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769694B1 - 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 Google Patents

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9694B1
KR102769694B1KR1020210143064AKR20210143064AKR102769694B1KR 102769694 B1KR102769694 B1KR 102769694B1KR 1020210143064 AKR1020210143064 AKR 1020210143064AKR 20210143064 AKR20210143064 AKR 20210143064AKR 102769694 B1KR102769694 B1KR 10276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xtension
base portion
screw
extension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9042A (en
Inventor
유미영
송동률
조남일
이일재
임효섭
한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filedCritical(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43064ApriorityCriticalpatent/KR102769694B1/en
Priority to PCT/KR2022/016133prioritypatent/WO2023075306A1/en
Publication of KR2023005904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30059042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969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769694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는, 안면골 골절 환자의 광대뼈와 위턱뼈를 정렬 상태로 지지하며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lateral side)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대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medial side)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턱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comprises: a base portion that is positioned to align and support the cheekbone and maxilla of a patient with a facial bone fracture; a first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outer (lateral) side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support to the cheekbon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from an inner (medial) side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support to the maxilla.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본 발명은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면골의 골절된 뼈들을 재정렬하고 고정하여 안면골의 재건을 수행하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that reconstructs the facial bone by realigning and fixing fractured bones of the facial bone.

안면골(Facial bone)은 두개골 중 안면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뼈이다. 안면골은 광대뼈(관골, Zygomatic bone), 위턱뼈(상악골, Maxilla), 아래턱뼈(하악골, Mandible)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안면골에 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안면골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되면서 골절(fracture)이 발생할 수 있다.The facial bones are the bones that form the basis of the face in the skull. The facial bones include the zygomatic bone, maxilla, and mandible.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acial bones due to various factors, the continuity of the facial bones may be completely or incompletely lost, resulting in a fracture.

안면골의 골절 시 골절 부위에 하나 이상의 골절선이 생기게 되며, 골절선을 중심으로 부러진 뼈의 조각들이 원래 위치를 이탈하여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고, 골결손이 발생하여 기능적 결손이 발생하기도 한다. 안면골 골절은 뼈모양의 복잡성 때문에 불규칙한 골절선을 따라 뼈가 여러 골절편으로 분쇄되는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골절의 원인이 되는 외력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서 뼈조직 뿐만 아니라 주위의 연부조직, 근육, 신경, 혈관 등도 손상되는 복합골절(compound fracture)도 발생한다.When a facial bone fractures, one or more fracture lines are created at the fracture site, and the broken bone fragments move out of their original positions around the fracture line, causing facial deformity and bone loss, which can also cause functional deficit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bone shape, facial bone fractures usually appear as comminuted fractures, in which the bone is broken into multiple fracture fragments along an irregular fracture lin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and intensity of the external force causing the fracture, a compound fracture may also occur, in which not only bone tissue but also surrounding soft tissues, muscles, nerves, and blood vessels are damaged.

안면골 골절의 치료를 위하여 플레이트 및 스크류를 통해 골절선의 양측의 골절편을 맞추고 고정시킨 뒤 골절편 사이의 접합을 유도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골절편에 결합되는 종래의 플레이트는 골절된 뼈를 원위치로 당겨 재정렬해주는 가이드 역할까지 수행하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의사가 골절편의 위치를 맞춘 뒤 플레이트를 고정해야 하므로 수술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수술의사의 숙련도가 중요해진다. 우리나라에서 환자의 인권이 중요해지면서, 도제식의 수술 술기 교육이 제한되고 있는 추세임을 고려할 때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차이가 나는 수술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임플란트로서 골절 부위의 고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골절된 뼈를 정확한 위치로 재정렬해주는 가이드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treat facial bone fractures, the fracture fragments on both sides of the fracture line are aligned and fixed using plates and screws, and then the method of inducing the union between the fracture fragments is generally used. However, the conventional plates attached to the fracture fragments do not perform the role of a guide to pull the fractured bon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realign it. Accordingly, since the doctor must align the fracture fragments and then fix the plate, the efficiency of the surgery is reduced, and the skill of the surgeon becomes important. Considering that the apprenticeship-style surgical technique education is being restricted in Korea as patient human rights become more importan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urgical method in which the results differ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surge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that can not only fix the fracture site as an implant but also perform the role of a guide to realign the fractured bone to the correct position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24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9245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738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2738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절 부위의 고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골절된 뼈를 정확한 위치로 재정렬해주는 가이드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that can not only fix a fracture site but also serve as a guide to realign a fractured bone to an accurate position.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면골 골절 환자의 광대뼈와 위턱뼈를 정렬 상태로 지지하며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lateral side)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대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medial side)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턱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is provided, comprising: a base portion that is positioned to support and align the cheekbone and maxilla of a patient with a facial bone fracture; a first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outer (lateral) side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support to the cheekbon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from an inner (medial) side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support to the maxilla.

