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754390B1 - Auto-injector - Google Patents

Auto-in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4390B1
KR102754390B1KR1020230046739AKR20230046739AKR102754390B1KR 102754390 B1KR102754390 B1KR 102754390B1KR 1020230046739 AKR1020230046739 AKR 1020230046739AKR 20230046739 AKR20230046739 AKR 20230046739AKR 102754390 B1KR102754390 B1KR 10275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ousing
locking
trigger housing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50913A (en
Inventor
김원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filedCritical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230046739ApriorityCriticalpatent/KR102754390B1/en
Publication of KR2024015091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50913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439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754390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튜브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트리거 하우징; 트리거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튜브형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사 바늘의 노출을 방지하는 캡 형의 근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며 트리거 하우징와 플런저의 락킹을 해제하는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약물을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고, 플런저의 근위 단부가 삽입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를 포함하며, 플런저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락킹 돌기를 구비하고, 트리거 하우징은 락킹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요소를 구비하며, 초기 위치에서 활성화 암은 가이드 요소 내에서의 락킹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며, 활성화 부재의 가압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 시 락킹 돌기의 락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The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tubular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 trigger housing installed within the tubular housing; a plunger slidably installed within the trigger housing; a second elastic member urging the plunger in a proximal direction; a cap-shaped proximal end slidably installed within the tubular housing and preventing exposure of an injection needle, and an activating member extending distally from the proximal end and unlocking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a first elastic member urging the activating member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a drug container having an injection needle capable of penetrating a drug storage portion and skin to inject a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portion,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be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tubular housing; wherein the plunger has a locking projection penetrating the trigger housing, the trigger housing has a guide element guiding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activation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 initial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rojection within the guide element is restrict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is unlocked when moved distally by the pressing of the activation membe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자동 약물 주입 장치{AUTO-INJECTOR}AUTO-INJECTOR

실시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당뇨병과 같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병이나, 알러지 환자의 과민성 쇼크와 같이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한 급성 발작의 경우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는 자가 주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cases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that require continuous management, or acute attacks such as anaphylactic shock in allergy patients that require immediate response, autoinjectors that allow users to inject themselves without visiting a hospital are widely used.

휴대하고 다니다가 조건에 맞는 주사 주입 위치에 찔러넣으면 자동으로 바늘이 근육으로 삽입되고, 주사액이 스프링 등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는 펜 니들 형태의 오토 인젝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 pen needle-type auto injector has been developed and is widely used, which can be carried around and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injection location, automatically inserting the needle into the muscle and automatically injecting the injection liquid by a spring or other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8294호에 위험 약제 주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 dangerous drug injection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8294.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인젝터는 사용자가 인젝터를 다룰 수 있게 허용하고 도시한 대부분의 구성부품을 실질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 부재(14)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하우징(14)은 스냅 또는 가압 조립에 의해서, 또는 접착제, 용접 등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2개의 정합부(미도시)로 형성된다. 하우징(14)은 가령, 1종 이상의 위험 약제와 같은 1종 이상의 액체 약물을 저장 및 투약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챔버(22)를 그안에 구비한다. 유체 챔버(22)는 하우징(14) 내에 조립되는 예비 충전식 주사기(18)로 형성되지만, 예비 충전되거나 재충전될 수 있는 공지 형태의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다른 형태의 유체 챔버, 또는 약물(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챔버(22)는 하우징(14)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injector illustrated in FIG. 1 has an outer housing member (14) configured to permit a user to handle the injector and substantially accommodate most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some embodiments, the outer housing (14) is formed of two mating portions (not shown) that can be configured to be joined to one another by snap or press-fit assembly, or by using adhesives, welding, or the like. The housing (14) has a fluid chamber (22) therein configured to store and dispense one or more liquid drugs, such as one or more hazardous agents. The fluid chamber (22) is typically formed as a prefillable syringe (18) assembled within the housing (14), although other forms of fluid chambers, or drug(s), including cartridges of known form that can be prefilled or refilled, may be used. Additionally, the fluid chamber (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in the housing (14).

