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836739B1 - 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 Google Patents

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36739B1
KR102836739B1KR1020240119394AKR20240119394AKR102836739B1KR 102836739 B1KR102836739 B1KR 102836739B1KR 1020240119394 AKR1020240119394 AKR 1020240119394AKR 20240119394 AKR20240119394 AKR 20240119394AKR 102836739 B1KR102836739 B1KR 10283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electrode
stopper
slot
sphe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19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운
Original Assignee
씨앤에스메디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에스메디칼(주)filedCritical씨앤에스메디칼(주)
Priority to KR1020240119394ApriorityCriticalpatent/KR102836739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3673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836739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하 혈관의 소작, 연조직 절재, 병변 제거, 체내 지혈 등의 치료가 필요한 병변 부위에 정확하고 정밀한 전극 배치를 도모하여, 불필요한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하고 수술 후 회복 속도를 높여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추며, 특히 복잡한 혈관 구조나 신경이 밀집된 부위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적용을 기대하여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나아가, 더 나은 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autery device with easy fine position control of an electrod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ocautery device with easy fine position control of an electrode, which facilitates accurate and precise electrode placement in a lesion area requiring treatment such as cauterization of a subcutaneous blood vessel, excision of soft tissue, removal of a lesion, and internal hemostasis,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tissue damage and bleeding,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after surgery, and lower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in particular, expects safer and more effective application to areas with complex blood vessel structures or densely packed nerves,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the surgery, and further guaranteeing a better treatment effec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본 발명은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하 혈관의 소작, 연조직 절재, 병변 제거, 체내 지혈 등의 치료가 필요한 병변 부위에 정확하고 정밀한 전극 배치를 도모하여, 불필요한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하고 수술 후 회복 속도를 높여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추며, 특히 복잡한 혈관 구조나 신경이 밀집된 부위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적용을 기대하여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나아가, 더 나은 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autery device with easy fine position control of an electrod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ocautery device with easy fine position control of an electrode, which facilitates accurate and precise electrode placement in a lesion area requiring treatment such as cauterization of a subcutaneous blood vessel, excision of soft tissue, removal of a lesion, and internal hemostasis,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tissue damage and bleeding,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after surgery, and lower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in particular, expects safer and more effective application to areas with complex blood vessel structures or densely packed nerves,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the surgery, and further guaranteeing a better treatment effect.

일반적으로 외과 시술에 사용되는 전기 소작기는 환부에 플라즈마, 고주파, 전기적인 저항열 등을 인가하여 연조직의 병변을 제거하거나 조직을 지혈하는 의료 장비이다.Electrocautery, commonly used in surgical procedures, is a medical device that removes lesions in soft tissue or stops bleeding by applying plasma, high frequency, or electrical resistance heat to the affected area.

통상의 전기 소작기는 미소절개된 피부를 통해 체내로 삽입되는 소직경 관체 일단에 소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극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극체가 조직 내 원하는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호 형태로 임의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공개특허 10-2023-0031607호(명칭: 조립이 용이한 바이폴라 전극)에 소개된바 있다.A typical electric cautery device is equipped with an electrode body for performing cauterization at one end of a small-diameter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a micro-incision in the skin, and the electrode body is configured to be arbitrarily bendable in an arc shape so that it can reach a desired location in the tissue. A related prior art has been introduc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23-0031607 (Title: Easy-to-assemble bipolar electrode).

한편, 전기 소작기는 체내로 삽입되기 위한 침상의 전극을 이용해 환부의 미소절개만으로 체내의 조직을 효율적으로 시술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높은 수술 안전성을 보장하는 등 비침습성 시술에 견줄 정도로 외과적 트라우마나 불필요한 수술 후유증을 유발하지 아니한다는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다.Meanwhile, electrocautery is gaining attention in that it can efficiently treat tissues inside the body with only a small incision in the affected area using a needle-shaped electrode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us guarantees a high level of surgical safety compared to conventional surgical methods, and does not cause surgical trauma or unnecessar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able to non-invasive procedures.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체를 호 형태로 절곡 조작하는 기술 자체가 술자의 경험, 숙련도, 객관적이지 못한 손기술 등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더해 전기 소작기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초보자의 경우 전극체의 세밀한 조작이 힘들고, 숙련자라 할 지라도 전극체의 오조작에 대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technology of bending the electrode body into an arc shape depends solely on the operator's experience, skill, and non-objective manual skills.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electric cautery machine, it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precisely manipulate the electrode body, and even for experts, the possibility of incorrect manipulation of the electrode body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공개특허 10-2023-0031607Publication patent 10-2023-00316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하 혈관의 소작, 연조직 절재, 병변 제거, 체내 지혈 등의 치료가 필요한 병변 부위에 정확하고 정밀한 전극 배치를 도모하여, 불필요한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하고 수술 후 회복 속도를 높여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추며, 특히 복잡한 혈관 구조나 신경이 밀집된 부위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적용을 기대하여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나아가, 더 나은 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ims to provide an electrocautery device that facilitates precise electrode position control, which enables accurate and precise electrode placement in a lesion area requiring treatment such as cauterization of subcutaneous blood vessels, excision of soft tissue, removal of lesions, and internal hemostasis,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tissue damage and bleeding, increasing the post-surgical recovery rate, and lower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in particular,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y expecting safer and more effective application in areas with complex blood vessel structures or densely packed nerves, and further guaranteeing a better treatment effec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중공형 삽관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삽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체 및 상기 전극체를 호 형태로 절곡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 양 측면에는 제1 노출구가 개방 형성되고, 후방 대각선 방향의 상면에는 일정 면적 제2 노출구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노출구 및 제2 노출구를 통해 일부분이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그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전극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그부재 내부를 관통한 다음 제2 노출구를 통해 노출된 조그부재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그부재의 정역방향 회전 작동시 전극체를 타측으로 견인해 전극체의 절곡 변형을 유도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and a hollow tube mounted at one end; an electrode body installed at an end of the tube; and a control unit for bending the electrode body into an arc shape, wherein a first exposure port is formed open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 second exposure port of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openly on an upper surface in a rear diagonal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jo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exposure port and the second exposure port; and a wire member install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extends toward the outside of the jog member exposed through the second exposure port after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jog member, thereby pulling the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ide when the jog member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induce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body.