이때,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위턱뼈 중 내부에 신경이 지나는 부위와 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can be position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maxillary bone through which a nerve passes.

또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광대뼈 또는 상기 위턱뼈 중 접촉하는 부분의 외면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se por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contacting portion of the cheekbone or the maxillary bone.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환자의 광대위턱점(zygomaxillare)의 하측 부분을 감싸며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se portion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patient's zygomaxillare.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내측으로는 치조골(maxillary alveolus)의 외측 외측으로는 교근의 기시부(origin of masseter)의 내측 이내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arranged over a range within the inner side of the maxillary alveolus and the outer side within the inner side of the origin of the masseter.

또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환자의 안와하연(infraorbital margin) 측을 향하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안와하연에 도달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direction may be directed toward the infraorbital margin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extension may be extended to reach the infraorbital margin.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환자의 안와하공(infraorbital foramen)의 외측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beyond the out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of the patient.

또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환자의 이상구(piriform aperture) 측을 향하며,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환자의 이상구에 도달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rected toward the piriform aperture of the patient, and the second extension may be extended to reach the piriform aperture of the patient.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환자의 안와하공(infraorbital foramen)의 하측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beyond the inferior aspect of the infraorbital foramen of the patient.

또한, 상기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 1 연장부 또는 상기 제 2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환자의 광대뼈 또는 위턱뼈에 식립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may further include a screw that penetrates the base portion or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is implanted into the patient's cheekbone or maxilla to provide fixation.

또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는 상기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가 식립될 때 상기 스크류가 상기 환자의 치근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screw fixing portion mark through which the screw penetrates, and the screw fixing portion mark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crew does not reach the tooth root of the patient when the screw is implanted through the screw fixing portion mar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가 안면 골절 환자의 광대뼈와 위턱뼈를 가이드하며 정렬시키고,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가 광대뼈 및 위턱뼈에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골절된 뼈의 재정렬과 고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guides and aligns the cheekbone and maxilla of a patient with facial fracture,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provide support to the cheekbone and maxilla, so that realignment and fixation of the fractured bone can be achieved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가 환자의 안면골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베이스부의 커버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의 연장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에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가 더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스크류가 환자의 안면골에 식립되는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patient's facial bone.
FIGS. 4 and 5 are drawings showing the coverage range of the base portion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the extension ranges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d with a screw fixation site marker.
FIG. 8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r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anted into a patient's facial bo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한편,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front", "rear", "upper" or "lower" may b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depicted in the drawings. These are relative terms determined based on what is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may be interpreted in the opposite way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Meanwhile,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s but also indirect connection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외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내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가 환자의 안면골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patient's facial bon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안면골 골절 환자(P)의 골절 부위 재건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분쇄 골절된 상악골의 재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골절 부위의 고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골절된 뼈를 정확한 위치로 재정렬해주는 가이드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reconstruct a fracture site of a facial bone fracture patient (P). More specifically,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reconstruct a comminuted fractured maxilla. In addition,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ix a fracture site, but also serve as a guide to realign a fractured bone to an accurate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베이스부(10), 제 1 연장부(20) 및 제 2 연장부(30)를 포함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내측(medial side)은 인체의 정중면(median plane)에서 가까운 곳을 의미하고, 외측(lateral side)은 정중면에서 먼곳을 의미한다.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 a first extension portion (2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0). In the description below, the medial side means a place close to the median plane of the human body, and the lateral side means a place far from the median plane.

