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77305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3054B1
KR102773054B1KR1020180076690AKR20180076690AKR102773054B1KR 102773054 B1KR102773054 B1KR 102773054B1KR 1020180076690 AKR1020180076690 AKR 1020180076690AKR 20180076690 AKR20180076690 AKR 20180076690AKR 102773054 B1KR102773054 B1KR 10277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acha
item
opening
us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3660A (en
Inventor
김수영
김혜수
민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filedCritical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76690ApriorityCriticalpatent/KR102773054B1/en
Publication of KR2020000366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00003660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05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773054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며, 아이템 제공 장치는 복수의 유저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여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유저에게 아이템을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tem are provided, wherein the device for providing an item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users, and a control unit for recruiting users who will invest in opening a gacha, opening the gacha whe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ost of opening the gacha is invested, and distributing items to the users.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챠를 타 유저와 협업하여 개봉할 수 있는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relate to an item providing device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tem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at enables opening of gacha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users.

최근 들어 온라인 게임의 저변이 확대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휴대단말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온라인 게임을 즐기게 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유저에게 게임 상에서 더욱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ecently, as the base of online games has expanded, many people have started to enjoy various online games using their mobile devices. These online games usually provide various items to users to provide them with more diverse functions and performances in the game.

이러한 아이템은 유저에게 흥미를 부여하는 중요한 게임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아이템에 관한 선행기술 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6657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게임에서 아이템의 능력치를 변환하거나 능력치가 변환된 아이템으로부터 새로운 아이템을 추출하여 유저 단말로 제공하는 아이템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These items are one of the important game elements that provide interest to users. As a prior art document regarding these items,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6657.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n item providing method that converts the ability value of an item in a game or extracts a new item from an item whose ability value has been converted and provides it to a user terminal.

이와 달리, 유저에게 새로운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식의 하나로 가챠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가챠 시스템(Gacha system)은 게임에서 가챠, 즉 확률형 아이템을 소비시켜 유저가 미리 알 수 없는 새로운 아이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가챠 시스템은 유저가 알 수 없는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해 랜덤 박스(random box) 형태의 가챠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챠 시스템은 유저에게 가챠 아이템이 소비되기 전에 어떤 아이템을 획득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지 않음으로 새로운 아이템에 대한 기대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contrast, there is a gacha system as one way to provide new items to users. This gacha system provides new items that users cannot know in advance by consuming gacha, or probability items, in the game. For example, a gacha system can use a random box type gacha to provide items that users cannot know. Therefore, a gacha system can provide users with anticipation for new items by not providing information in advance about which items they will obtain before consuming the gacha items.

더불어, 현재 게임에서는 특정 유저의 개인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타 유저와의 협업을 통해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가챠 시스템에서 가챠는 대부분 유저 개인이 직접 구매하여 개인이 직접 개봉하는 형태로 활용될 뿐 타 유저와의 협업을 통해 개봉하도록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urrent game, the way in which a specific user plays the game is increasing, as well as the way in which the game is play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users. However, in the current gacha system, most gachas are used in the form of individual users purchasing them and opening them themselv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be used to open th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users.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ology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ecame necessary.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background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considered as public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가챠를 타 유저와 협업하여 개봉할 수 있는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im to suggest an item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open a gacha in collaboration with other user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템 제공 장치는 복수의 유저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여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유저에게 아이템을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item providing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users, and a control unit for recruiting users to invest in opening a gacha, opening the gacha whe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is invested, and distributing items to the user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아이템 제공 방법은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유저에게 아이템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 item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n item providing device includes a step of recruiting users to invest in opening a gacha, and a step of opening the gacha and distributing items to the users when an amount corresponding to an opening cost of the gacha is invest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유저에게 아이템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item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ruiting users to invest in opening a gacha; and opening the gacha and distributing items to the users whe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ost of opening the gacha is invest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아이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유저에게 아이템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items, which is performed by an item providing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recruiting users to invest in opening a gacha, and whe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ost of opening the gacha is invested, opening the gacha and distributing items to the users.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챠를 타 유저와 협업하여 개봉할 수 있는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for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an item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open gacha in collaboration with other users can be propos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챠에 투자를 하는 유저의 단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에서 아이템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에서 유저의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분배되는 아이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유저에게 제공되는 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로부터 가챠로 다른 유저를 초대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of a user investing in gach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item providing method in an item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items distributed based on a user's investment amount in an item provis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reward provided to a user according to a touch event in an item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inviting another user to gacha from a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various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that are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In addition, parts in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another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But before explaining this, let's first defin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below.

‘아이템’은 유저의 게임 수행 결과를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게임요소로서, 게임객체들 중 유저가 제어하는 제어대상의 게임 수행 능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게임객체들 중 유저의 게임 수행을 저지하는 객체들이나 상대방 유저가 제어하는 게임객체의 게임 수행 능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퇴보시키거나, 또는 유저에게 주어진 게임 수행 기회나 게임 내에서의 특정 동작의 실행 또는 특수능력의 발휘 기회를 추가적으로 부여하는 게임객체 또는 그 외의 기타 게임요소일 수 있다. 아이템은 게임 내에서 판매 될 수 있고, 유저 간의 아이템 교환이나 거래, 선물하기가 가능할 수 있다.An ‘item’ is a game element used to improve the game performance results of a user, and may be a game object or other game element that improves the game performance ability of a control target controlled by a user at least temporarily, or an object among game objects that impedes the user’s game performance or at least temporarily regresses the game performance ability of a game object controlled by an opposing user, or additionally grants the user a given game performance opportunity, a chance to execute a specific action within the game, or a chance to demonstrate a special ability. Items may be sold within the game, and may be exchanged, traded, or gifted between users.

