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개시는 출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탈착되는 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water extra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extraction device detachable from a water purifier.
정수기는 정수,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을 출수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supplies purified, cooled, or heated water to the user through a water outlet.
정수기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공급된 물을 열교환시키는 냉각모듈 및 히터를 구비한다.The water purifier is equipped with a filter that purifies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 cooling module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supplied water, and a heater.
정수기의 출수구는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측을 향해 물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purifier is usually attached to the top of the case and supplies water toward the bottom.
최근에는 이동가능한 출수구를 구비한 정수기 또는 출수구를 통해 취출음료를 제공하는 정수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정수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water purifiers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er purifiers with a movable spout or water purifiers that provide beverages through a spout, is increasing.
하지만, 종래의 정수기는, 상술한 기능에 따라 정수기의 모델이 분류되고, 각 모델이 상술한 기능 중 어느 하나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단일의 정수기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have had the problem of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with a single water purifier, as the water purifier mode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each model provides only on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취출음료를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를 정수기에 탈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정수기 간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고, 정수기에 결합된 장치의 이동이 어려워, 취출음료를 제조할 때 사용자의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have a separate device for providing dispensed beverages that is detachable from the water purifier, making it difficult to combine the device with the water purifier and making it difficult to move the device coupled to the water purifier, which has caused difficulties for users when producing dispensed beverages.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장착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유로를 다르게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장착되는 장치에 맞추어 수동으로 유로를 절환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had the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configure the flow path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being installed. As a result,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nually switch the flow path according to the device being installed.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치들을 정수기에 탈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attach devic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to a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에 결합된 출수장치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water outlet device coupled to a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에 결합된 출수장치를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rotate a water outlet device coupled to a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와 출수장치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outlet device.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출수구의 상하이동이 가능한 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 discharge device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the discharge port.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취출음료의 제공이 가능한 출수장치를 정수기에 탈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attach a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dispensed beverage to a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녹차와 같은 취출음료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selectively provides a beverage such as coffee or green tea.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에 장착되는 출수장치의 종류에 따라 유로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automatically perform a water purifier convers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ater outlet device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출수장치 내에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facilitate the flow of water within a water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출수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된 출수구를 구비한 제1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a discharge device includes a first device having a case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se.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케이스와 정수기를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water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connector that connects the case and the water purifier.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하는 입수관을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water outlet device includes an inlet pip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er flows.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출수구와 연결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The above discharge device includes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outlet device includes a bypass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입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관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관을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discharge device includes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bypass pipe.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입수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 또는 상기 공급관을 폐쇄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discharge device includes a control valv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let pipe and closing the bypass pipe or the supply pipe.
상기 출수장치는, 내부에 음료분말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한다.The above dispensing device includes a second device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beverage powder therein.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과 상기 공급관을 연결하는 공급포트를 포함한다.The second device includes a supply port connec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supply pipe.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조절밸브를 향해 연장되는 밸브조작체를 포함하여, 제1 장치와 제2 장치의 결합과 동시에 유로절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device includes a valve operating body extending toward the control valve, so that the flow can be switched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음료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dispensing device may include a beverage supply pipe connec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ensing pipe.
상기 출수장치는, 상기 출수관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공급관 또는 상기 바이패스관을 폐쇄하는 절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outlet device may include a switching valve disposed upstream of the outlet pipe and closing the beverage supply pipe or the bypass pip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입수관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조작체와 간섭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valve may include a lever that is rotatably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inlet pipe and interferes with the valve operating body.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레버와 결합되고 상기 입수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valve may include a plug coupled with the lever and rotatably positioned inside the intake pipe.
상기 밸브조작체는,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가 결합될 시 상기 조절밸브를 누를 수 있다.The above valve operating body can press the control valve wh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mbined.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정수기의 정수포트와 온수포트 각각에 결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water intake pipes may b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water purification port and the hot water port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정수포트와 연결되는 제1 바이패스관 및 상기 온수포트와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bypass pipe may include a first bypass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port and a second bypass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ort.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정수포트와 연결되는 제1 공급관 및 상기 온수포트와 연결되는 제2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upply pipe may include a first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port and a secon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ort.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1 바이패스관 또는 상기 제1 공급관을 폐쇄하는 제1 조절밸브 및 상기 제2 바이패스관 또는 상기 제2 공급관을 폐쇄하는 제2 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valve may include a first control valve for closing the first bypass pipe or the first supply pipe and a second control valve for closing the second bypass pipe or the second supply pipe.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정수기의 정수포트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first supply port for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purification port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정수기의 온수포트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공급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upply port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hot water port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밸브조작체는, 상기 제1 공급포트와 상기 제2 공급포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valve operating body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second supply port.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분말에 따라 복수의 종류로 구분되고, 상기 밸브조작체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2 장치의 종류 별로 다를 수 있다.The above second device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 beverage powde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width of the valve operating body may be different for each typ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evices.
상기 입수관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입수관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intake pipe may extend vertically, the above-mentioned supply pipe may extend upward from the above-mentioned intake pipe, and the above-mentioned bypass pipe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bove-mentioned intake pipe.
상기 제2 장치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분말캡슐을 수용하는 제1 음료제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that accommodates a powder capsul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the periphery.
상기 제1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분말캡슐이 수용되는 제1 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wall in which the powder capsule is accommodated.
상기 제1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벽의 내부공간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제2 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wall connect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wall and the outlet pip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1 음료제조장치가 상기 제1 장치와 결합될 시 상기 제1 공급관과 상기 제2 공급관을 개방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valve can open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pply pipe when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상기 제1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분말캡슐이 수용되는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출수관과 연결되는 사이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siphon that is connected to a space in which the powder capsule is accommodated and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상기 제1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분말캡슐이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팅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floating valve movably positioned between a space in which the powder capsule is accommodated and the supply pipe.
상기 제1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사이펀 사이의 간격보다 큰 높이를 갖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wall of the housing and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iphon.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커피캡슐이 수용되는 제2 음료제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in which a coffee capsule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상기 제2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커버 및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입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n upper cov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an inlet passag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상기 제2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입수유로와 상기 어퍼커버를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n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intake passage and the upper cover.
상기 제2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어퍼커버로부터 상기 커피캡슐이 수용되는 공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spike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cover toward the space where the coffee capsule is accommodated and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tub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2 음료제조장치가 상기 제1 장치와 결합될 시, 상기 제1 공급관은 폐쇄하고 상기 제2 공급관은 개방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valve can close the first supply pipe and open the second supply pipe when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is combined with the first device.
상기 제2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커피캡슐이 수용되는 공간을 향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어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lower spike protruding upward toward a space in which the coffee capsule is accommodated.