잠금 장치(80)가 외부 하우징(14)의 원위 단부, 즉 하우징의 상단인 선단에 배치되며, 이것은 잠금 장치(80)와 외부 하우징(14) 간에 가압 조립을 형성하도록 외부 하우징(14)에 형성된 정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는 다수의 탭에 의해서 그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잠금 장치(80)는 가령, 인젝터의 운반이나 취급 동안에 주사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발사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잠금 장치(80)는 인젝터의 제한받지 않는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인젝터의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다.A locking device (80)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housing (14), i.e.,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is removably attached thereto by a plurality of tabs extending through mating openings formed in the outer housing (14) to form a pressurized assembly between the locking device (80) and the outer housing (14). The locking device (80) is configured to prevent or reduce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firing of the injection device, for example, during transport or handling of the injector. The locking device (80) is removable by a user of the injector to permit unrestricted use of the injector.

또한 안전 캡(110)을 인젝터의 말단에 고정함으로써, 바늘 보호구(66)를 덮고 운송하는 동안이나 주사 전에 취급하는 동안 그의 우발적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캡은 프레스 결합이나, 나사 결합 등에 의해서 외부 하우징(14)의 말단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ixing the safety cap (110) to the end of the injector, the needle guard (66) can be covered and its accidental movement can be prevented during transportation or handling prior to injection. The cap can be fixed to the end of the outer housing (14) by press-fitting, screw-fitting,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경우, 취급 시 의도치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80)와 안전 캡(110)을 별도로 구비하며, 이 경우 오토 인젝터 작동을 위한 절차가 잠금 장치(80) 제거, 안전 캡(110) 제거, 약물 주입의 3 단계를 거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 locking device (80) and a safety cap (110) are separately provided to prevent unintended operation during handling, and in this case, the procedure for operating the auto injector involves three steps: removing the locking device (80), removing the safety cap (110), and injecting the drug.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50273054A1United States Patent Publication No. US20050273054A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976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59765

실시예는 약물 주입 전 사용자가 거쳐야 할 준비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preparation steps a user must undergo before drug injection.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튜브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트리거 하우징; 트리거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튜브형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사 바늘의 노출을 방지하는 캡 형의 근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며 트리거 하우징와 플런저의 락킹을 해제하는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약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고, 플런저의 근위 단부가 삽입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를 포함하며, 플런저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락킹 돌기를 구비하고, 트리거 하우징은 락킹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요소를 구비하며, 초기 위치에서 활성화 암은 가이드 요소 내에서의 락킹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며, 활성화 부재의 가압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 시 락킹 돌기의 락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The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tubular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 trigger housing installed within the tubular housing; a plunger slidably installed within the trigger housing; a second elastic member urging the plunger in a proximal direction; a cap-shaped proximal end slidably installed within the tubular housing and preventing exposure of an injection needle, and an activating member extending distally from the proximal end and unlocking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a first elastic member urging the activating member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a drug container having a storage unit storing a drug and an injection needle capable of injecting a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unit by piercing the skin, and into which a proximal end of the plunge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ubular housing; wherein the plunger has a locking projection penetrating the trigger housing, the trigger housing has a guide element guiding the locking projection, and in an initial position, the activating arm restricts movement of the locking projection within the guide element, and unlocks the locking projection when moved distally by the urging of the activating member.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가이드 요소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트리거 하우징은 가이드 요소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락킹 돌기가 수용되는 락킹 요소를 더 구비하고, 활성화 부재는 가이드 요소를 따라 이동하는 활성화 돌기를 구비하며, 초기 위치에서 활성화 돌기는 락킹 돌기가 락킹 요소로부터 가이드 요소로 이동하는 것을 블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guide element extends axially, the trigger housing further comprises a locking element extending circumferentially from the guide element and receiving a locking projection, and the activating member comprises an activating projection moving along the guide element, wherein in an initial position, the activating projection blocks the locking projection from moving from the locking element to the guide element.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락킹 요소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홀이며, 가이드 요소는 트리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 또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element is a hole penetrating the trigger housing, and the guide element is a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igger housing or a hole penetrating the trigger housing.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락킹 요소는 기단 방향으로 갈수록 락킹 돌기가 가이드 요소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제2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경사면에 의해 플런저가 회전하며 락킹 요소를 빠져나와 가이드 요소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element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guides the locking projection to move toward the guide element as it goes in the base direction, and when the plunger moves in the base directio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plunger rotates by the inclined surface and exits the locking element and moves toward the guide element.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활성화 부재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가압력이 생성되는 가압 파트와, 트리거 하우징과 플런저의 락킹을 해제하는 활성화 파트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vation member comprises a pressurizing part that generates a pressurizing for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an activation part that releases the locking of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which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활성화 파트는 비의도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를 하나 이상 구비하며, 트리거 하우징 및 플런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상대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activation part has at least one fixing element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movement, and at least one of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has a counter element for fixing the fixing element.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 요소는 일 측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요성 요소와 가요성 요소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 또는 요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fixed element is a flexible element having one end formed to be radially movable and a protrusion or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flexible element.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트리거 하우징이 락킹 요소와 가이드 요소를 구비하며, 활성화 부재가 락킹 요소 내에 락킹된 플런저의 락킹 돌기를 가이드 요소로 이동하도록 플런저를 회전시킴으로써 락킹이 해제되고 플런저가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을 절감하며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provided by the embodiment has a trigger housing having a locking element and a guide element, and an activating member rotates the plunger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plunger locked within the locking element moves to the guide element, thereby releasing the lock and firing the plunger,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reducing parts, and facilitating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부재가 플런저를 락킹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부재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며 플런저의 트리거를 해제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종료 후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트리거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트리거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에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트리거 하우징과 플런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파트가 플런저를 락킹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파트와 상대 부품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ivation member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locking a plunger;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vation member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oving distally and releasing the trigger of the plunger;
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fter drug injection is complet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igger housing provided i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igger housing provided with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ut along line A-A' of Figure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igger housing and a plunger provided i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vation part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locking the plunger.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ation part and the counterpart parts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ivation part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sufficiently convey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근위 단부"는 약물 방출이 제공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그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는 주사 또는 방출 부위를 향해 뾰족해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그 단부이다. 이러한 정의는 또한, 약물 전달 장치의 임의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요소까지 확장하는데, 즉, 임의의 구성요소의 근위 단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이다. "원위 단부"는 근위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ximal end" refers to that end of a drug delivery device from which drug release can be provided. Thus, it is that end of the drug delivery device that is tapered toward an injection or release site. This definition also extends to any internal or external component of the drug delivery device, i.e., the proximal end of any component is the end closest to the proximal end of the drug delivery device. The "distal end" is the end opposite the proximal end.