'가챠'는 게임 중에 유저에게 특정되지 않은 아이템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제공하기 위한 아이템의 한 형태이다. 다시 말해, 가챠는 소정 개수의 아이템을 무작위로 뽑게 해주는 아이템으로 확률형 아이템으로 칭할 수도 있다. 가챠는 오픈(또는, 구매)을 위한 비용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유저를 모집하여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을 유저 각각의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분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챠는 둘 이상의 유저 각각에 아이템을 분배하기 위해, 오픈 시 둘 이상의 아이템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유저에게 아이템을 분배하여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가챠로부터 복수의 아이템이 제공될 수 있다.'Gacha' is a form of item that randomly selects and provides an unspecified item to a user during the game. In other words, gacha is an item that allows a certain number of items to be randomly drawn, and can be called a probability item. The cost for opening (or purchasing) a gacha can be set in advance, and when two or more users are recruited and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is invested, the randomly selected items can be distributed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of each user. Therefore, the gacha can randomly select two or more items when opening in order to distribute the items to each of two or more users. In other words, multiple items can be provided from one gacha in order to distribute and provide the items to multiple users.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terms defined above, terms that require explanation are each explained separately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게임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게임의 시계열적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a game, and detects and records various events occurring within the game to enable the game to progress in a chronological order.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에게 다양한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아이템의 하나로 가챠를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의 오픈(또는 구입)을 위해 소정 금액을 유저로부터 투자받을 수 있으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유저로부터 투자받으면, 가챠를 오픈하여 유저 각각에 아이템을 투자 금액에 비례하여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various items to users playing the game, and can provide gacha as one of the various items.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investment from users for opening (or purchasing) gacha, and whe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cost of opening gacha is invested from users, the gacha can be opened and items can be distributed to each user in proportion to the investment amount.

상술된 바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이템 제공 장치(100)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terminal having a game application installed, or as a server-client system. If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server-client system,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electronic terminal having a client installed for interaction with a user.

이때 전자단말기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nic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 television, a wearable device, etc., which may include an interface that enables interaction with a user.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a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a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Smart Phone, a Mobile WiMAX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etc., and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ddition, television may include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nternet TV, terrestrial TV, cable TV, etc. Furthermore, wearable devices ar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that can be directly worn on the human body, such as watches, glasses, accessories, clothing, and shoes, and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connect to anoth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directly or through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그리고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And the server of the server-client system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terminal on which a client is installed via a network, and can include 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or can store data via a third-party server (not shown).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input/out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입출력부(110)는 유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아이템 제공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110)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the result of performing a task or the status of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unit (110) may include an operation panel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 screen.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put unit may include devices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forms of user input, such as a keyboard, physical buttons, a touch screen, a camera, or a microphone. In addition,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panel or a speaker. However, the input/output unit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various input/output.

통신부(120)는 가챠의 오픈을 위한 유저를 모집하기 위해 복수의 유저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communicate with multiple users to recruit users for opening a gacha.

한편,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or networks.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hipset.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상술된 통신은 예시일 뿐이며, 아이템 제공 장치(1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통신 기법이 가능하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Bluetooth, UWB (Ultra Wide Band),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USB or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ommunication techniques that enab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to perform communication are possible.

한편, 저장부(13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의 예로서, 가챠에 관련된 정보, 가챠에 투자한 유저에 대한 정보, 또는 유저의 터치 입력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files, applications, and programs can be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s examples of data, it can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gacha, information about users who invested in gacha, or information related to user touch input.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는 후술될 제어부(140)에 의해 액세스되어 이용되거나, 또는 제어부(140)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can be accessed and used by the control unit (140) described later, or new data can be stored by the control unit (14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can store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40).

한편, 제어부(140)는 아이템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유저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아이템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CPU.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to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11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execute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rea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or store new data in the storage unit (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게임에 참여한 유저에게 가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챠는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관점에서 일반적인 가챠와 유사할 수 있다. 하지만, 제안된 실시예에서 설명될 가챠는 하나의 가챠에 대해서 둘 이상의 유저를 모집하고, 투자 금액이 설정된 금액에 도달하면 오픈되어 유저 각각에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챠와는 차별화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gacha to us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game. Here, gacha may be similar to general gacha in that it provides randomly selected items to users. However, the gacha to be described in the proposed embodiment may be used in a differentiated sense from general gacha because it recruits two or more users for one gacha and opens when the investment amount reaches a set amount to distribute items to each user.

제어부(140)는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고, 유저로부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가챠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가챠가 오픈되면 가챠에 투자한 유저 각각에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가챠 오픈 시 투자 금액, 투자 순서(예를 들어, 선착순), 및 투자 그룹(예를 들어, 초대한 유저와 동일한 길드에 속한 유저 인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분배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40)는 가챠의 오픈 시 아이템을 분배하는 방식을 다양한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recruit users to invest in opening a gacha, and open a gacha whe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cost of opening the gacha is invested from the users. When the gacha is opened, the control unit (140) can distribute items to each user who invested in the gach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can distribute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investment order (e.g., first-come-first-served), and investment group (e.g., whether the user belongs to the same guild as the invited user) when opening the gach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set a method of distributing items when opening the gacha based on various criteria.