상기 제2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로어스파이크와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출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y include a discharge path connecting the lower spike and the discharge pipe.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출수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된 출수구를 구비한 제1 장치; 상기 케이스와 정수기를 결합시키는 커넥터; 상기 정수기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하는 입수관; 상기 출수구와 연결되는 출수관;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유로어셈블리; 및 상기 유로어셈블리와 결합되는 제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어셈블리는,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 상기 입수관과 상기 제2 장치를 연결하는 공급관; 및 상기 입수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 또는 상기 공급관을 폐쇄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제2 장치로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ater outlet device comprises: a first device having a case having a space inside and a water outlet protru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case; a connector connecting the case and a water purifier; an inlet pip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er flows;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a flow path assembly 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water outlet pipe; and a second device connected to the flow path assembly, wherein the flow path assembly comprises: a bypass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water outlet pipe; a supply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second device; and a control valve dispos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inlet pipe and closing the bypass pipe or the supply pipe, so as to selectively supply water to the second devi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들을 정수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devic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정수기에 출수장치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출수장치에 대한 호환성을 갖출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viding a water outlet coupling portion to a water purifier, compatibility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devices can be achieve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정수기의 출수포트를 상하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출수장치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forming the water outlet port of the water purifier in an up-down direction, the connection of the water outlet device can be made soli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정수기의 회전체에 출수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출수장치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oupling the water outlet device to the rotating body of the water purifier,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device can be enable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캡슐을 수용하는 출수장치를 정수기에 결합함으로써, 정수기의 온수를 활용하여 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ombining a water outlet device for receiving a capsule with a water purifier, coffee can be provided using hot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취출재를 수용하는 출수장치를 정수기에 결합함으로써, 정수기의 온수를 활용하여 취출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ombining a water outlet device that receives a water outlet material with a water purifier, a water outlet beverage can be provided by utilizing hot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출수장치의 케이스와 밸브장치 간의 간섭을 통해 유로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utomatic switching of the flow path can be achieved through interference between the case of the outlet device and the valve device.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장착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밸브장치 레버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장치의 종류에 따른 유로절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sition of the valve device lever is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to be mounted, so that the euro switch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와 출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와 출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를 분류하는 표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 단면도의 일부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 table classifying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3 is an exploded view of a water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n exploded view of a water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8 is an exploded view of a water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that includ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을 참조하여, 정수기(9) 및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a water purifier (9) and a water outlet device (100) are described.
도 1은 정수기(9)와 출수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9) and a water outlet device (100) combined.
정수기(9)는 하우징(9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1)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housing (91).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91).
정수기(9)는 회전체(9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92)는 하우징(9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92)의 일부분은 하우징(9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rotating body (92). The rotating body (92) may be rotatably arranged inside the housing (91). A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9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91).
출수장치(100)는 정수기(9)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00)는 정수기(9)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00)는 정수기(9)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00)는 회전체(92)에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be coupled to the water purifier (9). 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9). 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purifier (9). 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b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92).
출수장치(100)는 정수기(9)에 결합되어, 정수기(9)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정수기(9)와 출수장치(100)의 조립체를 "정수어셈블리"로 이름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9) and can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9). The assembly of the water purifier (9) and 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be called a “water purification assembly.”
도 2를 참조하여, 정수기(9) 및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ater purifier (9) and the water outlet device (100) are described.
도 2은 정수기(9)의 내부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2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9).
출수장치(100)는 정수기(9)로부터 정수,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출수장치(100)는 장치결합부(922)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receive purified, cooled or heated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9). The water outlet device (100) can receive water through the device coupling part (922).
정수기(9)는 수관(93)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관(93)은 하우징(91) 내부에서 회전체(9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수관(93)은 외부수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수관(93)은 필터(94), 정수모듈(95), 냉각모듈(96) 및 히터(97)와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water pipe (93). The water pipe (93) may extend from inside the housing (91) toward the rotor (92). The water pipe (93)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not shown). The water pipe (93) may be connected to a filter (94), a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a cooling module (96), and a heater (97).
정수기(9)는 필터(9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94)는 수관(93)과 연결될 수 있다. 수관(93) 내에 유동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은, 필터(94)에 걸러질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filter (94). The filter (94) may be connected to a water pipe (93).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flowing in the water pipe (93)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94).
정수기(9)는 정수모듈(95)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모듈(95)은 수관(93)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94)를 통과한 물은, 정수모듈(95)로 유입되어 정수될 수 있다. 정수모듈(95)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은, 수관(93)과 회전체(92)를 통해 출수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may be connected to a water pipe (93).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94)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and purified. Water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may be introduced into a water outlet (100) through the water pipe (93) and the rotor (92).
정수기(9)는 냉각모듈(96)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96)은 수관(93)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94)를 통과한 물은, 냉각모듈(96)로 유입되어 냉각될 수 있다. 냉각모듈(96)을 통과하여 냉각된 물은, 수관(93)과 회전체(92)를 통해 출수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cooling module (96). The cooling module (96) may be connected to a water pipe (93).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94) may be cooled by flowing into the cooling module (96). Water cooled by passing through the cooling module (96) may be cooled by flowing into the water outlet (100) through the water pipe (93) and the rotor (92).
정수기(9)는 히터(97)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97)는 수관(93)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94)를 통과한 물은, 히터(97)로 유입되어 가열될 수 있다. 히터(97)를 통과하여 가열된 물은, 수관(93)과 회전체(92)를 통해 출수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heater (97). The heater (97) may be connected to a water pipe (93).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94)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er (97) and heated. Water heated by passing through the heater (97) may be introduced into a water outlet (100) through the water pipe (93) and the rotor (92).
정수기(9)는 컨트롤러(98)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98)는, 정수모듈(95), 냉각모듈(96), 히터(97) 및 출수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98)는, 정수모듈(95), 냉각모듈(96), 히터(97) 및 출수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controller (98). The controller (9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a cooling module (96), a heater (97),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100). The controller (98)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95), the cooling module (96), the heater (97), and the water discharge device (100).
출수장치(100)는 출수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구(10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출수구(101)는 출수장치(100)의 하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출수장치(100) 내로 유입된 물은, 하측으로 유동하여 출수구(101)를 통해 출수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100) may include a water outlet (101). The water outlet (101)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water outlet (101) may protrud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water outlet (100).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outlet (100) may flow downward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100) through the water outlet (101).
회전체(92)는 로테이터(921)를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터(921)는 하우징(9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터(921)의 둘레면 일부는, 하우징(9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rotor (92) may include a rotator (921). The rotator (921) may be rotatably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91).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rotator (9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91).
회전체(92)는 장치결합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결합부(922)는 하우징(9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장치결합부(922)는 로테이터(9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치결합부(922)는 하우징(91) 외부에 노출된 로테이터(9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The rotator (92) may include a device coupling portion (922). The device coupling portion (922)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91). The device coupling portion (922)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the rotator (921). The device coupling portion (922) may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rotator (92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91).
출수장치(100)는 장치결합부(922)에 장착될 수 있다. 출수장치(100)는 장치결합부(9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device (100) can be mounted on the device coupling part (922). The discharge device (1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evice coupling part (922).
도 3을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3은 정수기(9)에 제1 장치(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장치(300, 400, 500)가 제1 장치(200)에 결합가능한 상태에 놓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irst device (200) is coupled to a water purifier (9), and a second device (300, 400, 500) is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device (200).
출수장치(100)는 제1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200)는 정수기(9)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장치(200)는 장치결합부(9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장치(200)는 장치결합부(922)를 통해 정수기(9) 내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water discharg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device (200). The first device (200) may be coupled to a water purifier (9). The first device (200) may be coupled to a device coupling part (922). The first device (200) may be supplied with water within the water purifier (9) through the device coupling part (922).