베이스부(10)는 안면골 골절 환자(P)의 광대뼈(Zygomatic bone)(B1)와 위턱뼈(Maxilla)(B2)를 정렬 상태로 지지하며 배치된다. 광대뼈(B1)는 얼굴의 볼부분의 돌출을 형성하는 뼈로서, 얼굴의 중앙에 좌우 한쌍으로 존재하며, 위턱뼈(B2)와 안와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위턱뼈(B2)는 좌우 한 쌍으로 두개골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위턱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0)는 환자(P)의 광대뼈(B1)와 위턱뼈 (B2)의 하측 부분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베이스부(10)는 환자(P)의 광대뼈(B1) 또는 위턱뼈(B2) 중 접촉하는 부분의 외면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se part (10)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zygomatic bone (B1) and the maxilla (Maxilla) (B2) of a patient (P) with a facial bone fracture in an aligned state. The zygomatic bone (B1) is a bone that forms the protrusion of the cheek area of the face, and exists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at the center of the face, and is located between the maxilla (B2) and the orbit. In addition, the maxilla (B2) exists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at the center of the skull, and forms the upper jaw. The base part (10) can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zygomatic bone (B1) and the maxilla (B2) of the patient (P). More specifically, the base part (10) can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contacting portion of the zygomatic bone (B1) or the maxilla (B2) of the patient (P).

베이스부(10)는 환자(P)의 골절되어 이탈한 뼈를 원위치로 당겨 재정렬시키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골절된 뼈의 위치를 맞추어주는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part (10) can be positioned to realign the fractured and dislocated bone of the patient (P) by pulling i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guide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fractured bon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는 환자(P)의 광대뼈(B1)와 위턱뼈(B2)에 걸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부(10)는 환자(P)의 광대위턱점(zygomaxillare)(P3)의 하측 부분을 감싸며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광대위턱점(P3)은 광대뼈(B1)와 위턱뼈(B2)의 경계선인 광대위턱봉합(zygomaticomaxillary suture)(C)의 가장 외측 낮은 부위에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base portion (10) is positioned across the cheekbone (B1) and the maxilla (B2) of the patient (P). In other words, the base portion (1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zygomaticomaxillary point (P3) of the patient (P). Here, the zygomaticomaxillary point (P3) means a point at the outermost lower portion of the zygomaticomaxillary suture (C),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cheekbone (B1) and the maxilla (B2).

더욱 상세하게, 베이스부(10)의 커버 범위(A1)는 내측(medial side)으로는 치조골(maxillary alveolus)의 외측(P1)을 한계로 하고, 외측(lateral side)으로는 교근(masseter)(m)의 기시부(origin)(O)의 내측을 한계로 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는 내측으로는 치조골의 외측(P1), 외측으로는 교근(m)의 기시부 (O)의 내측(P2) 이내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verage range (A1) of the base portion (10) may be limited to the outer side (P1) of the maxillary alveolus on the medial side and to the inner side of the origin (O) of the masseter muscle (m) on the lateral side. That is, the base portion (10) may be provided to be arranged over a range within the outer side (P1) of the alveolar bone on the medial side and the inner side (P2) of the origin (O) of the masseter muscle (m) on the lateral side.

제 1 연장부(20)는 베이스부(10)의 외측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광대뼈(B1)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제 1 연장부(20)는 환자(P)의 광대뼈(B1) 중 제 1 연장부(20)와 접촉하는 부분의 외면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20)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10) to provide support to the cheekbone (B1). The first extension (20) may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portion of the cheekbone (B1) of the patient (P)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xtension (2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방향은 베이스부(10)의 외측에서 환자(P)의 안와하연(infraorbital margin)(A2) 측을 향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장부(20)는 안와하연(A2)에 도달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안와하연(A2)은 안구가 들어가는 공간인 안와(D)의 하측 모서리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out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 toward the infraorbital margin (A2) of the patient (P).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 may be extended to reach the infraorbital margin (A2). Here, the infraorbital margin (A2) means the lower edge of the orbit (D), which is the space into which the eyeball enters.