상술된 바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The control unit (140)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아이템 제공부(141)와 이벤트 제공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n item providing unit (141) and an event providing unit (142).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챠는 복수의 유저의 투자로 구매될 수 있다.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의 오픈 비용을 모금하기 위한 유저를 모집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부(141)는 유저로부터 게임 내의 재화인 골드, 머니, 보석, 젬, 캐쉬 등으로 가챠의 오픈 비용을 투자받아 가챠를 오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이템 제공부(141)는 유저로부터 투자 요청과 함께 유저로부터 투자 금액을 직접 입력받아 가챠의 오픈 비용을 모금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unit (14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gacha, and the gacha can be purchased with investments from multiple users.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recruit users to raise funds for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open the gacha by receiving investments from users in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such as in-game goods such as gold, money, jewels, gems, and cash. To this end,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receive investment requests from users and directly input investment amounts from users to raise funds for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예를 들어, 가챠의 오픈 비용을 '10000골드'로 설정한 경우,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의 오픈을 위해 제 1 유저로부터 설정된 '3000골드'를 투자받을 수 있으며, 제 2 유저로부터 설정된 '6000골드'를 투자받을 수 있다. 이후, 아이템 제공부(141)는 제 3 유저로부터 설정된'1000골드'를 투자받으면, 가챠의 오픈 비용인 '10000골드'를 모금하였으므로 가챠를 오픈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을 제 1 유저 내지 제 3 유저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is set to '10,000 gold',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receive an investment of '3,000 gold' set from the first user for opening the gacha, and can receive an investment of '6,000 gold' set from the second user. Afterwards, if the item providing unit (141) receives an investment of '1,000 gold' set from the third user, the gacha can be opened and randomly selected items can be distributed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users since the '10,000 gold', which is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has been collected.

이와 같이,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 금액을 유저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가챠의 오픈 비용을 모금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 오픈을 위한 유저를 모집하기 전에 소정 투자 금액을 유저에게 제시하고, 유저로부터 가챠 오픈의 투자 참여 여부만을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부(141)는 유저의 보유 금액(골드, 머니, 보석, 젬, 캐쉬 등) 또는 지불 능력(캐릭터의 레벨, 파밍 능력 등)을 고려하여 유저 각각에 대해 투자 금액을 다르게 제시하거나, 투자 금액을 모든 유저에게 동일하게 제시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collect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by directly inputting the investment amount from the user. However,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also present a predetermined investment amount to the user before recruiting the user for the gacha opening and only receive the user's choice of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investment for the gacha opening. At this time,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present a different investment amount to each user by considering the user's holding amount (gold, money, jewels, gems, cash, etc.) or payment ability (character level, farming ability, etc.), or present the same investment amount to all users.

또한,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 금액이 지나치게 낮은 금액으로 설정되지 않도록 기준 투자 금액을 설정하고, 기준 투자 금액 이상의 투자 금액을 유저에게 투자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에서 제공될 아이템의 가치 등에 비례하여 기준 투자 금액을 가챠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가치는 등급, 구매비용, 희소성, 능력치(스탯) 등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 provision unit (141) may set a standard investment amount so that the investment amount is not set to an excessively low amount, and may request the user to invest an investment amount greater than the standard investment amount. At this time, the item provision unit (141) may set the standard investment amount differently for each gacha in proportion to the value of the item to be provided in the gacha.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item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grade, purchase cost, rarity, ability (stat), etc.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 아이템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가챠를 오픈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가 오픈되면, 아이템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부(141)는 랜덤하게 결정된 아이템을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분배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이템의 획득확률이 낮을수록 더 높은 가치의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open a gacha by investing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a gacha item. When the gacha is opened,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randomly select and distribute items. At this time,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distribute randomly determined items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lower the acquisition probability of an item, the higher the value of the item.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 금액이 상대적으로 많은 유저에게 투자 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유저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 금액에 비례하여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제공부(141)는 '3000골드'를 투자한 제 1 유저에게 '3레벨의 도끼'를 분배한 경우, '6000골드'를 투자한 제 2 유저에게 '6레벨의 검'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 금액이 상대적으로 많은 유저에게 투자 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유저보다 더 많은 개수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제공부(141)는 '3000골드'를 투자한 제 1 유저에게 '풍선 3개'를 분배한 경우, '6000골드'를 투자한 제 2 유저에게 '풍선 6개'를 분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distribute an item having a higher value to a user who invested a relatively large amount than to a user who invested a relatively small amount. Through this,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distribute an item in proportion to the investment amount. Accordingly, if the item providing unit (141) distributes a 'level 3 axe' to a first user who invested '3,000 gold', it can distribute a 'level 6 sword' to a second user who invested '6,000 gold'. In addition,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distribute a larger number of items to a user who invested a relatively large amount than to a user who invested a relatively small amount. Accordingly, if the item providing unit (141) distributes '3 balloons' to a first user who invested '3,000 gold', it can distribute '6 balloons' to a second user who invested '6,000 gold'.

여기서, 아이템 제공부(141)는 랜덤하게 결정된 아이템을 분배할 때,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분배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자 순서(선착순), 투자 그룹(길드원) 등과 같이 다양한 다른 기준을 설정하여 분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에 먼저 참여한 유저일수록 더 좋은 아이템을 분배하거나 초대받아 가챠에 투자한 유저가 초대한 유저와 동일한 길드에 속한 유저일 경우 더 좋은 아이템을 분배할 수도 있다.Here, the item provision unit (141) exemplarily explains distribution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when distributing randomly determined items, but as described above, distribution may be made by setting various other criteria such as the investment order (first-come, first-served) and the investment group (guild members). 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unit (141) may distribute better items to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vestment first, or may distribute better items to users who were invited to invest in gacha and belong to the same guild as the user who invited them.

아이템 제공부(141)는 유저의 모집이 완료되면,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의 모금 완료를 유저 각각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자신이 투자한 가챠의 오픈을 위한 오픈 비용의 모집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recruitment of users is completed, the item provider (141) can notify each user of the completion of fundraising for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Through this, users can check the collection of the opening cost for opening the gacha in which they invested.

