environment to a second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Step (m4-3) where the content provider requests transmission of a chat particip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Step (m4-4) where the above content provider sends a chat participation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including,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4-1)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는 채팅 서비스 개설 요청과 함께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유지 기간을 설정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paragraph 6,
The above step (m4-1) is,
The above second user terminal sets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chat service according to the work type of the foreign worker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along with the request for opening a chat service.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환경은 번역 툴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진 메시지 입력에 대한 번역을 수행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paragraph 6,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above content provider includes a translation tool, and performs translation of messages input by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p4)단계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가,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컨텐츠 제작자의 교육 자격 취득 여부를 확인하는 (p4-1)단계;
상기 (p4-1)단계에 의해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 접속한 컨텐츠 제작자가 교육 자격을 취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외국인 근로자 간의 소통을 위한 상기 근로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고용자와 다른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위한 고용자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 환경에서, 교육 자격을 취득한 컨텐츠 제작자가 소유한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 교육을 요청할 수 있는 교육 요청 링크를 함께 제공하는 (p4-2)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고용자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진 상기 교육 요청 링크의 입력을 확인하는 (p4-3)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 측에 상기 채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p4-4)단계;
를 포함하는,
외국인 근로자 관리 및 언어 교육 플랫폼 제공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tep (p4) is,
(p4-1) step of the above user management department checking whether the content creato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sion server through the third user terminal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reator who accessed the platform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through the above step (p4-1)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in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in the work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foreign workers and the employer communication cont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rs and other foreign workers, an education request link that enables the content creator who has acquired educational qualifications to request real-time education to the third-party user terminal owned by the content creator; (p4-2)
(p4-3) step of confirming the input of the training request link mad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the employee by the above content provider; and
(p4-4) step in which the abov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chat service environment to the third user terminal;
including,
Methods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managing foreign workers and providing language training.
KR1020220108463A2022-08-292022-08-29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ActiveKR1028590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20108463AKR102859011B1 (en)2022-08-292022-08-29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20108463AKR102859011B1 (en)2022-08-292022-08-29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030001A KR20240030001A (en)2024-03-07
KR102859011B1true KR102859011B1 (en)2025-09-12

Family

ID=9027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20108463AActiveKR102859011B1 (en)2022-08-292022-08-29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85901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898546B1 (en)*2017-03-212018-09-13세종텔레콤 주식회사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er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651832B1 (en)*2014-06-052016-08-29김신우Information servicing method of tree structur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ing system
KR20180108973A (en)*2017-03-242018-10-05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Method and for providing automatic translation in user conversation using multiple languages
KR20200145258A (en)2019-06-212020-12-30권주혁Integr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for Foreigner Residents
KR102353548B1 (en)*2019-08-212022-02-07주식회사 위씨테크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KR102297027B1 (en)*2019-12-132021-09-01장상호Foreign worker contra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20071534A (en)*2020-11-242022-05-31(주)비즈마이닝On-site customized training service platfor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ser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898546B1 (en)*2017-03-212018-09-13세종텔레콤 주식회사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er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030001A (en)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597539B1 (en)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ve matching service
KR101793053B1 (en)The internship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859011B1 (en)Providing Method of Managing and Language Training Platform for Foreign Workers
AtkinsProject Management and Strategy Alignment in Academia
KR100379951B1 (en)Managing method of law service on internet web site and its system
SarrafEnvironmental and Social Management Framework for Adolescent Girls' Learning and Empowerment in Nigeria
KosJust Transition Methodology: 2025 Update
SchraderSalesman 2.0: Validation and Recognition for Securing Skilled Workers
UnionIEU Response to AFEI and CER Submissions on Educational Services (Teachers) Award
Esteves et al.Monitoring and Evaluation Support for SPARK's Jobs Programme in Turkey and Jordan
NariTorino Process 2018-20: National Summary Report-Russia
SchraderSascha Rex on Modular Training and Recognition of Skills in Adult Education
HousingPLAR Self-Assessment Guide for Residential Builder Licensing in BC
PriceEngaging Refugee Workers in Workforce Coalitions: A Pilot Project
ElsworthClimate and Disaster Risk-Informed Common Country Analysis (CCA) Training
NuvungaMozambique: Skills Development Improvement Project-Procurement Plan (March 2019)
McPake et al.Investing in the Health and Care Workforce: Strategies for Improvement and Promotion
MarkusTALIS 2018: Upper Secondary Education in Portugal-Teacher and Principal Profiles
IEG Review TeamChina Social Security and Migrant Training Project-IEG Implementation Completion Report Review
GuptaPublic Service Capability Enhancement Project: Implementation Status Report (December 2024)
CallejaCEDEFOP Traineeship: VET Policies and Systems Support
PearceNSW Portfolio Committee No. 3-Education: Skills, TAFE and Tertiary Education Expenditure Examination (2024)
AdidiFuture Skills in the Automotive Sector: A Case Study in Turkey
KolobovaWorkshop Report: Multi-Level Governance Analysis in Moldova VET Sector
MarkusTALIS 2018: Insights into Upper Secondary Education in Sweden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