또한, 제 1 연장부(20)는 환자(P)의 안와하공(infraorbital foramen)(E)의 외측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안와하공(E)은 안와(D)의 아래 위턱뼈(B2)에 존재하는 구멍으로 안와하 동맥, 안와하 정맥 및 안와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제 1 연장부(20)는 안와하공(E)의 외측을 지나며 연장되어 안와하연(A2)에 도달하게 되고, 그 단부가 안와하공(E)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선(L1)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안와하공(E)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선(L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20) may be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of the patient (P). The infraorbital foramen (E) is a hole existing in the lower maxilla (B2) of the orbit (D) and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fraorbital artery, infraorbital vein, and infraorbital nerve pass. The first extension (20) is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to reach the infraorbital margin (A2), and its end may be arranged on a line (L1)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fraorbital foramen (E) or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line (L1)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fraorbital foramen (E).

제 2 연장부(30)는 베이스부(10)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턱뼈(B2)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제 2 연장부(30)는 환자(P)의 위턱뼈(B2) 중 제 2 연장부(30)와 접촉하는 부분의 외면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30)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base (10) to provide support to the maxillary bone (B2). The second extension (30) may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portion of the maxillary bone (B2) of the patient (P)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sion (3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방향은 환자(P)의 이상구(piriform aperture)(F) 측을 향하며, 제 2 연장부(30)는 환자(P)의 이상구(F)에 도달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상구(F)는 위턱뼈(B2)에 의해 감싸진 형태를 가지는 구멍으로, 머리에서 코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더욱 상세하게, 제 2 연장부(30)는 이상구(F)의 하측 모서리(A3)에 도달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piriform aperture (F) of the patient (P), and the second extension (30) can be extended to reach the piriform aperture (F) of the patient (P). The piriform aperture (F) is a hole having a shape surrounded by the maxilla (B2) and is a part of the head where the nose is placed.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extension (30) can be extended to reach the lower edge (A3) of the piriform aperture (F).

또한, 제 2 연장부(30)는 환자(P)의 안와하공(E)의 하측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연장부(30)는 안와하공(E)의 하측을 지나며 연장되어 이상구(F)의 하측 모서리(A3)에 도달할 수 있다. 이상구(F)의 하측 모서리(A3)는 이상구(F) 중 안와하공(E)의 하측에 위치한 부분의 모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연장부(30)가 안와하공(E)의 하측을 지나며 연장되어 이상구(F)의 하측 모서리(A3)에 도달하게 될 경우 제 2 연장부(30)의 단부는 안와하공(E)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선(L2)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안와하공(E)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선(L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ension (30) may be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of the patient (P). In other words, the second extension (30) may be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and reach the lower edge (A3) of the abomasum (F). The lower edge (A3) of the abomasum (F) may refer to the edge of a portion of the abomasum (F) located below the infraorbital foramen (E). When the second extension (30) is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and reach the lower edge (A3) of the abomasum (F),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30) may be positioned on a line (L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fraorbital foramen (E) or may be positioned below a line (L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fraorbital foramen (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장부(20) 및 제 2 연장부(30)는 위턱뼈(B2) 중 내부에 신경이 지나는 부위와 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와하공(E)을 통해 안와하 신경이 지나가게 되는데, 제 1 연장부(20)는 안와하공(E)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 2 연장부(30)는 안와하공(E)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 1 연장부(20) 및 제 2 연장부(30) 모두 안와하공(E)과 접촉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를 환자(P)의 안면에 이식할 때, 안와하공(E)은 제 1 연장부(20)와 제 2 연장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로 인해 환자(P)의 안면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0)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maxilla (B2) through which a nerve passes. As described above, the infraorbital nerve passes through the infraorbital foramen (E),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0)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E). Accordingly, neither the first extension part (20) nor the second extension part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fraorbital foramen (E), and when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planted to the face of a patient (P), the infraorbital foramen (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0). This structure can prevent damage to the facial nerve of the patient (P) due to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 제 1 연장부(20) 및 제 2 연장부(30)는 광대뼈(B1) 또는 위턱뼈(B2) 중 자신들이 접촉하는 부분의 외면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P)의 두개골 엑스레이, CT 등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골절 부위를 파악하고, 골절 부위를 정상 부위를 기준으로 미러링하여 손상 부분을 재배치한 뒤 이에 기초하여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의 설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ortion (1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0) may have shapes complementary to the outer surface shapes of the portions of the cheekbone (B1) or the maxilla (B2) with which they come into contact. That is,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o be customized for the patient. For example, the fracture site may be identified using an image of the patient's (P) skull, such as an X-ray or CT, and the fracture site may be mirror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site to reposition the damaged portion, and then the design of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may be performed based on thi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에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가 더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의 스크류가 환자의 안면골에 식립되는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crew fixation site marker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FIG. 8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rew of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anted into a patient's facial bon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는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 및 스크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rew fixation site marker (40) and a screw (50).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를 환자(P)의 뼈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50)가 관통되는 부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는 베이스부(10), 제 1 연장부(20) 및 제 2 연장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부(10), 제 1 연장부(20) 및 제 2 연장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는 임의의 도형, 문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는 함입부 또는 관통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indicates a portion through which a screw (50) for fixing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to the bone of the patient (P) penetrate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1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0). In other words,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1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For example,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may be any shape, lett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may be formed as a recessed portion or a penetrating portion.