아이템 제공부(141)는 유저로부터 가챠의 오픈을 위한 금액을 투자할 다른 유저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다른 유저를 가챠 오픈을 위한 유저로 초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이템 제공부(141)는 다른 유저를 초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부(141)는 유저의 요청에 의해 유저의 친구, 가족, 길드원, 동맹 중 적어도 하나의 관계가 설정된 유저 그룹 또는 유저 그룹 내 선택된 유저를 초대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유저를 초대하는 유저는 가챠에 투자한 유저 또는 가챠에 투자 예정인 일반 유저일 수 있다. 만약,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에 투자하지 않은 유저로부터의 초대인 경우, 다른 유저를 초대할 때 초대를 요청한 유저의 투자 여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부(141)는 "아직 투자를 결정하지 않은 유저로부터의 초대입니다. 가챠에 투자 하시겠습니까?"라고 초대 메시지를 발송할 수도 있다.The item providing unit (141) may receive from the user another user who will invest money for opening the gacha, and invite the selected other user as a user for opening the gacha. To this end, the item providing unit (141) may provide the user with an interface for inviting another user. The item providing unit (141) may invite a user group with at least one relationship set among the user's friends, family, guild members, and allies, or a selected user within the user group, at the user's request. Here, the user inviting the other user may be a user who has invested in the gacha or a general user who plans to invest in the gacha. If the invitation is from a user who has not invested in the gacha, the item providing unit (141) may also provi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who requested the invitation has invested when inviting the other user.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unit (141) may send an invitation message saying, "This is an invitation from a user who has not yet decided to invest. Would you like to invest in the gacha?"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에 대한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속성은 방어구(투구, 갑옷, 방패, 신발 등), 공격무기(창, 칼, 도끼, 활, 석궁 등), 마법(회오리, 공격력 상승/저하, 방어력 상승/저하, 체력 상승/저하, 화염, 독, 안개 등)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부(141)는 투자 금액이 제 1 소정 금액 미만이면,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의 속성을 방어구로 설정할 수 있고, 제 2 소정 금액 미만이면,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의 속성을 공격 무기로 설정할 수 있고, 제 3 소정 금액 미만이면,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의 속성을 마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 제공부(141)는 제 1 소정 금액 내지 제 3 소정 금액을 점차 증가하는 금액으로 설정하거나 감소되는 금액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부(141)는 가챠로 나오는 아이템을 랜덤하게 선택하되, 아이템을 분배받을 유저와 유저의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랜덤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모든 후보 아이템의 속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set the properties of items to be distributed to users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the gacha. For example, the properties of items can be classified into defensive equipment (helmets, armor, shields, shoes, etc.), offensive weapons (spears, swords, axes, bows, crossbows, etc.), and magic (whirlwind, attack power increase/decrease, defense power increase/decrease, stamina increase/decrease, fire, poison, fog, etc.). For example, if the investment amount is less than a first predetermined amount,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set the property of a randomly selected item to defensive equipment, if it is less than a second predetermined amount, the property of a randomly selected item to an offensive weapon, and if it is less than a third predetermined amount, the property of a randomly selected item to magic. Here, the item providing unit (141) can set the first predetermined amount to the third predetermined amount as a gradually increasing amount or a gradually decreasing amount. At this time, the item provision unit (141) randomly selects an item that appears in the gacha, and may set in advance the properties of all candidate items for selecting a random item based on the user who will receive the item and the user's investment amount.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제공부(142)는 가챠의 오픈에 터치 이벤트를 추가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는 유저의 터치 횟수를 카운트하고, 터치 횟수에 따라 게임 내에서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는 이벤트이다. 이벤트 제공부(142)는 유저의 터치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입출력부(110)의 입력부,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및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 제공부(142)는 유저에게 제공된 '가챠 이미지'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만을 터치 횟수로의 카운트를 위한 유효한 유저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제공부(142)는 가챠 이미지를 제외한 타 이미지의 터치 입력은 유효하지 않은 유저 입력으로 카운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event providing unit (14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add a touch event to the opening of the gacha. The touch event is an event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a user touches and provides various rewards within the ga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touches. The event providing unit (142) may use an input unit of the input/output unit (110), for example, a keyboard, a physical button, a touch screen, etc.,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touches. The event providing unit (142) may consider only the user's touch input for the 'gacha image' provided to the user as a valid user input for counting the number of touches. At this time, the event providing unit (142) may prevent touch inputs for images other than the gacha image from being counted as invalid user inputs.

한편, 이벤트 제공부(142)는 짧은 시간 동안 유저로부터의 터치 횟수가 카운트(예를 들어, 5초 동안 20회의 터치)되면, 해당 유저에게 '콤보'를 발생시켜, 카운트된 터치 횟수(20회)에 보너스 터치 횟수(+20회)를 추가 적용(터치 횟수가 40회로 카운트됨)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number of touches from a user is cou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example, 20 touches in 5 seconds), the event provider (142) can generate a 'combo' for the user and additionally apply a bonus touch count (+20 touches) to the counted touch count (20 touches) (the number of touches is counted as 40 touches).