제1 장치(200)는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case (210). The case (210) may have a space therein.
제1 장치(200)는 커넥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11)는 케이스(2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넥터(211)는 장치결합부(922)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connector (211). The connector (211) may protrude rearwardly from the case (210). The connector (211) may be coupled with a device coupling portion (922).
제1 장치(200)는 유로어셈블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어셈블리(220)는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어셈블리(220)는 커넥터(211)와 연결될 수 있다. 유로어셈블리(220)는 정수기(9)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Euro assembly (220). The Euro assembly (22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210). The Euro assembly (22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211). The Euro assembly (220) may be supplied with water from a water purifier (9).
출수장치(100)는 제2 장치(300, 4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300, 400, 5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되는 장치들을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2 장치(300, 400, 500)는 복수의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장치(300, 400, 500) 중 어느 하나는 제1 장치(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device (100) may include a second device (300, 400, 500). The second device (300, 400, 500) may be a general term for device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second device (300, 400, 5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yp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evices (300, 400, 5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제2 장치(300, 400, 500)는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0)는 케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0)는 유로어셈블리(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300, 400, 500) may include a cover (300). The cover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10). The cover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uro assembly (220).
제2 장치(300, 400, 500)는 제1 음료제조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케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유로어셈블리(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 내부에는 녹차, 과즙 등의 취출재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유로어셈블리(22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분말수용체"로 이름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300, 400, 500) may include a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210).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be connected to a euro assembly (220). Extraction materials such as green tea and fruit juice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be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euro assembly (220).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be called a “powder receiver.”
제2 장치(300, 400, 500)는 제2 음료제조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케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유로어셈블리(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 내부에는 커피분말가루가 내포된 커피캡슐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유로어셈블리(22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캡슐수용체"로 이름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300, 400, 500) may include a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10).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be connected to the euro assembly (220). A coffee capsule containing coffee powder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be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euro assembly (220).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be called a “capsule receiver.”
도 4 및 도 7를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and FIG. 7,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4는 제1 장치(2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장치(200)와 제2 장치(600)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device (200).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device (600).
커넥터(211)는 포트삽입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삽입구(2111)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수기(9)는 정수된 물 또는 냉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9)는 히터(97)(도 2참조)에 의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는 온수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삽입구(2111)는 상기 정수포트 또는 상기 온수포트 각각이 삽입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출수장치(100)는 상기 정수포트 또는 상기 온수포트를 통해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정수포트 및 상기 온수포트는, 포트삽입구(2111)에 삽입될 수 있다.The connector (211) may include a port insertion port (2111). The port insertion port (2111) may be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water purification port (not shown)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The water purifier (9) may include a hot water port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heated by a heater (97) (see FIG. 2). The port insertion port (2111)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so that each of the water purification port and the hot water port is inserted. The water outlet device (100) may receive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port or the hot water port. The water purification port and the hot water port may be inserted into the port insertion port (2111).
제1 장치(200)는 입수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입수관(212)은 포트삽입구(21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n inlet pipe (212). The inlet pipe (212) may extend upward from a port insertion port (2111).
제1 장치(200)는 입수포트(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포트(221, 222)는 입수관(212)과 연결될 수 있다. 입수포트(221)는 정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제1 입수포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포트(221)는 온수가 공급되는 제2 입수포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water inlet port (221, 222). The water inlet port (221, 222) may be connected to a water inlet pipe (212). The water inlet port (221) may include a first water inlet port (221)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is supplied. The water inlet port (221) may include a second water inlet port (222) through which hot water is supplied.
제1 장치(200)는 조절밸브(225, 226)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밸브(225, 226)는 제1 입수포트(221)와 연결되는 제1 조절밸브(22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밸브(225, 226)는 제2 입수포트(222)와 연결되는 제2 조절밸브(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입수포트(221)를 통해 유입된 물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입수포트(222)를 통해 유입된 물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control valve (225, 226). The control valve (225, 226) may include a first control valve (225) connected to a first inlet port (221). The control valve (225, 226) may include a second control valve (226) connected to a second inlet port (222). The first control valve (225) may control a flow direction of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port (221).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may control a flow direction of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port (222).
제1 장치(200)는 바이패스관(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223, 224)은 제1 입수포트(221)와 연결되는 제1 바이패스관(223)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223, 224)은 제2 입수포트(222)와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바이패스관(223)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바이패스관(224)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223, 22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bypass pipe (223, 224). The bypass pipe (223, 224) may include a first bypass pipe (223) connected to a first inlet port (221). The bypass pipe (223, 224) may include a second bypass pipe (224) connected to a second inlet port (222). The first control valve (225)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bypass pipe (223).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bypass pipe (224). The bypass pipe (223, 224) may extend horizontally.
제1 장치(200)는 공급관(2291, 229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관(2291, 2292)은 제1 입수포트(221)와 연결되는 제1 공급관(229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관(2291, 2292)은 제2 입수포트(222)와 연결되는 제2 공급관(22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공급관(2291)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공급관(2292)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급관(2291, 229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223, 224)과 공급관(2291, 2292)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supply pipes (2291, 2292). The supply pipes (2291, 2292) may include a first supply pipe (2291) connected to a first inlet port (221). The supply pipes (2291, 2292) may include a second supply pipe (2292) connected to a second inlet port (222). The first control valve (225)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ipe (2291).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upply pipe (2292). The supply pipes (2291, 2292)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ypass pipes (223, 224) and the supply pipes (2291, 2292)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each other.
제1 장치(200)는 합지관(227)을 포함할 수 있다. 합지관(227)은 제1 바이패스관(223)과 제2 바이패스관(22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관(223)과 제2 바이패스관(224) 내의 물은, 합지관(227)에서 합류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joining pipe (227). The joining pipe (227)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ypass pipe (223) and the second bypass pipe (224). The water in the first bypass pipe (223) and the second bypass pipe (224) may be joined in the joining pipe (227).
제1 장치(200)는 음료공급관(2293)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공급관(2293)은 입수관(212)의 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음료공급관(2293)은 공급관(2291, 2292)의 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음료공급관(229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beverage supply pipe (2293).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may be spaced in front of the intake pipe (212).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may be spaced in front of the supply pipes (2291, 2292).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제1 장치(200)는 출수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관(2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출수관(230)은 음료공급관(2293) 및 합지관(227)과 연결될 수 있다. 음료공급관(2293)과 합지관(227) 내의 물은, 출수관(23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water outlet pipe (230). The water outlet pipe (230)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water outlet pipe (230) may be connected to a beverage supply pipe (2293) and a combination pipe (227). Water in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and the combination pipe (227) may flow downward along the water outlet pipe (230).
제1 장치(200)는 절환밸브(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절환밸브(228)는 출수관(230)과 연결될 수 있다. 절환밸브(228)는 합지관(227)과 음료공급관(2293)을 통해 출수관(230)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switching valve (228). The switching valve (228) may be connected to a water outlet pipe (230). The switching valve (228)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outlet pipe (230) through the joint pipe (227) and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제1 장치(200)는 절곡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관(240)은 출수관(23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절곡관(240)은 출수관(230)과 출수구(101)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may include a bending pipe (240). The bending pipe (2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pipe (230). The bending pipe (240) may connect the outlet pipe (230) and the outlet (101).