"기단 방향"이란 약물 전달 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 방향"이란 "기단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Proximal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drug delivery device. "Distal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opposite to "proximal direction."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 측에는 내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 활성화 부재(200)와, 활성화 부재(2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활성화 부재(200)의 근위 단부(210)는 약물 주입 전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tubular housing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 activating member (200) slidably installed axially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and a first elastic member (300) that presses the activating member (200) in a proximal direction. The proximal end (210) of the activating member (200) is exposed outside the proxim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100) before drug injection.

또한 튜브형 하우징(100)의 원위 단부 측에는 트리거 하우징(500)가 설치된다. 트리거 하우징(500) 내에는 플런저(4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Additionally, a trigger housing (500) is install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A plunger (400) is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trigger housing (500).

제2 탄성 부재(600)가 트리거 하우징(500)과 플런저(400) 사이에 설치되며, 제2 탄성 부재(600)는 플런저(4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A second elastic member (600) is installed between the trigger housing (500) and the plunger (40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so as to pressurize the plunger (400) in the proximal direction.

활성화 부재(200)가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전까지는 플런저(400)는 제2 탄성 부재(600)의 압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도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트리거 하우징(500)과 락킹이 이루어져 있다.Until the activation member (200) slides distally to activate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the plunger (400) is locked with the trigger housing (500)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proximal direction even when pressure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is applied.