이벤트 제공부(142)는 터치 이벤트의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유저의 터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의 개시 시점은 가챠의 오픈을 위한 투자자를 모집하기 시작하는 시점이고, 터치 이벤트의 종료 시점은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이 투자 완료되는 시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 제공부(142)는 유저의 각각의 터치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소정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제공부(142)는 터치 횟수에 비례하여 유저에게 제공될 아이템의 가치를 조정하거나 추가 아이템의 제공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소정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event provider (142) can count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user from the start time of the touch event to the end time. For example, the start time of the touch event may be the time when investors for the opening of the gacha are recruited, and the end time of the touch event may be the time whe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is invested. In this way, the event provider (142) can count the number of touches of each user and provide a predetermined reward to the user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event provider (142) can adjust the value of an item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es or provide a predetermined rewar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providing an additional item.

예를 들어, 이벤트 제공부(142)는 유저 각각이 동일한 금액을 투자했더라도, 터치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가치를 더 높게 조정하여 분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벤트 제공부(142)는 기준 터치 횟수 미만의 터치 입력이 존재하는 유저의 아이템의 가치를 더 낮게 조정(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유저의 분배 아이템에 대해 등급을 하향 조정)하여 분배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vent provider (142) may adjust the value of the item to be distributed to a user with a relatively high number of touches to be higher, even if each user invested the same amount. Conversely, the event provider (142) may adjust the value of the item to be distributed to a user with a touch input less than the standard number of touches to be lower (for example, lowering the level of the distributed item to a user with no touch inputs).

한편, 이벤트 제공부(142)는 유저로부터 선택 또는 투입된 가챠에 대해 특정 시간 내에 가챠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이벤트 제공부(142)는 특정 시간 내에 가챠에 대한 터치 횟수가 많을수록 획득 확률이 낮은(또는, 가치가 높은) 아이템이 제공되거나 아이템 획득 확률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 제공부(142)는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Meanwhile, the event provider (142) can distribute items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on the gacha selected or entered by the user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For example, the event provider (142) can provide items with a lower acquisition probability (or higher value) or increase the item acquisition probability as the number of touches on the gacha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increases. In this way, the event provider (142) can distribute items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챠에 투자를 하는 유저의 단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of a user investing in gach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화면(200)에 가챠(210)를 제공하기 위한 '가챠 상점'을 표시할 수 있다. '가챠 상점'에는 가챠(210)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 3,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play a 'gacha shop' for providing gacha (210) on the screen (200). The 'gacha shop' displays gacha (210).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210)의 오픈을 위한 비용으로 예를 들어, '4000머니'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210)에 투자한 유저들에 의해 현재 투자된 금액의 합계를 가챠 게이지(2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 게이지(220)에 유저들로부터 약 3000머니의 금액이 투자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set, for example, '4000 money' as a cost for opening a gacha (210). At this tim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the sum of the amount currently invested by users who have invested in the gacha (210) through the gacha gauge (220). Currently,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indicate that about 3000 money has been invested by users in the gacha gauge (220).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 게이지(220)의 측면에 참여 유저수(230)를 표시할 수 있으며, 참여 유저수(230)에 약 3000머니의 금액을 투자한 유저의 수를 '8명'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play the number of participating users (230) on the side of the gacha gauge (220), and can display the number of users who invested about 3,000 money in the number of participating users (230) as '8 people'.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가챠(210)로의 투자를 위한 투자 정보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가챠(210)에 투자를 위해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금액(24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210)에 대해 투자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참여' 버튼(251)과 '취소' 버튼(252)을 화면(200)에 포함시킬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receive investmen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vestment in gacha (210) and display an amount (240) input by the user for investment in gacha (210). In addition,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include a 'participation' button (251) and a 'cancel' button (252) on the screen (200) for selecting whether to invest in gacha (210).

한편,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이벤트의 제공에 따른 터치 횟수(253)를 추가로 카운트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터치 횟수(253)를 카운트하고, 터치 횟수(253)로서 카운트된 '27'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화면 내에서 가챠(210) 이미지가 표시되는 부근에서의 유저 입력만을 유효한 터치 횟수로 카운트 할 수 있다.Meanwhi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additionally count the number of touches (253)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a touch event.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count the number of touches (253) of the user and display the counted '27' as the number of touches (253).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count only the user input in the vicinity of where the gacha (210)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valid number of touches.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에서 아이템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item providing method in an item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를 제공한다(S310). 이때,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를 제공하기 위해 가챠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가챠 오픈을 위한 비용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를 일반적으로 게임 내 상점 등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지만, 퀘스트와 같은 특정 미션의 달성, 가챠를 제공하는 이벤트, 및 게임 공간 내의 특정 장소에 배치 등의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provides gacha (S310). At this tim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generate gacha to provide gacha and set a cost for opening the gacha. In addition,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generally provide gacha by using an in-game store, but can also provide it in various other forms, such as completing a specific mission such as a quest, an event providing gacha, and placement in a specific location within the game space.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의 오픈을 위해 가챠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할 수 있다(S320).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recruit users to invest in gacha to open the gacha (S320).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이 모집되었는지 판단한다(S330). 즉,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투자된 금액의 합계가 가챠 오픈 비용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amount equivalent to the gacha opening cost has been collected (S330). That is,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total amount invested by the user has reached the gacha opening cost.

S330단계에서, 가챠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이 모집되지 않으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S320단계로 진행하여 가챠 오픈을 위한 유저를 계속하여 모집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소정 시간 동안 가챠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이 모집되지 않는 경우, 해당 가챠를 제거하여 유저로부터 제공된 금액을 환불할 수도 있다.In step S330, if an amount equivalent to the gacha opening cost is not collected,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proceed to step S320 and continue to recruit users for the gacha opening. At this time, if an amount equivalent to the gacha opening cost is not collect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remove the gacha and refund the amount provided by the user.

S330단계에서 가챠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이 모집되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이벤트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340).Whe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gacha opening cost is collected at step S330,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a touch event is set (S340).