도 5를 참조하여, 분말수용체(400)에 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owder receptor (400) is described.
도 5는 분말수용체(4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a powder receptor (400).
분말수용체(400)는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410)은 제1 장치(200)(도 4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The powder receiver (400) may include a housing (410). The housing (410) may have a space therein. The housing (410)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see FIG. 4).
분말수용체(400)는 제1 벽(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411)은 하우징(4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벽(411)은 원통형일 수 있다.The powder receptor (400) may include a first wall (411). The first wall (41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410). The first wall (411) may be cylindrical.
분말수용체(400)는 제2 벽(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벽(412)은 제1 벽(4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벽(412)은 제1 벽(4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owder receptor (400) may include a second wall (412). The second wall (4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all (411). The second wall (412)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the first wall (411).
분말수용체(400)는 수용체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체커버(420)는 하우징(4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powder receptor (400) may include a receptor cover (420). The receptor cover (4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410).
분말수용체(400)는 분말캡슐(43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말캡슐(43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분말캡슐(430)은 제1 벽(4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powder receptor (400) may include a powder capsule (430). The powder capsule (430) may have a space inside. The powder capsule (4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wall (411).
분말수용체(400)는 사이펀(4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펀(440)은 제2 벽(4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사이펀(440)은 제1 벽(411)의 내부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The powder receiver (400) may include a siphon (440). The siphon (440) may be accommodated within the second wall (412). The siphon (44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wall (411).
분말수용체(400)는 플로팅밸브(4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밸브(450)는 공급관(2291, 2292)(도 4참조)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owder receiver (400) may include a floating valve (450). The floating valve (450) may be mov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pipe (2291, 2292) (see FIG. 4).
분말캡슐(430)은 캡슐바디(431)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바디(431)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일 수 있다.The powder capsule (430) may include a capsule body (431). The capsule body (43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분말캡슐(430)은 복수의 통공(432)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432)은 캡슐바디(43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powder capsule (4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432). A plurality of holes (432)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apsule body (431).
분말캡슐(430)은 캡슐커버(433)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커버(433)는 캡슐바디(43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The powder capsule (430) may include a capsule cover (433). The capsule cover (433) ma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body (431).
캡슐바디(431)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분말가루(PM)를 투입할 수 있다. 하우징(410) 내로 물이 공급되면, 물은 통공(432)을 통해 캡슐바디(431) 내부의 분말가루(PM)를 용해시킬 수 있다.Powder (PM) can be injected through the open upper part of the capsule body (431).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housing (410), the water can dissolve the powder (PM) inside the capsule body (431) through the hole (432).
도 6을 참조하여, 캡슐수용체(5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a capsule receptor (500) is described.
도 6은 캡슐수용체(5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capsule receptor (500).
캡슐수용체(500)는 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 housing (510). The housing (510) may have a space therein.
캡슐수용체(500)는 수용벽(5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벽(511)은 하우징(5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벽(511)은 원통형일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 receiving wall (511). The receiving wall (51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510). The receiving wall (511) may be cylindrical.
캡슐수용체(500)는 연장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5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n extension tube (512). The extension tube (512)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캡슐수용체(500)는 입수유로(513)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유로(5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입수유로(513)는 연장관(512)과 연결될 수 있다. 입수유로(513)는 공급관(2292)과 연결될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n intake passage (513). The intake passage (513)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intake passage (513) may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512). The intake passage (513) may be connected to a supply pipe (2292).
캡슐수용체(500)는 어퍼커버(5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커버(520)는 하우징(5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n upper cover (520). The upper cover (520)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510).
어퍼커버(520)는 커버바디(5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바디(524)는 판형일 수 있다.The upper cover (520) may include a cover body (524). The cover body (524) may be plate-shaped.
어퍼커버(520)는 커버유로(52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유로(521)는 커버바디(524)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유로(521)는 연장관(512)과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520) may include a cover passage (521). The cover passage (5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body (524). The cover passage (521) may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512).
어퍼커버(520)는 측벽(52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522)은 커버바디(52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520) may include a side wall (522). The side wall (52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over body (524).
어퍼커버(520)는 스파이크(5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파이크(523)는 커버유로(5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520) may include a spike (523). The spike (52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cover passage (521).
캡슐수용체(500)는 로어커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커버(530)는 하우징(5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 lower cover (530). The lower cover (5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510).
캡슐수용체(500)는 플로팅밸브(5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밸브(540)는 입수유로(513)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apsule receptor (500) may include a floating valve (540). The floating valve (540) may be movably positioned within the intake passage (51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7은 제1 장치(200)와 제2 장치(6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1 장치(200)와 제2 장치(600)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device (600).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joint portion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device (600).
제2 장치(600)는 커버(300), 제1 음료제조장치(400) 및 제2 음료제조장치(50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도 3참조).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장치(600)에 대한 설명은, 커버(300), 제1 음료제조장치(400) 및 제2 음료제조장치(5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600)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cover (300), a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nd a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see FIG. 3).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device (600)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cover (300),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nd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제2 장치(600)는 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0)은 제1 장치(20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600) may include a housing (610). The housing (61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device (200).
제2 장치(600)는 제1 공급포트(6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포트(617)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공급포트(617)는 제1 공급관(229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급포트(617)는 제1 공급관(2291)을 통해 정수 또는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second device (600) may include a first supply port (617). The first supply port (617)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upply port (617) may be connected to a first supply pipe (2291). The first supply port (617) may receive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2291).
제2 장치(600)는 제2 공급포트(6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급포트(618)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공급포트(618)는 제2 공급관(229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급포트(618)는 제2 공급관(2292)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second device (600) may include a second supply port (618). The second supply port (618)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upply port (618)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supply pipe (2292). The second supply port (618) may receive hot water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292).
제2 장치(600)는 격벽(619)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619)은 제1 공급포트(617)와 제2 공급포트(6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619)은 제1, 2공급포트(617, 618)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격벽(619)은 "밸브조작체"로 이름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600) may include a baffle (619). The baffle (619)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617) and the second supply port (618). The baffle (619) may extend downwardly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orts (617, 618). The baffle (619) may be referred to as a “valve actuator.”
제2 장치(600)는 리어플레이트(61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616)는 하우징(6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2공급포트(617, 618)는 리어플레이트(616)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격벽(619)은 리어플레이트(616)의 일부분일 수 있다.The second device (600) may include a rear plate (616). The rear plate (616)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610).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orts (617, 618) may protrude rearwardly from the rear plate (616). The bulkhead (619) may be a part of the rear plate (616).
제1 공급포트(617)는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제2 공급포트(618)는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격벽(619)은 수평방향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제1, 2공급포트(617, 618)의 높이(H1, H2) 및 격벽(619)의 폭(W)은 제2 장치(300, 400, 500)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The first supply port (617) may have a first height (H1). The second supply port (618) may have a second height (H2). The bulkhead (619) may have a horizontal width (W). The heights (H1, H2) of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orts (617, 618) and the width (W) of the bulkhead (619)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econd device (300, 400, 500).