트리거 하우징(500)은 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요소(510)를 구비하며, 가이드 요소(510)로부터 일 측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락킹 요소(520)를 구비한다. 플런저(400)는 튜브형의 몸체(410)와 몸체(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트리거 하우징(500)을 관통하는 락킹 돌기(420)를 구비한다. 락킹 돌기(420)는 초기 위치에서 락킹 요소(520) 내에 삽입되어 락킹되어, 제2 탄성 부재(600)의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플런저(400)가 이동하지 않는다.The trigger housing (500) has a guide element (510) that extends axially and a locking element (520) that extends circumferentially on one side from the guide element (510). The plunger (400) has a tubular body (410) and a locking projection (420) that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410) and penetrates the trigger housing (500). The locking projection (4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element (520) at an initial position and is locked, so that the plunger (400) does not move despite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활성화 부재(200)는 근위 단부(210)는 캡형으로 근위 단부(210)의 말단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활성화 부재(200)는 근위 단부(210)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성화 암(220)을 더 포함한다. 활성화 암(220)에는 가이드 요소(510) 내로 삽입되어 가이드 요소(510)를 따라 이동하는 활성화 돌기(222)가 형성된다. 활성화 돌기(222)는 초기 위치일 때, 플런저(400)의 락킹 돌기(420)가 락킹 요소(520)로부터 가이드 요소(510)로 이동하는 것을 블로킹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한다. 즉, 초기 위치일 때 활성화 돌기(222)는 가이드 요소(510) 내에서 락킹 요소(520)와 인접 위치를 유지한다.The activation member (200) has a proximal end (210) in a cap shape and a contact surface at the end of the proximal end (210) that contacts the user's skin. The activation member (200) further includes an activation arm (220) that extends distally from the proximal end (210). An activation protrusion (222) is formed in the activation arm (220)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element (510) and moves along the guide element (510). When in the initial position, the activation protrusion (222) maintains a position that can block the locking protrusion (420) of the plunger (400) from moving from the locking element (520) to the guide element (510). That is, when in the initial position, the activation protrusion (222) maintains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ing element (520) within the guide element (510).

튜브형 하우징(100)에는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710)와 약물 저장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720)을 구비하는 약물 용기(700)가 설치된다. 이때, 약물 용기(700)는 약물 용기 홀더(730)에 의해 튜브형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되며, 활성화 부재(200)나 플런저(400)의 이동과 무관하게 약물 용기 홀더(730)에 의해 튜브형 하우징(100)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A drug container (700) having a drug storage section (710) for storing a drug and an injection needle (720) for injecting the drug stored in the tubular housing (100)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drug container (70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tubular housing (100) by a drug container holder (730), and regardless of movement of the activating member (200) or the plunger (400), the drug container (70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in the tubular housing (100) by the drug container holder (730).

이때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는 약물 저장부(710) 내에 소정 깊이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어, 제2 탄성 부재(600)가 플런저(400)를 가압할 때 약물 저장부(710) 내에서 플런저(400)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물이 주사 바늘(720)을 통해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된다.At this time,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400) is assembl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drug storage unit (710)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when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presses the plunger (400), the plunger (400)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within the drug storage unit (710), and the drug is injected in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injection needle (720).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에는 근위 캡(120)이 설치되며, 근위 캡(120)이 제거되지 않으면 활성화 부재(200)가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튜브형 하우징(100)의 원위 단부에는 원위 캡(140)이 설치되며, 튜브형 하우징(10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 proximal cap (120) is install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100), and if the proximal cap (120) is not removed, the activating member (200) does not operate. Meanwhile, a distal cap (140)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100), and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tubular housing (100).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부재가 플런저를 락킹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부재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며 플런저의 트리거를 해제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종료 후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ivating member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locking a plunger,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ivating member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oving distally and releasing a trigger of a plunger, and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fter drug injection is comple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 부재(200)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활성화 암(220)의 활성화 돌기(222)도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400)의 락킹 돌기(420)가 트리거 하우징(500)의 가이드 요소(520)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블로킹할 수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tivating member (200) moves distally, the activating projection (222) of the activating arm (220) also moves distally,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420) of the plunger (400) can no longer block movement toward the guide element (520) of the trigger housing (500).