또한, 상기 전극체는,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과 삽관 사이에 형성되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상기 탄성체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body includes an electrode tip; and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ip and the tube and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such that it can be bent or stretched; and one end of the wir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또한, 상기 조그부재는, 상기 본체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방향 내부에는 중심을 향해 직선의 터널형인 작동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방향 내부에는 상기 작동통로와 연통되게끔 중심 영역에 소정 폭의 제1 작동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구 형상의 고정구체; 및 상기 고정구체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내부가 빈 구 형상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전축이 구비돼 본체 내측에서 상기 고정구체에 대해 제자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1 노출구 및 제2 노출구를 통해 본체 외부로 노출 형성돼 본체 외부에서 회전 조작을 가능케 하며, 일측면 상기 작동통로의 대응높이에는 소정 폭의 제2 작동슬롯이 좌우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타측면 상기 제1 작동슬롯의 대응지점에는 소정 폭의 제3 작동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회전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회전구체의 제2 작동슬롯, 고정구체의 작동통로와 제1 작동슬롯, 회전구체의 제3 작동슬롯 순서로 회전구체와 고정구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전히 관통한 뒤 그 타단에 형성된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 외측으로 걸림 지지되며, 상기 회전구체를 제자리 회전 작동시키면 제3 작동슬롯 외측으로 노출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전극체를 당겨 호 형태로 절곡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jog member is a spherical fixed sphere tha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has a straight tunnel-shaped operating passage formed through the center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operating slot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ssage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rotary sphere having an internally hollow sphe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fixed sphere insid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rovid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place relative to the fixed spher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part of which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exposure port and the second exposure port so as to enable rotation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operation slot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by cut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ssage on one side, and a third operation slot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by cut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ration slot on the other side; the wire member completely penetrates the rotary sphere and the fixed spher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order of the second operation slot of the rotary sphere, the operation passage of the fixed sphere and the first operation slot, and the third operation slot of the rotary sphere, and then a stopper formed at the other end is caught and supported outside the third operation slot, and when the rotary sphere is rotated in place, the wire member exposed outside the third operation slot It is characterized by the electrode body being pulled and bent into an arc shape while the other end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스톱퍼는 제3 작동슬롯 형성 범위 내에서 제3 작동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여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상사점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구체의 회전축과 스톱퍼 사이의 평면 직선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서 스톱퍼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조절되고,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하사점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구체의 회전축과 스톱퍼 사이의 평면 직선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스톱퍼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adjus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within the rang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formation, so that when the stopper moves toward the top dead center of the third operating slot, the planar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ry sphere and the stopper becomes closer, thereby adjusting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topper to be relatively smaller, and when the stopper moves towar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third operating slot, the planar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ry sphere and the stopper becomes farther, thereby adjusting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topper to be relatively larger.

또한, 상기 조그부재는, 상기 고정구체의 작동통로와 제1 작동슬롯 내부에 연계 설치되어 와이어부재를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작동통로 구간에 배치되는 고정관체; 상기 제1 작동슬롯 구간에 배치되는 조절관체; 및 상기 고정관체와 조절관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관체를 제1 작동슬롯의 형성 범위 내에서 상하로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변형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작동슬롯의 외측면에는 제3 작동슬롯의 절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걸림돌기가 연이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에는 인접한 상기 제1 걸림돌기 사이에 맞물리는 제2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임의 위치에 접지돼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jog member further includes a guide tube that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ng passage of the fixed body and the inside of the first operating slot to guide the wire member inside; and the guide tube includes a fixed tube body arranged in the operating passage section; an adjusting tube body arranged in the first operating slot section; and a deformable tube body formed between the fixed tube body and the adjusting tube body to vertically connect the adjusting tube to be able to move jointly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first operating slot;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a plurality of first catches are sequentially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and on the stopper, a second catches are formed to protrude and engage between adjacent first catches, so that the stopper is ground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to limit movement.