S340단계의 확인결과 터치 이벤트가 설정된 경우,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S350단계로 진행한다. 유저의 터치 이벤트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에 투자한 유저에게 가챠에 대해 터치 이벤트의 참여를 통보할 수도 있다.If the touch event is set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in step S340,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proceeds to step S350. In order to induce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touch event,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notify the user who invested in the gacha of the participation in the touch event for the gacha.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별로 터치 횟수 정보를 수집하고, S360단계로 진행한다(S350).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 각각에 대해 터치 이벤트에 상응하는 터치 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ollects touch count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proceeds to step S360 (S350).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accumulate and count the number of touches corresponding to a touch event for each user.

S340단계의 확인결과 터치 이벤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S360단계로 진행한다.If the touch event is not se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t step S340,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proceeds to step S360.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를 오픈하여 아이템을 분배하고 동작을 종료한다(S360).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의 오픈에 따라 유저에게 제공될 랜덤 아이템을 유저의 투자 금액에 비례하여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opens the gacha, distributes items, and ends the operation (S360).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tribute random items to be provided to user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gacha in proportion to the user's investment amount.

이때,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이벤트가 존재하여 유저 각각에 대한 터치 횟수 정보를 수집한 경우, 가챠 오픈 시 유저 각각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가치를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조정하거나 추가 아이템을 터치 이벤트에 대한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ouches for each user by having a touch event, the value of the item to be distributed to each user when the gacha is opened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or additional items can be provided as a reward for the touch event.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에서 유저의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분배되는 아이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items distributed based on a user's investment amount in an item provis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각각의 투자 금액에 대응하여 가챠로부터 제공되는 랜덤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ure 5, information related to random items provided from the gacha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each user's investment amount.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100' 머니를 투자한 제 1 유저, '200'머니를 투자한 제 2 유저, 및 '300'머니를 투자한 제 3 유저 각각에 가챠의 오픈 시 아이템을 나누어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은 후보 아이템 집합 내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아이템일 수 있으며, 투자 금액에 따라 랜덤 아이템 선택을 위한 후보 아이템 집합 내 등급, 속성, 개수, 종류 등이 구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items to each of a first user who invested '100' money, a second user who invested '200' money, and a third user who invested '300' money when the gacha is opened. At this time, the items can be randomly selected items from a set of candidate items, and the grade, attribute, number, type, etc. of the candidate items for random item selection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등급을 제한하여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는 1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는 2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는 3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tribute items by limiting the level of the item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tribute an item corresponding tolevel 1 to a first user, an item corresponding tolevel 2 to a second user, and an item corresponding tolevel 3 to a third user.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속성을 차등화하여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는 방어구의 속성을 갖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는 공격무기의 속성을 갖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는 마법의 속성을 갖는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 별로 결정된 아이템 속성에 따라 유저 각각에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tribute items by differentiating the attributes of the items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tribute an item having the attribute of a defensive device to a first user, an item having the attribute of an offensive weapon to a second user, and an item having the attribute of a magic weapon to a third user. In this way,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distribute items to each user based on the item attributes determined by the investment amount.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가챠 오픈 시 머니를 아이템으로 분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는 200머니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는 400머니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는 600머니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also distribute money as items when opening a gacha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distribute an item worth 200 money to a first user, an item worth 400 money to a second user, and an item worth 600 money to a third user.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가챠 오픈 시 제공되는 아이템의 개수를 차등화하여 분배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는 2개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는 3개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는 4개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the number of items provided upon opening the gacha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two items to a first user, three items to a second user, and four items to a third user.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가챠 오픈 시 제공되는 아이템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하여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는 200머니의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는 도끼, 즉 무기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는 물약 아이템(체력, 마법, 스킬 등의 향상)을 하는 기능형 아이템을 분배할 수 있다.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the types of items provided upon opening the gacha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an item worth 200 money to a first user, an axe, i.e. a weapon item, to a second user, and a functional item (for improving stamina, magic, skills, etc.) to a third user.

이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에 비례하여 분배되는 아이템의 가치를 구분하여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투자 금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저에게 아이템의 등급, 속성, 머니, 개수, 종류 등에서 투자 금액이 상대적으로 낮은 유저보다 더 가치가 높은 아이템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the value of the item distributed in proportion to the investment amount by distinguishing it. Accordingly,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distribute an item of higher value to a user with a relatively high investment amount in terms of the grade, attribute, money, number, type, etc. of the item than to a user with a relatively low investment amount.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장치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유저에게 제공되는 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reward provided to a user according to a touch event in an item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각각의 터치 횟수에 대응하여 가챠로부터 제공되는 보상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ure 6, information related to rewards provided from the gacha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ouches of each user.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20'회의 터치 횟수를 갖는 제 1 유저, '40'회의 터치 횟수를 갖는 제 2 유저, 및 '60'회의 터치 횟수를 갖는 제 3 유저 각각에게 터치 횟수에 대응되는 보상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provide a rewar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to a first user with a number of '20' touches, a second user with a number of '40' touches, and a third user with a number of '60' touches, respectively.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가챠 오픈 시 제공되는 아이템의 레벨을 상승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레벨을 1레벨만큼 상승하도록 조절하고, 제 2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레벨을 2레벨만큼 상승하도록 조절하고, 제 3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레벨을 3레벨만큼 상승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adjust the level of an item provided when opening a gacha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adjust the level of an item to be distributed to a first user to increase by 1 level, adjust the level of an item to be distributed to a second user to increase by 2 levels, and adjust the level of an item to be distributed to a third user to increase by 3 levels.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가챠 오픈 시 제공되는 아이템의 공격력(또는 방어력)을 상승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공격력(또는 방어력)을 5만큼 상승하도록 조절하고, 제 2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공격력(또는 방어력)을 10만큼 상승하도록 조절하고, 제 3 유저에게 분배될 분배될 아이템의 공격력(또는 방어력)을 15만큼 상승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adjust the attack power (or defense power) of the item provided when opening the gacha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adjust the attack power (or defense power) of the item to be distributed to the first user to increase by 5, the attack power (or defense power) of the item to be distributed to the second user to increase by 10, and the attack power (or defense power) of the item to be distributed to the third user to increase by 15.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가챠 오픈 시 제공되는 아이템을 추가 제공할 수 있도록 유저 각각에 분배되는 아이템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개수를 1개 더 추가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개수를 2개 더 추가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개수를 3개 더 추가할 수 있다.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adjust the number of items distributed to each user so as to provide additional items when opening a gacha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add 1 more item to be distributed to a first user, 2 more items to be distributed to a second user, and 3 more items to be distributed to a third user.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제공되는 머니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의 오픈 시 머니가 제공되는 경우, 기존에 제공되는 머니에 터치 횟수에 따라 추가 제공되는 머니를 합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의 오픈 시 아이템이 제공되는 경우, 아이템과 함께 머니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제 1 유저에게 100머니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고, 제 2 유저에게 200머니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고, 제 3 유저에게 300머니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additionally provide money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At this time, if money is provided when opening a gacha,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provide money by adding the additional money provided based on the number of touches to the money already provided. Alternatively, if an item is provided when opening a gacha,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additionally provide money together with the item.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additionally provide 100 money to a first user, 200 money to a second user, and 300 money to a third user.