트리거 하우징(500)과 플런저(400) 사이에 설치된 제2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400)는 기단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락킹 요소(520)는 플런저(400)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락킹 돌기(420)가 가이드홀(510)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5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600)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400)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락킹 돌기(420)가 경사면(522)을 따라 이동하면서 플런저(400)가 회전하고, 락킹 돌기(420)는 락킹 요소(520)를 빠져나와 가이드 요소(510)로 이동한다. 락킹 돌기(420)가 가이드 요소(510)로 완전히 이동을 마치면 플런저(420)는 제2 탄성 부재(600)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물 저장부(710; 도 2 참조) 내에서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며 약액을 가압하여 주사 바늘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내로 주입되도록 한다.The plunger (400) receives force in the base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installed between the trigger housing (500) and the plunger (4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element (520) has an inclined surface (522) that guides the locking projection (420) to move toward the guide hole (510) as the plunger (400) moves in the base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plunger (400) moves in the base directio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the locking projection (420)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522), causing the plunger (400) to rotate, and the locking projection (420) exits the locking element (520) and moves to the guide element (510). When the locking projection (420) has completely moved to the guide element (510), the plunger (420)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and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within the drug storage unit (710; see FIG. 2) to pressurize the drug solution and inject it in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injection needle.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트리거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트리거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에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트리거 하우징과 플런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igger housing provided i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igger housing provided i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nd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igger housing and a plunger provided in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구비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다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트리거 하우징과 플런저의 형상 및 결합 관계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other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shape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에서는 플런저(400;도 2 내지 도 5 참조)의 몸체(410;도 2 내지 도 5 참조)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420;도 2 내지 도 5 참조)가 트리거 하우징(500;도 2 내지 도 5 참조)을 관통한다. 즉, 트리거 하우징(500;도 2 내지 도 5 참조)이 구비하는 가이드 요소(510;도 2 내지 도 5 참조)와 락킹 요소(520;도 2 내지 도 5 참조)가 트리거 하우징(500;도 2 내지 도 5 참조)을 천공한 홀의 형태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 protrusion (420; see FIGS. 2 to 5)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body (410; see FIGS. 2 to 5) of a plunger (400; see FIGS. 2 to 5) penetrates a trigger housing (500; see FIGS. 2 to 5). That is, a guide element (510; see FIGS. 2 to 5) and a locking element (520; see FIGS. 2 to 5) provided in the trigger housing (500; see FIGS. 2 to 5) are in the form of holes perforated in the trigger housing (500; see FIGS. 2 to 5).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하우징(500a)은 가이드 요소(510a)는 트리거 하우징(500a)의 내주면에 형성된 그루브 형태이고, 락킹 요소(520a)는 트리거 하우징(500a)을 천공한 홀 형태이다. 그에 따라 플런저(400a)의 몸체(41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420a)가 가이드 요소(510a)를 따라 기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돌기(420a)가 노출되지 않는 형태이다. 반면, 락킹 요소(520a)에 플런저(400a)의 돌기(420a)를 락킹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요소(510a)의 외측에 설치된 활성화 돌기(222; 도 3 참조)가 돌기(420a)와 접촉하여야 하므로, 락킹 요소(520a)는 천공된 형태이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S. 6 to 8, the trigger housing (500a) has a guide element (510a)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igger housing (500a), and the locking element (520a) has a hole formed by perforating the trigger housing (500a). Accordingly, when the protrusion (420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410a) of the plunger (400a)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along the guide element (510a), the protrusion (420a) is not expos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ock the protrusion (420a) of the plunger (400a) to the locking element (520a), the activation protrusion (222; see FIG. 3)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guide element (510a) mus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20a), and therefore, the locking element (520a) has a perforated form.

이때, 활성화 돌기(222; 도 3 참조)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활성화 돌기(222; 도 3 참조)가 도피할 수 있는 도피 요소(53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돌기(222; 도 3 참조)가 도피 요소(530a)를 따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플런저(400a)의 돌기(420a)는 락킹 요소(520a)의 경사면(522a)을 따라 회전하며 기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런저(400a)의 돌기(420a)가 경사면(522a)의 끝까지 회전하며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플런저(400a)의 돌기(420a)가 가이드 요소(510a)로 진입하고, 이후 가이드 요소(510a)를 따라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escape element (530a) is provided so that the activation protrusion (222; see FIG. 3) can move distally. When the activation protrusion (222; see FIG. 3) moves distally along the escape element (530a), the protrusion (420a) of the plunger (400a) rotat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522a) of the locking element (520a) and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When the protrusion (420a) of the plunger (400a) rotates to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522a) and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the protrusion (420a) of the plunger (400a) enters the guide element (510a) and then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along the guide element (510a).