제1 공급포트(617)는 제1 공급관(2291)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바이패스관(223)과 제1 공급관(2291)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입수포트(22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 바이패스관(223) 또는 제1 공급관(229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급관(2291)으로 유입된 물은, 제1 공급포트(617)를 통해 제2 장치(6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ort (617)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supply pipe (2291). 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bypass pipe (223) and the first supply pipe (2291).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inlet port (221) can flow into the first bypass pipe (223) or the first supply pipe (2291).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upply pipe (2291) can flow into the second device (600) through the first supply port (617).
제2 공급포트(618)는 제2 공급관(2292)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바이패스관(224)과 제2 공급관(2292)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입수포트(222)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2 바이패스관(224) 또는 제2 공급관(229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급관(2292)으로 유입된 물은, 제2 공급포트(618)를 통해 제2 장치(6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second supply port (618)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supply pipe (2292).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bypass pipe (224) and the second supply pipe (2292).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inlet port (222) can flow into the second bypass pipe (224) or the second supply pipe (2292).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upply pipe (2292) can flow into the second device (600) through the second supply port (618).
격벽(619)은 조절밸브(225, 226)와 간섭될 수 있다. 격벽(619)은 조절밸브(225, 226)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하우징(610)과 제1 장치(200)가 결합될 때, 격벽(619)은 하측으로 이동되어 조절밸브(225, 226)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격벽(619)은 조절밸브(225, 226)의 일단부를 제1 방향(P)으로 누를 수 있고, 조절밸브(225, 226)는 Q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bulkhead (619) can interfere with the control valve (225, 226). The bulkhead (619) can press the control valve (225, 226) downward. When the housing (610) and the first device (200) are combined, the bulkhead (619) can move downward to press the control valve (225, 226) downward. The bulkhead (619) can press one end of the control valve (225, 226) in the first direction (P), and the control valve (225, 226) can be rotated in the Q direction.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9 to 11,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9는 유로어셈블리(220)의 일부와 조절밸브(225)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유로어셈블리(220)의 일부와 조절밸브(225)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9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Euro assembly (220) and the control valve (225) in isola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Euro assembly (220) and the control valve (225) in isola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9.
이하에서는 제1 조절밸브(225)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조절밸브(225)에 대한 내용은 제2 조절밸브(22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Below, the first control valve (225)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25) below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조절밸브(225)는 입수포트(221)와 연결될 수 있다. 조절밸브(225)는 입수포트(2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밸브(225)는 입수포트(221)와 바이패스관(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밸브(225)는 입수포트(221)와 공급관(22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port (221). The control valve (225)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port (221). The control valve (225) can be arranged between the inlet port (221) and the bypass pipe (223). The control valve (225) can be arranged between the inlet port (221) and the supply pipe (2291).
조절밸브(225)는 레버(2251)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251)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may include a lever (2251). The lever (2251)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조절밸브(225)는 간섭부(2252)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2252)는 레버(2251)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ortion (2252). The interference portion (2252) may form one end of the lever (2251).
조절밸브(225)는 샤프트관통홀(2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관통홀(2253)은 레버(2251)에 개구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may include a shaft penetration hole (2253). The shaft penetration hole (2253) may be opened to the lever (2251).
조절밸브(225)는 샤프트(2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2254)는 샤프트관통홀(2253)로 삽입될 수 있다. 레버(2251)는 샤프트(2254)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may include a shaft (2254). The shaft (2254)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2253). The lever (2251)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2254).
조절밸브(225)는 마개(2255)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2255)는 샤프트(225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개(2255)는 샤프트(2254)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마개(2255)는 바이패스관(223) 또는 공급관(2291)의 입구측을 폐쇄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may include a plug (2255). The plug (2255)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the shaft (2254). The plug (2255)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2254). The plug (2255) may close the inlet side of the bypass pipe (223) or the supply pipe (2291).
조절밸브(225)는 리턴스프링(2256)을 포함할 수 있다. 리턴스프링(2256)은 레버(2251)와 연결될 수 있다. 리턴스프링(2256)은 레버(2251)에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리턴스프링(2256)은 레버(2251)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25) may include a return spring (2256). The return spring (2256)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2251). The return spring (2256) may generate a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2251). The return spring (2256) may rotate the lever (2251).
레버(2251)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간섭부(2252)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마개(2255)는 공급관(2291)을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입수포트(221)로 유입된 물은, 바이패스관(2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입수포트(221)로 유입된 물은, 공급관(2291)으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입수유로(221a) 내부의 물은, 바이패스유로(223a)로 유입될 수 있다. 입수유로(221a) 내부의 물은, 공급유로(2291a)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When the lever (2251) is rotated downward and the interference part (2252) moves upward, the plug (2255) can close the supply pipe (2291). At this tim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221) can flow into the bypass pipe (223). In addition,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221) may not flow into the supply pipe (2291). Water inside the inlet passage (221a) can flow into the bypass passage (223a). Water inside the inlet passage (221a) may not flow into the supply passage (2291a).
레버(2251)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간섭부(2252)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마개(2255)는 바이패스관(223)을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입수포트(221)로 유입된 물은, 바이패스관(223)으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입수포트(221)로 유입된 물은, 공급관(229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입수유로(221a) 내부의 물은, 바이패스유로(223a)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입수유로(221a) 내부의 물은, 공급유로(2291a)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lever (2251) is rotated upward and the interference part (2252) moves downward, the plug (2255) can close the bypass pipe (223). At this tim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221) may not flow into the bypass pipe (223). In addition,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221) may flow into the supply pipe (2291). Water inside the inlet passage (221a) may not flow into the bypass passage (223a). Water inside the inlet passage (221a) may flow into the supply passage (2291a).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and FIG. 12,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12는 하우징(610)의 형상 및 유로의 연결관계를 제2 장치(600)의 종류 별로 구분한 표이다.Figure 12 is a table that classifies the shape of the housing (610)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flow path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cond device (600).
커버(3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될 때, 제1 공급관(2291)이 폐쇄될 수 있다. 커버(3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될 때, 제2 공급관(2292)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커버(300)는 제1 장치(200)로부터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When the cover (300)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first supply pipe (2291) can be closed. When the cover (300)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second supply pipe (2292) can be closed. Accordingly, the cover (300) may not be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from the first device (200).