이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터치 이벤트에 상응하는 유저 각각의 터치 횟수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추가적인 보상을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can provide additional rewards to users in various forms by using the number of touches of each user corresponding to a touch event.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로부터 가챠로 다른 유저를 초대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inviting another user to gacha from a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가챠의 오픈을 위한 다른 유저를 초대하기 위한 '가챠 초대'의 화면(400)을 제공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a 'gacha invitation' screen (400) for inviting other users to open a gacha from a user.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가챠의 오픈을 위해 다른 유저를 초대할 수 있으며, 유저로부터 초대할 유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투자를 위해 유저 계정에 등록된 그룹(410), 예를 들어, 친구, 길드, 동맹, 가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초대를 위한 그룹을 선택받으면, 해당 그룹의 멤버 전원에게 가챠 아이템의 오픈을 위한 초대를 권유하는 초대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invite other users to open a gacha, and can receive a selection of users to invite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information on groups (410) registered in the user account for investment from the user, such as friends, guilds, alliances, and families. When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receives a selection of a group for invitation from the user, it can send an invitation message to all members of the group, recommending an invitation to open a gacha item.

하지만,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그룹 선택 시, 해당 그룹에 대응되는 멤버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그룹을 '길드'로 선택받으면, 해당 유저가 속한 길드의 멤버 즉, 길드원(42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그룹 내 멤버 즉, 길드원(420) 내에서 초대를 원하는 멤버 각각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초대를 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a user selects a group,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additionally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about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group. Here, when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receives a user's selection of a group as a 'guild', it may provide the user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members of the guild to which the user belongs, i.e., guild members (420). The item providing device (100) may also individually select and invite each member of the group, i.e., guild members (420), who wish to be invited.

아이템 제공 장치(100)는 화면(400) 내에 다른 유저의 초대를 위한 초대 메시지 발송을 위한 '예' 버튼(431)과 '아니오' 버튼(432)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The item provision device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Yes’ button (431) and a ‘No’ button (432) for sending an invitation message for inviting other users within the screen (400).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means a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n ASIC, and the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th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the '~ uni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sub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subunits' o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subuni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trigger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it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4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stores computer-executable commands and data. At this time, the commands and data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program modul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may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computer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by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command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n HDD and an SSD,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a DVD, and a Blu-ray disc, or a memory included in a server that may be accessed through a network.

또한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it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4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n assembly language, a machine language, etc.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tangib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g., a memory, a hard disk, a magnetic/optical medium, or a solid-state drive (SSD)).

따라서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for providing it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4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comput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by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can include at least some of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ing the memory and a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ing the low-speed bus and the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various buses, and can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mounted in an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may process instruction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such as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or storage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information for providing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n external input/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speed interface. In other embodiments, multiple processors and/or multiple buses may be utilized, as appropriate, together with multiple memories and memory types.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ipset comprising multiple independent analog and/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a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memory may be comprised of 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For another example, memory may be comprised of non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Memory may also be another form of computer-readable media, such as, for example,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And the storage device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The storage device can be a computer-readable medium or a configuration including such a medium, and can include, for example, devices within a storage area network (SAN) or other configurations, and can be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a tape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imila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array of devices.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sought by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100: 아이템 제공 장치110: 입출력부
120: 통신부130: 저장부
140: 제어부141: 아이템 제공부
142: 이벤트 제공부
100: Item provision device 110: Input/output unit
120: Communications Department 130: Storage Department
140: Control Unit 141: Item Provider Unit
142: Event Provider

Claims (18)