가이드 요소(510a)가 트리거 하우징(500a)의 내주면에 형성된 그루브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돌기(420a)가 가이드 요소(510a)를 따라 이동할 때 트리거 하우징(500a)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락킹 메커니즘이나, 트리거 해제 메커니즘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locking mechanism or the trigger release mechanism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rotrusion (420a)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rigger housing (500a) when moving along the guide element (510a) as the guide element (510a)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igger housing (500a).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파트가 플런저를 락킹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파트와 상대 부품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ivation part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locking a plunger,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activation part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mating parts.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제2 실시예와 다른 구성 요소는 모두 동일하며, 활성화 부재(200b)가 활성화 암(220b)과 별도로 설치되는 활성화 파트(230b)를 구비한다는 점과, 활성화 파트(230b)의 비의도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234b, 236b)와 고정 요소(234b, 236b)를 고정하는 상대 요소(222b, 540b)를 구비한다는 점이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it has an activation part (230b) in which an activation member (200b)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an activation arm (220b), and has a fixing element (234b, 236b)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movement of the activation part (230b) and a counter element (222b, 540b) for fixing the fixing elements (234b, 236b).

활성화 부재(200b)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가압력이 생성되는 가압 파트(220b)와, 가압 파트(220b)에 의해 이동하며 트리거 하우징(500b)과 플런저(400b)의 락킹을 해제하는 활성화 파트(220b)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가압 파트(220b)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사 바늘의 노출을 방지하는 캡 형의 근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활성화 암을 구비할 수 있다.The activation member (200b)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pressure part (220b) that contacts the user's skin to generate pressure and the activation part (220b) that moves by the pressure part (220b) and releases the locking of the trigger housing (500b) and the plunger (400b)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e part (220b) may have a cap-shaped proximal end that prevents exposure of the injection needle and an activation arm that extends distally from the proximal end.

이때, 활성화 파트(230b)는 전체적으로 튜브형인 몸체를 구비하며, 트리거 하우징(500b)의 락킹 요소(520b)에 위치한 플런저(400b)의 돌기(420b)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활성화 돌기(232b)가 형성된다. 가압 파트(220b)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활성화 파트(230b)도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활성화 돌기(232b)도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락킹 요소(520b)에 락킹된 플런저(400b)의 돌기(420b)의 락킹을 해제하고 플런저(400b)를 활성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ivation part (230b) has an overall tubular body, and an activation protrusion (232b) is form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420b) of the plunger (400b) located in the locking element (520b) of the trigger housing (500b). As the pressurizing part (220b) moves distally, the activation part (230b) also moves distally, and accordingly, the activation protrusion (232b) also moves distally, thereby unlocking the protrusion (420b) of the plunger (400b) locked to the locking element (520b) and activating the plunger (400b).

이때, 가압 파트(220b)는 미사용시 제1 탄성 부재(300; 도 2 참조)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되나, 활성화 파트(230b)는 가압 파트(220b)와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원 위치에서 이탈하여 플런저(400b)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활성화 파트(230b)는 비의도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234b, 236b)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pressurized part (220b) is fixed in position by being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00; see FIG. 2) when not in use, but the activation part (230b)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pressurized part (220b) and may be moved away from the origin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to activate the plunger (400b). To prevent this, the activation part (230b) is provided with a fixing element (234b, 236b) to prevent unintentional movement.

제1 고정 요소(234b)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압 파트(220b)와 고정된다. 제1 고정 요소(234b)는 원 위치에서 원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 파트(220b)에 형성된 제1 상대 요소인 고정 홀(222b) 내에 제1 고정 요소(234b)가 삽입된다.The first fixing element (234b)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and is fixed to the pressure part (220b). The first fixing element (234b) is inserted into a fixing hole (222b), which is a first counterpart element formed in the pressure part (220b), to limit movement in the distal direction from the original position.

제2 고정 요소(236b)는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트리거 하우징(500b)과 고정된다. 트리거 하우징(500b)은 제2 고정 요소(236b)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상대 요소로, 제2 고정 요소(236b)가 수용되어 근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 홈(540b)을 구비한다.The second fixing element (236b) protrudes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and is fixed to the trigger housing (500b). The trigger housing (500b) is a second counterpart element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element (236b) and has a fixing groove (540b) in which the second fixing element (236b) is received and can limit movement in the proximal direction.