본 발명은 피하 혈관의 소작, 연조직 절재, 병변 제거, 체내 지혈 등의 치료가 필요한 병변 부위에 정확하고 정밀한 전극 배치를 도모하여, 불필요한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하고 수술 후 회복 속도를 높여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추며, 특히 복잡한 혈관 구조나 신경이 밀집된 부위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적용을 기대하여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나아가, 더 나은 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ccurately and precisely place electrodes on lesion sites requiring treatment such as subcutaneous blood vessel cauterization, soft tissue excision, lesion removal, and internal hemostasis,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tissue damage and bleeding, increasing the postoperative recovery rate, and lower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more safely and effectively to complex blood vessel structures or areas with dense nerves,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nd further ensuring better treatment effe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작기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작기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조절부의 작용에 따라 전극체가 호 형태로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조절부의 절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회전구체가 분리된 조절부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a는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상사점으로 위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8b는 도 8a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c는 도 8a의 상태에서 회전구체가 회전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하사점으로 위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9b는 도 9a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c는 도 9a의 상태에서 회전구체가 회전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걸림돌기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톱퍼의 결합부위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the overall ex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cau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line AA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the planar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cau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body is bent into an arc shape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ontrol unit.
Figure 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ntrol unit.
Figure 6 is a drawing showing the cut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ction.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ction with the rotary sphere separated.
Fig. 8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has moved to the top point of the third operating slot, 8b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 8a, and Fig. 8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sphere ha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8a.
Fig. 9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has moved to the lower dead point of the third operating slot, 9b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 9a, and Fig. 9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phere ha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9a.
Figure 10 is a schematic enlarged drawing of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topper's connecting portion to explain an example in which a stumbling block is applied.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parts are sometimes illustr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이하, 전기소작기라 함)는 정밀 절제 시술된 채내로 일정 깊이 삽입돼 환부에 고주파를 방출함으로써 피하 혈관의 소작, 연조직 절재, 병변 제거, 체내 지혈 등의 치료와 더불어, 별도의 케뉼라관과 함께 사용되어 체내 조직의 검사,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심혈행 동태나 중심정맥압 등의 측정, 조영제 등의 약물 주입 등 다양한 침습성 시술에 활용되는 의료 장비로서, 별도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돼 구동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할 수 있다.An electrocauter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cau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fine position of an electrode, is inserted into a body that has undergone a precise resection at a certain depth and emits high frequency to the affected area, thereby performing treatments such as cauterization of subcutaneous blood vessels, excision of soft tissue, removal of lesions, and hemostasis within the body, and is also used together with a separate cannula tube for various invasive procedures such as examination of body tissues, discharge of accumulated matter within body cavities or various organs, aspiration of irrigation fluid for cleansing, measurement of cardiovascular dynamics or central venous pressure, injection of drugs such as contrast media, etc.,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riving unit (not shown) and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from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작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전극체(20) 및 조절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electric cau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adly defined as including a main body (10), an electrode body (20), and a control unit (30), as shown in FIGS. 1 and 2.

먼저, 본체(10)는 전기소작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술자(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펜그립 형태로 파지하기 쉽도록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0) constitute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electric cautery device and is configured for the operator (user) to hold with his/her hand. It can be designed with an ergonomic structure to make it easy to hold in the form of a pen grip.

본체(10)의 일단으로는 절연체로 구성된 중공형 삽관(11)이 연장 결합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의 타단으로는 전술한 구동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코드가 연결될 수 있다.A hollow tube (11) made of an insulator can be installed to be extend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cor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forementioned driv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

본체(10)는 내부로 조절부(30)가 내장되기 위한 내공간을 구비한 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후술 될 조절부(30)의 와이어부재(200) 또는 전극체(2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은 본체(10) 내공간을 가로질러 삽관(11) 내부로 연장 도입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main body (10)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 control unit (30) therein, and a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wire member (200) or electrode body (20) of the control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has a structure in which it extends across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and into the inside of the tube (11).

삽관(11)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직경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한편, 전극체(20)는 삽관(11)의 단부에 형성돼 삽관(11)이 전극체(20)를 조직 내 시술부위까지 안내할 수 있다. 삽관(11)과 본체(1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본체(10)에서 삽관(11)을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tube (11) is formed as a small-diameter pipe that extend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the electrode body (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ube (11) so that the tube (11) can guide the electrode body (20) to the surgical site within the tissue. The tube (11) and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part, or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tube (11) can be replaced in the main body (10) as needed.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 측면에는 제1 노출구(12)가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노출구(12)를 통해 본체(10)에 내장된 조절부(30)의 조그부재(100)를 본체(10) 외측에서 직접 수조작할 수 있다.A first exposure port (12) can be formed open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jog member (100) of the control unit (30) built into the main body (10) can be directly manipu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exposure port (12).

본체(10)의 후방 대각선 방향의 상면에는 일정 면적 제2 노출구(13)가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노출구(13)로는 조절부(30)의 조그부재(100)를 관통한 와이어부재(200)의 타단부가 노출돼 와이어부재(200)의 타단부를 직접 수조작할 수 있다.A second exposure opening (13) of a certain area can be formed openly on the upper surface in the rear diago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200) penetrating the jog member (100) of the control member (30)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exposure opening (13),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200) can be directly manipulated.

전극체(20)는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해 환부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구성으로, 크게,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팁(21) 및 상기 전극팁(21)과 삽관(11) 사이에 형성되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체(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body (20) is configured to radiate high frequency to the affected area using an electric signal provided from a driving unit, and can be largely composed of an electrode tip (21) made of a conductor and an elastic body (22)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ip (21) and the tube (11) and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nd or stretch.

전극팁(21)은 전선을 통해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탄성체(22)는 후술 될 조절부(30)의 와이어부재(200)에 연결되어 와이어부재(200)의 견인시 타측으로 당겨지면서 전극체(20)의 호 형태 변형을 가능케 한다.The electrode tip (2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hrough a wire, and the elastic body (22) is connected to the wire member (200) of the control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when the wire member (200) is pulled, it is pulled to the other side, thereby enabling the electrode body (20) to be deformed into an arc shape.