이때,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는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를 관통하여 스크류(50)가 식립될 때 스크류(50)가 환자(P)의 치근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는 안면골 재건 수술 과정에서 의사가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50)를 식립할 때, 환자(P)의 치근을 피할 수 있는 위치를 제시하여 줌으로써 수술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준다.At this time,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can be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the screw (50) does not reach the tooth root of the patient (P) when the screw (50) is implanted by penetrating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That is,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provides a location where the doctor can avoid the tooth root of the patient (P) when implanting the screw (50) for fixing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during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surgery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the surgery.

스크류(50)는 베이스부(10) 또는 제 1 연장부(20) 또는 제 2 연장부(30)를 관통하여 환자(P)의 광대뼈(B1) 또는 위턱뼈(B2)에 식립되어 고정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가 골절된 광대뼈(B1)와 위턱뼈(B2)의 위치를 재정렬하며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류(50)가 식립됨으로써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1)가 환자(P)의 골절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50)는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40)를 통해 환자(P)의 치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위치에 안전하게 식립될 수 있다.The screw (50) penetrates the base portion (10) or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 o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0) and is implanted into the cheekbone (B1) or the maxilla (B2) of the patient (P) to provide fixation force. When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while re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fractured cheekbone (B1) and the maxilla (B2), the screw (50) is implanted so that the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1) can be stably fixed to the fracture site of the patient (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50) can be safely implanted at a location that does not damage the tooth root of the patient (P) through the screw fixation site mark (4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
10: 베이스부
20: 제 1 연장부
30: 제 2 연장부
40: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
50: 스크류
1: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s
10: Bass section
20: 1st extension
30: 2nd extension
40: Screw fixing area marking
50: Screw

Claims (11)

Translated fromKorean
안면골 골절 환자의 광대뼈와 위턱뼈를 정렬 상태로 지지하며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lateral side)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대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medial side)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턱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광대뼈와 상기 위턱뼈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환자의 광대위턱점(zygomaxillare)의 하측 부분을 감싸며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내측으로는 치조골(maxillary alveolus)의 외측을 한계로 하고, 외측으로는 교근의 기시부(origin of masseter)의 내측을 한계로 하는 범위에 걸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환자의 안와하연(infraorbital margin) 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안와하연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환자의 안와하공(infraorbital foramen)의 외측을 지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환자의 이상구(piriform aperture) 측을 향하여,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환자의 이상구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환자의 안와하공(infraorbital foramen)의 하측을 지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안와하공을 통해 지나가는 안하와 신경과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
A base portion that is positioned to support and align the cheekbone and maxilla of a patient with facial bone fractur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lateral side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support to the cheekbon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medial side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support to the maxillary bone;
The above base portion is arranged across the cheekbone and the upper jawbone,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patient's zygomaxillare.
The above base portion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over a range that has the outer side of the maxillary alveolus as the limit on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origin of the masseter as the limit on the outer side.
The first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infraorbital margin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extension extends to reach the infraorbital margin, but extends past the out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of the patient.
The second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piriform aperture of the patient, and the second extension is extended to reach the piriform aperture of the patient, but extends so as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infraorbital foramen of the patient.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re position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fraorbital nerve passing through the infraorbital foramen.
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광대뼈 또는 상기 위턱뼈 중 접촉하는 부분의 외면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
In paragraph 1,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wherein the base por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contacting portion of the cheekbone or the maxillary bone.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 1 연장부 또는 상기 제 2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환자의 광대뼈 또는 위턱뼈에 식립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
In paragraph 1,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further comprising a screw that penetrates the base portion or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is implanted into the cheekbone or maxillary bone of the patient to provide fix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는 상기 스크류 고정부위 표지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가 식립될 때 상기 스크류가 상기 환자의 치근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는 안면골 재건 임플란트.
In Article 10,
At least one of the above base por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has a screw fixing portion mark through which the screw penetrates,
A facial bone reconstruction implant in which the screw fixation site marker is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the screw does not reach the patient's tooth root when the screw is implanted through the screw fixation site marker.
KR1020210143064A2021-10-252021-10-25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ActiveKR102769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143064AKR102769694B1 (en)2021-10-252021-10-25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PCT/KR2022/016133WO2023075306A1 (en)2021-10-252022-10-21Facial bone-reconstructing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143064AKR102769694B1 (en)2021-10-252021-10-25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30059042A KR20230059042A (en)2023-05-03
KR102769694B1true KR102769694B1 (en)2025-02-19