이때, 활성화 파트(230b)는 가압 파트(220b)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면 원 위치에서 벗어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해야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질 때 고정 요소(234b, 236b)와 상대 요소(222b, 540b)의 결합이 해제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activation part (230b) must move away from the original position and in the dist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pressurizing part (220b).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bond between the fixed elements (234b, 236b) and the opposing elements (222b, 540b) must be released.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활성화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ivation part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외력이 가해질 때 고정 요소(234b, 236b)와 상대 요소(222b, 540b)의 결합 해제가 용이하도록 고정 요소(234b, 236b)는 가요성 요소(235b, 237b)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1 고정 요소(234b)가 형성되는 제1 가요성 요소(235b)는 근위 단부가 자유단이며, 원위 단부가 고정단이고, 제1 고정 요소(234b)는 자유단인 근위 단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다. 제1 가요성 요소(235b)는 활성화 파트(230b)를 U자형으로 절개한 슬릿(235b')에 의해 형성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fixed elements (234b, 236b) and the counter elements (222b, 540b) are easily releas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xed elements (234b, 236b)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lexible elements (235b, 237b). The first flexible element (235b) on which the first fixed element (234b) is formed has a proximal end as a free end and a distal end as a fixed end, and the first fixed element (234b)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side of the proximal end, which is the free end. The first flexible element (235b) is formed by a slit (235b') cut in a U shape in the activation part (230b).

제2 고정 요소(236b)가 형성되는 제2 가요성 요소(237b)는 원위 단부가 자유단이며, 근위 단부가 고정단이고, 제2 고정 요소(236b)는 자유단인 원위 단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제2 가요성 요소(237b)는 활성화 파트(230b)를 n자형으로 절개한 슬릿(237b')에 의해 형성된다.The second flexible element (237b) in which the second fixed element (236b) is formed has a distal end as a free end, a proximal end as a fixed end, and the second fixed element (236b)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ide of the distal end which is the free end. The second flexible element (237b) is formed by a slit (237b') cut in an n-shape in the activation part (230b).

가요성 요소(235b, 237b)가 반경 방향 이동을 허용함에 따라, 가압 파트를 통해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면 가요성 요소(235b, 237b)가 변형되며, 고정 요소(234b, 236b)와 상대 요소(222b, 540b)의 결합이 해제된다.As the flexible elements (235b, 237b) allow radial movement, when sufficient external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pressurized part, the flexible elements (235b, 237b) deform, and the bond between the fixed elements (234b, 236b) and the mating elements (222b, 540b) is released.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튜브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트리거 하우징;
트리거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튜브형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사 바늘의 노출을 방지하는 캡 형의 근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며 트리거 하우징와 플런저의 락킹을 해제하는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약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고, 플런저의 근위 단부가 삽입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를 포함하며,
플런저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락킹 돌기를 구비하고,
트리거 하우징은 락킹 돌기를 안내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요소 및 가이드 요소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락킹 요소를 구비하며,
활성화 부재는 가이드 요소를 따라 이동하는 활성화 돌기를 구비하며,
초기 위치에서 활성화 돌기는 락킹 돌기가 락킹 요소로부터 가이드 요소로 이동하는 것을 블로킹함으로써 락킹 돌기를 락킹하고, 활성화 부재의 가압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 시 락킹 돌기의 락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A tubular housing forming the exterior;
A trigger housing installed within a tubular housing;
A plunger slidably installed within a trigger housing;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essurizing the plunger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A proximal end slidably installed within a tubular housing, the proximal end having a cap shape to prevent exposure of the injection needle and an activating member extending distally from the proximal en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A first elastic member for pressurizing the activation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and
A drug container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a drug and an injection needle capable of injecting the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compartment by penetrating the skin,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being inserted and fixed to a tubular housing;
The plunger has a locking projection that penetrates the trigger housing,
The trigger housing has a guide element extending axially to guide the locking projection and a locking element extending circumferentially from the guide element,
The activation member has an activation projection that moves along the guide element,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an initial position, the activating projection locks the locking projection by blocking the locking projection from moving from the locking element to the guide element, and unlocks the locking projection when moving in a distal direction by pressurization of the activating member.
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락킹 요소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홀이며,
가이드 요소는 트리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 또는 트리거 하우징을 관통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locking element is a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trigger housing.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element is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igger housing or a hole penetrating the trigge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락킹 요소는 기단 방향으로 갈수록 락킹 돌기가 가이드 요소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제2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경사면에 의해 플런저가 회전하며 락킹 요소를 빠져나와 가이드 요소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locking element has a slope that guides the locking projection to move toward the guide element as it moves toward the base.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lunger moves in the base directio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plunger rotates by the inclined surface, escapes the locking element, and moves to the guide element.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부재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가압력이 생성되는 가압 파트와, 트리거 하우징과 플런저의 락킹을 해제하는 활성화 파트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In any one of paragraphs 1, 3 and 4,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vation member comprises a pressurized part that generates a pressurized for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an activation part that releases the locking of the trigger housing and the plunger, which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제5항에 있어서,
활성화 파트는 비의도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를 하나 이상 구비하며,
트리거 하우징, 가압 파트 및 튜브형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상대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In paragraph 5,
The active part has one or more fixing elements to prevent unintentional movement,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rigger housing, the pressurized part and the tubular housing has a counter element for fixing the fixing element.
제6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는 일 측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요성 요소와 가요성 요소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 또는 요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In Article 6,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fixed element is a flexible element formed such that one end is radially movable and a projection or groove form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element.
KR1020230046739A2023-04-102023-04-10Auto-injectorActiveKR102754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46739AKR102754390B1 (en)2023-04-102023-04-10Auto-in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46739AKR102754390B1 (en)2023-04-102023-04-10Auto-inj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50913A KR20240150913A (en)2024-10-17
KR102754390B1true KR102754390B1 (en)2025-01-21