다음으로, 조절부(30)는 전극체(20)를 호 형태로 절곡시키는 구성으로, 본체(10)에 내장된 상태로 전극체(20)와 연결되어 일자로 펴진 전극체(20)를 필요에 따라 호 형태로 절곡시킬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30) is configured to bend the electrode body (20) into an arc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20) built in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electrode body (20) spread out in a straight line can be bent into an arc shape as needed.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조절부(30)는 전극체(20)의 보다 세밀한 절곡 변형이 가능하도록 전극체(20)의 가동 범위와 더불어 전극체(20)가 절곡 변형되거나 혹은 펴지는 과정에서의 속도, 작동 직관성 등의 전반적인 조작 감도를 세밀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0) in this embodiment is structured to enable more detailed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and to fine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ng sensitivity, such as the speed and operational intuitiveness, during the process of bending deformation or unfolding of the electrode body (20).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부(30)는 크게, 조그부재(100) 및 와이어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can be exemplified as largely including a jog member (100) and a wire member (200).

먼저, 조그부재(10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되 본체(10)에 개방 형성된 제1 노출구(12) 및 제2 노출구(13)를 통해 일부분이 본체(10)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First, the jog member (1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bu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jog member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exposure opening (12) and the second exposure opening (13) that are openly formed in the main body (10).

제1 노출구(12)를 통해 노출된 지점으로 본체(10) 내부의 조그부재(100)를 회전 조작할 수 있으며, 와이어부재(200)는 이러한 조그부재(100)와 전극체(20)에 상호 연결돼 조그부재(100)의 회전 조작이 수반됨에 따라 조그부재(10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전극체(20)에 소정의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jog member (100) inside the main body (10) can be rotated to a point exposed through the first exposure hole (12), and the wire member (200) is interconnected to the jog member (100) and the electrode body (20), so that as the rotation of the jog member (100) is accompanied, it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jog member (100) and can provide a predetermined traction force to the electrode body (20).

일실시예로, 조그부재(100)는 고정구체(110), 회전구체(120) 및 가이드관(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jog member (100)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fixed sphere (110), a rotating sphere (120), and a guide tube (130).

고정구체(110)는 본체(10) 내측에 고정 설치는 구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대(111)가 돌출돼 본체(10)의 내측 상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The fixed body (110) is a spherical structure tha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has fixed members (111) protruding from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is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10).

고정구체(110)를 정 중앙을 기점으로 일측방향 반부와 타측방향 반부로 나누어 가정하였을 때. 전극체(20)를 바라보는 일측방향 반부 내부에는 중심을 향해 직선의 터널형인 작동통로(112)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방향 반부 내부에는 상기 작동통로(112)와 연통되게끔 중심 영역에 소정 폭의 제1 작동슬롯(113)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When the fixed body (110) is divided into one half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half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the exact center, a straight tunnel-shaped operating passage (112) is formed penetrating toward the center inside the one half facing the electrode body (20), and a first operating slot (113)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the central region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ng passage (112) inside the other half.

작동통로(112)는 본체(10)의 장축과 평행하도록 고정구체(110)의 내부를 일자로 가로지르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부재(200)가 고정구체(110)를 관통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The operating passage (112) is formed as a hollow space that runs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terior of the fixed body (110) to form a passage for the wire member (200) to pass through the fixed body (110).

제1 작동슬롯(113)은 고정구체(110)의 외측면에서부터 중심 방향으로 절개된 소정 폭을 가지는 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작동슬롯(113)을 측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상기 작동통로(112)와 연결되는 호 형상의 빈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operating slot (113) can be implemented as a gap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cu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10) toward the center, and when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is viewed from the side, it can be implemented as an arc-shaped empty space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ssage (112).

이렇게, 제1 작동슬롯(113) 역시 와이어부재(200)가 고정구체(110)를 관통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호 형상의 빈 공간으로 구현되는 구조상 작동통로(112)를 통과해 제1 작동슬롯(113) 내 배치된 와이어부재(200)는 제1 작동슬롯(113)의 형성 범위 내에서 타단의 관절 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In this way,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can also form a passage for the wire member (200) to penetrate the fixed body (110), but the wire member (200) placed in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through the operating passage (112) which is structurally implemented as an empty space in the shape of an arc is structured to enable joint movement of the other end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즉, 작동통로(112) 내부의 와이어부재(200)는 작동통로(1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 외에는 관절 운동이 불가하고, 제1 작동슬롯(113) 내부의 와이어부재(200)는 소정의 관절 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부연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at is, the wire member (200) inside the operating passage (112) cannot move in a joint other than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passage (112), and the wire member (200) inside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is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joint movement is possible. A specific additional explanation related to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다음으로, 회전구체(120)는 고정구체(110)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내부가 빈 구 형상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전축(121)이 구비돼 본체(10) 내측에서 상기 고정구체(110)에 대해 제자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Next, the rotary sphere (120) has a hollow spherical shape inside to accommodate the fixed sphere (110) inside, and has a rotary shaft (121) provided at each of the top and bottom, and ha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place relative to the fixed sphere (110).

즉, 회전구체(120)는 고정구체(110) 외측에 씌워지는 구조를 가지되, 고정구체(110)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오프셋되어 고정구체(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otating sphere (120) has a structure that i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fixed sphere (110), bu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in place while being offset a certain distance to the outside from the fixed sphere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sphere (110).

회전구체(120)는 좌우 일부분이 본체(10)의 좌우면에서 일정 면적 개방 형성된 제1 노출구(12)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노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부분으로 회전구체(120)를 본체(10) 외부에서 회전 조작할 수 있다.The rotary sphere (120) can be formed so that a por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a first exposure hole (12) formed with a certain area of open spa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rotary sphere (120) can be rot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마찬가지로, 회전구체(120)를 회전축(121)이 구비된 정 중앙을 기점으로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나누어 가정하였을 때. 전극체(20)를 바라보는 일측면 상기 작동통로(112)의 대응높이에는 소정 폭의 제2 작동슬롯(122)이 좌우 방향으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Likewis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rotary sphere (120) is divid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ased on the center where the rotation axis (121) is provided, a second operating slot (122) of a predetermined width can be cu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a corresponding height of the operating passage (112) on one side facing the electrode body (20).