커버(300)는 제1, 2음료제조장치(400, 500)보다 격벽(619)의 폭(w3)이 좁을 수 있다. 이에, 커버(300)의 격벽(619)은 제1, 2조절밸브(225, 226)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300)와 제1 장치(200)가 결합될 때, 제1, 2조절밸브(225, 226)는 제1, 2공급관(2291, 2292)을 폐쇄할 수 있다.The cover (300) may have a narrower width (w3) of the partition (619) than the first and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s (400, 500). Accordingly, the partition (619) of the cover (300) may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When the cover (300) and the first device (200) are combine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may close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2291, 2292).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될 때, 제1 공급관(2291)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될 때, 제2 공급관(2292)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제1 장치(200)로부터 정수,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When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first supply pipe (2291) can be opened. When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second supply pipe (2292) can be opened. Accordingly,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can receiv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from the first device (200).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커버(300)와 제2 음료제조장치(500)보다 격벽(619)의 폭(w3)이 넓을 수 있다. 이에, 제1 음료제조장치(400)의 격벽(619)은 제1, 2조절밸브(225, 226)와 간섭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와 제1 장치(200)가 결합될 때, 제1, 2조절밸브(225, 226)는 제1, 2바이패스관(223, 224)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음료제조장치(400)와 제1 장치(200)가 결합될 때, 제1, 2조절밸브(225, 226)는 제1, 2공급관(2291, 2292)을 개방할 수 있다.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have a wider width (w3) of the partition wall (619) than the cover (300) and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619) of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interfer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When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nd the first device (200) are combine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may close the first and second bypass pipes (223, 224). When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nd the first device (200) are combine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may open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2291, 2292).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될 때, 제1 공급관(2291)이 폐쇄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제1 장치(200)와 결합될 때, 제2 공급관(2292)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제1 장치(20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정수와 냉수는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first supply pipe (2291) can be closed. When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is coupled with the first device (200), the second supply pipe (2292) can be opened. Accordingly,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can receive hot water from the first device (200), and cannot receive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커버(300)보다 넓고 제1 음료제조장치(400)보다는 좁은 폭(w3)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 음료제조장치(500)의 격벽(619)은 제1 조절밸브(225)와는 간섭되지 않고 제2 조절밸브(226)와는 간섭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와 제1 장치(200)가 결합될 때,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바이패스관(223)을 개방하고 제1 공급관(2291)은 폐쇄할 수 있다. 제2 음료제조장치(500)와 제1 장치(200)가 결합될 때,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바이패스관(224)을 폐쇄하고 제2 공급관(2292)은 개방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have a width (w3) that is wider than the cover (300) and narrower than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ccordingly, the partition (619) of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trol valve (225) but may interfere with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When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and the first device (200) are combined, the first control valve (225) may open the first bypass pipe (223) and close the first supply pipe (2291). When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and the first device (200) are combined,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may close the second bypass pipe (224) and open the second supply pipe (229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13은 제1 장치(200)와 커버(3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제1 장치(200)와 커버(30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의 상부이다.Fig. 13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cover (300). Fig. 14 is an upp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cover (300) combined.
제1 공급포트(317)는 제1 공급관(229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공급포트(318)는 제2 공급관(2292)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ort (317)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ly pipe (2291). The second supply port (318)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ly pipe (2292).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바이패스관(223)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공급관(2291)을 폐쇄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open the first bypass pipe (223). 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close the first supply pipe (2291).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바이패스관(224)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공급관(2292)을 폐쇄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open the second bypass pipe (224).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close the second supply pipe (2292).
격벽(319)은 제1 조절밸브(225)와 제2 조절밸브(2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격벽(319)은 제1, 2 조절밸브(225, 226)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A bulkhead (319) can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ntrol valve (225)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The bulkhead (319) may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입수관(212) 내의 물은, 입수포트(221, 222)를 통해 바이패스관(223, 22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조절밸브(225, 226)의 마개(2255)는 제1, 2공급관(2291, 2292)을 폐쇄할 수 있다.Water in the intake pipe (212) can flow into the bypass pipe (223, 224) through the intake port (221, 222). The plug (2255) of the control valve (225, 226) can close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2291, 2292).
커버(300)는 제1 돌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314)는 공급관(2291, 229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기(314)는 공급포트(317, 318)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ver (300) may include a first projection (314). The first projection (314) may be inserted into a supply pipe (2291, 2292). The first projection (314) may form a lower portion of a supply port (317, 318).
커버(300)는 제2 돌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315)는 음료공급관(2293)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기(315)는 제1 돌기(314)의 전방에 이격될 수 있다.The cover (30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315). The second protrusion (315) may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The second protrusion (315) may be spaced in front of the first protrusion (314).
바이패스관(223, 224)으로 유입된 물은, 합지관(227)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합지관(227)으로 유입된 물은, 출수관(230)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Water flowing into the bypass pipe (223, 224) can flow into the combined pipe (227). Water flowing into the combined pipe (227) can flow downward through the outlet pipe (230).
절환밸브(228)는 조절밸브(225)(도 9 내지 도 11참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환밸브(228)는 레버(2281) 및 마개(22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valve (228)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trol valve (225) (see FIGS. 9 to 11). The switching valve (228) may include a lever (2281) and a plug (2285).
제1 장치(200)와 커버(300)가 결합될 때, 레버(2281)는 마개(2285)가 음료공급관(2293)을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레버(2281)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레버(2281)는 컨트롤러(98)(도 2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98)는 제1 장치(200)와 커버(300)가 결합될 때, 레버(2281)를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cover (300) are coupled, the lever (2281) can be rotated so that the cap (2285) closes the beverage supply tube (2293). The lever (2281) can be manually rotated by a user. Alternatively, the lever (228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98) (see FIG. 2), and the controller (98) can rotate the lever (2281) wh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cover (300) are coupled.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5 and 16,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15은 제1 장치(200)와 제1 음료제조장치(4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6는 제1 장치(200)와 제1 음료제조장치(40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의 상부이다.Fig. 15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Fig. 16 is an upp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combined.
제1 공급포트(417)는 제1 공급관(229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공급포트(418)는 제2 공급관(2292)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ort (417)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ly pipe (2291). The second supply port (418)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ly pipe (2292).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바이패스관(223)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공급관(2291)을 개방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close the first bypass pipe (223). 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open the first supply pipe (2291).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바이패스관(224)을 폐쇄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공급관(2292)을 개방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close the second bypass pipe (224).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open the second supply pipe (2292).
격벽(419)은 제1 조절밸브(225)와 제2 조절밸브(226)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다. 격벽(419)은 제1, 2 조절밸브(225, 226)와 간섭될 수 있다.The bulkhead (419) can press the first control valve (225)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downward. The bulkhead (419) can interfer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225, 226).
입수관(212) 내의 물은, 입수포트(221, 222)를 통해 공급관(2291, 229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조절밸브(225, 226)의 마개(2255)는 제1, 2공급관(2291, 2292)을 개방할 수 있다. 조절밸브(225, 226)의 마개(2255)는 제1, 2바이패스관(223, 224)을 폐쇄할 수 있다.Water in the intake pipe (212) can flow into the supply pipes (2291, 2292) through the intake ports (221, 222). The plug (2255) of the control valve (225, 226) can open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2291, 2292). The plug (2255) of the control valve (225, 226) can close the first and second bypass pipes (223, 224).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입수유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유로(460)는 공급포트(417, 418)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포트(417, 418) 내의 물은 입수유로(460)를 통해 하우징(410)의 내부공간(4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410) 내로 유입된 물은, 분말캡슐(430)의 내부의 분말가루(PM)(도 5참조)를 용해시킬 수 있다.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include an inlet passage (460). The inlet passage (460) may be connected to a supply port (417, 418). Water in the supply port (417, 418) may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413) of the housing (410) through the inlet passage (460).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410) may dissolve powder (PM) (see FIG. 5) inside the powder capsule (430).
플로팅밸브(450)는 입수유로(4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로팅밸브(450)는 공급포트(417, 41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ating valve (450) can be placed within the intake passage (460). The floating valve (450) can be placed above the supply port (417, 418).
