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는,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판(1)이 적층된 기판적재부(10)가 수용되어 기판처리가 수행되는 기판처리부(100)와; 상기 기판처리부(100)에 기판처리를 위한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200)과; 상기 가스공급유닛(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상기 기판처리부(100) 내에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적재부(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기판처리부(100)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공급노즐(300)들과; 복수의 상기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가스공급유닛(200)을 통해 전달받은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 중 분사되는 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1)은, 반도체 기판, LED, LCD 등의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기판, 태양전지 기판, 글라스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 개시된 어떠한 형태의 대상 기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판처리란, 증착공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사용한 증착공정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증착공정, 열처리공정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처리부(100)는, 복수의 기판(1)이 적층된 기판적재부(10)가 수용되어 기판처리가 수행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처리부(100)는, 복수의 기판(1)이 적층된 기판적재부(1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정튜브와, 후술하는 기판처리유닛(200)과 연결되어 수용공간에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공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처리부(100)는, 복수의 기판(1)이 적층된 기판적재부(10)가 수용되어 증착막 형성 등의 기판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처리부(100)는, 원통형의 수직한 구성으로서, 내벽에서 일부 수용홈 형태의 설치공간(110)이 형성되어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이 설치공간(1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처리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로서 석영(Quartz), 스테인리스 스틸(SUS), 알루미늄(Aluminium), 그라파이트(Graphite),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또는 산화 알루미늄(Aluminium oxi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적재부(10)는, 복수의 기판(1)이 적층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적재부(10)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지지대에 복수의 기판(1)이 적층형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적재부(10)는, 종래 개시된 배치(batch)식, 즉 종형 기판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가스공급유닛(200)은, 기판처리부(100)에 기판처리를 위한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가스공급유닛(200)은,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하여 기판(1)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공정가스를 기판처리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공급유닛(200)은, 기판처리부(100)에 소스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가스공급부(210)와, 기판처리부(100)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불활성가스공급부(220)와, 기판처리부(100)에 반응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반응가스공급부(230)와, 기판처리부(100)에 전처리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처리가스공급부(24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가스공급부(210)는, 후술하는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기판처리부(100)에 소스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스가스공급부(210)는, 증착을 위한 소스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로부터 전달받은 소스물질을 기화시켜 소스가스를 공급노즐(300)에 공급하는 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상기 소스가스공급부(210)는,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연결되는 공급노즐(300)을 통해 기판처리부(100)에 소스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캐리어가스를 이용하여 기화기로부터 공급노즐(300)로 소스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후술하는 불활성가스공급부(220)를 통해 기판처리부(100)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220)는, 기판처리부(100)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220)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연결된 공급노즐(30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공급노즐(300) 각각에 모두 연결되어 복수의 공급노즐(300) 각각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응가스공급부(230)는, 기판처리부(100)에 반응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반응가스공급부(230)는, 반응가스로 오존(O3)이 이용되는 경우, 오존발생기로 구비되어 반응가스를 기판처리부(100)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가스공급부(240)는, 소스가스 공급 전 기판(1)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의 전처리가스는, 전술한 소스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스가스 공급 전 1회에 한해 기판처리부(1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기판처리부(100)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스공급유닛(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기판처리부(100) 내에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기판처리부(100)의 내측 수용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하단에서 매니폴드를 통과하는 가스공급배관을 통해 가스공급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기판처리부(100)의 내측벽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공간(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기판적재부(10)의 둘레일부를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공급하는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고려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최소한 4개의 공급노즐(300)이 설치공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소스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1공급노즐(310)과, 제1공급노즐(310)에 인접하며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2공급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제1공급노즐(310)의 외각에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노즐과, 제2공급노즐(320)의 외각에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하여 총 4개의 공급노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노즐(310)을 통해 소스가스를 공급하는 동안, 양측에서 인접한 제2공급노즐(320)과 제1공급노즐(310) 측 외각에 위치하는 공급노즐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여 제1공급노즐(310)로부터 분사되는 소스가스를 가이드하고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급노즐(320)을 통해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동안, 양측에서 인접한 제1공급노즐(310)과 제2공급노즐(320) 측 외각에 