제2 작동슬롯(122)으로는 와이어부재(200) 또는 이 와이어부재(2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30)이 관통할 수 있다.A wire member (200) or a guide tube (130) guiding the wire member (200) can pass through the second operating slot (122).

제2 작동슬롯(122)이 회전구체(120)의 구면에 좌우로 길게 절개 형성되는 구조상 회전구체(120)가 제자리 회전할 때 와이어부재(200) 또는 가이드관(130)과의 회전 간섭을 발생시키지 아니하게 된다.Since the second operating slot (122) is structurally formed as a long cut left and right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ry sphere (120), rotational interference with the wire member (200) or guide tube (130) does not occur when the rotary sphere (120) rotates in place.

다시 말해, 회전구체(120)는 이러한 제2 작동슬롯(122)의 형성 범위 내에서 소정 각도 제자리 회전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otary sphere (120)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second operating slot (122).

아울러, 회전구체(120)의 타측면 상기 고정구체(110)의 제1 작동슬롯(113)의 대응지점에는 소정 폭의 제3 작동슬롯(123)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operating slot (123) of a predetermined width can be formed by cut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of the fixed sphere (110)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phere (120).

제3 작동슬롯(123) 역시 전술한 제1 작동슬롯(113)과 동일하게 와이어부재(200)가 통과할 수 있고, 다만, 측면에서 봤을 때 호 형상의 빈 공간으로 구현되는 구조상 제3 작동슬롯(123)을 통과한 와이어부재(200)는 제3 작동슬롯(123)의 형성 범위 내에서 타단의 관절 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The third operating slot (123) is also capable of allowing the wire member (200) to pass through it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 wire member (200) passing through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is structurally implemented as an arc-shaped empty spac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wire member (200) passing through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is structured to enable joint movement of the other end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체(120)의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립 상태에서는 제1 작동슬롯(113)과 제3 작동슬롯(123)은 서로 동일선상에 일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체(120)가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면 제1 작동슬롯(113)은 고정구체(110)의 위치에 추종해 제자리 위치 고정되고, 제3 작동슬롯(123)은 회전구체(120)의 회전 방향에 추종해 회전 이동하며 서로 편심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in a neutral state where the rotary sphere (120) does not rotate,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and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can be aligned on the same line, and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rotary sphere (120) rotates at a certain angle,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follows the position of the fixed sphere (110) and is fixed in place, and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rotates and follow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sphere (120) and can be eccentric with each other.

이 과정에서, 제1 작동슬롯(113)과 제3 작동슬롯(123)을 통과한 와이어부재(200)가 타측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전극체(20)를 견인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In this process, a structure capable of pulling the electrode body (20) is formed by pulling the wire member (20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and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to the other side.

한편, 회전구체(120)의 타측 상면 일부분은 본체(10)에 개방 형성된 제2 노출구(13)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노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작동슬롯(123)을 통과해 회전구체(120) 외부로 연장된 와이어부재(200)의 타단이 제2 노출구(13)를 통해 외부로 그대로 노출돼 사용자가 직접 와이어부재(200)를 조작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Meanwhil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sphere (12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a second exposure opening (13) that is openly formed in the main body (10), and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200) tha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rotary sphere (120) through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s through the second exposure opening (13),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directly manipulate the wire member (200).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구체(120) 또는 본체(10)에는 회전된 회전구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rotating sphere (120) or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otated rotating sphere (120).

와이어부재(200)는 본체(10)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일단은 전극체(20)의 탄성체(22) 내측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조그부재(100)를 구성하는 고정구체(110)와 회전구체(120) 내부를 연이어 관통한 다음 제2 노출구(13)를 통해 노출된 조그부재(100)의 회전구체(120)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돼 고정될 수 있다.The wire member (200) is install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s fixed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22) of the electrode body (20),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ed body (110) and the rotary body (120) forming the jog member (100) and then extends and is fix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otary body (120) of the jog member (100) exposed through the second exposure hole (13).

이에, 조그부재(100)의 회전구체(120)를 정역방향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고정된 와이어부재(200)의 타단이 회전구체(120)의 회전 방향에 추종해 회전 이동하며 타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전극체(20)를 타측으로 견인해 전극체(20)의 절곡 변형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rotary sphere (120) of the jog member (100) is operated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other end of the fixed wire member (20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ry sphere (120) and is pulled to the other side, thereby pulling the electrode body (20) to the other side, thereby inducing a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부재(200)는 회전구체(120)의 제2 작동슬롯(122), 고정구체(110)의 작동통로(112)와 제1 작동슬롯(113), 회전구체(120)의 제3 작동슬롯(123) 순서로 회전구체(120)와 고정구체(1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전히 관통한 뒤 그 타단에 형성된 스톱퍼(210)가 제3 작동슬롯(123) 외측으로 걸림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More specifically, the wire member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it completely penetrates the rotary sphere (120) and the fixed sphere (110)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order of the second operating slot (122) of the rotary sphere (120), the operating passage (112) and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of the fixed sphere (110), and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of the rotary sphere (120), and then the stopper (210) formed at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being hooked to the outsid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즉, 와이어부재(200)의 일단은 탄성체(22)에 고정되고 타단에 형성된 스톱퍼(210)는 회전구체(120) 외면에 걸림 지지되면서 전 구간 소정의 긴장 장력을 유지한 상태가 갖춰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구체(120)를 제자리 회전 작동시키면 제3 작동슬롯(123) 외측으로 노출된 와이어부재(200)의 타단에 설치된 스톱퍼(210)가 회전구체(120)의 회전 방향에 추종해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전극체(20)를 당기는 견인력을 제공하여 전극체(20)가 호 형태로 절곡 변형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wire member (200) is fixed to the elastic body (22), and the stopper (210) formed at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being hoo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sphere (120), and a state is formed in which a predetermined tension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entire section. In this state, when the rotary sphere (120) is operated to rotate in place, the stopper (21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2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provides a pulling force to pull the electrode body (20) while follow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sphere (120) and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de body (20) can be bent and deformed into an arc shape.