Translated fromKorean
복수의 유저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여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가챠의 오픈에 따른 아이템을 상기 유저의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로부터의 터치 횟수를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보상을 제공하되,
상기 보상은,
상기 가챠의 오픈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가치 조정과 추가 아이템 제공 중 적어도 하나인 아이템 제공 장치.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multiple users; an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recruits users to invest in the opening of a gacha, receives an investme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said gacha, opens said gacha, and distributes item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said gacha to said users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of said users.
The above control unit,
Count the number of touches from the above user for a given period of time and provide a reward to the user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ouches.
The above compensation is,
An item provision device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adjusting the value of items to be distributed to the user upon opening of the above gacha and providing additional items.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의 모금 완료를 상기 유저에게 통보하는 아이템 제공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An item provision device that notifies the user of the completion of fundraising for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above gacha whe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above gacha is inves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챠의 오픈을 위한 다른 유저를 초대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아이템 제공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An item provision device that provides the user with an interface for inviting other users to open the above gach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유저는,
상기 유저의 친구, 가족, 길드원, 및 동맹 중 적어도 하나의 관계가 설정된 유저인 아이템 제공 장치.
In paragraph 6,
The other user above,
An item providing device for a user who has at least one relationship established among the above user's friends, family, guild members, and all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게 분배되도록 결정된 아이템의 가치보다 더 높은 가치의 아이템을, 상기 유저가 상기 가챠에 대해 투자한 투자 금액보다 더 높은 투자 금액을 상기 가챠에 투자한 다른 유저에게 분배하도록 결정하는 아이템 제공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An item provision device that determines to distribute an item of higher value than the value of the item determined to be distributed to the user, to another user who invested a higher investment amount than the investment amount invested by the user in the gach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게 분배되도록 결정된 아이템의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의 아이템을, 상기 유저가 상기 가챠에 대해 투자한 투자 금액보다 더 높은 투자 금액을 상기 가챠에 투자한 다른 유저에게 분배하도록 결정하는 아이템 제공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An item provision device that determines to distribute a number of items greater than the number of items determined to be distributed to the user, and to distribute an investment amount higher than the investment amount invested by the user in the gacha to another user who has invested in the gach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챠에 대한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속성을 설정하는 아이템 제공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An item provision device that sets the attributes of items to be distributed to the user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for the above gacha.
아이템 제공 장치의 아이템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챠의 오픈에 투자할 유저를 모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를 오픈하고, 상기 가챠의 오픈에 따른 아이템을 상기 유저의 투자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로부터 터치 횟수를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에게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가챠의 오픈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분배될 아이템의 가치 조정과 추가 아이템의 제공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공 방법.
In the item provision method of the item provision device,
The stage of recruiting users to invest in the opening of Gacha; and
A step of opening the gacha by investing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gacha and distributing item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gacha to the user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of the user,
The above distributing step is,
A step of counting the number of touches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providing a reward to the user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ouches,
The steps to compensate the above users are:
A method for providing items, including a step of providing compensation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djusting the value of items to be distributed to the user and providing additional item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bove gacha.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받으면 상기 가챠의 오픈 비용에 상응하는 금액의 모금 완료를 상기 유저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공 방법.
In Article 11,
The above distributing step is,
An item provision method including a step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completion of fundraising for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above gacha whe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opening cost of the above gacha is invest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를 모집하는 단계는,
상기 가챠의 오픈을 위한 다른 유저를 초대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공 방법.
In Article 11,
The steps for recruiting the above users are:
An item provis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for inviting other users to open the above gacha to the user.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described in Article 11.아이템 제공 장치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described in claim 11, performed by an item providing device.
KR1020180076690A2018-07-022018-07-02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ActiveKR102773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076690AKR102773054B1 (en)2018-07-022018-07-02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076690AKR102773054B1 (en)2018-07-022018-07-02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03660A KR20200003660A (en)2020-01-10
KR102773054B1true KR102773054B1 (en)2025-02-24

Family

ID=6915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076690AActiveKR102773054B1 (en)2018-07-022018-07-02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7730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30166242A (en)*2022-05-302023-12-07엠아이비씨주식회사Reward system that provides items that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user rewar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17055790A (en)*2015-09-142017-03-23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program
JP2018051219A (en)*2016-09-302018-04-05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Game system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0081543A (en)*2003-03-132004-09-22김운기lotto account fu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17055790A (en)*2015-09-142017-03-23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program
JP2018051219A (en)*2016-09-302018-04-05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Game system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03660A (en)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CN107875629A (en)Games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WO2019014140A1 (en)Platform,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ception of data stream triggers
KR102793218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game device
KR102692509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KR20230047063A (en)Method for game money transac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KR102165748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ting item trade
KR20170051073A (en)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ed ai virtual player in game
KR20250109660A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KR102773054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KR102368187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KR102640804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game user interface using multiple device
KR102513761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andom item
KR20230164624A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KR20170077626A (en)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quest item
KR20240162272A (en)Apparatus and method for trading character based on block chain
KR102350690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KR20190007797A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KR20220085421A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item
KR102859825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KR20170044293A (en)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based on character status
KR102782984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dropping game item
KR102648238B1 (en)Method for transac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2596450B1 (en)Server for determining variably provided compensation during server maintenan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692598B1 (en)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event cash
KR20240095124A (en)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ward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702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10430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8070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3022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AMNDAmendment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3112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230223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X091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Amendment
PX0901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23112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230630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6014S01D

Patent event date:20240409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6012R01I

Patent event date:2024040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6011S01I

Patent event date:20231122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6012R01I

Patent event date:2023063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X06013S01I

Patent event date:20230223

X601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20240814

Comment text: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PJ02012R01D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2024101001785

Request date:20240814

J301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TRIAL NUMBER: 20241010017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814

Effective date:20241106

PJ1301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PJ13011S01D

Patent event date:20241106

Comment text: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20240814

Decision date:20241106

Appeal identifier:2024101001785

PS0901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code:PS09011S01I

Patent event date:20241106

Comment text: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S901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20241121

Patent event code:PS07012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5022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50220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