위치하는 공급노즐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여 제2공급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반응가스를 가이드하고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불활성가스의 공급이 필요할 경우, 제1공급노즐(310), 제2공급노즐(320) 및 제1공급노즐(310)과 제2공급노즐(320)의 외각에 위치한느 각각의 공급노즐들로부터 불활성가스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하는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고려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 5개의 공급노즐(300)이 설치공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소스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1공급노즐(310)과, 제1공급노즐(310)에 인접하며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2공급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제2공급노즐(320)의 제1공급노즐(310) 반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소스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3공급노즐(330)과, 제1공급노즐(310) 및 제3공급노즐(330)의 외각에 배치되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제4공급노즐(340) 및 제5공급노즐(3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제2공급노즐(32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공급노즐(310) 및 제3공급노즐(330)이 배치되고, 제1공급노즐(310)의 외각에 제4공급노즐(340)이 제3공급노즐(330)의 외각에 제5공급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최외각에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제4공급노즐(340) 및 제5공급노즐(350)과, 제4공급노즐(340)과 제5공급노즐(350) 사이에서 각각 소스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1공급노즐(310) 및 제3공급노즐(330)과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한 제2공급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300)들은, 후술하는 기판처리방법의 각 단계에서 각각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가스공급유닛(200)을 통해 전달받은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 중 분사되는 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0)는, 가스공급유닛(200)에 구비되는 제어밸브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가스공급유닛(200)을 통해 전달받은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 중 분사되는 가스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소스가스의 공급 시, 인접한 공급노즐(300)에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소스가스공급부(210)와 연결되어 소스가스를 공급가능한 제1공급노즐(310)을 통해 소스가스를 공급할 때, 제1공급노즐(310)에 인접한 제2공급노즐(320) 및 제4공급노즐(340) 중 적어도 하나에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400)는, 제1공급노즐(310)을 통한 소스가스 공급 시, 제2공급노즐(320) 및 제4공급노즐(34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제1공급노즐(310)을 통한 소스가스의 분사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반응가스공급부(230)와 연결되어 반응가스 공급이 가능한 제2공급노즐(320)을 통해 반응가스를 공급할 때, 제2공급노즐(320)에 인접한 제1공급노즐(310) 및 제3공급노즐(330) 중 적어도 하나에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제2공급노즐(320)에 대하여 소스가스 또는 불활성가스의 공급 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반응가스 공급 시 반응가스를 분사하도록 제2공급노즐(32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400)는, 제1공급노즐(310)에 대하여 소스가스 공급 시 소스가스를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반응가스 또는 불활성가스 공급 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제1공급노즐(310)을 통한 소스가스의 공급 시 제2공급노즐(32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고, 제2공급노즐(320)을 통한 반응가스의 공급 시 제1공급노즐(31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제3공급노즐(330)을 통한 전처리가스, 즉 소스가스의 공급 시 제2공급노즐(320) 및 제3공급노즐(330)에 인접배치된 제5공급노즐(35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기판처리부(100)에 대한 퍼지 수행 시, 제1공급노즐(310), 제2공급노즐(320), 제3공급노즐(330), 제4공급노즐(340) 및 제5공급노즐(3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처리부(100)에 대한 퍼지 수행 시, 단시간 내의 효율적인 퍼지수행을 위하여 제1공급노즐(310), 제2공급노즐(320), 제3공급노즐(330), 제4공급노즐(340) 및 제5공급노즐(350) 각각으로부터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방법은, 전술한 기판처리장치를 이용한 기판처리방법으로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방법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처리부(100)에 상기 소스가스를 공급하는 소스가스공급단계와; 상기 소스가스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기판처리부(100) 내의 상기 소스가스를 퍼지하는 소스가스퍼지단계와; 상기 소스가스퍼지단계 이후에 상기 기판처리부(100)에 상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반응가스공급단계와; 상기 반응가스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기판처리부(100) 내의 상기 반응가스를 퍼지하는 반응가스퍼지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방법은, 각 단계에 적합한 공급노즐(300)에서의 공정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방법은,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가스공급유닛(200)을 통해 전달받은 소스가스, 반응가스 및 불활성가스 중 분사되는 가스를 소스가스공급단계, 소스가스퍼지단계, 반응가스공급단계 및 반응가스퍼지단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소스가스공급단계는, 기판처리부(100)에 소스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소스가스공급단계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소스가스 공급 시, 인접한 공급노즐(300)에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가스공급단계는, 제1공급노즐(310)을 통한 소스가스의 공급 시 제2공급노즐(32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분사할 수 있으며, 제1공급노즐(310)을 사이에 두는 제2공급노즐(320) 및 제4공급노즐(34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소스가스의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스가스퍼지단계는, 기판처리부(100) 내의 소스가스를 퍼지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스가스퍼지단계는, 소스가스공급단계 이후에 기판처리부(100) 내의 소스가스를 퍼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전술한 복수의 공급노즐(300)들 각각에서 불활성가스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응가스공급단계는, 소스가스퍼지단계 이후에 기판처리부(100)에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반응가스공급단계는, 복수의 공급노즐(300) 중 어느 하나를 통한 반응가스 공급 시, 인접한 공급노즐(300)에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가스공급단계는, 제2공급노즐(320)을 통한 반응가스의 공급 시 제1공급노즐(31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분사할 수 있으며, 제2공급노즐(320)을 사이에 두는 제1공급노즐(310) 및 제3공급노즐(330)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반응가스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가스퍼지단계는, 기판처리부(100) 내의 반응가스를 퍼지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반응가스퍼지단계는, 전술한 소스가스퍼지단계와 같이, 복수의 공급노즐(300)들 각각에서 불활성가스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