이때,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를 평면에서 봤을 때 스톱퍼(210)는 가상의 평면상에서 회전구체(120)의 회전축(121)을 축으로 하는 궤도 운동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스톱퍼(210)를 제3 작동슬롯(123)의 형성 범위 내에서 위치 조절하게 되면 회전 궤도의 반경을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회전 궤도의 반경이 조절될 경우의 구체적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the control unit (30) is viewed from a plane, the stopper (210) performs an orbital motion with the rotation axis (121) of the rotary sphere (120) as an axis on a virtual plane, and when the stopper (210) is positioned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the radius of the rotational orbit can be adjusted, and when the radius of the rotational orbit is adjusted in this way, the specific operational effects are as follows.

먼저, 스톱퍼(210)는 제3 작동슬롯(123) 형성 범위 내에서 제3 작동슬롯(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함을 전제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톱퍼(210)가 제3 작동슬롯(123)의 상사점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구체(120)의 회전축(121)과 스톱퍼(210) 사이의 평면 직선거리(D)가 가까워지게 되면서 스톱퍼(210)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조절될 수 있다.First, assuming that the stopper (210) is positionally adjus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within the rang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forma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stopper (210) moves toward the top dead center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the plane straight distance (D) between the rotational axis (121) of the rotating sphere (120) and the stopper (210) becomes closer, and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topper (210) can be adjusted to be relatively smaller.

이 경우, 스톱퍼(210)의 회전반경이 작아지는 만큼 와이어부재(200)의 당겨지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면서 호 형상으로 절곡 변형되는 전극체(20)의 가동 범위가 좁아지는 것은 물론 전극체(20)의 절곡 변형의 직관성과 조작 감도가 상대적으로 무뎌지게 되면서 보다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stopper (210) decreases, the distance by which the wire member (200) is pulled becomes shorter,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that is bent into an arc shape becomes narrower. In addition, the intuitiveness and operational sensitivity of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become relatively dull, and thus, it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control will become possible.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210)가 제3 작동슬롯(123)의 하사점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구체(120)의 회전축(121)과 스톱퍼(210) 사이의 평면 직선거리(D)가 멀어지게 되면서 스톱퍼(210)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조절될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stopper (210) moves towar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the plane straight distance (D) between the rotation axis (121) of the rotary sphere (120) and the stopper (210) increases, so that the rotation radius of the stopper (210) can be adjusted to be relatively larger.

이 경우, 스톱퍼(210)의 회전반경이 커지는 만큼 와이어부재(200)의 당겨지는 거리가 길어지게 되면서 호 형상으로 절곡 변형되는 전극체(20)의 가동 범위가 커지는 것은 물론 전극체(20)의 절곡 변형의 직관성과 조작 감도가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세팅되면서 보다 세밀한 제어는 힘들지만 빠르고 직관적인 전극체(20)의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stopper (210) increases, the pulling distance of the wire member (200) increases,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that is bent into an arc shape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intuitiveness and operational sensitivity of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are set relatively sensitively,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ed control will be difficult, but fast and intuitive position control of the electrode body (20) will become possible.

즉, 회전구체(120)를 회전 조작함에 앞서, 스톱퍼(210)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에 세팅한 후 회전구체(12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전극체(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before rotating the rotary sphere (120), the position of the stopper (210) is set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then the rotary sphere (120) is rotated, there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body (20) according to the situation.

한편, 스톱퍼(210)의 임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 작동슬롯(123)의 외측면에는 제3 작동슬롯(123)의 절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걸림돌기(124)가 연이어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제1 걸림돌기(124)에 대면하는 스톱퍼(210)에는 인접한 상기 제1 걸림돌기(124) 사이에 맞물리는 제2 걸림돌기(220)가 돌출 형성되어 스톱퍼(210)가 제3 작동슬롯(123)의 임의 위치에 접지돼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stopper (210) from moving at an arbitrary position, a plurality of first catches (124) are formed protruding in a row along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and a second catche (220) is formed protruding on the stopper (210) facing the first catche (124) to engage with the adjacent first catches (124), so that the stopper (210)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movement is restricted by being ground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123).

제1 걸림돌기(124)는 마주보는 스톱퍼(210)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제1 걸림돌기(124)에 스톱퍼(210)의 제2 걸림돌기(220)가 걸림 지지됨으로써 스톱퍼(210)의 임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first catch (124) is structured to protrude toward the opposing stopper (210), and the second catch (220) of the stopper (210)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first catch (124), thereby restricting the arbitrary positional movement of the stopper (210).

제1 걸림돌기(124)와 제2 걸림돌기(220)는 정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제2 걸림돌기(220)가 인접한 제1 걸림돌기(124) 사이에 위치할 경우 스톱퍼(210)의 임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임의로 스톱퍼(210)를 작동시키게 되면 인접한 제1 걸림돌기(124)의 사면을 타고 제2 걸림돌기(220)가 제1 걸림돌기(124) 사이를 빠져나왔다 다시 걸림되기를 반복하게 되면서 스톱퍼(210)의 위치 이동을 단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The first catch (124) and the second catch (220) ar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and when the second catch (220) is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catch (124), the arbitrary movement of the stopper (210) may be restri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rbitrarily operates the stopper (210), the second catch (220) passes through the first catch (124) along the slope of the adjacent first catch (124) and is caught again, thereby repeatedly allow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topper (210) to be accommodated in stages.