Family

ID=8615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143064AActiveKR102769694B1 (en)2021-10-252021-10-25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102769694B1 (en)
WO (1)WO2023075306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90357952A1 (en)*2015-05-122019-11-28Firma Karl Leibinger Medizintechnick GmbH & Co. KGOrthognathic Sawing and Positioning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125708B2 (en)*2008-07-092015-09-08Nobel Biocare Services Ag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KR20160004771A (en)*2014-07-042016-01-13윤향옥Appratus for bone fracture fixation
KR20160019245A (en)2014-08-112016-02-19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Bone Fixation Plate
KR102203493B1 (en)2018-05-042021-01-15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Patient-Specific 3D Printing Hybrid Plates
KR102220333B1 (en)*2018-11-162021-02-26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BR202019001133U2 (en)*2019-01-212020-08-04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ZYGOMATIC IMPLANT WITH PARTIALLY INTERRUPTED THREADED POR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90357952A1 (en)*2015-05-122019-11-28Firma Karl Leibinger Medizintechnick GmbH & Co. KGOrthognathic Sawing and Positioning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23075306A1 (en)2023-05-04
KR20230059042A (en)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250143759A1 (en)Patella bone plate and methods of fixation
Wolford et al.Modification of the mandibular ramus sagittal split osteotomy
US9566097B2 (en)Modular hook plate assembly
JP6095800B2 (en) Surgical perforation guide
RU2699624C2 (en)Pre-formed implant for repositioning and fixation of centrolateral midfacial fracture
Schilli et al.Mandibular fractures
Mast et al.Maxillofacial fractures: midface and internal orbit—part II: principles and surgical treatment
Panneerselvam et al.Fractures of the zygomaticomaxillary complex
Wennogle et al.A pin-in-groove technique for reduction of displaced subcondylar fractures of the mandible
KR102769694B1 (en)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Croce et al.Transparotid approach for mandibular condylar neck and subcondylar fractures
He et al.A comparative review of mandibular Orthognathic surgeries with a focus on intraoral vertico-sagittal ramus osteotomy
Tornes et al.Cranial disloca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A case report with an unusual hearing loss
Mavili et al.Treatment of noncomminuted zygomatic fractures with percutaneous screw reduction and fixation
Clauser et al.Disloca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into the middle cranial fossa
JP7450846B2 (en) Orthognathic surgical implant assembly with pre- and post-osteotomy alignment elements
Koob et al.Temporary epiphysiodesis using the FlexTack™ implant (tension band) featuring a modified explantation technique
CN218922753U (en)Three-dimensional (3D) printed limb fracture auxiliary reduction internal fixation system
CN217828036U (en)Clavicle far-end bone fracture plate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reconstruction hole
WeberTreat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CN215349263U (en) An osteotomy positioning device for periacetabular osteotomy
BoaheneSkeletal Contouring Techniques in the Ethnic
Tabares et al.Mandible Fractures
Bakar et al.Comparison of Transbuccal versus Transoral Approaches for Manage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BrazilGiven Name Brandon Galviz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P14-X000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16-X000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Q16-X000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6-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