입수유로(460)는 유로인렛(461)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인렛(461)은 공급포트(417, 41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입수유로(460)는 밸브수용공간(462)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수용공간(462)은 유로인렛(46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take passage (460) may include a flow inlet (461). The flow inlet (46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upply port (417, 418). The intake passage (460) may include a valve receiving space (462). The valve receiving space (462) may be formed inside the flow inlet (461).
플로팅밸브(450)는 밸브수용공간(462)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급포트(417, 418)를 통해 입수유로(460)로 물이 유입될 때, 유입되는 물은 상방으로의 수력(F)을 발생시켜 플로팅밸브(450)를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플로팅밸브(45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입수유로(460)를 개방할 수 있다. 플로팅밸브(450)는 공급포트(417, 418)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시, 하강하여 공급포트(417, 418)를 폐쇄할 수 있다.The floating valve (450) can be movably arranged within the valve receiving space (462). When water flows into the inlet passage (460) through the supply port (417, 418), the flowing water can generate upward hydraulic force (F) to push the floating valve (450) upward. The floating valve (450) can move upward to open the inlet passage (460). When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upply port (417, 418), the floating valve (450) can be lowered to close the supply port (417, 418).
사이펀(440)은 제1 출수유로(4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수유로(4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출수유로(441)는 하우징(410)의 내부공간(413)과 연통될 수 있다.The siphon (440) may include a first outlet passage (441).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may be connected to an internal space (413) of the housing (410).
사이펀(440)은 제2 출수유로(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수유로(44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출수유로(442)는 제1 출수유로(441)와 연결될 수 있다.The siphon (440) may include a second outlet passage (442). The second outlet passage (442)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outlet passage (44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사이펀(440)은 코너유로(443)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유로(443)는 제1 출수유로(441)와 제2 출수유로(442)를 연결할 수 있다. 코너유로(443)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질 수 있다.The siphon (440) may include a corner channel (443). The corner channel (443) may connect the first outlet channel (441) and the second outlet channel (442). The corner channel (443) may be convexly bent upward.
분말캡슐(430) 내의 분말가루(PM)를 용해시킨 용액은, 사이펀(440)을 통해 음료공급관(229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음료공급관(2293)으로 유입된 물은, 출수관(230)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A solution in which powder (PM) is dissolved in the powder capsule (430)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through the siphon (440). Water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can flow downward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230).
절환밸브(228)는 조절밸브(225)(도 9 내지 도 11참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환밸브(228)는 레버(2281) 및 마개(22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valve (228)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trol valve (225) (see FIGS. 9 to 11). The switching valve (228) may include a lever (2281) and a plug (2285).
제1 장치(200)와 제1 음료제조장치(400)가 결합될 때, 레버(2281)는 마개(2285)가 합지관(227)을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레버(2281)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레버(2281)는 컨트롤러(98)(도 2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98)는 제1 장치(200)와 제1 음료제조장치(400)가 결합될 때, 레버(2281)를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re coupled, the lever (2281) can be rotated so that the stopper (2285) closes the joint tube (227). The lever (2281) can be manually rotated by a user. Alternatively, the lever (228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98) (see FIG. 2), and the controller (98) can rotate the lever (2281) wh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are coupled.
도 17을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17은 제1 음료제조장치(4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수위센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470)는 하우징(41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센서(470)는 컨트롤러(98)(도 2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98)는 수위센서(470)로부터 하우징(410) 내부 수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470). The water level sensor (470) may measure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0). The water level sensor (4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98) (see FIG. 2). The controller (98)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0) from the water level sensor (470).
컨트롤러(98)(도 2참조)는, 하우징(410) 내부의 수위가 제한수위(WL)에 도달할 때까지 하우징(410)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한수위(WL)는 코너유로(443)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정수기(9)는 출수장치(10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컨트롤러(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98)는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98)는 하우징(410) 내부의 수위가 제한수위(WL)에 도달했을 때,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컨트롤러(98)는 하우징(410) 내부 수위가 제한수위(WL)에 도달한 이후, 기 설정된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410) 내부의 수위는 제한수위(WL) 이상이 되어, 제2 출수유로(4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하우징(410) 내부의 물은 '사이펀작용'에 의해 출수관(230)(도 16참조)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The controller (98) (see FIG. 2) can supply water into the housing (410) until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0) reaches the limit water level (WL). The limit water level (WL) can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rner channel (443). The water purifier (9) can include a flow rate control valv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100). The flow rate control valv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8), and the controller (98) can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e controller (98) can close the flow rate control valv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0) reaches the limit water level (WL). The controller (98) can open the flow rate control valve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0) reaches the limit water level (WL). At this time,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0) becomes higher than the water limit level (WL), and can flow downward along the second outlet passage (442). The water inside the housing (410) can flow toward the outlet pipe (230) (see FIG. 16) by 'siphon action'.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제1 단차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차부(414)는 하우징(4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단차부(414)는 제1 출수유로(441)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출수유로(441)의 하단은, 하우징(410)의 하벽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단차부(414)가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P2)는, 제1 출수유로(441)와 하우징(410)의 하벽 사이의 간격(P1)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410) 내부의 물이 사이펀작용에 의해 사이펀(440)을 통해 빠져나간 이후, 하우징(410) 내부의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include a first step (414). The first step (414) may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10). The first step (414) may face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wall of the housing (410). The height (P2) at which the first step (414) protrudes upward may be greater than the gap (P1) between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and the lower wall of the housing (410). As a result, after the water inside the housing (410) is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440) by the siphon action, the residual water inside the housing (410) may be minimized.
제1 음료제조장치(400)는 제2 단차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차부(435)는 분말캡슐(4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단차부(435)는 제1 출수유로(441)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출수유로(441)의 하단은, 하우징(410)의 하벽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2 단차부(435)가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P3)는, 제1 출수유로(441)와 하우징(410)의 하벽 사이의 간격(P1)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410) 내부의 물이 사이펀작용에 의해 사이펀(440)을 통해 빠져나간 이후, 하우징(410) 내부의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단차부(435)는 제1 단차부(4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고, 제2 단차부(435)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may include a second step (435). The second step (435) may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powder capsule (430). The second step (435) may face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wall of the housing (410). The height (P3) at which the second step (435) protrudes upward may be greater than the gap (P1) between the first outlet passage (441) and the lower wall of the housing (410). As a result, after the water inside the housing (410) is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440) by the siphon action, the residual water inside the housing (410) may be minimized. The second step (435) may be placed above the first step (414).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step is not formed and only the second step (435) is forme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출수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8 and 19, the discharge device (100) is described.
도 18은 제1 장치(200)와 제2 음료제조장치(5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제1 장치(200)와 제2 음료제조장치(50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의 상부이다.Fig. 1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Fig. 19 is an upp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combined.
제1 공급포트(517)는 제1 공급관(229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공급포트(518)는 제2 공급관(2292)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ort (517)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ly pipe (2291). The second supply port (518)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ly pipe (2292).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바이패스관(223)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조절밸브(225)는 제1 공급관(2291)을 폐쇄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open the first bypass pipe (223). The first control valve (225) can close the first supply pipe (2291).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바이패스관(224)을 폐쇄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6)는 제2 공급관(2292)을 개방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close the second bypass pipe (224).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can open the second supply pipe (2292).