다음으로, 가이드관(130)은 고정구체(110)의 작동통로(112)와 제1 작동슬롯(113) 내부에 연계 설치되어 와이어부재(200)를 내부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Next, the guide tube (13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ng passage (112) of the fixed body (110) and the inside of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to guide the wire member (200) inside.

즉, 와이어부재(200)가 고정구체(110)를 통과할 때 상기 가이드관(130) 내측에 피복된 상태로 고정구체(110) 내부를 빠져나가는 구조이다.That is, when the wire member (200) passes through the fixed body (110), it is structured so that it exits the interior of the fixed body (110) while being covered on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130).

가이드관(130)은 내부로 와이어부재(200)를 슬립 가능하게 수용해 와이어부재(200)에 견인력이 가해지게 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작동시에 일관성을 보장하고 동시에 와이어부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guide tube (130) can accommodate a wire member (200) slidably inside, thereby minimizing frictional resistance when a tra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member (200), thereby ensuring consistency during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wire member (200).

가이드관(130)은 배치 구간에 따라 작동통로(112) 구간에 배치되는 고정관체(131) 및 제1 작동슬롯(113) 구간에 배치되는 조절관체(132)로 구분될 수 있다.The guide tube (130) can be divided into a fixed tube (131) placed in the operating passage (112) section and a control tube (132) placed in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section depending on the placement section.

이때, 고정관체(131)와 조절관체(132) 사이에는 조절관체(132)를 제1 작동슬롯(113)의 형성 범위 내에서 상하로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변형관체(133)가 형성될 수 있어, 스톱퍼(210)를 위치 조절할 때 조절관체(132)가 제1 작동슬롯(113) 내에서 관절 운동을 수행하며 내부로 수용된 와이어부재(200)의 타단이 일정 각도로 절곡 변형됨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deformable tube (133) that connects the regulating tube (132)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can be formed between the fixed tube (131) and the adjusting tube (132), so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stopper (210) is adjusted, the adjusting tube (132) performs a joint movement within the first operating slot (113)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200) accommodated inside can be sufficiently accommodated to be bent and deformed at a certain angl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20: 전극체
30: 조절부
11: 삽관
12: 제1 노출구
13: 제2 노출구
21: 전극팁
22: 탄성체
100: 조그부재
200: 와이어부재
110: 고정구체
120: 회전구체
130: 가이드관
210: 스톱퍼
220: 제2 걸림돌기
10: Body
20: Electrode body
30: Control section
11: Intubation
12: First exposure area
13: 2nd exposure area
21: Electrode tip
22: Elastic
100: Absence of Jog
200: Wire Absence
110: Fixed sphere
120: Rotating Sphere
130: Guide Hall
210: Stopper
220: Second stumbling block

Claims (5)