Family

ID=9328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046739AActiveKR102754390B1 (en)2023-04-102023-04-10Auto-in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7543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3209422A (en)2021-05-202021-08-06宁波睿爱产品设计有限公司Injection device with sound prompt function
US20220215779A1 (en)2019-06-262022-07-07Shl Medical Ag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training device
JP2022549689A (en)2019-09-302022-11-28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delivering dru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050273054A1 (en)2004-06-032005-12-08Florida Atlantic UniversityEpinephrine auto-injector
EP2583708B1 (en)*2010-03-312023-02-22SHL Medical AG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feedback signalling means
EP3207952A1 (en)2016-02-162017-08-23Carebay Europe Ltd.An automatic feedback mechanism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user feedback capability
CN110753563B (en)*2017-07-122022-05-10艾斯曲尔医疗公司Dosing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such a dos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220215779A1 (en)2019-06-262022-07-07Shl Medical Ag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training device
JP2022549689A (en)2019-09-302022-11-28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delivering drugs
CN113209422A (en)2021-05-202021-08-06宁波睿爱产品设计有限公司Injection device with sound promp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50913A (en)202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2409272B2 (en)Prefilled syringe with breakaway force feature
US9629959B2 (en)Prefilled syringe jet injector
JP4299466B2 (en) Needle-assisted jet injector
US20160015897A1 (en)Push Button Safety Injector
CN119031948A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s used to automatically inject products into the injection site
KR102754390B1 (en)Auto-injector
KR102694747B1 (en)Auto-injector
KR102694738B1 (en)Auto-injector
KR102694739B1 (en)Auto-injector
KR102694741B1 (en)Auto-injector
KR102807212B1 (en)Auto-injector
KR102682086B1 (en)Auto-injector
KR102694755B1 (en)Auto-injector
KR20250016773A (en)Auto-injector
KR102682089B1 (en)Auto-injector
KR20240176166A (en)Auto-injector
KR102542985B1 (en)Needle protection cap installation sturcture for auto-injector
KR102694745B1 (en)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KR102694740B1 (en)Auto-injector
KR20240178748A (en)Auto-injector
KR102682087B1 (en)Auto-injector
KR102694737B1 (en)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KR102694749B1 (en)Auto-injector
KR102676490B1 (en)Auto-injector
KR102694750B1 (en)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041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041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30428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11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723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1220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