격벽(519)은 제1 조절밸브(225)의 일측에 이격될 수 있다. 격벽(519)은 제1 조절밸브(225)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격벽(519)은 제2 조절밸브(226)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다. 격벽(519)은 제2 조절밸브(226)와 간섭될 수 있다.The bulkhead (519) may be spac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ntrol valve (225). The bulkhead (519) may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trol valve (225). The bulkhead (519) may press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downward. The bulkhead (519) may interfere with the second control valve (226).
입수관(212) 내의 물은, 입수포트(222)를 통해 공급관(229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조절밸브(226)의 마개(2265)는 제2 공급관(2292)을 개방할 수 있다. 조절밸브(226)의 마개(2265)는 제2 바이패스관(224)을 폐쇄할 수 있다.Water in the intake pipe (212) can flow into the supply pipe (2292) through the intake port (222). The stopper (2265) of the control valve (226) can open the second supply pipe (2292). The stopper (2265) of the control valve (226) can close the second bypass pipe (224).
플로팅밸브(540)는 입수유로(5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로팅밸브(540)는 공급포트(51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ating valve (540) may be placed within the intake passage (513). The floating valve (540) may be placed above the supply port (518).
플로팅밸브(450)는 입수유로(513)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급포트(518)를 통해 입수유로(513)로 물이 유입될 때, 유입되는 물은 상방으로의 수력을 발생시켜 플로팅밸브(540)를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플로팅밸브(54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입수유로(513)를 개방할 수 있다. 플로팅밸브(540)는 공급포트(518)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시, 하강하여 공급포트(518)를 폐쇄할 수 있다.The floating valve (450) can be movably arranged within the intake passage (513). When water flows into the intake passage (513) through the supply port (518), the flowing water can generate upward hydraulic force to push the floating valve (540) upward. The floating valve (540) can move upward to open the intake passage (513). When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upply port (518), the floating valve (540) can be lowered to close the supply port (518).
입수유로(513)로 유입된 물은 연장관(512)을 통해 커버유로(521)로 유입될 수 있다. 커버유로(521)로 유입된 물은 스파이크(523)를 통해 커피캡슐(CS)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커피캡슐(CS) 내로 유입된 물은, 커피분말을 용해시킬 수 있다.Water flowing into the intake channel (513) can flow into the cover channel (521) through the extension pipe (512). Water flowing into the cover channel (521) can flow into the coffee capsule (CS) through the spike (523). Water flowing into the coffee capsule (CS) can dissolve coffee powder.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로어스파이크(5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스파이크(550)는 수용벽(511)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커피캡슐(CS)의 커피분말을 용해시킨 물은, 로어스파이크(550)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include a lower spike (550). The lower spike (550) may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wall (511). Water in which coffee powder of the coffee capsule (CS) is dissolved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lower spike (550).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출수유로(56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유로(560)는 로어스파이크(550)와 연결될 수 있다. 로어스파이크(550)를 통해 유동하는 커피용해액은 출수유로(560)를 통해 음료공급관(2293)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include a water outlet (560). The water outlet (56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spike (550). The coffee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lower spike (550) may flow into a beverage supply pipe (2293) through the water outlet (560).
제2 음료제조장치(500)는 출수포트(514)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포트(514)는 출수유로(560)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출수포트(514)는 출수유로(560)와 음료공급관(2293)을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514). The discharge port (514)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ath (560). The discharge port (514) may connect the discharge path (560) and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음료공급관(2293)으로 유입된 물은, 출수관(230)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Water flowing into the beverage supply pipe (2293) can flow downward through the outlet pipe (230).
절환밸브(228)는 조절밸브(225)(도 9 내지 도 11참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환밸브(228)는 레버(2281) 및 마개(22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valve (228)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trol valve (225) (see FIGS. 9 to 11). The switching valve (228) may include a lever (2281) and a plug (2285).
제1 장치(200)와 제2 음료제조장치(500)가 결합될 때, 레버(2281)는 마개(2285)가 합지관(227)을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레버(2281)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레버(2281)는 컨트롤러(98)(도 2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98)는 제1 장치(200)와 제2 음료제조장치(500)가 결합될 때, 레버(2281)를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are coupled, the lever (2281) can be rotated so that the stopper (2285) closes the joint tube (227). The lever (2281) can be manually rotated by a user. Alternatively, the lever (228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98) (see FIG. 2), and the controller (98) can rotate the lever (2281) when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are coupl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Furtherm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form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if the modified embodiments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y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and all changes coming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9: 정수기91: 케이스
92: 회전체100: 출수장치
200: 제1 장치300: 커버
400: 제1 음료제조장치500: 제2 음료제조장치9: Water purifier 91: Case
 92: Rotating body 100: Water discharge device
 200: 1st device 300: Cover
 400: First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500: Seco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28796AKR102782029B1 (en) | 2022-10-07 | 2022-10-07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28796AKR102782029B1 (en) | 2022-10-07 | 2022-10-07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48920A KR20240048920A (en) | 2024-04-16 | 
| KR102782029B1true KR102782029B1 (en) | 2025-03-1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28796AActiveKR102782029B1 (en) | 2022-10-07 | 2022-10-07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8202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E102004056224A1 (en) | 2004-11-19 | 2006-05-24 | Tchibo Gmbh | System with a coffee maker and a portion capsule | 
| EP3480318A1 (en) | 2017-11-06 | 2019-05-08 | Roquette Freres | A genetically modified bacillus subtilis strain, optimized vectors, and uses thereof | 
| KR20200124133A (en)* | 2019-04-23 | 2020-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inking water dispens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48920A (en) | 2024-04-1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640846B2 (en) | Diverter valve and channel for brewed beverage maker | |
| US10898026B2 (en) | Water container and a machine for making beverages comprising said container | |
| US20020017326A1 (en) | Device to deliver and mix water | |
| US7559273B2 (en) | Substance-extraction device and machine for producing drinks | |
| JP2011511979A (en) | Beverage vending machine | |
| CN216822876U (en) | Water dispenser | |
| US6425415B2 (en) | Device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water | |
| KR102782029B1 (en)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 CN212429848U (en) | Integrated valve core matched with thermostatic valve core | |
| CN111306326A (en) | Integrated valve core matched with thermostatic valve core | |
| KR20110022852A (en) | Electromagnetic Water Supply Valve | |
| CN115681569A (en) | Valve core seat and valve core module set | |
| EP4345347A1 (en) | A valve core and a pull-out faucet thereof | |
| KR102782028B1 (en)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 KR102785293B1 (en)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 KR20230098529A (en) | Storage Unit for Capsule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and Capsule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CN216344098U (en) | Valve core seat and valve core module group | |
| KR102782026B1 (en) | Liquid outlet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
| KR20120111880A (en) | Coke capable of converting flow routine | |
| CN211901592U (en) | Take tap of soft water function | |
| KR102782031B1 (en) |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 |
| CN222357522U (en) | Flip mechanism of small beverage machine | |
| KR200401806Y1 (en) | water flow converting apparatus for the bidet | |
| KR102782027B1 (en) | Water outlet device and water purifier | |
| KR102610982B1 (en) |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210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53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5013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5031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5031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