Translated fromKorean
내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중공형 삽관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삽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체 및 상기 전극체를 호 형태로 절곡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 양 측면에는 제1 노출구가 개방 형성되고, 후방 대각선 방향의 상면에는 일정 면적 제2 노출구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노출구 및 제2 노출구를 통해 일부분이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그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전극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그부재 내부를 관통한 다음 제2 노출구를 통해 노출된 조그부재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그부재의 정역방향 회전 작동시 전극체를 타측으로 견인해 전극체의 절곡 변형을 유도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체는,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과 삽관 사이에 형성되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상기 탄성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조그부재는,
상기 본체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방향 내부에는 중심을 향해 직선의 터널형인 작동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방향 내부에는 상기 작동통로와 연통되게끔 중심 영역에 소정 폭의 제1 작동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구 형상의 고정구체; 및
상기 고정구체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내부가 빈 구 형상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전축이 구비돼 본체 내측에서 상기 고정구체에 대해 제자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1 노출구 및 제2 노출구를 통해 본체 외부로 노출 형성돼 본체 외부에서 회전 조작을 가능케 하며, 일측면 상기 작동통로의 대응높이에는 소정 폭의 제2 작동슬롯이 좌우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타측면 상기 제1 작동슬롯의 대응지점에는 소정 폭의 제3 작동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회전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회전구체의 제2 작동슬롯, 고정구체의 작동통로와 제1 작동슬롯, 회전구체의 제3 작동슬롯 순서로 회전구체와 고정구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전히 관통한 뒤 그 타단에 형성된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 외측으로 걸림 지지되며,
상기 회전구체를 제자리 회전 작동시키면 제3 작동슬롯 외측으로 노출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전극체를 당겨 호 형태로 절곡 변형시키고,
상기 스톱퍼는 제3 작동슬롯 형성 범위 내에서 제3 작동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여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상사점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구체의 회전축과 스톱퍼 사이의 평면 직선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서 스톱퍼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조절되고,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하사점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구체의 회전축과 스톱퍼 사이의 평면 직선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스톱퍼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
In an electrocautery device that is easy to control the fine position of an electrode, the device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and a hollow tube is mounted at one end, an electrode bod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ube, and a control unit that bends the electrode body into an arc shape.
A first exposure port is formed open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main body, and a second exposure port of a certain area is formed openly on the upper surface in the rear diagonal direction.
The above control unit,
A jo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but having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exposure port and the second exposure port; and
A wire member is install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jog member and then extends toward the outside of the jog member exposed through the second exposure hole, and pulls the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ide when the jog member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reby inducing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body.
The above electrode body,
Electrode tip; and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ip and the tube and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by bending or stretching;
One end of the above wire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The above small absence is,
A spherical fixed spher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having a straight tunnel-shaped operating passage formed through the center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first operating slot of a predetermined width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area on the other sid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ssage; and
A rotary sphere having an internally hollow sphe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fixed sphere insid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rovid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place relative to the fixed sphere inside the main body, and a part of which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exposure port and the second exposure port so as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operating slot of a predetermined width is cut left and right at a corresponding height of the operating passage on one side, and a third operating slot of a predetermined width is cut up and down at a corresponding point of the first operating slot on the other side;
The above wire member completely penetrates the rotary sphere and the fixed sphere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order of the second operating slot of the rotary sphere, the operating passage of the fixed sphere and the first operating slot, and the third operating slot of the rotary sphere, and then the stopper formed at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being caught outside the third operating slot.
When the above rotary sphere is operated in place,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ulls the electrode body to bend and deform it into an arc shape.
The above stopper is positionally adjus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operating slot within the range of the third operating slot formation, so that when the stopper moves toward the top dead center of the third operating slot, the plane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ting sphere and the stopper becomes closer, and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topper is adjusted to be relatively smaller.
An electric cautery machine with easy fine position control of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opper moves towar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third operating slot, the plane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ting sphere and the stopper increases, thereby relatively increasing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topper.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그부재는,
상기 고정구체의 작동통로와 제1 작동슬롯 내부에 연계 설치되어 와이어부재를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작동통로 구간에 배치되는 고정관체;
상기 제1 작동슬롯 구간에 배치되는 조절관체; 및
상기 고정관체와 조절관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관체를 제1 작동슬롯의 형성 범위 내에서 상하로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변형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작동슬롯의 외측면에는 제3 작동슬롯의 절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걸림돌기가 연이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에는 인접한 상기 제1 걸림돌기 사이에 맞물리는 제2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스톱퍼가 제3 작동슬롯의 임의 위치에 접지돼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의 미세 위치제어가 용이한 전기소작기.
In claim 1,
The above small absence is,
It further includes a guide tube that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ng passag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body and inside the first operating slot to guide the wire member inside;
The above guide is,
A fixed pipe placed in the above operating passage section;
A control tube arranged in the first operating slot section; and
It includes a deformable tube formed between the fixed tube and the control tube and connecting the control tube so as to be able to move jointly up and down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first operating slot;
An electrocautery device for easy fine position control of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rst catches are sequentially formed protruding along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third operation slo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operation slot, and a second catcher is formed protruding on the stopper to engage between adjacent first catches so that the stopper is ground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hird operation slot and movement is restricted.
KR1020240119394A2024-09-032024-09-03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ActiveKR102836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40119394AKR102836739B1 (en)2024-09-032024-09-03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40119394AKR102836739B1 (en)2024-09-032024-09-03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836739B1true KR102836739B1 (en)2025-07-21

Family

ID=9658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40119394AActiveKR102836739B1 (en)2024-09-032024-09-03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83673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13507196A (en)*2009-10-092013-03-04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Single-hole surgical instrument
JP2014184024A (en)*2013-03-252014-10-02Nidec Copal Electronics CorpAblation catheter
US20170265935A1 (en)*2016-03-162017-09-21Ams Group Spa - Societa' UnipersonaleDevice for treating the ligamentum flavum by radio frequency
KR20230031607A (en)2021-08-272023-03-07주식회사 바이오유닛Bipolar electrocautery device assemble easily
CN219331581U (en)*2023-02-282023-07-14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Optical fiber bundle drive mechanism, traction mechanism, handle and endoscope for endoscope
CN117694810A (en)*2023-12-012024-03-15杭州海康慧影科技有限公司Endoscope with a le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13507196A (en)*2009-10-092013-03-04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Single-hole surgical instrument
JP2014184024A (en)*2013-03-252014-10-02Nidec Copal Electronics CorpAblation catheter
US20170265935A1 (en)*2016-03-162017-09-21Ams Group Spa - Societa' UnipersonaleDevice for treating the ligamentum flavum by radio frequency
KR20230031607A (en)2021-08-272023-03-07주식회사 바이오유닛Bipolar electrocautery device assemble easily
CN219331581U (en)*2023-02-282023-07-14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Optical fiber bundle drive mechanism, traction mechanism, handle and endoscope for endoscope
CN117694810A (en)*2023-12-012024-03-15杭州海康慧影科技有限公司Endoscope with a l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6848025B2 (en) Medical equipment for fluid transfer and electronic surgery
US8454597B2 (en)Endoscop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04618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icardial access
US10098695B2 (en)Pericardial modification devices and methods
EP1158921B1 (en)Apparatus for interstitial tissue removal
US7398781B1 (en)Method for subxiphoid endoscopic access
US9456733B2 (en)Endoscopic instrument having a deflectable distal tool
WO2010091368A1 (en)Helical groove dila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WO2004037097A1 (en)Direct vision port site dissector
US20220354527A1 (en)Soft tissue cutting device with bowing mechanism
US20250064474A1 (en)Pericardical transection devices and method
KR102836739B1 (en)Electro surgical device easy to control micro-position of electrode
EP1553882B1 (en)Direct vision port site dissector
KR102743422B1 (en)Handpiece for easy alternating use of burr and electro surgical due to simultaneous installation of burr and electrode
WO2025132257A1 (en)Open-tipped radiofrequency perforation device
HK1184736B (en)Methods and devices for pericardial acces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